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로보로스
Ouroboros
오로보로스 또는 우로보로스(/ˌj ʊə r əˈ b ɒ r ə r ə s//ˌʊə r əˈ r ɒ s/)는 뱀이나 용이 자신의 꼬리를 먹는 모습을 묘사한 고대의 상징입니다. 우리의 보로들은 고대 이집트의 도상학과 그리스의 마법 전통을 통해 서양의 전통으로 들어갔습니다. 영지주의와 헤르미티즘, 연금술에서 상징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쥐 뱀과 같은 일부 뱀들은 스스로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
명칭 및 해석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의 οὐρο β όρος에서 유래했으며, οὐρά 오우라 '꼬리'와 -β ορός -보로스 '먹다'에서 유래했습니다.
우리의 보로스는 종종 영원한 순환적 재생 또는 삶, 죽음 및 재탄생의 순환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뱀의 가죽을 벗긴다는 것은 영혼의 이동을 상징합니다.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것은 몇몇 종교에서 다산의 상징입니다: 꼬리는 인두동물의 상징이고 입은 요닉 또는 자궁과 같은 상징입니다.[9]
역사적 표현

고대 이집트
알려진 가장 초기의 우리보로스 모티프 중 하나는 기원전 14세기 투탕카멘의 무덤인 KV62에 있는 고대 이집트 장례 텍스트인 수수께끼의 네덜란드의 책에서 발견됩니다. 본문은 지하세계에서 라와 오시리스와의 결합의 행동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의 보로들은 두 번 묘사되어 있는데, 하나는 꼬리를 입에 물고, 하나는 머리와 가슴 위쪽을 감싸고, 다른 하나는 큰 인물의 발을 감싸고 있는데, 이는 통일된 라오시리스(Ra-Osiris, 다시 라로 태어난 오시리스)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두 마리의 농노는 메헨이라는 신의 표현이며, 다른 장례 문헌에서는 라의 지하 세계 여행을 보호합니다. 전체적인 신성한 형상은 시간의 시작과 끝을 나타냅니다.[10]

오로보로스는 이집트 자료의 다른 곳에 나타나는데, 이집트 뱀 신들처럼 질서 있는 세계를 둘러싸고 그 세계의 주기적인 갱신에 관여하는 형태 없는 무질서를 나타냅니다.[11] 이 상징은 이집트에서 로마 시대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때 마법의 부적에 자주 등장했으며, 때로는 다른 마법의 상징과 결합되기도 했습니다.[12] 4세기 CE 라틴어 해설가 세르비우스는 이집트가 이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알고 있었고, 뱀이 꼬리를 물고 있는 이미지는 그 해의 순환적인 성격을 나타낸다고 언급했습니다.[13]
영지주의와 연금술

영지주의에서,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은 영원과 세상의 영혼을 상징했습니다.[14] Gnostic Pistis Sophia (c. 400 CE)는 ourboros를 꼬리를 입에 물고 세상을 둘러싸고 있는 1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으로 묘사합니다.[15]
초기 연금술 문헌인 클레오파트라의 크리소포이아(κ λεοπάτρα ς χρυσοποιία ἓν τὸ πᾶνα)에서 그려진 유명한 우리보로스는 아마도 원래 3세기 알렉산드리아와 관련이 있을 것이지만 10세기 사본에서 처음으로 알려진 암탉과 팬(ἓν τὸ πᾶν)이라는 단어를 동봉합니다. 그것의 흑백의 반은 아마도 도교의 음양상징과 유사한 영지주의적 존재의 이중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16] 연금술사 클레오파트라의 크리소포이아 오로보로스는 연금술사들의 전설적인 오푸스인 철학자의 돌과 관련된 가장 오래된 오로보로스의 이미지 중 하나입니다.[citation needed]
15세기의 연금술 원고인 오로라 콘수르겐스는 태양, 달, 수은의 상징 중 하나로 사용되는 우리의 보로스를 특징으로 합니다.[17]
신화에 나오는 세계 뱀
