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
Shame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감정들 |
---|
수치심은 종종 부정적인 자기 평가, 그만두려는 동기, 그리고 고통, 노출, 불신, 무력함, 무가치함과 관련된 불쾌한 자의식 감정이다.[1]
정의
수치심은 불연속적이고 기본적인 감정으로서,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숨기거나 부정하게 만드는 도덕적 또는 사회적 감정이라고 묘사된다.[1][2]도덕적 감정은 사람의 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사회적 행동을 감시하는 감정이다.[2]수치심의 초점은 인지된 청중과 관련된 자신이나 개인에게 있다.경험적 연구는 그것이 개인과 그룹 수준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3]수치심은 또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수반되는 불쾌한 자의식 감정이라고 묘사할 수 있다.[4]수치심은 자기자신의 행동과 자기자신의 기준을 비교하는 고통스러운 감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상적인 사회적 맥락의 기준과 자신의 존재 상태를 비교하는 것에서도 똑같이 기인할 수 있다.네다 세디히모르나니에 따르면 수치심은 우울증,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공포증, 심지어 일부 섭식 장애와 같은 몇몇 심리 장애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5]어떤 척도는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치심을 측정하는 반면, 다른 척도는 감정적 특성이나 성향- 수치심 솔직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6]"부끄럽게"는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수치심을 주는 상태를 적극적으로 할당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다른 사람을 "복구"하거나 "노출"하기 위해 고안된 행동들은 때때로 상대방에게 수치심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반면에 수치심을 갖는다는 것은 (겸손함, 겸손함, 경의와 같이) 남을 불쾌하게 하지 않도록 자제심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수치심을 갖는 것과 대조적으로 수치심을 갖지 않는 것이다; 자존심이나 자만심과 같은 다른 감정들과 비슷하게, 다른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는 자제력 없이 행동하라.[clarification needed]
식별 및 자체 평가
19세기 과학자 찰스 다윈은 수치심이 얼굴 붉힘, 정신의 혼란, 눈 아래로 드리운 눈, 느슨한 자세, 그리고 고개를 숙이는 신체적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고 묘사했다;[7] 다윈은 그의 저서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에서 언급했듯이 수치심에 대한 이러한 관찰에 주목했다.다윈은 얼굴과 피부의 혈관 제거와 관련된 따뜻함이나 열감이 어떻게 더 큰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더 흔히, 우는 행동은 수치심과 연관될 수 있다.
사람들이 수치심을 느낄 때, 그들의 평가의 초점은 자신이나 정체성에 있다.[6]수치심은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스스로 뉘우치는 것이다.[8]그것은 "정신적 해약"과 관련이 있다.수치심에 대한 연구는 부끄러운 사람들이 자신의 전체 자신이 가치없고, 무력하고, 작다고 느낄 때, 그들은 또한 그 자신이 가치 없다는 것을 확인하려는 순수한 목적으로 존재하는 청중들(실제적이든, 상상적이든)에게 노출되는 것을 느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수치심과 자아감각은 형제자매의 욕구에 찬성하여 부모로부터 공공연히 거절당하는 것과 같이 낙인이 찍히거나 불공평하게 대하게 되며, 자신의 경험이나 자각과 관계없이 타인에 의해 대외적으로 배속된다.수치스러운 상태에 있는 개인은 환경의 희생자가 되는 것으로부터 내부적으로 수치심을 부여하게 되며, 같은 것은 자신의 경험이나 자각과 무관하게 외부적으로 할당되거나 다른 사람이 부여하게 된다.
