동일로156번길
156th Wing동일로156번길 | |
---|---|
![]() 록히드 C-130E-LM 헤라클레스, AF Ser.제64-0510호, 제198 공수부대, 제156 공수부대 소속, 푸에르토리코 항공 주방위군 | |
활동적인 | 1958 – 현재 |
나라 | ![]() |
얼리전스 | ![]() |
나뭇가지 | ![]() |
유형 | 날개 |
역할 | "컨틴전시 대응 및 전투 통신" |
의 일부 | 푸에르토리코 항공 주방위군 |
수비대/HQ | 푸에르토리코 캐롤라이나 무니즈 항공 주 방위 기지 |
장식 | ![]() 공군 우수부대상 |
웹사이트 | https://www.156aw.ang.af.mil/ |
지휘관 | |
사령관 | 콜 피트 M.분 |
부사령관 | 움베르토 파본 콜 |
최고 사령부 | CCM 헥터 1세가르시아 |
휘장 | |
제156회 공수 윙 엠블럼 | ![]() |
제156동(156 WG)은 푸에르토리코 주 캐롤라이나의 무니즈 항공 국가 방위 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푸에르토리코 항공 국가 방위군의 부대다.미 공군과 함께 연방 서비스에 활성화될 경우, 날개는 항공 기동 사령부(AMC)에 의해 운용적으로 획득된다.
단위
제156 공수부대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대로 구성된다.
- 제156차 작전그룹
- 제156차 비상 대응 그룹
- 제156회 미션지원단
- 제156회 메디컬 그룹
- 제198 공수 편대(분대)
역사
전술 전투기 임무
1962년 10월 15일 푸에르토리코 항공 주 방위군은 그룹 지위로 확대되었고, 제156차 전술 전투기 그룹(156 TFG)이 국가 방위국(NGB)에 의해 인정되어 활성화되었다.제156단은 전술항공사령부(TAC)의 작전청구로 이관되어 제198전투기-인터셉터 편대(198 FIS)가 방공사령부(ADC)로부터 재배치되어 제156전투비행단(TFS 198대)에 배속된 전술전투기 편대가 되었다.그 밖에 조에 편성된 부대로는 제156본부, 제156 재료비행단(유지), 제156 전투지원비행단, 제156 USAF 디스펜서리가 있었다.TAC로의 이적으로, 제198 TFS는 F-86H 사브르 전술전투기들을 받았다.
1967년 F-104C 스타피져스(및 F-104D 2인승 훈련기)가 156기로 배속되어 그룹을 마하-2 초음속 전술 전투기로 격상하여 고령의 F-86H 사브르 전투기를 대체하였다.F-104C는 언더윙과 동체 지점에 폭탄이나 로켓포드를 장착했다.상향발사된 록히드 C-2 로켓 부스트 이젝터 좌석은 표준형이었다.F-104A의 내부 20mm 회전식 대포는 물론, AIM-9 사이드바인더 공대공 미사일을 각 윙팁에 탑재해 방공 요격 임무를 채울 수 있는 능력을 보유했다.
1975년 F-104는 퇴역했으며, 198대는 스타파이터를 조종한 마지막 USAF 부대가 되었다.F-104는 A-7D 코르세어 II 공격기로 대체되었다.주로 지상공격기로 설계됐지만 공대공 전투능력도 제한적이었다.
1981년 1월 12일, 마체테로스라고도 알려진 보리쿠아 대중군은 미국으로부터의 분리 및 푸에르토리코 독립국 설립을 옹호하는 푸에르토리코 테러리스트들을 정렬시킨 고향의 성인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집단으로 무니즈 항공 국가 방위 기지에 침투했다.파이프 폭탄으로 무장한 그들은 총 11대의 PR ANG 항공기를 파괴하거나 손상시켰다: 10대의 A-7D Cossair II와 하나의 F-104 스타파이터를 기념으로 남겨두었다.이번 테러는 당시 이란에서 진행 중인 인질 사태가 언론에서 이번 사건을 무색하게 만들기는 했지만 베트남전 이후 미 공군이 설치한 것 중 최대 규모였다.무니즈 공군기지에 있는 11대의 공군 국가방위군은 사회주의 단체들에 의해 엘살바도르에서 인기 있는 저항세력에 대항하여 사용할 운명이라고 주장되었다.[1]이러한 주장은 결코 입증되지 않았고 아마도 이기적인 선전이었을 것이다.