노르드 신화에서 우로보로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세 자녀 중 한 명인 뱀 요르문간드로 등장하는데, 이 뱀은 세계를 둘러싸고 꼬리를 이빨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몸집이 커졌습니다. 라그나르 소나 þ 아트트르와 같은 라그나르 로드브록의 전설에서, 게티시 왕 헤라우드는 딸 þ오라 타운하트에게 작은 눈 벌레를 선물로 주었고, 그 후 큰 뱀으로 자라 소녀의 바워를 감싸고 꼬리를 물어뜯습니다. 뱀은 þ로라와 결혼한 라그나 로드브록에게 죽임을 당합니다. 라그나는 후에 크라카라는 다른 여자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고 이 아들은 한 쪽 눈에 하얀 뱀의 이미지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이 뱀은 홍채를 감싸고 꼬리를 물었고, 그 아들의 이름은 시구르드 뱀 인 더 아이(Sigurd Snake-in-the-eye)였습니다.[19]
남아메리카의 열대 저지대 원주민들 사이에서는 세계 원반의 가장자리에 있는 물이 뱀, 종종 아나콘다에 둘러싸여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믿음입니다.[20]
우리의 보로스는 성경의 리바이어던과 공통점이 있는 특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하르에 따르면, 리바이어던은 "꼬리가 입 안에 있다"는 짝이 없는 단일 생물인 반면, Rashion Baba Batra 74b는 그것을 "전 세계를 휘감고 감싼다"고 설명합니다. 그 정체성은 6-7세기의 칼리르의 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입니다.[citation needed]
근대참고문헌
중언심리학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칼 융은 우리의 보로스를 연금술의 원형이자 기본 만다라로 보았습니다. 융은 또한 연금술에 대한 우로보로스의 관계를 정의했습니다: 칼 융, 수집 작품, 권 14 파라. 513.
우리 현대보다 개인화 과정의 본질에 대해 나름대로 더 잘 알고 있었던 연금술사들은 이런 역설을 자신의 꼬리를 잡아먹는 뱀인 우로보로스의 상징을 통해 표현했습니다. 오로보로스는 무한 또는 전체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오래된 오우로보로스의 이미지에는 자신을 집어삼키고 순환 과정으로 바꾸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예술의 원초적인 재료가 사람 자신이라는 것이 더 명민한 연금술사들에게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오우로보로스는 그 반대, 즉 그림자의 통합과 동화를 위한 극적인 상징입니다. 이 '피드백' 과정은 오로보로스 사람들이 자신을 죽이고 생명을 되찾고, 수정하고, 자신을 낳는다고 하니, 동시에 불멸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그는 대립하는 사람들의 충돌로부터 발전하는 사람을 상징하고, 따라서 그는 원시적인 물질의 비밀을 구성합니다. 의심할 여지없이 인간의 무의식에서 비롯됩니다.
융기안 심리학자 에리히 노이만(Erich Neumann)은 인간과 개별 아이의 미분화 유아기 경험을 묘사하면서 자아 이전의 "새벽 상태"를 표현한다고 썼습니다.[21]
Kekulé's dream


독일의 유기화학자 아우구스트 케쿨레(August Kekulé)는 우로보로스의 환영을 본 후 벤젠의 구조를 깨달은 순간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습니다.[22]
저는 앉아서 교과서에 글을 쓰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은 진전되지 않았습니다. 제 생각은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나는 의자를 불 쪽으로 돌려 졸았습니다. 다시 원자들이 내 눈앞에서 도박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소규모 그룹들이 배경을 적당히 유지했습니다. 이런 종류의 반복되는 비전에 의해 더 날카로워진 제 정신적인 눈은 이제 다양한 형태의 더 큰 구조를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긴 줄, 때로는 더 밀접하게 결합됩니다. 모든 것이 뱀과 같은 움직임으로 꼬이고 꼬입니다. 근데 봐봐요! 뭐였어요? 뱀들 중 한 마리가 꼬리를 잡았고, 그 형태는 내 눈앞에서 조롱하듯 빙빙 돌았습니다. 마치 번개가 번쩍이는 것처럼 나는 잠에서 깼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도 나는 가설의 결과를 알아내기 위해 밤을 보냈습니다.