"치욕감"은 죄책감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의식" 또는 "국가로서의 수치심"이나 상태에 대한 인식이 핵심/독성 수치심을 정의한다(Lewis, 1971; Tangney, 1998).수치심을 경험하는 사람은 자신의 감정 상태를 수치심이라고 식별할 수 없거나 어쩌면 단순히 그렇게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수치심과 부정의 메커니즘 사이에는 본질적인 연관성이 있다.[9]" 모든 형태의 수치심의 핵심 감정은 경멸이다. (Miller, 1984; Tomkins, 1967)수치심이 표출되는 두 가지 현실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고 자기 자신은 불충분하다.[10]사람들은 깊이 뿌리내리고 연관된 "상당함"[11]에 대항하기 위해 부정적인 대처 방법을 사용한다.수치심은 수치심의 경험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더 일반적으로 수치심, 불명예, 수치심, 불충분함, 굴욕, 또는 수치심의 어떤 상황에서든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
수치심, 평가절하, 그들의 상호관계는 문화 전반에 걸쳐 유사하므로, 일부 연구자들은 문화적 가치평가와 평가절하라는 보편적인 인간 심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하게 된다.[13]
행동식
수치심 코드는 사회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잠재적으로 수치를 주는 자발적 언어 작업 중에 실시간으로 전개되는 행동을 포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 신체 긴장, (2) 얼굴 긴장, (3) 정적, (4) 안절부절못, (5) 신경성 긍정적인 영향, (6) 숨어서 회피, (7) 언어 흐름과 불확실한 범주로 분류되었다.ty, 그리고 (8) 침묵.[14]수치심 경향은 더 안절부절못하고 덜 얼어붙는 것과 관련이 있었지만, 고요함과 안절부절못하는 것은 관찰자에게 고통을 전달하고 덜 가혹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도 있는 사회적 단서였다.따라서, 두 가지 모두 더 많은 수치스러운 경험을 줄이기 위한 시도일 수 있다.수치심은 타인에 대한 기대, 상상 또는 실제 부정적인 평가에 기초한 글로벌하고 자기 중심적인 부정 귀속성을 포함하며, 이러한 평가의 근원을 숨기거나 철회 또는 탈피하려는 강력한 충동을 동반한다.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는 표준, 규칙 또는 목표의 위반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표준, 규칙 또는 목표가 존재하는 집단과 분리되어 있다고 느끼게 하여, 인간에게 알려진 가장 강력하고 고통스럽고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경험 중 하나를 초래한다.[14]
다른 감정과의 비교
죄의식과 비교
수치심, 죄책감, 당혹감이라는 개념의 경계는 쉽게 설명되지 않는다.[15]'자기반성과 자기평가를 충분히 한다'[16]는 자아의식이라는 점에서 모두 비슷한 반응이나 감정이다.문화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따르면 수치심은 문화적 또는 사회적 가치의 침해에서 발생하는 반면 죄책감은 자신의 내부적 가치의 위반에서 발생한다.[17]따라서 자신의 '결함'이 타인에게 노출되고, 타인의 부정적 평가(실제든 상상이든)에서 비롯될 때 수치심이 생긴다; 반면에 죄책감은 자신에 대한 자신의 부정적 평가, 예를 들어 자신의 가치관이나 자신의 생각에 반하는 행동을 할 때 생긴다.[18]수치심은 내부적 특성에, 죄책감은 행동적 특성에 더 많이 기인한다.[19]따라서 실제로 아무도 알지 못하는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 부끄러워할 수도 있고(그들이 발견한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 반대로 타인의 승인을 얻는 행위에 대해 죄책감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정신분석학자 헬렌 B.루이스는 "수치의 경험은 평가의 초점인 자아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라고 주장했다.죄책감 속에서 자아는 부정적인 평가의 중심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행해진 것이 초점이라고 말했다.[20]마찬가지로 포섬과 메이슨은 저서 '부끄럼을 마주하라'에서 "죄의는 한 사람의 행동에 대한 후회와 책임의 고통스러운 감정인 반면, 수치심은 한 사람으로서 자신에 대한 고통스러운 감정"[21]이라고 말한다.
정신과 의사 주디스 루이스 허먼은 이런 추론을 따라 "샤임은 다른 사람의 눈에 비친 자아를 상상하며 '분열'하는 급성 자아의식 상태"라고 결론짓는다. 반대로 죄책감에서는 자아가 통일된다."[22]
임상심리학자 게르센 카우프만의 수치심에 대한 관점은 영향 이론의 관점, 즉 수치심은 자극에 대한 본능적, 단기적 생리적 반응의 집합 중 하나라는 데서 유래한다.[23][24]이런 관점에서 죄의식은 주로 자기주도적인 비난이나 경멸로 구성된 학습된 행동과 이러한 행동에서 비롯되는 수치심으로 보여져 죄의식 전반의 경험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여기서 자기기억과 자기기억은 자신의 일부분을 향한,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경멸하는 것과 정확히 같은 역학관계의 응용을 의미한다.
카우프만은 비난이나 경멸과 같은 메커니즘이 수치심의 경험에 대항하는 방어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것을 자신에게 적용하는 패턴을 가진 사람은 자책감이나 자책감을 가함으로써 수치심 경험에 대한 방어를 시도할 수 있다고 보았다.그러나 이것은 카우프만이 "shame spiral"[23]이라는 용어를 만든 수치심 사건의 내면화된 자기억제적 연속을 이끌어낼 수 있다.수치심은 또한 죄책감을 느낄 때, 특히 연민을 고무시켜 처벌을 피하는 것이 희망일 때 전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25]
수치심과 부끄러움의 차이점 중 하나는 수치심이 부끄러움을 느끼는 동안 대중의 수치심을 반드시 수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자신에게만 알려진 행동에 대해 수치심을 느낄 수 있지만 자신의 행동이 부끄러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러나 윤리학 분야(특히 도덕심리학)에서는 수치심이 이질적 감정인지, 즉 수치심이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았다는 부끄러움 부분에 대한 인식을 수반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수치심과 당혹감의 구분선에 대한 또 다른 견해는 그 차이가 강렬함의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26]이런 관점에서 볼 때 당혹감은 단순히 덜 격렬한 수치심의 경험일 뿐이다.적응력이 있고 기능성이 있다.극단적이거나 독성이 있는 수치심은 훨씬 더 강렬한 경험이고 기능적이지 않은 경험이다.사실, 이 견해에 따르면, 독성 수치심은 쇠약해질 수 있다.그때의 구분선은 기능적 수치심과 기능적 수치심 사이에 있다.여기에는 수치심이 유기체에 대한 기능이나 이점이 있다는 생각이 포함된다.[27]
임마누엘 칸트와 그의 추종자들은 수치심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이질적이라고 주장했고, 버나드 윌리엄스 등은 수치심이 (자신으로부터) 자율적일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28][29]수치심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에 대한 반응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반면, 부끄러움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지만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에 대한 반응이다.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또 다른 견해는 수치심은 자신에 대한 집중인 반면 죄책감은 행동에 대한 집중이라는 것이다.간단히 말해서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은 "나 나쁜 짓을 했다"고 말하는 반면, 수치심을 느끼는 사람은 "나 나쁘다"[30]고 말하는 것이다.
