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골어-아사메어 문자

Bengali–Assamese script
벵골어-아사메어
বাংলা-
본문 이미지 1: 아홈시바 싱하가 의뢰한 18세기 하스티비디야르나바의 본문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습니다. 현재 라에 사용되는 현대 벵골어 문자 "র"는 현대적 형태의 "ৱ"인 이 전근대 아사메어/산스크리트어 필사본에 사용됩니다. 현대의 아사메 문자는 어떤 글자에도 이 글리프를 사용하지 않지만, 현대의 티르후타는 va에 이 글리프를 계속 사용합니다.
이미지 2: 동 나가리 문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하는 인도 공화국 3개 공용어의 헌법명과 고유어(동 나가리 및 라틴어 번역본)
스크립트유형
기간
c. 1100–현재
방향좌우의
공식대본아사메어, 벵골어, 메이테이어 (헌법적으로는 마니푸르어)[1][2]
언어들아사메벵골비슈누프리야와 메이테이실헤티산탈리와 꼬크보록가로하종짜크마치타고니안과 마이틸리캄타푸리우르두와 그 밖의 사람들과
관련 스크립트
상위 시스템
차일드 시스템
아싸메, 벵골어, 티르후타
ISO 15924
ISO 15924 (325), 벵갈어(방글라)
유니코드
유니코드 별칭
벵골어
U+0980–U+09FF (Bengali),
U+011480–U+0114DF (Tirhuta)
[a] 브라만 문자의 셈어 기원은 보편적으로 합의된 것이 아닙니다.[3]
이 기사는 국제 음성 알파벳(IPA)음성 표기를 포함합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 ], / ⟨ ⟩의 구분은 IPA § 괄호 및 전사 구분자를 참조하십시오.
시리즈의 일부
인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필기 시스템
카테고리
표시 스크립트
아랍어 파생 문자
알파벳 문자
관련된

벵골어-아사메어 문자,[7][8] 일명 동방 나가리브라흐미 문자에서 등장한 현대의 동방 인디크 문자입니다.[9] 가우디 문자는 문자의 조상으로 여겨집니다.[10] 벵골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벵골어 문자로 알려져 있고, 아사메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아사메어 문자로 알려져 있으며, 동-나가르어 ī는 학술 담론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인도 공화국의 공식 문자 중 하나로, 22개의 공식 언어 중 3개인 아사메어, 벵골어, 메이테이어(공식적으로 "마니푸리"[a][14]라고 불린다)가 공식적으로 사용합니다.[15][16][17]

벵골어아사메어 이외에도 비슈누프리야어, 차크마어, 메이테이어(마니푸리어), 산탈리어, 그리고 다른 언어들을[18][19] 쓰는 데 사용됩니다. 역사적으로, 그것은 오래된 인도-아리아어와 중세 인도-아리아어에 사용되었고, 지금도 산스크리트어에 사용됩니다.[20] 보도, 카르비, 마이틸리, 미싱과 같은 다른 언어들이 이 대본에 쓰여진 적이 있습니다.[21] 이 문자의 두 주요 알파벳인 아사메어벵골어는 두 문자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동일합니다. 아사메어는 /r/음의 경우 한 글자, /w/ 또는 /v/음의 경우 한 글자가 벵골어와 다릅니다.[22][23][24]

역사

동방 나가리 문자(푸르바 나가리)를 사용하는 장소

벵골어-아사메어 문자는 원래 특별한 지역 언어와 관련이 없었지만 산스크리트어를 포함한 고대-중-인도-아리아어의 주요 문자로 중세 인도 동부 지역에서 널리 퍼졌습니다.[20] 이 모든 동부 마가단 문자들은 데바나가리와 역사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구별되는 인물들의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고대 인도의 강의 계획서인 브라흐미는 남인도어와 고전 산스크리트어 및 기타 인도-아리아어와 관련된 문자인 데바나가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토착 인도 문자의 원천입니다.[23]