코스모스
마틴 리스(Martin Rees)는 우로보로스(Ourboros)를 사용하여 우주의 다양한 척도를 설명했습니다. 꼬리 부분은 10cm−20(아원자), 머리 부분은 10cm25(초은하)까지입니다.[23] 리스는 꼬리와 머리가 만나 원을 완성하면서 "오라보러스로 상징되는 마이크로 월드와 우주 사이의 친밀한 연결"을 강조했습니다.[24]
사이버네틱스
W. 로스 애쉬비(W. Ross Ashby)는 생물학의 아이디어를 "뇌를 위한 디자인"(1952)에서 정신과 의사로서의 자신의 연구에 적용했습니다. 생물은 필요한 피드백 루프의 조절자로서 뇌와 함께 신체의 필수 변수를 임계 한계 내에서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파르마는 사이버네틱 오우로보로스 원리를 음악 즉흥 연주에 적용하는 데 있어 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실천을 맥락화합니다.[25]
[26] 프란시스코 바렐라(Francisco Varela)가 개발한 자율 시스템과 "살아있는 자의 수수께끼"를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논리적 과정 표기법인 자기 표시. 레이첼은 이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구조가 유지되는 시스템의 추상적인 개념은 구조의 자체 생산과 그 구조를 통해 유지됩니다. 카우프만의 말로, "수학적이고 비숫자적인 미적분학에 내재된 벌레 우리 보로스의 고대 신화적 상징"입니다.[27][28]
이 미적분학은 피드백의 사이버네틱 논리, 바렐라와 험버토 마투라나가 개발한 오토포이의 하위 분야, 조지 스펜서 브라운의 적응증의 미적분학의 융합에서 비롯됩니다. 또 다른 관련 생물학적 응용에서:
놀랍게도, 대사는 지도에 불과하다는 로젠의 통찰력은 생물학자에게는 너무 일상적일 수도 있지만... 로젠 이전에는 수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알려지지 않은 함수 f에 대한 자기 refe 우로보루스 방정식 f(f) = f의 해를 제한적인 과정을 통해 재귀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차 사이버네틱스, 즉 사이버네틱스의 사이버네틱스는 관찰자의 참여를 탐구하기 위해 자기 준거성의 원칙, 즉 관찰자의 관찰 참여를 적용합니다.[31] D.J. 스튜어트의 "관찰자의 가치를 중시하는 불경함" 영역을 포함합니다.[32]
아르마딜로거머리도마뱀붙이
아르마딜로 거덜도마뱀붙이속인 Ouroborus cataphractus는 그 동물의 방어 자세인 공 모양으로 말리고 자신의 꼬리를 입에 물고 있는 것에서 그 이름을 따왔습니다.[33]

이베리아 문화에서
스페인어로는 페스카딜라, 포르투갈어로는 페스카다로 알려진 중간 크기의 유럽산 하케는 종종 꼬리를 물고 입을 벌리고 있습니다. 스페인어로는 페스카디야 데 로스카("토러스 하케")[34]라는 이름을 받습니다. 우마페스카디냐 데 라보나 보카 '꼬리입 작은 하케'와 '꼬리를 물어뜯는 하케'라는 표현은 모두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로 순환추리와 악순환을 의미하는 속담입니다.[35]
드래곤게이트 프로레슬링
일본 고베에 본사를 둔 드래곤 게이트 프로레슬링 프로모션은 회사 설립 첫 20년 동안 스타일리시한 우리 보로스를 로고로 사용했습니다. 로고는 무한의 상징 모양으로 꼬인 실루엣의 용으로 자신의 꼬리를 집어삼키고 있습니다. 2019년 프로모션에서는 방패 로고를 선호하여 인피니티 드래곤 로고를 삭제했습니다.
픽션에서
문학.
벌레 오우로보로스는 E. R. 에디슨이 쓴 하이 판타지 소설입니다. 우리 보로들이 자신의 꼬리를 먹는 순환적 상징처럼 소설은 시작과 함께 끝납니다. 한 주요 캐릭터는 오로보로스 형태의 반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The Wheel of Time과 2021년 텔레비전 각색 작품에서 Aes Sedai는 뱀이 자신의 꼬리를 먹는 것으로 묘사된 "Great Sentife" 링을 착용합니다.[36]
미국 작가 로버트 A의 공상과학 단편 소설 "All You Zombies"(1958)에서. 하인라인(Heinlein), 제인(Jane) 캐릭터는 "세계 뱀인 벌레 우로보로스(Ouroboros)"라는 오로보로스 반지를 착용합니다.[37] 그 단편소설은 나중에 영화 "Predestination" (2014)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SCP Foundation 세계에서 제안 이야기 "Ouroboros Cycle"[38]은 SCP Foundation의 창설부터 결말까지 SCP Foundation의 이야기에 걸쳐 있습니다.