당황스러움과의 비교
당혹감은 때때로 덜 심각하거나 강렬한 수치심의 형태로 여겨져 왔으며, 이는 보통 강도나 사람의 신체적인 반응, 현재의 사회적 청중의 규모 등 다른 측면에 따라 달라지지만, 그것은 전체적 자아보다는 관객에게 자기표현적인 것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수치심과 구별된다..[19] 사회적 어색함에서 비롯된 허탈감과 약간의 굴욕감으로서 타인의 시선에서 존경심을 상실한 것으로 경험된다.당황스러움은 관객 앞에서 망나니나 어색한 연기를 저지르거나 기대하기 때문에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때 나타나는 갑작스런 허탈감과 굴욕감으로 특징지어져 왔다.그래서 수치심은 자기 자신 전체에 집중되기 때문에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자신의 실수를 사과하고 나서 물건을 고치기 시작하는데 이 수리는 제시된 자신에게 가해진 해를 고쳐주는 것을 포함한다.[31]수치심과 부끄러움의 차이점 중 하나는 수치심이 부끄러움을 느끼는 동안 대중의 수치심을 반드시 수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자신에게만 알려진 행동에 대해 수치심을 느낄 수 있지만 자신의 행동이 부끄러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러므로 수치심은 사적으로만 경험할 수 있고 당혹감은 결코 사적으로 경험할 수 없다.[31]그러나 윤리학 분야(특히 도덕심리학)에서는 수치심이 이질적 감정인지, 즉 수치심이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았다는 부끄러움 부분에 대한 인식을 수반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이는 대리인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판단하지 않지만 타인의 부정적인 판단 때문에 그녀가 부정적인 판단을 받을 자격이 있을지 의심하고, 이를 근거로 수치심을 느끼는 성숙한 이질적 형태의 수치심이다.[32]그러므로 부끄러움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에 대한 반응의 의미를 담고 있는 반면, 부끄러움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지만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에 대한 반응이다.
수치심의 하위 유형
조지프 버고의 수치심 패러다임
사람들이 수치심을 느낄 수 있는 많은 다른 이유들이 있다.조셉 버고에 따르면, 수치심은 네 가지 다른 측면이 있다.그는 이러한 수치심의 패러다임을 말한다.[33]
- 짝사랑 : "더 완전한 사랑에 대한 그리움을 유발하는 비복제적인 사랑."[34]
- 원하지 않는 노출:우리가 비밀로 하고 싶은 개인적인 것이 의외로 드러나거나, 우리가 [a]공적인 [설정]에서 실수를 할 때 나타난다." [35]
- 실망한 기대: "기대나 희망의 실패에 따르는 불만의 느낌"
- 제외:우리가 속하고 싶은 다른 사람들 또는 그룹과의 연관성이나 관여에서 배제되는 것.[37]
그의 첫 번째 부류의 수치심은 짝사랑이다; 그것은 당신이 누군가를 사랑하지만 당신의 파트너가 보답하지 않을 때, 혹은 그들이 좋아하는 누군가에게 거절당했을 때; 이것은 수치스럽고 수치스러운 것이다.짝사랑은 다른 방법으로도 보여질 수 있다.예를 들어, 엄마가 새로 태어난 아기를 대하는 방식.엄마가 아기에게 사랑을 보여주고 정해진 시간 동안 아기에게 말을 거는 '정면 실험'이라는 실험이 이뤄졌다.그리고 나서 그녀는 아기에게 말을 걸지 않고 몇 분 동안 갔다.이로 인해 아기는 엄마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른 표정을 짓는 결과를 낳았다.엄마가 아기에게 관심을 주지 않자 아기는 수치심을 느꼈다.두 번째 유형의 수치심은 원치 않는 노출이다.만약 여러분이 잘못했다는 이유로 전체 학급 앞에서 불려나갔거나 여러분이 보고 싶지 않은 일을 하는 것을 누군가가 본다면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다.수치심이란 말을 들으면 보통 이런 생각이 들 것이다.Burgo에 따르면 실망한 기대는 세 번째 유형의 수치일 것이다.이것은 수업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우정이 어긋나거나, 여러분이 받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직장에서 큰 승진을 얻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버고에 따른 네 번째이자 마지막 형태의 수치심은 소외됨을 의미하는 배척이다.많은 사람들은 단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또는 사회에 속하기를 원하는 어떤 일이라도 할 것이다.이것은 학교, 직장, 우정, 관계, 어디에서나 항상 일어난다.사람들은 그들이 속해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것이다.수치심은 사람들에게 매일 많은 스트레스를 주지만, 그것은 또한 사람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결코 교훈을 얻을 수 없을 것이고 그들의 실수로부터 성장할 수 없을 것이다.