현대의 동양 문자(벵골-아사메, 오디아, 마이틸리)는 이전의 가우디로부터 14세기와 15세기경에 확실히 차별화되었습니다.[7] 벵골어, 아삼어, 미틸라어의 문자들은 서로 비슷했지만, 오디아 문자는 13-14세기에 곡선 모양의 윗면이 발달했고 점점 더 달라졌습니다.[25] 옛 마이틸리는 또한 벵골어-아사메어 문자와 유사한 문자를 사용했으며, 마이틸리 학자들(특히 구세대)은 여전히 그 문자에 산스크리트어를 씁니다.[22][26]

현대 벵골어-아사메어 문자는 인쇄술이 도입된 후 더 많은 표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인쇄

비록 벵골어의[27] 종류를 줄이려는 초기의 시도들이 있었지만, 궁극적으로 벵골어[28] 전파하려는 동인도 회사의 관심사였습니다. 처음에는 네덜란드의 모험가 윌렘 볼트에게 벵골어를 위한 문법을 만들어 줄 것을 의뢰했지만, 그는 회사와 문제가 생기자 인도를 떠나야 했습니다.[29] 벵골어 타이포그래피가 포함된 첫 번째 중요한 은 할헤드의 1778년작 "벵골어 [30]문법"으로, 그는 6개의 벵골어 원고로 이루어진 한 세트에서 편찬했습니다.[31] Halhead가 출판을 위해 Warren Hastings로 눈을 돌렸을 때, 그는 Hoogly에 있는 Company Press의 Type-Founder인 Charles Wilkins에게 소개되었습니다. 산스크리트어와 페르시아어로 배운 윌킨스는 한 손으로 가장 완벽한 세트를 자릅니다. 그는 벵골계 대장장이 판차난 카르마카르의 도움을 받았는데, 판차난 카르마카르는 종종 벵골계의 아버지로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32]

대본

벵골어-아사메어 문자의 진화
9-10세기 발라바르만 3세의 비문, 나가온, 아삼. 현대적인 형태의 문자와 매트릭스는 이미 식별할 수 있습니다.
13세기 초 아삼 구와하티 인근 암각화
18세기 하스티비디야르나바에서 아호메시바 싱하의 의뢰를 받은 본문에는 sri motxivoxingha moharaja라고 적혀 있습니다. 현재 라에 사용되는 현대 벵골어 문자 "র"는 현대적 형태의 "ৱ"인 이 전근대 아사메어/산스크리트어 필사본에 사용됩니다. 현대의 아사메 문자는 어떤 글자에도 이 글리프를 사용하지 않지만, 현대의 티르후타는 va에 이 글리프를 계속 사용합니다.
찰스 윌킨스(Charles Wilkins)가 디자인한 Halheed의 대본, 1778년은 인쇄를 위한 최초의 중요한 활자였습니다.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모든 글리프가 아직 현대적인 형태를 이룬 것은 아닙니다. 차트가 아사메 ৰ를 스포츠하지만, 벵골어 র는 텍스트에서 서로 교환하여 사용되었습니다.

아싸메어와 벵골어를 다루는 위키피디아의 이 기사와 다른 기사에는 벵골어 음운론을 전문으로 하는 언어학자들이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법과 아싸메어 음운론을 전문으로 하는 언어학자들이 사용하는 별도의 아싸메어 번역표가 IPA 전사와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알파벳

이 스크립트에는 세 가지 주요 현대 알파벳이 있습니다. 벵골어, 아사메, 티르후타. 현대의 아사메는 현대의 벵골어와 매우 유사합니다. 아사메에게는 벵골어가 가지고 있지 않은 ৱ라는 글자가 적어도 하나 더 있습니다. 또한 벵골어 র에서 그 소리에 사용되는 글자와 다른 '로' ৰ의 소리에는 별도의 글자를 사용하며, 글자 ক্ষ은 벵골어처럼 접속사가 아니라 그 자체로 글자입니다. 예를 들어, 두 알파벳의 알파벳 순서도 문자 ক্ষ의 위치가 다릅니다. 메이테이와 비슈누프리야와 같은 언어들은 벵골어 র와 아사메어 ৱ가 있는 두 알파벳의 혼합어를 사용합니다. 티르후타는 좀 더 다르며 중세 아사메에서 사용된 몇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모음과 격음