마녀의 발견 소설과 텔레비전 각색 작품에서 드 클레르몽 가문의 문장은 우리의 보로입니다. 이 기호는 이야기의 연금술적 줄거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책 시리즈 A 가시와 장미의 법정에는 시작과 끝의 거울이라고도 알려진 Ouroboros라는 이름의 거울이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진정으로 누구인지 또는 무엇인지를 보여줍니다.
라일리 세이거(Riley Sager)의 소설 '모든 문을 잠그다'에서, 아파트 중 한 곳에 우리 보로스의 그림이 그려져 있으며 건물의 오랜 거주자들에게 상징으로 작용합니다.
《우로보로스》는 키시로 유키토(우로보로스 1세, 우로보로스 2세)가 쓴 《군놈/배틀엔젤 알리타》의 챕터/파이트 47, 49의 제목입니다. 만화 줄거리에서 ourboros는 스스로를 사로잡는 꿈/트랩을 말합니다.
Ouroboros는 Kim Stanley Robinson에 의해 공상과학 소설 Aurora를 통해 언급됩니다. 그러한 용도 중 하나는 현재 진행 중인,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은 갈등을 생각하는 선박의 컴퓨터에 의해 전해진 것처럼 이야기의 중간에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해결할 수 없는 중단 문제의 위험한 오우로보로스를 느꼈고, 대답할 수 없는 문제를 생각하면서 영원히 회전하려고 했습니다."
영화와 텔레비전
Ouroboros는 TV 시리즈 Millennium에 나오는 End Times에 집착하는 Millennium Group의 채택된 상징입니다.[39] 또한 엑스파일 시즌 4 에피소드 "Never Again"(1997)에서 다나 스컬리가 문신을 했을 때 잠깐 등장합니다.[40]
"우로보로스"는 데이브 리스터가 시간 여행을 통해 자신의 친아버지임을 알게 되는 영국의 공상과학 시트콤 "레드 드워프"의 에피소드입니다.[41] 사이버펑크 넷플릭스 시리즈 체인지 카본 시즌 1(2018)에서 주인공 타케시 코박스(Takeshi Kovacs)는 무한대 상징 모양의 오로보로스 문신을 합니다.[42] The Sinner의 시즌 4(2021)는 전체에 걸쳐 특징이 있습니다.[43]
로키의 시즌 2 프리미어(TV 시리즈)에서는 오우로보로스(커후이콴 분)라는 캐릭터가 소개됩니다. 그는 시간 분산 기관의 직원입니다. 4화에서는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것을 언급하기도 합니다.[44]
워킹데드의 공포 시즌 2 에피소드 6(2016)의 제목은 '우로보로스'입니다.[45] 워킹데드의 알파 캐릭터는 우로보로스 벨트 버클을 착용합니다.[46]
게임
스플래툰 3은 호러보로스라고 불리는 비슷한 생물체를 가지고 있습니다.[47] 비디오 게임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즈 3의 플레이 가능한 주요 6명의 캐릭터들은 궁극적으로 그들의 세계의 운명에 묶여있는 Ouroboros라고 불리는 치열하게 강력한 형태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48] 암각화는 작은 다리를 가진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Ouroboros라는 카드가 특징입니다. 이 카드는 죽일 수 없는 상징을 지니고 있으며 죽이거나 희생될 때마다 더 강력해집니다.[49]
참고 항목
참고문헌
메모들
- ^ 테오도로스 펠레카노스(Theodoros Pelecanos)의 시네시우스(Synesius)에게 귀속된 연금술에 대한 필사본, 프랑스 Bibliothèque Nationale의 Codex Parisinus graecus 2327에서 언급된 s.v. 'alchemy', 옥스포드 고전 사전,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12, ISBN0199545561
- ^ "uroboros". Lexico UK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December 2019.
- ^ "ouroboros". Dictionary.com. Random House.