기타 하위 유형
- 진정한 수치심: 진정한 수치심, 수치심 또는 비난과 관련이 있다.[citation needed]
- 거짓 수치심: 거짓 수치심이라는 이중의 묶음 형태의 거짓 비난과 관련이 있다; "그는 우리가 그에게 한 일을 그에게 가져다 주었다."작가 겸 TV 탤런트 존 브래드쇼는 수치심을 "우리가 유한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감정"[38]이라고 부른다.
- 비밀 수치심: 부끄러워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들이 부끄러움을 비밀로 하도록 하는 생각을 기술한다.[39]정신과 의사인 제임스 길리건은 교도소 정신과 의사로 일하면서 폭력은 주로 은밀한 수치심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길리건은 "...너무 격렬하고 고통스러워서 그를 압도하고 자아의 죽음을 초래하고 정신이나 영혼, 또는 신성한 명예를 잃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40]
- 독성 수치심: 거짓, 병적인 수치심을 묘사하고 브래드쇼는 독성 수치심이 모든 형태의 아동학대에 의해 어린이 내부에서 유발된다고 말한다.근친상간과 다른 형태의 아동 성 학대는 특히 심각한 독성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다.독성 수치심은 종종 발생하면서 발생하는 독성 수치심에 대처할 수 없고 대처가 가능할 때까지 수치심을 분리시키는 어린이들에게 복잡한 트라우마로 알려진 것을 유도한다.[41]
- 대리 수치심: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수치심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개인마다 대리 수치심을 경험하는 경향에 따라 다르며, 이는 신경증, 개인적 수치심을 경험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극도로 수치심을 느끼기 쉬운 사람들은 심지어 증가된 정도까지 대리 수치심을 경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이미 제3자를 대신하여 수치심을 느끼고 있는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수치심을 느끼는 것이다.[42]
수치심과 정신질환
나르시시즘
어른들의 나르시시시즘은 수치심에[43] 대한 방어와 관련이 있고 나르시시시즘적 인격장애는 수치심과도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44][45]정신과 의사인 글렌 가바드에 따르면 NPD는 거만하고 거만하고 피부가 두꺼운 '관찰적인' 아형과 쉽게 상처입고 과민하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초능력자' 아형으로 나눌 수 있다.망각한 아형은 수치심에 숨어 있는 약한 내면화된 자아와 대조되는 거창한 자아를, 과민한 아형은 다른 사람을 부당한 학대자로 보고 평가 절하를 무력화시킨다.[44]
우울증
수치심이 가장 눈에 띄는 증상 중 하나인 정신질환의 또 다른 형태는 우울증이다.[46]2011년 실시한 메타분석 검토에서 죄의식과 우울증보다 수치심과 우울증에 대한 연관성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외부 수치심 또는 다른 사람들을 통해 본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내부 수치심보다 우울증과 관련된 효과의 크기가 더 컸다.[47]우울증에는 문화에 따라 수치심의 정도나 정도가 다르다.우울증에서 더 큰 수치심을 보이는 사람들은 보통 더 많은 사회 경제적 문화에서 산다.[46]
사회적 측면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따르면, 문화는 개인의 사회적 활동을 규제하기 위해 수치심이나 죄책감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분류될 수 있다.[48]
수치심은 관계적 침략을 저지르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공공연한 사회적 통제나 공격성의 한 형태로 직장에서 일어날 수 있다.수치심은 일부 사회에서 처벌, 회피 또는 배척의 한 종류로 사용된다.그런 의미에서 "샤밍의 진짜 목적은 범죄를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 종류의 사람들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49]
오명
1963년, 어빙 고프만은 오명: 손상된 ID 관리에 대한 참고 사항.고프만에게 있어서 특정인이 완전한 사회적 접대에서 배제되거나 크게 신빙성이 떨어지는 조건이다.이 부정적인 평가는 "감동"되거나 "실현"될 수 있다.그러므로, 오명은 사회가 누군가를 더럽혀지거나, 덜 바람직하지 않거나, 장애가 있다고 칭할 때 발생할 수 있다.느꼈을 때, 그것은 조건을 가지는 것과 관련된 수치심과 차별을 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말한다...제정될 때,[50] 이런 종류의 실제 차별을 언급할 때.오명 연구와 관련된 수치심은 젊은 청소년들이 성병이나 HIV 보호에 콘돔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을 때 그들 자신이 갇혀 있다고 느끼는 감각과 정신적 결과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오명과 수치심의 다른 사용은 암과 같은 질병이 있을 때, 사람들이 수치심과 질병의 상황에 대해 무언가를 비난하려고 쳐다보는 것이다.제시카 M.Sales 외 연구진은 15-21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 전 14일 동안 보호 장치를 사용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했다.