현재 대본에는 총 11개의 모음 글자가 있는데, 이는 벵골어의 7개 모음 소리와 아사메어의 8개 모음 소리, 그리고 여러 개의 모음 이중창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모든 모음 문자는 아사메어와 벵골어 모두에 사용됩니다. 모음 문자 중 일부는 단어에 따라 다른 소리를 내기도 하며, 문자 체계에 보존된 여러 모음 구분은 현대 구어인 벵골어나 아사메어에서는 이와 같이 발음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에는 모음소리 [i]에 대한 두 개의 기호와 모음소리 [u]에 대한 두 개의 기호가 있습니다. 이러한 중복성은 짧은 [i]와 긴 [i ː], 짧은 [u]와 긴 [u ː]를 가진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를 쓰기 위해 이 스크립트가 사용되었던 때에서 비롯됩니다. 이 글자들은 일반적인 말로는 더 이상 다르게 발음되지 않지만, 그들의 전통적인 이름인 "short i"와 "long i" 등과 함께 대본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일부 언어별 사용

벵골 문자에서 অ্যা는 의도된 발음이 모호할 때 사용됩니다. 어떤 다른 언어들은 / ɯ/를 나타내기 위해 모음 অৗ를 사용하는데, 이는 벵골어나 아사메어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티르후타어에서 모음 디아크리틱(마트라, ৗ)이 발견되지만 모음 문자 자체는 없습니다. 같은 알파벳은 음소 অʼ와 এ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matra"(ʼ)를 사용합니다.

모음표
모음. 모음 디아크리틱
기호.
동음이의 벵골어 메이테이(마니푸리)[33] 실헤티 하종 라바 라즈봉시
ô 오/오 ô/a o o ô ô
অʼ ʼ o
a a a. a a a a
অ্যা/ ্যা æ
অৗ â â
ি i i i i i i i
ইʼ িʼ î
i i ī (i)
u u u u u u u
উʼ ুʼ â
u u ū (u)
리이 리이
리이 리이
ê e/ê e ê e e ê
এʼ েʼ e
i이 i이 ei 오이 오이 i이
û o o/ô ô o o
으으 으으 아우 아우 으으 으으

모음 부호는 자음과 함께 사용하여 자음의 발음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여기서는 ক, kô로 예시). 모음 Diacritic 기호가 없을 때 모음 " অ"(ô)은 자음의 기본 상속 모음입니다. 모음의 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자음 밑에 ্(Hosontô)를 적을 수 있습니다.

자음

동방 나가리에서 자음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자음의 주발음에 고유모음인 অô를 더한 것입니다. 고유모음은 문자가 아닌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글자 이름은 문자 자체와 동일해 보입니다(예: "ঘ"의 이름은 gh가 아닌 ঘ gh입니다). 모던 아사메와 벵골어에서 독특한 발음을 잃은 몇몇 글자들은 더 정교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예를 들어, 자음 음소 /n/는 (특정 단어의 철자에 따라) ন, ণ 또는 ঞ로 쓰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자들은 단순히 "no"라고 불리는 것이 아니라 "dental ", "cerebral nó", "nio"라고 불립니다. 마찬가지로, 벵골어 음소 / ʃ/와 아사메어의 /x/는 단어에 따라 "palatal shô/xhô" শ, "cerebral shô/xhô" ষ 또는 "dental sô/xô" স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자음표
자음 동음이의 벵골어 메이테이(마니푸리)[33] 치타고니안 다카이야
쿠티
실헤티 하종 마이틸리
ô ô ô ô ô ô
ô ô xo kho 카하
ô ô ô ô ô 가세요 가세요
ô ô ô ô ô 가세요 고호
웅고 ngô ngô ngô ngô ngo 응가
그래서 ô ô 그래서 ô 그렇게 코의
ô ô 그래서 ô 그렇게 그렇게 -
𑒕
ô ô 네.
zhô 호호 호호 jho -
𑒗 자하
니오 아니 니아
ô ţô ô ô 로.
𑒙 ţa
ô ţ호 ô ô 로. ţ하
ô ô ô ô
ড় ô ŗô ô ô ŗo
ô 호호 ô ô -
ঢ় ŗ호 ô ô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요. - -
ô ô ô ô ô ṭo 로.
ô ô ô ô ô ṭo
ô ô ô ô ô ḍo
ô ô ô ô ô ḍo 도호 다하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요. 아니요.
ô ô ô ô ô fo
ô ô ô ô ô fo fo
𑒤 파아
ô ô ô ô ô vo
ô ô ô ô ô vo vo 바하
엄마.
ô -
য় ô ô ô ô ô 이봐.
(ô) ô ô ô ô w va
ô (rô) ô
ô ô ô ô ô
𑒪
ô ô o
ô şô ô 그래서 -
ô şşô ô 그래서 - 쓱쓱
ô şô 그래서 ô 그래서 şo -
호호 호호 호호 ô 호호 -
𑒯