- ^ "Salvador Dalí: Alchimie des Philosophes The Ouroboros". Academic Commons. Willamette University.
- ^ Mattison, Chris (2007). The New Encyclopedia of Snak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05. ISBN 978-0-691-13295-2.
- ^ 리델 & 스콧 (1940), οὐρο β όρος
- ^ 리델 & 스콧 (1940), οὐρά
- ^ Liddell & Scott (1940), β ορά
- ^ Arien Mack (1999). Humans and Other Animals. Ohio State University Press. p. 359.
- ^ 호룽, 에릭. 고대 이집트 사후세계 책. 코넬대학교 출판부, 1999. 38쪽, 77-78
- ^ Hornung, Erik (1982). Conceptions of God in Egypt: The One and the Many. Cornell University Press. pp. 163–64.
- ^ Hornung 2002, p. 58.
- ^ 세르비우스는 아이네이드 5.85에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이집트인들에 따르면 알파벳이 발명되기 전에 뱀이 스스로 재발하기 때문에 자신의 꼬리를 물어뜯는 그림으로 상징되었다고 합니다."(Annus secundum Aegyptios indicatas ante inventas picto dracone caudam mordente, Quia in secrecrit) 다누타 샨저가 인용한 바와 같이, Martianus Capella의 De Nuptiis Philologia et Mercurii Book 1(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86)에 대한 철학적, 문학적 해설, p. 159.
- ^ Origen, Contra Celsum 6.25.
- ^ Hornung 2002, p. 76.
- ^ Eliade, Mircea (1976). Occultism, Witchcraft, and Cultural Fashions. Chicago and London: U of Chicago Press. pp. 55, 93–113.
- ^ Bekhrad, Joobin. "The ancient symbol that spanned millennia". BBC. Retrieved 24 July 2021.
- ^ Lambsprink: De Lapide Philosophico. Nicolaum Barnaudum Delphinem에 따라 E Germanico 대 Latine Redditus. Sumptibus LUCAE JENNISSI, 프랑크푸르트 1625, p. 17.
- ^ Jurich, Marilyn (1998). Scheherazade's Sisters: Trickster Heroines and Their Stories in World Literatu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29724-3.
- ^ Roe, Peter (1986), The Cosmic Zygote, Rutgers University Press
- ^ 노이만, 에리히 (1995). 의식의 기원과 역사. 볼링턴 시리즈 XLII: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원래 1949년에 독일어로 출판되었습니다.
- ^ Read, John (1957). From Alchemy to Chemistry. Courier Corporation. pp. 179–180. ISBN 978-0-486-28690-7.
- ^ Mrees Just Six Numbers (London 1999) pp. 7-8
- ^ Mrees Just Six Numbers (London 1999) p. 161
- ^ 파르마, 로빈. "입력 소프트웨어 없음: 사이버네틱스, 즉흥, 기계 문." ISSTA 2011 (2014). 그는 또한 기초 행동에서의 사이버네틱스, 노버트 위너에서 고든 파스크, 하인츠 폰 포어스터, 오토포이시스로의 사이버네틱스 과학의 진화, 질 들뢰즈와 펠릭스 과타리의 철학 체계, 마누엘 드란다와 같은 관련 분야에 대해 논의합니다.
- ^ 바렐라, 프란시스코 J. "자기 참조를 위한 미적분학" 국제 일반 시스템 저널 2 (1975): 5-24.
- ^ 카우프만 하위 참조: 카우프만 L.H. 2002. 형태와 형태 역학의 법칙. Cybernetics & Human Knowing 9(2): 49–63, 페이지 57–58.
- ^ Reichel, André (2011). "Snakes all the Way Down: Varela's Calculus for Self-Reference and the Praxis of Paradis" (PDF). Systems Research and Behavioral Science. 28 (6): 646–662. doi:10.1002/sres.1105. S2CID 16051196.
- ^ 구티에레스, 클라우디오, 세바스티안 자라밀로, 호르헤 소토-안드라데. "A. H. Louie의 삶 그 자체 이상에 대한 몇 가지 생각: 형식적 체계와 생물학에 대한 성찰" Axiomathes 21, no. 3 (2011): 439–454, p. 448.