답안에는 수치심과 오명이 함축되어 있어 적절한 점수를 받았다.성적, 성병 이전 이력, 인구통계학, 정신사회변수 등을 계층적 회귀모델에 넣어 향후 청소년이 보호 성별을 사용할 확률을 결정했다.이 연구는 수치심과 오명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이 미래에 보호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결과를 더 잘 알고, 자신과 오명(철형, 불명예 등)을 더 잘 알고 있다면 자신을 보호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이 연구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더 많은 수치심과 오명을 심어주는 것이 보호받지 못한 성행위에 따르는 결과로부터 자신을 더 보호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51]
모성 유전학으로 인해 HIV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들의 HIV 관련 오명은 수치심을 유발하고 대처하는 것을 회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데이비드 S.Bennett 외 연구진은 잠재적 위험 요인의 자가 보고 측정과 우울증, 불안, PTSD의 3개 영역을 연구했다.이번 연구결과는 수치심이 강하고 HIV-스티그마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사람들은 우울증과 PTSD 증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시사했다.이것은 HIV-stigma와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은 개입의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오히려 다른 정신건강 문제의 곤경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한다.노년기는 HIV 관련 오명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 여성 성별은 오명 및 내성 증상(우울증, 불안, PTSD)과 더 관련이 있었다.오명은 또한 더 큰 수치심과 관련이 있었다.[52]
채플 등은 폐암으로 인한 수치심과 오명에 대해 폐암에 걸린 사람들을 조사했다.폐암과 동반되는 오명은 흡연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하지만, 폐암에 걸리는 많은 방법들이 있기 때문에 흡연으로 폐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은 종종 수치심을 느낀다; 그들이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스스로를 탓한다.이 오명은 그들 자신에 대한 그들의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치심은 다른 암을 유발하는 요인(담배 제품/담배 방지 제품)을 탓하거나 완전히 대처하지 않기 위해 병을 무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폐암과 관련된 오명은 환자들이 수치심과 희생을 느꼈기 때문에 위안을 주려는 가족, 동료, 의사들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50]
수치심 캠페인
수치심 캠페인은 종종 나다니엘 호손의 <주홍글씨>에 나오는 헤스터 프린과 같이 그들의 행동이나 의심스러운 범죄 때문에 특정 개인들을 지목하는 전술이다.필리핀에서는 알프레도 림 시장이 마닐라 시장 재임 시절 이런 전술을 대중화했다.1997년 7월 1일, 그는 약물 사용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논란이 되는 "스프레이 페인트 수치심 캠페인"을 시작했다.그와 그의 팀은 금지된 물질을 판매한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아직 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거주자들의 무단 점유자 주택 200채에 밝은 붉은 색 페인트를 뿌렸다.다른 자치구 공무원들도 뒤를 따랐다.전 상원의원 르네 A.사구이삭은 임씨의 정책을 비난했다.[53]20세기의 공산주의자들은 부패와 다른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투쟁 시간을 사용했다.[54]
주식에 구속되거나 다른 공공 처벌에 의해 역사적으로 표현된 공공의 굴욕은 바이러스 현상을 통해 소셜 미디어에서 일어날 수 있다.[55]
리서치
수치심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과 다른 연구자들은 검증된 정신계측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한 사람이 수치심을 느끼는지 또는 얼마나 많이 느끼는지 결정한다.이러한 도구로는 죄책감과 수치심 솔직성(GASP) 척도,[56] 수치심과 오명성 척도(SSS), 수치심 척도의 경험,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등이 있다.체중계 및 신체 관련 수치심과 죄책감 척도, HIV에 걸린 사람들을 위한 HIV 오명 척도, 폐암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카탈도 폐암 오명 척도 등 일부 척도는 그 사람의 상황에 특정한 것이다.[57]다른 것들은 수치심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죄책감을 다루는 "감정 반응과 생각의 척도"와 같이 더 일반적이다.
