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스바마테
Carisbamate![]() | |
임상자료 | |
---|---|
상명 | 컴피드(제안) |
ATC 코드 |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9H10CLNO3 |
어금질량 | 215.63 g·190−1 |
3D 모델(JSmol) | |
| |
| |
![]() ![]() |
캐리스바메이트(YKP 509, 제안된 상표명 컴피데)는 존슨앤드존슨제약연구개발(R&D)이 개발 중이었으나 시판되지 않은 실험용 항경련제다.
임상연구
부분 발작 치료의 2단계 임상실험에서는 이 화합물이 부분 발작 치료의 효능과 양호한 안전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했다. 이 화합물은 2006년 말부터 부분 발작 치료를 위해 대규모 다원점 3상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그것의 행동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1][2]
편두통 환자 323명을 대상으로 한 이중 맹목 위약 조절 실험 결과, 하루 최대 600mg/mg의 용량에서 캐리스바메이트가 잘 용인된다고 판단했지만, 편두통 예방에 플라시보보다 약효가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하지는 못했다.[3]
역사
1998년 이 화합물은 국내 기업인 SK㈜(현 SK홀딩스 생명과학사업부)로부터 인허가 받았다. 2008년 10월 24일 존슨앤드존슨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캐리스바메이트 신약 응용 프로그램을 제출했다고 발표했다.[4] 존슨앤드존슨은 FDA로부터 컴피드라는 브랜드명으로 캐리스바메이트를 시판할 수 있도록 잠정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2009년 8월 21일 존슨앤드존슨은 FDA가 마케팅 승인을 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참조
- ^ Rogawski MA (2006). "Diverse mechanisms of antiepileptic drugs in the development pipeline". Epilepsy Res. 69 (3): 273–294. doi:10.1016/j.eplepsyres.2006.02.004. PMC 1562526. PMID 16621450.
- ^ Novak GP, Kelley M, Zannikos P, Klein B (2007). "Carisbamate (RWJ-333369)". Neurotherapeutics. 4 (1): 106–109. doi:10.1016/j.nurt.2006.11.016. PMC 7479705. PMID 17199023.
- ^ Cady RK, Mathew N, Diener HC, Hu P, Haas M, Novak GP, Study Group (2009). "Evaluation of carisbamate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 in a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Headache. 49 (2): 216–226. doi:10.1111/j.1526-4610.2008.01326.x. PMID 19222595. S2CID 709835.
- ^ "Johnson & Johnson Pharmaceutical Research & Development, L.L.C. Submits New Drug Application to FDA for Carisbamate" (Press release). Johnson & Johnson. 2008-10-24. Retrieved 2008-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