당시 156명의 TFG에는 25명의 조종사와 900명의 군인이 배치돼 있었는데, 이는 시간제 전통수비대(TG)와 상근예비대(ART)와 현역예비대(AGR)를 모두 합친 것이다.물질적 손실은 1981년 4500만 달러에서 5000만 달러로 계산되었다.
이 사건으로 경비가 11명에서 22명으로 늘어나 100% 연방기금으로 충원됐다.현역 공군과 공군 국가수비대는 전자보안장비(ESE)인 마스터감시통제시설(MSCF)에 550만 달러를 투자하고 펜싱을 추가해 비행선과 작전지역을 확보했다.이밖에도 무니즈 공군기지에 ARG 경비경찰 18명과 민간 계약 경비원 46명으로 구성된 경비 경찰 인력 패키지를 제공했다.요컨대, 설비의 비행선과 공군기지 보안은 미국 대륙(CONUS), 알래스카, 하와이, 괌, 파나마의 현역 공군 기지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1987년 8월 1일, 제156전술전투단은 조직구조가 정규공군과 당시 공군예비군(AFRES)을 반영하는 새로운 공군국가방위군(ANG) 정책에 따라 4부 체제로 재편되었다.
이 부대는 1991년 6월 24일부터 28일까지 파나마의 그라나다 남부 연습에 참가했다.1991년 8월 11일부터 18일까지 칠레 이키크에서 CONDOR II 연습을 거쳐 1991년 8월 18일부터 24일까지 파라과이 공군과 함께 아순시온에 배치하여 훈련을 실시했다.1991년 9월 7~20일부터 위스콘신 볼크필드에서 FORTUNATA II 연습에 배치한 후, 1991년 12월 2~6일부터 파나마에서 또 다른 GRANADA SURNATA 연습을 위해 다시 연습에 투입되었다.
1992년 3월 냉전이 종식되면서 제156전투단은 공군 목표조직 계획을 채택하였고, 부대는 제156전투단(156FG)으로 재지정되었다.그로부터 몇 달 뒤인 1992년 6월 1일 냉전 종식 후 공군 개편의 일환으로 전술항공사령부(TAC)가 무력화되었고, 공군전투사령부(ACC)로 대체되어 156번째 새로운 작전권 획득 사령부가 되었다.
또한 1992년에는 A-7D도 퇴역하고 대륙방공 임무를 위해 개조된 블록 15 F-16A/B 격투매 항공기로 대체되었다.F-16ADF는 공군 주방위군용 방공 전투기로 개조된 표준형 블록 15 기종으로 전투기 요격 임무를 넘겨받아 폭격기와 순항미사일에 대한 북미의 1차 방어를 제공했다.
이 부대는 1993년 2월 20일부터 3월 6일까지 Golfito에서 "Caminos de Paz" 훈련에 참가한 뒤 1993년 8월 12일부터 21일까지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배치되어 F-16 첫 실전 배치를 기록했다.1994년 11월 5일부터 11월 13일까지, 이 부대는 칠레 이키크에서 열린 콘도르 3세 연습에 참가했다.
1995년 10월 공군 '하나의 기지 - 일개 날개' 정책에 따라 제157단의 위상이 날개 지위로 격상되어 제156전투비행단(156 FW)으로 재설계되었으며, 제198전투비행단(198 FS)은 신설된 제156전투비행단(156 OG)에 배속되었다.