치료
수치심과 이러한 부정적이고 절망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58]심리역학 및 인지 행동 계율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치료에 관한 다양한 과학적 접근법이 제시되었다.불행히도, 연구가 실행되거나 심층적으로 검토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방식의 효과성은 알려지지 않았다.[58]
공감
브렌 브라운은 수치심이 자라기 위해서는 비밀, 침묵, 판단의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수치심은 공감의 맥락(또는 지원 환경)에서 자라거나 번창할 수 없다.그러나 우리가 지지/감정적인 사람을 구할 때(즉, 우리의 이야기/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손을 뻗을 때): 우리는 우리의 이야기를 들을 권리를 얻은 사람들(즉,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하고, 이야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관계를 가진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59]
참고 항목
- 수치심 배지
- 인지 부조화
- 당혹감
- 죄책감(감정)
- 하야 (이슬람)
- 레이디 맥베스 효과
- 죄의식과 수치심의 척도
- 온라인 샤밍
- 심리 투영법
- 재통합 셰이밍
- 스코포비아
- 그래서 당신은 공개적으로 부끄러움을 당했고, 저널리스트 존 랜슨이 쓴 2015년 온라인 수치심에 관한 책이다.
참조
- ^ a b Tracy, Jessica; Robins, Richard (2007). "Self-conscious emotions: Where self and emotion meet". In Sedikides, C. (ed.). Frontiers of social psychology. The self. Psychology Press. pp. 187–209.
- ^ a b 씬, L. (2018)"부끄럽고 죄의 진화"PLOSONE, 13(7), 1–11.
- ^ Tangney, June Price, Ronda L. Dearing.수치심과 죄책감.길퍼드 프레스,[ISBN missing][page needed] 2003년
- ^ 파사, S. (2018)."불규칙한 식사에서의 수치심의 심리학적 구조"새 심리학 회보, 15(1), 11–19.
- ^ Sedighimornani, Neda (2018-10-09). "Shame And Its Features: Understanding Of Shame".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Studies. 3 (3). doi:10.5281/ZENODO.1453426.
- ^ a b 샬크위크, 에프에이, 스탬스, 지제이, 데커, 제이앤엘리슨, 제이(2016)."치욕규정 측정: 수치심의 나침반 검증"사회적 행동과 성격, 44(11), 1775–91.
- ^ Charles., Darwin (2020).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Digireads.com Publishing. ISBN 978-1-4209-6989-4. OCLC 1203963155.
- ^ 니덴탈, P.M., 크라우트그루버, S. & Ric, F. (2017)감정의 심리학: 자의식 감정.뉴욕:테일러 & 프랜시스 그룹.[page needed][ISBN missing]
- ^ Dolezal, Luna; Lyons, Barry (2017-12-01). "Health-related shame: an affective determinant of health?". Medical Humanities. 43 (4): 257–63. doi:10.1136/medhum-2017-011186. ISSN 1468-215X. PMC 5739839. PMID 28596218.
- ^ Jeff Greenberg; Sander L. Koole; Tom Pyszczynski (2013). Handbook of Experimental Existential Psychology. Guilford Publications. p. 159. ISBN 978-1-4625-1479-3.
- ^ Edward Teyber; Faith Teyber (2010). Interpersonal Process in Therapy: An Integrative Model. Cengage Learning. p. 137. ISBN 978-0-495-60420-4.
- ^ Broucek, Francis (1991), Shame and the Self, Guilford Press, New York, p. 5, ISBN 978-0-89862-444-1
- ^ 스즈니서, 다니엘, 디미트리스 시갈라타스, 엘리자베스 에이지, 사라 알라미, 샤오펜안, 크리스티나 1세.아나니예바, 쿠엔틴 D.앳킨슨 외"치욕의 건축에 교차 문화 침입"국립과학아카데미 115, 39호(2018): 9702-07.
- ^ a b De France, K, Lanteigne, D, Glozman, J. & Hollenstain, T. (2017)."수치의 표현에 대한 새로운 측정:수치심 코드".아동가족학 저널, 26(3), 769–80.
- ^ Tangney, JP; Miller Flicker Barlow (1996), "Are shame, guilt, and embarrassment distinct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6): 1256–69, doi:10.1037/0022-3514.70.6.1256, PMID 8667166, S2CID 17024587
- ^ Tracy, Jessica L.; Robins, Richard W. (October 2006). "Appraisal antecedents of shame and guilt: support for a theoretical model".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 (10): 1339–1351. doi:10.1177/0146167206290212. ISSN 0146-1672. PMID 16963605 – via PubMed.
- ^ Benedict, Ruth; Rutland, VT (1946).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Patterns of Japanese Culture". RAIN (24): 14. doi:10.2307/3032420. ISSN 0307-6776.
- ^ 2016년 4월 18일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치욕과 죄의 문화적 모델"
- ^ a b Bastin, Coralie; Harrison, Ben J.; Davey, Christopher G.; Moll, Jorge; Whittle, Sarah (2016-12-01). "Feelings of shame, embarrassment and guilt and their neural correlates: A systematic review".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71: 455–471. doi:10.1016/j.neubiorev.2016.09.019. ISSN 0149-7634. PMID 27687818. S2CID 5954229.
