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IB-104
BIIB-104![]() | |
임상자료 | |
---|---|
기타 이름 | PF-04958242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18H20N2O4S2 |
어금질량 | 392.49 g·190−1 |
3D 모델(JSmol) | |
| |
|
BIIB-104는 PF-04958242로도 알려진 이온성 글루탐산염 수용체인 AMPA 수용체(AMPAR)의 포지티브 알로스테릭 변조기(PAM)로, 조현병 인지기증 치료를 위해 화이저가 개발하고 있다.[1][2][3] 연령 관련 감각청각손실 치료를 위한 개발도 진행 중이었으나, 실효성이 부족해 이 적응증에 대한 개발이 종료되었다.[3][4] 2018년 7월 현재 BIB-104는 조현병 내 인지증상에 대한 임상 2상이다.[3]
BIB-104는 AMPAR PAM의 바이에리프로필설폰아미드 그룹에 속하며, 그 중에는 LY-404187, LY-503430, 마이밤파이터(LY-451395)도 포함되어 있다.[5] CX-516과 같은 이른바 "저충격" AMPAR PAM과 그 코제너 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파람(CX-691, OR-2448)과는 달리, "고충격" AMPAMPAM으로 기술되어 있다.[2] 동물에서는 낮은 용량의 BIIB-104가 인지능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높은 용량으로 인해 운동 조절 장애와 경련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 높은 용량에서의 신경독성뿐만 아니라 동일한 영향이 정맥류 및 기타 높은 충격의 알로스테릭 AMPAR 활성제에서 관찰되었다.[2]
건강한 자원봉사자에서는 BIIB-104가 케타민에 의한 정신운동학적 효과를 감쇠시키지 않고 언어학습과 작업기억력에서 케타민에 의한 결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2] 참가자들의 공간 작업 기억력에서 역 케타민 유도 장애를 완성할 수 있었다.[2]
BIIB-104는 AMPAR에 대한 조치 외에도 글리T1 글리신 트랜스포터 차단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7] 이와 같이 글리신 재흡수 억제제이기도 하며, 세포외 수준의 글리신을 증가시켜 NMDA 수용체의 글리신 수용체와 글리신 공동유형자 부지를 활성화하는 간접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6][7]
참고 항목
참조
- ^ Shaffer CL, Patel NC, Schwarz J, Scialis RJ, Wei Y, Hou XJ, Xie L, Karki K, Bryce DK, Osgood SM, Hoffmann WE, Lazzaro JT, Chang C, McGinnis DF, Lotarski SM, Liu J, Obach RS, Weber ML, Chen L, Zasadny KR, Seymour PA, Schmidt CJ, Hajós M, Hurst RS, Pandit J, O'Donnell CJ (2015). "The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the 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ic acid (AMPA) receptor potentiator N-{(3S,4S)-4-[4-(5-cyano-2-thienyl)phenoxy]tetrahydrofuran-3-yl}propane-2-sulfonamide (PF-04958242)". J. Med. Chem. 58 (10): 4291–308. doi:10.1021/acs.jmedchem.5b00300. PMID 25905800.
- ^ a b c d e f Ranganathan M, DeMartinis N, Huguenel B, Gaudreault F, Bednar MM, Shaffer CL, Gupta S, Cahill J, Sherif MA, Mancuso J, Zumpano L, D'Souza DC (2017). "Attenuation of ketamine-induced impairment in verbal learning and memory in healthy volunteers by the AMPA receptor potentiator PF-04958242". Mol. Psychiatry. 22 (11): 1633–1640. doi:10.1038/mp.2017.6. PMID 28242871. S2CID 3691566.
- ^ a b c "PF 4958242". AdisInsight. Retrieved 2017-08-30.
- ^ Bednar MM, DeMartinis N, Banerjee A, Bowditch S, Gaudreault F, Zumpano L, Lin FR (2015). "The Safety and Efficacy of PF-04958242 in Age-Related Sensorineural Hearing Los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41 (7): 607–13. doi:10.1001/jamaoto.2015.0791. PMID 25997115.
- ^ Froestl W, Muhs A, Pfeifer A (2012). "Cognitive enhancers (nootropics). Part 1: drugs interacting with receptors". J. Alzheimers Dis. 32 (4): 793–887. doi:10.3233/JAD-2012-121186. PMID 22886028.
- ^ a b Singer P, Dubroqua S, Yee BK (2015). "Inhibition of glycine transporter 1: The yellow brick road to new schizophrenia therapy?". Curr. Pharm. Des. 21 (26): 3771–87. doi:10.2174/1381612821666150724100952. PMID 26205290.
- ^ a b Mukherjea D, Ghosh S, Bhatta P, Sheth S, Tupal S, Borse V, Brozoski T, Sheehan KE, Rybak LP, Ramkumar V (2015). "Early investigational drugs for hearing loss". Expert Opin Investig Drugs. 24 (2): 201–17. doi:10.1517/13543784.2015.960076. PMC 5488860. PMID 25243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