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외심

Awe
painting of a man staring at an awe-inspiring mountain landscape
John Martin(1840)의 타이어 파괴

경외심경이로움[1] 필적하지만 기쁨은 덜하다.로버트 플루틱의 감정[2] 수레바퀴에는 놀라움공포의 조합으로 경외감이 표현되어 있다.

사전적 정의 중 하나는 "위대한 것, 숭고함, 극도로 강력한 것, 즉 신을 경외하는 것, 위대한 [3]정치인을 경외하는 것 등에 의해 만들어진 압도적인 존경, 감탄, 두려움 등"이다.또 다른 사전적 정의는 "권위, 천재, 위대한 아름다움, 숭고함 또는 힘에 의해 영감을 받은 경건함, 존경심, 두려움, 경이로움의 혼합된 감정:우리는 바흐의 작품을 생각할 때 경외감을 느꼈다.관측자들은 신형 [4]무기의 파괴력에 경외심을 갖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경외심은 기자의 피라미드, 그랜드 캐니언, 우주의 광활함, 또는 [5][6]과 같이 주제보다 더 강력하다고 여겨지는 물체를 향합니다.

정의들

경외감은 정의하기 어렵고, 그 단어의 의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해왔다.관련된 개념들은 놀라움, 감탄, 상승, 숭고함이다.인어웨이: 신경심리학자이자 긍정심리학자인 폴 피어설은 경외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를 제시한다.그는 경외심을 "대개 우리 의식의 좁은 범위를 훨씬 벗어난 놀라운 우주와의 압도적이고 당황스러운 연결감"이라고 정의한다.피어솔은 경외심을 현재 과학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감정(즉, 사랑, 두려움, 슬픔, 당혹감, 호기심, 자부심, 즐거움, 절망, 죄책감,[7] 분노)을 넘어선 11번째 감정으로 본다."대부분의 정의는 경외심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경험으로 허용하지만, 경외심을 유발하는 사건들을 묘사하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8]경험만을 인용한다.

어원학

awe라는 용어는 "테러, 두려움, 경외"를 뜻하는 고대 영어 단어 eg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고통"[9]을 의미하는 그리스 단어 achos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awesome"이라는 단어는 16세기 말에 "awe"[10]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warful이라는 단어는 또한 고대 영어 단어 egeful을 대체하기 위해 경외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11]

이론들

진화론

Awe는 사회적 계층을 강화합니다.

켈트너와 하이트는[1] 경외심에 대한 진화적 설명을 제안했다.그들은 현재의 경외의 감정이 원시적인 경외감에서 비롯되었다고 제안했습니다. 즉, 사회적 위계질서를 강화함으로써 적응할 수 있는 더 강력하고 높은 지위의 개인들이 있을 때 낮은 지위의 개인들이 느끼는 유선상의 반응입니다.이 원초적인 경외는 오직 높은 지위의 사람이 피아제트식 수용에 참여하도록 요구하는 광대함(크기, 명성, 권위 또는 명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만 일어났을 것이다.켈트너와 하이트는 이 원시적인 경외심이 나중에 광범위하고 적응이 필요한 자극으로 일반화되었다고 제안한다.이러한 자극에는 여전히 더 강력한 다른 존재(원초적 경외감)가 포함되지만, 영적인 경험, 거대한 전망, 자연의 힘/재해, 인간이 만든 작품, 음악, 또는 위대한 과학 이론을 이해하는 경험도 포함됩니다.Keltner와 Haidt는 경외심이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고, 두려움의 다섯 가지 추가적인 특징들이 감정의 경험을 색칠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위협, 아름다움, 능력, 미덕, 그리고 초자연적인 것들.

경외심은 성적으로 선택된 특성이다.