- ^ Lewis, Helen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Psychoanalytic Review,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New York, 58 (3): 419–38, ISBN 978-0-8236-8307-9, PMID 5150685
- ^ Fossum, Merle A.; Mason, Marilyn J. (1986), Facing Shame: Families in Recovery, W.W. Norton, p. 5, ISBN 978-0-393-30581-4
- ^ Herman, Judith Lewis (2007), "Shattered Shame States and their Repair" (PDF), The John Bowlby Memorial Lec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5, 2010
- ^ a b Kaufman, Gershen (1992), Shame: The Power of Caring (3rd ed.), Schenkman Books, Rochester, VT, ISBN 978-0-87047-052-3
- ^ Nathanson, Donald (1992), Shame and Pride: Affect, Sex, and the Birth of the Self, W.W. Norton, NY, ISBN 978-0-393-03097-6[페이지 필요]
- ^ Shame and the Origins of Self-esteem: A Jungian Approach. Psychology Press. 1996. pp. 2–3. ISBN 978-0-415-10580-4.
- ^ Graham, Michael C. (2014). Facts of Life: ten issues of contentment. Outskirts Press. pp. 75–78. ISBN 978-1-4787-2259-5.
- ^ Graham, Michael C. (2014). Facts of Life: ten issues of contentment. Outskirts Press. p. 62. ISBN 978-1-4787-2259-5.
- ^ 윌리엄스, 버나드:수치심과 필요성
- ^ 허친슨, 필: 부끄러움과 철학 제4장
- ^ "Listening to shame Brené Brown". www.youtube.com. Retrieved 2021-02-20 – via YouTube.
- ^ a b 니덴탈, P.M., 크라우트그루버, S. & Ric, F. (2017)감정의 심리학: 자의식 감정.뉴욕:테일러 & 프랜시스 그룹.[page needed][ISBN missing]
- ^ 턴불, D. J. (2012)."샤임:본질적인 도덕적 감정을 변호한다"고 말했다.런던 대학의 Birkbeck에 있는 박사 논문.
- ^ Burgo, Joseph (November 2018). Shame: Free Yourself, Find Joy, and Build True Self-Esteem. New York: St. Martin's Press. p. 56. ISBN 9781250151315.
- ^ Bringle, Robert G.; Winnick, Terri; Rydell, Robert J. (2013-04-01). "The Prevalence and Nature of Unrequited Love". SAGE Open. 3 (2): 215824401349216. doi:10.1177/2158244013492160. ISSN 2158-2440.
- ^ "How To Deal With Shame In The Workplace - BALANCE". balance.media.
- ^ W., F. E. (1932). "Taxation: Federal Instrumentalities: Exemption from State Tax". Michigan Law Review. 31 (1): 137. doi:10.2307/1280547. ISSN 0026-2234.
- ^ Burgo, Joseph (November 2018). Shame : Free Yourself, Find Joy, and Build True Self-Esteem (1st ed.). New York: St. Martin's Press. p. 27. ISBN 978-1-250-15130-8. OCLC 1016939846.
- ^ Bradshaw, John (1996), Bradshaw on the Family: A New Way of Creating Solid Self-Esteem, HCI, ISBN 978-1-55874-427-1
- ^ 길리건, 제임스 (1997) 폭력: 미국 전염병 빈티지 북에 대한 반성, 뉴욕
- ^ Gilligan, James (1997). Violence : reflections on a national epidemic. Vintage Books. ISBN 0-679-77912-4. OCLC 35714306.
- ^ 브래드쇼, 존 (2005) 당신을 묶는 수치심 치유 (2판) 헬스커뮤니케이션즈, 플로리다주 디어필드 비치, 페이지 101 2016년 8월 28일 웨이백머신, ISBN 0-7573-0323-4
- ^ F.M. Paulus, Müller-Pinzler, L., Jansen, A., Gazzola, V., Krach, 2014.다른 사람의 당혹감을 공유하는 데 있어 후상위 측두설탕의 정신화와 역할.대뇌피질, 25(8), 페이지 2065–75.
- ^ 나탄슨 DL이 편집한 <수치의 많은 얼굴들>에 나오는 나르시시즘의 베일에 싸인 동료인 뷔르머 L, 샤미. 뉴욕, 길포드, 1987, 페이지 64–92.
- ^ a b 개버드 GO [dead link]
- ^ 영, 클로스코, 와이샤르: 스키마 테라피 – A Practor's Guide, 2003, 페이지 375.[ISBN missing]
- ^ a b Yakeley, Jessica (2018-09-28). "Shame, culture and mental health". Nordic Journal of Psychiatry. 72 (sup1): S20–S22. doi:10.1080/08039488.2018.1525641. ISSN 0803-9488. PMID 30489215. S2CID 54155303.
- ^ Kim, Sangmoon; Thibodeau, Ryan; Jorgensen, Randall S. (2011). "Shame, guilt, and depressive symptom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7 (1): 68–96. doi:10.1037/a0021466. ISSN 1939-1455. PMID 21219057.