공수 임무
1997년 11월 22일, 156 FW는 50번째 연방 인정 기념일을 기념하면서 표면적으로는 단일 운영지원항공기(OSA)로서 최초의 C-130E 헤라클레스 항공기를 받았다.공군은 1998년 2월 10일 제156전투비행단을 F-16A와 F-16B ADF 전투기 임무에서 C-130E 항공기로 공수 임무로 전환했다고 발표했다.1998년 3월 3일 마지막 F-16A는 156전투비행단에서 출발했고, 1998년 9월 11일 공수 임무용 C-130E의 첫 도착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공군은 1998년 10월 1일 제156전투비행단을 제156전투비행단(156AW)으로 지정하는 공식 명령을 내렸고, 이후 156전투비행단(AMC)에 작전청구가 이관됐다.198 FS는 제198기동대대대(198 AS)로 재설계되기도 했다.[2]
1999년 6월부터, 156 AWW의 주요 임무는 파나마 운하의 이직의 일환으로 기지가 폐쇄되었을 때 파나마 하워드 AFB로부터 이전된 CORONET OK 작전의 지원이 되었다.Coronet OK 미션은 US Southcom 책임 영역(AOR)에 있는 미국 남부 사령부(US Southcom)에 대한 극장 공수 지원을 제공했다.이러한 지원은 중앙아메리카와 남미 전역의 미국 대사관 지원에서부터 파트너 국가군과의 협력, 인도주의 및 재해구호(HA/DR) 임무 지원, 기타 임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미국 특수작전군(SOF)을 미국 남미의 지시에 따라 극장의 어느 장소에나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COM. 156 AW, 공군 예비군 사령부(AFRC) 및 기타 국가 경비대(ANG) C-130 항공기 외에도, 항공 스크루와 지원 요원은 CORONET OK 휘하의 US SouthCOM에 대한 극장 공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에서 무니즈 AGB에 일상적으로 배치한다.156개 AW 중 C-130 1대는 필요에 따라 SOF를 전달하기 위해 24시간, 주 7일, 연 365일 경계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코로넷 오크 항공기는 푸에르토리코 항공 방위군과 무니즈 AGB 비행선을 공유한다.
운영상의 당면 과제
156번째는 2012년에 C-130Es를 은퇴시켰고, 여전히 이 타입을 운용하고 있는 마지막 유닛들 중 하나이다.WC-130Hs 6대가 MQ-9 프레데터와 원격 조종 항공기(RPA) 임무로 전환되면서 테네시 항공국경(TN ANG)의 옛 118 공수부대(118 AW)에서 부대로 이송됐다.118 AW는 공군 예비군 사령부(AFRC)의 403동(403 WG)에서 WC-130J와 C-130J로 이전하면서 이들 WC-130H 항공기를 이전받은 바 있다.
PR ANG에 의해 수신된 WC-130H 항공기의 문제는 다면적인 것이었다.
첫째, WC-130H는 이전의 HC-130H CRWN 항공기에서 파생되었고, 이후 HC-130P 항공기로 전환되어 베트남 전쟁 말기에 초과로 간주되었다.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그것들은 사실상 C-130E 시리즈 에어프레임으로 156AW가 막 퇴역했던 순수 C-130E 항공기와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WC-130H 항공기로 개조 및 재설계되었으며, 비전투 기상 정찰 "허리카인 헌터" 항공기로 구성되었다.따라서, 그들은 코드화된 C-130E와 C-130H 공수 항공기와 싸우기 위해 추가된 시스템과 항전 업그레이드를 받지 못했다.
요컨대, WC-130Hs는 단순히 기상 정찰 장비를 벗기고, WC-130H 임무 설계 시리즈(MDS)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영화관 공수 임무를 위한 화물 및 여객 수송 임무를 위해 구성되었다.[3]2018년 4월 현재, 미 공군과 공군은 156 AW가 하나 이상의 AMC, AFRC 및/또는 ANG C-130H 공수 날개에서 C-130H로 전환됨에 따라 이들 항공기가 C-130J 슈퍼 헤라클레스 항공기로 전환될 것을 요구했다.