디지트

디지트
아라비아 숫자 0 1 2 3 4 5 6 7 8 9
벵골어-아사메 숫자
동명이인 쉬닌노 에크 두이 작은 사리 ã들 눅눅한 자트 아니
শূন্য এক দুই তিনি চাৰি পাঁচ ছয় সাত আঠ
벵골어 이름 피하다, 피하다, 피하다, 피하다, 피하다 æ크 두이 주석의 p치 쵸이 토막토막 a. 노이
শূন্য এক দুই তিন চার পাঁচ ছয় সাত আট নয়
메이테이 이름들 푼수의 아마 아니 아웅다웅 마리. 만담 타루크 타레의 ꞉ 사람을 갉아먹다 ꞉판
ফুন অমা অনি অহুম মরি মঙা তরূক তরেৎ নীপান মাপন
실헤티 이름들 슈인노 전의 두이 주석의 굉음을 내다 속이 꽉 찬 그래서 으르렁거리는/모자 a. 노우
শুইন্য এখ দুই তিন ছাইর ফাছ ছয় সাত/ আট নয়
마이틸리어 이름들 슌냐 에크 ī의 챠리 p치 차우 앉았다 ţ의 사람 노우
শূন্য এক দু তীন চাৰি পাঁচ ছৌ সাত আঠ নৌ
가마푸리 이름들 슈인노 에크/에크 두이 주석의 의자 p치 쵸이 앉았다 aat 노우/노우
শূইন্য এক/ দুই তিন চাইর/ পাঁচ ছয় সাত আট নয়/
하종명 쉬닌노 에크 두이 주석의 까르 패스 콩의 앉았다
শূন্য এক দুই তিন চাৰ/ পাচ ছয় সাত আট নয়
라바 이름들 브리즈번 bw 크뢰브 죄악 수쿠
থা ছা নিং থাম ব্ৰি বৗং ক্ৰোব ছিন গিন ছুকু

유니코드로

벵골어-아사메어 문자에는 벵골어와 티르후타라는 두 개의 유니코드 블록이 있습니다. 벵골 블록은 U+0980–입니다.U+09FF:

벵골어[1][2]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098x
U+099x
U+09Ax
U+09Bx ি
U+09Cx
U+09Dx
U+09Ex
U+09Fx
메모들
1.^유니코드 버전 15.1 기준
2.^ 회색 영역은 비할당 코드 포인트를 나타냅니다.

Tirhuta 블록은 U+11480–U+114DF입니다.

티르후타[1][2]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1148x 𑒀 𑒁 𑒂 𑒃 𑒄 𑒅 𑒆 𑒇 𑒈 𑒉 𑒊 𑒋 𑒌 𑒍 𑒎 𑒏
U+1149x 𑒐 𑒑 𑒒 𑒓 𑒔 𑒕 𑒖 𑒗 𑒘 𑒙 𑒚 𑒛 𑒜 𑒝 𑒞 𑒟
U+114Ax 𑒠 𑒡 𑒢 𑒣 𑒤 𑒥 𑒦 𑒧 𑒨 𑒩 𑒪 𑒫 𑒬 𑒭 𑒮 𑒯
U+114Bx 𑒰 𑒱 𑒲 𑒳 𑒴 𑒵 𑒶 𑒷 𑒸 𑒹 𑒺 𑒻 𑒼 𑒽 𑒾 𑒿
U+114Cx 𑓀 𑓁 𑓂 𑓃 𑓄 𑓅 𑓆 𑓇
U+114Dx 𑓐 𑓑 𑓒 𑓓 𑓔 𑓕 𑓖 𑓗 𑓘 𑓙
메모들
1.^ 유니코드 버전 15.1 기준
2.^ 회색 영역은 비할당 코드 포인트를 나타냅니다.