- ^ 스티븐 패티슨, 샤임:이론, 치료 그리고 신학.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2000. 페이지 54.ISBN 0521560454
- ^ 로저 스크루튼, 모던 섹스: 해방과 그 불만사항인 시카고 2001 페이지 186에 나오는 "오명을 되살리다".[ISBN missing]
- ^ a b 채플, A, 지블랜드, S. & McPherson, A. (2004)"폐암 환자들이 경험하는 스티그마, 수치심, 비난: 질적 연구"British Medical Journal, 328 (7454), 1470–73.
- ^ 판매, J. M., DiClemente, R. J., 로즈, E. S., Wingood, G. M., 클라인, J. D. & 우즈, E. R. (2007)"성병 관련 수치심과 오명의 관계와 여성 청소년의 콘돔 보호 성교"청소년 건강 저널, 40, 573.
- ^ 베넷, D.S., 허쉬, J., 허레스, J. & 포스터, J. (2016)"HIV 관련 오명, 수치심, 회피적 대처:HIV에 걸린 청소년들의 내성 증상에 대한 위험요인?" 아동심리학과 인간개발, 47(4), 657–64.
- ^ 풀타, 벤자민 B. "스프레이 유세 토론 가열"2007년 9월 27일 웨이백 머신 선(Wayback Machine Sun)에 보관.스타 마닐라.2003년 6월 26일.
- ^ Hayoun, Massoud (2012-03-21). "Photos: Fathers of Chinese Leaders at Revolutionary 'Struggle Sessions'". The Atlantic. Retrieved 2019-02-02.
- ^ Jon Ronson (2015). So You've Been Publicly Shamed (hardcover). Riverhead Books. ISBN 978-1594487132.
{{cite book}}
:format=
필요로 하다url=
(도움말)[페이지 필요] - ^ Cohen TR; Wolf ST; Panter AT; Insko CA (May 2011). "Introducing the GASP scale: a new measure of guilt and shame proneness". J Pers Soc Psychol. 100 (5): 947–66. doi:10.1037/a0022641. PMID 21517196.
- ^ Cataldo JK; Slaughter R; Jahan TM; Pongquan VL; Hwang WJ (January 2011). "Measuring stigma in people with lung cancer: psychometric testing of the cataldo lung cancer stigma scale". Oncol Nurs Forum. 38 (1): E46–54. doi:10.1188/11.ONF.E46-E54. PMC 3182474. PMID 21186151.
- ^ a b Tangney, June Price (2005-01-28), "The Self-Conscious Emotions: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pp. 541–568, doi:10.1002/0470013494.ch26, ISBN 9780470013496, retrieved 2022-03-13
- ^ Brene, Brown (2012). The Power of Vulnerability. Sounds True.
추가 읽기
- Bradshaw, J. (1988).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HCI. ISBN 0-932194-86-9.
- Gilbert, P. (2002). Body Shame: Conceptualisation, Research and Treatment. Brunner-Routledge. ISBN 1-58391-166-9.
- Gilbert, P. (1998). Shame: Interpersonal Behavior, Psychopathology and Culture. ISBN 0-19-511480-9.
- Goldberg, Carl (1991). Understanding Shame. Northvale, NJ.: Jason Aaronson, Inc. ISBN 0-87668-541-6.
- Hutchinson, Phil (2008). Shame and Philosophy. London: Palgrave MacMillan. ISBN 978-0-230-54271-6.
- Lamb, R. E. (March 1983). "Guilt, Shame, and Morality".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XLIII (3).
- Lewis, Michael (1992). Shame: The Exposed Self. NY: The Free Press. ISBN 0-02-918881-4.
- Middelton-Moz, J. (1990). Shame and Guilt: Masters of Disguise. HCI. ISBN 1-55874-072-4.
- Miller, Susan B. (1996). Shame in Context. Routledge. ISBN 0-88163-209-0.
- Morrison, Andrew P. (1996). The Culture of Shame. Ballantine Books. ISBN 0-345-37484-3.
- Morrison, Andrew P. (1989). Shame: The Underside of Narcissism. The Analytic Press. ISBN 0-88163-082-9.
- Nathanson, D., ed. (1987). The Many Faces of Shame. NY: The Guilford Press. ISBN 0-89862-705-2.
- Schneider, Carl D. (1977). Shame, Exposure, and Privacy. Boston: Beacon Press. ISBN 0-8070-1121-5.
- Vallelonga, Damian S. (1997).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being ashamed". In Valle, R. (ed.). Phenomenological Inquiry in Psychology: Existential and Transpersonal Dimensions. New York: Plenum Press. pp. 123–155. doi:10.1007/978-1-4899-0125-5_6. ISBN 978-0-306-45543-8.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샤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Wikiquote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수치심 |
무료 사전인 위키트리노리에서 수치심을 찾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