켈트너와 하이트의 모델은 심리학자 블라디미르 코네치니를 [12]포함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코네치니는 사람들이 실제 신체적 위험에 처해 있지 않을 때만 경외감, 특히 미적 경외감을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코네치니는 경외의 진화적 기원은 자연 경이로움과의 예기치 않은 만남에서 비롯된다고 가정했다. 왜냐하면 경외심, 지적 민감성, 감정적 민감성, 엘리트 멤버쉽은 배우자에게 매력적인 특징이었을 것이고, 이러한 특징들은 또한 인디비젼을 주었을 것이기 때문이다.경외심을 자극하는 상황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됩니다.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위험으로부터 더 안전하며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코네치니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자주 경외심을 느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이 가설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Awe는 체계적인 처리를 강화합니다.

세 번째 진화론은 경외심이 자아에서 벗어나 [8][13][14]환경 쪽으로 관심을 끄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이것은 현재의 지식 구조에 의해 동화될 수 없는 새롭고 복잡한 자극이 존재할 때 정보 자원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발생한다.즉, 경외는 체계적이고 적응적인 처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는 생존에 적응할 수 있었을 것이다.이 가설은 가장 최근의 것으로 경외의 사회적 결과에 대한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경험적인 지지를 받았다.

비진화 이론

순다라얀의 경외심

인본주의/전생심리학자인 루이스 순다라잔은[15] 또한 더 강력한 다른 사람들의 존재 앞에 있는 것은 칭찬을 이끌어내지만, 감탄은 단지 기존의 사회적 위계질서를 강화시키기 때문에 정신적 적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켈트너와 하이트의 모델을 비판했습니다.순다라얀은 우선, 개인이 인식된 광대함에 직면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켈트너와 하이트의 모델을 확장했다.만약 개인이 이러한 광활함을 그녀 또는 그의 기존 정신 카테고리에 동화시킬 수 있다면, 그들은 경외감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만약 개인이 인지된 광활함을 흡수할 수 없다면, 그/그/그녀는 새로운 정보에 적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그녀 또는 그의 정신 범주를 변화시킨다.만약 이것이 달성되지 않는다면, 개인은 PTSD가 생기는 것과 같은 트라우마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만약 개인이 적응할 수 있다면, 그들은 경외심과 놀라움을 경험할 것이다.이 모델에 따르면, 동일한 방대한 경험은 경직성 증가(동화가 성공했을 때), 유연성 증가(동화는 실패했지만 적응은 성공했을 때), 또는 정신병리(동화와 적응 모두 실패했을 때)로 이어질 수 있다.순다라잔은 경외의 진화적 기원에 대해 추측하지 않았다.

조사.

painting of an apocalyptic biblical landscape
존 마틴의 분노의 위대한

경외감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의미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과학적으로 연구된 적이 거의 없다.리처드 라자러스(1994)가 [full citation needed]감정에 관한 그의 책에서 썼듯이, "그들의 중요성과 감정의 힘을 고려할 때, 우리의 삶에서 감정의 원천으로서의 미적 경험에 그렇게 적은 과학적 관심이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p.16).경외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주로 경외(예: 경외의 물리적 표시 및 경외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와 경외의 사회적 결과(예: 행동을 돕고 약한 메시지에 의한 설득에 대한 민감성 감소)를 기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침전물

Shiota, Keltner, Mossman(2007)[8]은 참가자들이 경외감을 느꼈던 시기에 대해 쓰도록 했고, 자연과 예술/음악이 자극제로 자주 인용되었다.대부분의 정의가 경외심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허용하지만, 참가자들은 경외심에 대한 긍정적인 급박함만을 설명했고, 따라서 긍정적인 경외감과 경외감+공포감(즉, 공포감)은 분명히 다른 감정일 수 있다.

감성적 경험

Shiota, Keltner, Mossman의 [8]같은 실험 세트(2007)에서, 연구진은 그들이 최근에 자연의 아름다움(양치 상태) 또는 성취(자존심 상태)를 경험했던 시기에 대해 쓰게 했다.자연미의 경험을 설명할 때, 참가자들은 그들이 일상적인 걱정을 모르고, 더 큰 것의 존재를 느끼고, 그 경험이 끝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고, 작거나 하찮게 느낀다고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2016년까지 경외심이 다른 [16]문화에서 다르게 경험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물리 디스플레이

이번 애틀랜타 낙뢰는 경외심을 불러일으켰을지도 모른다.