메모들

  1. ^ 벵골어 문자 외에도 메이테이어메이테이어 문자공식 문자로 동시에 사용합니다.
  1. ^ "GAZETTE TITLE: The Manipur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1". manipurgovtpress.nic.in.
  2. ^ "Manipuri language and alphabets". omniglot.com. Retrieved 27 January 2023.
  3. ^ a b '브라흐미의 셈족 기원설은, 인더스 기원설과는 대조적으로, 완전히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것에 유리한 구체적인 증거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심지어 셈족 가설을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도, 다니의 말을 빌자면, "[T]브라흐미 문자는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셈족 문자에서 문자 그대로 '유래된' 것이 아니라, 단지 문자에 기초한 것입니다."(DIP 29)(살로몬 1998:29)
  4. ^ 그러나 다양한 전근대 브라흐미 유래 대본에 대한 용어는 대부분 표준화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임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대본에 대한 검증된 토착 용어가 없기 때문입니다(2.1.1). D. C. Sircar는 발전의 단계를 크게 "초기", "중기", "후기 브라흐미" 시기로 분류하며, 각각 기원전 3~1세기, 기원전 1~3세기, 서기 4~6세기에 해당합니다(HEP 113), 다른 이들은 그의 "후기 브라흐미"를 "굽타 대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살로몬 1998:19)
  5. ^ "6세기 말경, 인도 북부의 소위 굽타 문자는 시다마트르카(Siddhamatrka)라는 독특한 새로운 문자로 진화했습니다."(살로몬 1998:39)
  6. ^ "동북쪽의 싯다마트르카 지역의 파생어는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존재했던 벵갈리 원시 문자 또는 가우디 문자였습니다." (살로몬 1998:41)
  7. ^ a b "이것은, 차례로, 현대의 동양 문자, 즉 벵골어-아사메어, 오리야, 마이틸리를 낳았고, 이것은 14세기와 15세기경에 분명히 분화되었습니다."(살로몬 1998:41)
  8. ^ "동방 나그리 문자는 산스크리트어를 쓰기 위해 처음 만들어졌고 이후 벵골어와 아사메어와 같은 지역 언어들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벵골어 유니코드 문자 블록은 동방 Nagri 스크립트에서 만들어졌으며 벵골어와 아사메어에서 다른 'r'과 같은 문자 변형을 포함합니다.(Simard, Dopierala & Thaut 2020:5f)
  9. ^ 오른쪽에 있는 "부모 시스템"과 그 인용문을 참조하십시오.
  10. ^ (살로몬 1998:41)
  11. ^ " 벵골인들은 이 대본을 '벵골어 대본'이라고 부를 것입니다."(Brandt 2014:24)
  12. ^ "아사메어는 벵골어와 마찬가지로, 이 대본에서 아사메어 화자들이 자연스럽게 '아사메어 대본'이라고 부르는 오랜 문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Brandt 2014:25)
  13. ^ "사실, '동쪽 나가리'라는 용어는 한 언어나 다른 언어를 선호하지 않는 유일한 용어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벵골 문자'라는 명칭이 세계적 공론장을 지배하는 반면, 이는 학술 담론에서만 적용되는 것입니다."(Brandt 2014:25)
  14. ^ "GAZETTE TITLE: The Manipur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1". manipurgovtpress.nic.in.
  15. ^ "Assamese alphabet, pronunciation and alphabet". omniglot.com. Retrieved 27 January 2023.
  16. ^ "Bengali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omniglot.com. Retrieved 27 January 2023.