WC-130H 치명적인 항공기 사고
2018년 5월 2일, 제198기동대 비행 승무원이 WC-130H, AF Ser를 이송하는 과정에 있었다.제65-0968호, 애리조나주 데이비스-월탄 AFB에서 제309회 항공우주유지 및 재생 그룹(309 AMARG)과 함께 장기 저장소로 마지막 비행을 하고 있다.이번 비행은 조지아주 사바나힐튼헤드 국제공항의 사바나 공군기지에 기착하는 것을 포함했다.이륙 롤 동안, 항공기는 승무원들이 처음에 인식하지 못했던 1번 엔진의 오작동을 지속했다.승무원들은 엔진 문제를 인식한 후, 항공기 비행 매뉴얼에서 지시하는 엔진 고장 후 이륙 계속 절차, 엔진 정지 절차, 이륙 후 점검표를 완료하지 못했다.평균 해발 900피트, 131노트의 속도로 비행속도를 나타내는 이 항공기 사령관은 좌회전 9도 이상을 입력했고, 그가 정지하라고 요구했던 오작동 엔진으로 변했다.항공기가 왼쪽으로 미끄러져 좌익이 정지하고, 항공기가 통제된 비행을 떠나 지상에 충격을 가해 항공기가 파괴되고 승무원과 승객 전원이 사망했다.[4]
후속 USAF 항공기 사고 조사 위원회 보고서는 사고 조종사가 좌회전 방향타를 잘못 적용하여 3엔진 최소 조종 가능 비행 속도, 좌회전 노점, 사고 항공기가 통제된 비행에서 이탈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밝혔다.또 항공기 지휘관의 이륙 거부 실패, 승무원의 이륙 및 엔진 정지 점검표와 절차 후 적절한 실행이 이뤄지지 않은 점, AW의 항공기 정비요원 156명이 항공기 1번 엔진의 문제를 제대로 진단하고 수리하지 못한 점 등도 적발됐다.비행이 [5]불상사의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몇 년 동안 방치되고 쇠퇴해 온 훈련과 준비태세, 전투능력으로 악화된 156 AW의 무관심과 사기가 저하된 문화도 156호를 가까운 장래에 비비행임무로 전환하기로 한 공군과 국가방위국의 결정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여겨졌다.n 부대 운영 기반과 임무 초점을 되찾도록 명령한다.[6]

비행 임무 상실
2019년 4월 10일, 이 날개는 비상사태 대응과 전투 통신을 결합하는 새로운 임무로의 전환을 반영하기 위해 156번 윙으로 재설계되었다.이번 지정 변경은 2019년 4월 발효됐지만 부대의 새 임무 전환에는 3년이 걸릴 전망이다.[8]AMC, AFRC 및 기타 ANC 장치에 의한 Coronet OK와 기타 AFC, 기타 AFRC에 의한 항공기 및 CN(반항염색물) 임무에 의한 기타 항공 모빌리티 임무에는 156 WG가 이러한 과도적 장치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무니즈 항공 국가 방위 기지가 주기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비상 대응 임무
제156차 비상대응그룹(156 CRG)이 2020년 1월 1일 창설됐다.156 CRG는 결국 4개 중대가 된다.
리니지
- 제156전투단(공수대)으로 창설, 1958년 푸에르토리코 공군 주방위군에 할당
- 1958년 4월 10일 연방정부 인정서 접수 및 활성화
- 1964년 4월 1일 156기 전술 전투기 그룹 재설계
- 1992년 3월 15일 156번째 전투기 그룹 재설계
- 재설계: 1995년 10월 1일 제156전투비행단
- 재설계: 1998년 10월 1일 제156 공수 윙
- 2019년[8] 4월 10일 156동 재설계
과제들
- 푸에르토리코 항공 주방위군, 1958년 4월 10일
- 1958년 4월 10일 방공 사령부에 의해 획득
- 전술 항공 사령부가 획득, c. 1964년 4월 1일
- 1992년 6월 1일 공군 전투 사령부에 의해 획득
- 1998년 10월 1일 Air Mobility Command에 의해 획득 – 현재
구성 요소들
- 무리
- 제156회 의료 그룹 (제156회 USAF 디스펜서 참조)
- 제156회 미션 지원 그룹, 1994년 3월 – 현재
- 156차 운영 그룹(Flying Ops), 1994년 3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 156차 운영 그룹(비키네틱), 2020년 1월 1일 – 현재
- 제156차 비상 대응 그룹, 2020년 1월 1일 - 현재
- 편대
-
- 작전비행대대대
- 198전투-인터셉터 편대(후위 198전투비행단, 198전투비행단, 198전투비행단, 198전투비행단), 1958년 4월 10일 ~ 2019년 12월 31일
- 제141전술통제대대대(후위 141항공통제대대), c. 1982 – 1994년 3월 1일
- 지원대대대
- 156 공군기지 비행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 제156 토목비행대대대(156 토목비행대 참조)