연구자들은 또한 참가자들이 경외감을 느꼈던 때를 기억하고 감정을 비언어적으로 [17]표현하도록 함으로써 경외감에 대한 신체적, 비언어적 반응을 관찰하려고 시도했다.이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원들은 종종 경외심이 눈썹을 치켜올리고(78%), 눈을 크게 뜨고(61%), 입을 벌리고 약간 턱을 내린 상태(80%)를 통해 나타난다는 것을 관찰했다.머리를 약간 앞으로 내밀고(27%), 눈에 띄게 숨을 들이마시는(27%) 등 경외감을 나타내는 사람도 많지만 웃는 모습(10%)은 드물다.경외심을 신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화에 따라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종문화 연구가 필요하다.

개성과 경외심

어떤 사람들은 경외심을 느끼는 경향이 더 있을 수 있다.연구진은[13] 자기 및 동료 보고서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경외심을 느끼는 것이 경험에 대한 개방성(자기 및 동료 평가)과 외향성(자기 평가)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이후의 연구들은[8] 또한 정기적으로 경외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인지적 폐쇄의 필요성이 낮으며, 보다 구체적인 용어(예: "나는 금발 머리")와 달리 해양적 용어(예: "나는 지구의 거주자"), 개별적이고 보편적인 용어(예: "나는 금발 머리")로 자신을 묘사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경외의 사회적 결과

더 최근의 연구는 경외심을 경험하는 것이 시간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고 시간을 기부할 의향이 더 커졌지만 [18]기부할 의지는 더 커졌다는 것을 발견했다.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려는 의지는 경외감을 느낀 후 조바심이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또한 경외감을 느낀 참가자들은 순간적인 삶의 만족도가 더 높고 경험적인 상품과 물질적인 상품(예: 시계보다 [18]마사지를 선호함)에 대한 선호도가 더 강하다고 보고하였다.경외심은 대부분의 다른 긍정적인 감정과 달리 발견적 처리보다는 체계적인 처리를 증가시켜 경외심을 경험하는 참가자들을 약한 [14]논쟁에 덜 민감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외심과 경외심

painting of women staring at a sunset by Caspar David Friedrich
독일 낭만주의 풍경화가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그림으로 자연 노을에 경외감과 경이로움을 전한다.

경외심은 최근 무신론자들이 경외심을 느끼지 못하거나 경외심을 경험하는 것이 사람을 무신론자가 아닌 정신적 또는 종교적으로 만든다고 말하는 일부 종교인들의[who?] 진술에 대한 반응으로 무신론자들의 [which?]관심사가 되었다[when?].예를 들어, 오프라가 수영선수 다이애나 냐드를 무신론자로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것을 보자. 냐드는 경외심을 경험하고 있고, 종교 활동가 크리스 스테드만의 [19]비디오에 대한 반응도 있다.

경외심은 종종 종교와 관련이[citation needed] 있지만 경외심은 세속적일 수도 있다.더 많은 예시로 사회학자이자 무신론자인 필 주커만의 "공헌주의자"[20]에 대한 글, 작가 알랭보튼의 "무신론자들을 위한[21] 종교" 책, 그리고 수행 철학자인 제이슨 [22]실바의 세속적인 제도들이 어떻게 경외심을 불러일으켜야 하는지에 대한 비디오를[which?] 보라.