  17. ^ "Manipuri language and alphabets". omniglot.com. Retrieved 27 January 2023.
  18. ^ "이미 대부분의 벵골 사람들이 그들 언어의 대본을 '벵골 문자'로만 지칭할 것이라는 사실은 아사메어, 비슈누프리야어, 차크마어, 메이테이어, 산탈리어 등과 같은 다른 많은 언어에도 사용되지만, 남아시아 동부 지역에서 벵골어의 지배적인 역할을 엿볼 수 있습니다(Brandt 2014:25-26).
  19. ^ Bijan Kumar Roy, Subal Chandra Biswas 및 Parthasarathi Mukhopadhyay, 유니코드 호환 인디스크립트 기반 벵골어 특별 참조 기관 디지털 저장소 설계, 55페이지, 국제 지식 콘텐츠 개발 및 기술 저널 Vol.8, No.3, 53-67 (2018년 9월)
  20. ^ a b "(T)오늘날 아사메어와 벵골어에 사용된 문자는 원래 이 지역과 연결된 것이지 특정 현대 언어는 아닙니다. 역사적으로, 그것은 사실 고대와 중세 인도-아리아에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 이 언어는 다른 현대 언어(예: 비슈누프리야) 뿐만 아니라 산스크리트어에도 사용됩니다." (Brandt & Sohoni 2018:7)
  21. ^ Prabhakara, MS Scripting a solution[usurped], The Hindu, 2005년 5월 19일
  22. ^ a b 라메시 찬드라 마줌다르, 인도인의 역사와 문화: 영국의 가장 중요성과 인도의 르네상스 (2부), 219페이지, 바라티야 비디야 바반, 1951
  23. ^ a b Bernard Comrie, The World's Major Languages, 419페이지, Routledge, 2009, ISBN 9781134261567
  24. ^ B. P. Mahapatra, 헌법언어학, 39페이지, Press Université Laval, 1989, ISBN 9782763771861
  25. ^ "[T]현재 오리야 문자의 많은 부분에서 매우 두드러지는 곡선의 꼭대기가 막 나타나면서 원시 단계인 [[벵골리-아사메-마이틸리]]에서 분리를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의 시작과 진행은 서기 13-14세기의 많은 오리사 [비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Bhattacharya 1969:56f)
  26. ^ 아틴드라 모줌더, 벵골어: 역사문법(1부), 22페이지, Firma K. L. Mukhopadhyay, 1972
  27. ^ (한 1962:55)
  28. ^ "1772년까지 회사는 칼, 외교, 음모를 교묘하게 동원하여 그녀의 백성들, 파벌이 많은 귀족들, 그리고 약한 나와브로부터 벵골의 통치권을 넘겨받았습니다. 그 후, 이 지방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회사는 벵골어를 홍보했습니다. 이것은 벵골어의 언어와 문학에 대한 본질적인 사랑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위대한 모굴 시대부터 공식적인 언어였던 페르시아어를 대체함으로써 전통적인 권위의 패턴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Khan 1962:53)
  29. ^ "[T]동인도회사는 Bolts에게 벵골어 문법을 준비하도록 의뢰했습니다. 그러나 위대한 기업가이자 천재적인 사람이었던 볼트는 자신을 위대한 동양주의자로 대표했지만, 그는 1766년부터 1768년까지 극단의 어려움에 부딪혔고, 이는 인도에서 추방으로 끝이 났습니다." (Khan 1962:55–56)
  30. ^ " 벵골어 활판화, 인쇄, 출판에 있어서 최초의 중요한 진보는 1778년 할헤드에 의한 벵골어 문법의 출현으로 이루어졌습니다."(Khan 1962:56)
  31. ^ "할헤드는 그의 기념비적인 벵골어 문법을 편찬할 때 벵골어 작가들의 작품에 익숙했음에도 불구하고 1778년에 현존하는 6권의 책만을 추적할 수 있었다고 불평했습니다. 여기에는 위대한 종교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가 포함되었습니다. 여섯 개 모두 당연히 원고지로 되어 있었습니다."(Khan 1962:53)
  32. ^ (1962:57–58)
  33. ^ a b "Meetei Mayek keys (in comparison to Bengali script)". Retrieved 16 March 2023.

참고문헌

참고 항목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