- ^ 소토-안드라데, 호르헤, 세바스티아 자라밀로, 클라우디오 구티에레스, 후안-카를로스 레틀리에. "우로보로스 아바타: 자기 참조와 대사 폐쇄에 대한 수학적 탐구" "대사 네트워크에서 관찰되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대사 네트워크가 스스로 생성된다는 것입니다. 이미 오토포이에시스와 (M,R)-시스템 이론에 의해 발전된 이 직관은 수학적으로 f(f) = f와 같은 함축과 잠재력으로 가득 찬 이상해 보이는 방정식으로 틀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이하 우로보로스 방정식이라 함)은 로버트 로젠의 대사에 대한 합성적 관점, 초집합 이론 및 중요하게는 유형화되지 않은 람다 미적분학과 같은 명백하게 다른 맥락에서 발생합니다. ... 우리는 생물학에서 처음 발견된 독특한 종류의 수학적 개념인 이 방정식 뒤에 숨겨진 아이디어가 진정한 체계적인 이론 생물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MIT 프레스 온라인.
- ^ 뮐러, K.H. 2차 과학: 과학 구조의 혁명. 복잡성, 디자인, 사회. Edition Echoraum, 2016.
- ^ 스콧, 버나드. "믿음의 시스템 사이버네틱스". 키버네티스: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s & Cybernetics 29, No. 7–8 (2000): 995–998.
- ^ Stanley, Edward L.; Bauer, Aaron M.; Jackman, Todd R.; Branch, William R.; Mouton, P. Le Fras N. (2011). "암석과 단단한 다각형 사이에서: 루피콜러스 거들도마뱀붙이속 (Squamata: Cordylidae)" 분자 계통발생학 및 진화 58 (1): 53–70. (Ouroborus cataphractus, 새로운 조합)
- ^ Spínola Bruzón, Carlos. "Pescadilla; entre pijota y pescada.- Grupo Gastronómico Gaditano". grupogastronomicogaditano.com (in European Spanish). Grupo Gastronómico Gaditano. Retrieved 28 October 2021.
La pescadilla se fríe en forma de rosca, de modo que la cola esté cogida por los dientes del pez.
- ^ "pescadilla".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in Spanish) (24th ed.). RAE-ASALE. 2014. Retrieved 28 October 2021.
- ^ Jacobs, Mira. "The Wheel of Time Star Hints at What to Look For in Aes Sedai Rings". Comic Book Resources.
- ^ Gomel, Elena (2010). Postmodern Science Fiction and Temporal Imagination. Bloomsbury Publishing. p. 55.
- ^ "The Ouroboros Cycle Proposal". Retrieved 19 December 2023.
- ^ Black, A. J. (2020). Myth-Building in Modern Media The Role of the Mytharc in Imagined Worlds. McFarland. p. 43.
- ^ Delasara, Jan (2015). PopLit, PopCult and The X-Files A Critical Exploration. McFarland. p. 9.
- ^ "Ouroboros". Red Dwarf: The Official Site. Grant Naylor Productions. Retrieved 10 October 2022.
- ^ "Why Takeshi's Tattoo In Altered Carbon Means More Than You Think". Looper.
- ^ "The Sinner recap: A central mystery is solved but new secrets and questions emerge". Entertainment Weekly.
- ^ Owens, Lucy. "Loki Season 2: There's A Secret Meaning Behind A Fan Favorite Character's Name". Game Rant.
- ^ Moylan, Brian. "Fear the Walking Dead recap: season two, episode three – Ouroboros". The Guardian.
- ^ Gleason, Jack. "New Walking Dead Detail Connects Alpha To FTWD's Alicia & Teddy". Screen Rant.
- ^ "Splatoon 3: Big Run's King Salmonid Continue a Clever Boss Pattern". Game Rant.
- ^ "Xenoblade Chronicles 3 Direct – Nintendo Switch". Nintendo of America. 22 June 2022 – via YouTube.
- ^ "How to Get Infinite Ouroboros Upgrades". IGN.
서지학
- Bayley, Harold S (1909). New Light on the Renaissance. Kessinger. Reference pages hosted by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ite book}}
: CS1 메인트: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Hornung, Erik (2002). The Secret Lore of Egypt: Its Impact on the West. Cornell University Press.
-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1940).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 via perseus.tufts.edu.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