- 156 통합 항공기 정비 비행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156
- 156 정보 시스템 비행대대(156 통신 비행 참조)
- 1958년 4월 10일 ~ 1964년 5월 10일 156 마테리엘 편대
- 156 의료 비행대 (제156회 USAF 디스펜서 참조)
- 156 자원 관리 비행대, 1979년 7월 1일 – 1994년 3월 1일
- 156 경비경찰대대(156 무기체계 경비비행편대 참조)
- 156 보급대대, 1964년 5월 20일 – 1973년 5월 31일
- 항공편
- 제156회 토목비행(최소 156기동대), 1969년 11월 1일 – 1994년 3월 1일
- 제156회 통신 비행(후기 156 정보 시스템 비행대, 156 통신 비행대), 1966년 6월 14일 – 1994년 3월 1일
- 제156회 이동성 지원 비행, 1973년 5월 31일 – 79년 3월 31일
- 제156회 무기체계 경비행기(최소 156차 경비경찰비행, 156차 경비경찰비행대), 1973년 5월 31일 – 1994년 3월 1일
- 제156회 서비스 항공편, c. 1988년 3월 1일 – 1994년 3월 1일
- 제198회 날씨 비행, C. 8월 29일 – C. 25 65년 10월 25일
- 제156회 학생 비행, 1994년 3월 1일 - 현재
- 기타
- 제156회 USAF 디스펜서(후기 156회 전술 디스펜서, 156회 전술 클리닉, 156회 의료 비행대, 156회 의료 그룹), 1958년 4월 10일 – 현재
스테이션
- 1958년 4월 10일 푸에르토리코, 루이스 무뇨즈 마린 국제공항(Luis Munoz Marin International Air Guard Base, later Muniz Air Guard Base, 1958년 4월 10일 - 현재
항공기
|
|
장식
참고 항목
이 기사는 공군역사연구기관 웹사이트 http://www.afhra.af.mil/의 공공 도메인 자료를 통합하고 있다.
참조
메모들
- ^ "Freedom Roa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08. Retrieved 6 November 2009.
- ^ "156th Airlift Wing [156th AW]". Global Security.org. Retrieved 2 February 2013.
- ^ "Puerto Rico Air Guard's C-130 Airlifters And Flying Role Are Being Taken Away". Retrieved 11 June 2019.
- ^ https://aviation-safety.net/database/record.php?id=20180502-0
- ^ https://reports.aviation-safety.net/2018/20180502-0_C130_65-0968.pdf
- ^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27408/puerto-rico-air-guards-c-130-airlifters-and-flying-role-are-being-taken-away
- ^ https://aviation-safety.net/database/record.php?id=20180502-0
- ^ a b Lucht, Capt Matthew (11 April 2019). "Puerto Rico's 156th Airlift Wing transitions to new mission". National Guard Public Affairs. Retrieved 14 April 2019.
- ^ 공군 인사 센터 시상식 검색(Post-1991) 2008년 1월 24일 웨이백 기계에 보관
참고 문헌 목록
- Cornett, Lloyd H; Johnson, Mildred W (1980). A Handbook of Aerospace Defense Organization, 1946 - 1980 (PDF). Peterson AFB, CO: Office of History, Aerospace Defense Center. Retrieved 23 March 2012.
- Rogers, Brian. (2005). United States Air Force Unit Designations Since 1978. Hinkley, UK: Midland Publications. ISBN 1-85780-197-0.
외부 링크
- 무니즈 AGB Globalsecurity.org
- 제156 공수부대 Globalsecurity.org
- Trevithick, Joseph (12 April 2019). "Puerto Rico Air Guard's C-130 Airlifters And Flying Role Are Being Taken Away". The Drive. Retrieved 14 April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