추가 정보

  • Pearsall, Paul (2007). Awe: The Delights and Dangers of Our Eleventh Emotion. Health Communications, Inc.
  • de Botton, Alain (2013). Religion for Atheists: A Non-believer's Guide to the Uses of Religion. Vintage.
  • Schneider, Kirk J. (2009). Awakening to Awe: Personal Stories of Profound Transformation. Jason Aronson, Inc.
  • Schneider, Kirk J. (2004). Rediscovery of Awe: Splendor, Mystery and the Fluid Center of Life. Paragon House.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Keltner, Dacher; Haidt, Jonathan (2003). "Approaching awe, a moral, spiritual, and aesthetic emotion" (PDF). Cognition and Emotion. Informa UK Limited. 17 (2): 297–314. doi:10.1080/02699930302297. ISSN 0269-9931. PMID 29715721. S2CID 11012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6-10.
  2. ^ Plutchik, R. "The Nature of Emotions". American Scienti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01. Retrieved 14 April 2011.
  3. ^ "Awe". Reference.com.
  4. ^ "Awe". TheFreeDictionary.com.
  5. ^ Russell, James A. (30 October 2017). Pleasure. Psychology Press. ISBN 9781841699363. Retrieved 30 October 2017 – via Google Books.
  6. ^ Greidanus, Sidney (3 May 2010). Preaching Christ from Ecclesiastes: Foundations for Expository Sermons. Wm. B. Eerdmans Publishing. ISBN 9780802865359. Retrieved 30 October 2017 – via Google Books.
  7. ^ Pearsall, Paul (2007). Awe: The Delights and Dangers of Our Eleventh Emotion. Health Communications, Inc. ISBN 978-0757305856.
  8. ^ a b c d e Shiota, Michelle; Keltner, Dacher; Mossman, Amanda (2007). "The nature of awe: Elicitors, appraisals, and effects on self-concept". Cognition and Emotion. 21 (5): 944–963. doi:10.1080/02699930600923668. S2CID 12133104.
  9. ^ "Awe etymology". Dictionary.
  10. ^ "Awesome". Oxford Dictionaries.
  11. ^ "Awful". Dictionary.com.
  12. ^ Konečni, Vladimir J. (2005). "The Aesthetic Trinity: Awe, Being Moved, Thrills" (PDF). Bulletin of Psychology and the Arts. 5 (2): 27–44.
  13. ^ a b Shiota, Michelle; Keltner, Dacher; John, Oliver (2006). "Positive emotion dispositions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Big Five personality and attachment styl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 (2): 61–71. CiteSeerX 10.1.1.421.1730. doi:10.1080/17439760500510833. S2CID 11280410.
  14. ^ a b Griskevicius, Vladus; Shiota, Michelle; Neufeld, Samantha (2010). "Influence of different positive emotions on persuasion processing: a functional evolutionary approach". Emotion. 10 (2): 190–206. doi:10.1037/a0018421. PMID 20364895.
  15. ^ Sundararajan, Louise (2002). "Religious awe: Potential contributions of negative theology to psychology, "positive" or otherwise" (PDF). Journal of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2 (2): 174–197. doi:10.1037/h0091221. ISSN 2151-3341.
  16. ^ Razavi, Pooya; Zhang, Jia Wei; Hekiert, Daniela; Yoo, Seung Hee; Howell, Ryan T. (2016).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awe". Emo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6 (8): 1097–1101. doi:10.1037/emo0000225. ISSN 1931-1516. PMID 27632153.
  17. ^ Shiota, Michelle; Campos, Belinda; Keltner, Dacher (2003). "The Faces of Positive Emotion: Prototype Displays of Awe, Amusement, and Prid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00 (1): 296–299. Bibcode:2003NYASA1000..296S. doi:10.1196/annals.1280.029. PMID 14766641. S2CID 38386083.
  18. ^ a b Rudd, Melanie; Vohs, Kathleen; Aaker, Jennifer (2012). "Awe expands people's perception of time, alters decision making, and enhances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23 (10): 1130–1136. CiteSeerX 10.1.1.650.9416. doi:10.1177/0956797612438731. PMID 22886132. S2CID 9159218.
  19. ^ Stedman, Chris (October 16, 2013). "What Oprah gets wrong about atheism". CNN Belief Blog.
  20. ^ "Aweism". Atheist Nexus. September 18, 2009.
  21. ^ de Botton, Alain (2012). Religion for Atheists. Penguin UK. ISBN 9780141937601.
  22. ^ Silva, Jason (August 20, 2013). "How can secular institutions inspire the same awe of religious ones?". The S.P.A.C.E. Pro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7, 2013. Retrieved November 15,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