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토니아의 동방 정교회
Eastern Orthodoxy in Estonia다음 시리즈의 일부 |
동방 정교회 |
---|
개요 |
에스토니아의 동방 정교회는 인구의 16.5%가 실천하고 있으며, 이 다수종교 국가에서 가장 많이 식별된 종교와 기독교 교파로 국가 근현대사 최초로 9.1%(2000년 인구조사 당시 13.6%)[1]로 루터교 교파를 앞지른 바 있다.[2][3] 동방 정교회, 아니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동방 정교회 기독교는 에스토니아의 러시아 소수 민족 내에서, 토착 인구 내에서 소수 민족 내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다. 2000년 에스토니아 인구조사에 따르면 정교회 기독교인으로 지목된 이들의 72.9%가 러시아계였다.[4]
오늘날 에스토니아에서는 에스토니아 정교회의 2개 지부가 운영되고 있는데,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에코메니컬 총대주교 산하 자율교회, 러시아 정교회의 반자율적 교회인 모스크바 총대주교회의 에스토니아 정교회가 그것이다.
역사
정교회는 10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프스코프와 가까운 지역의 남동쪽 지역에 있는 에스토니아인들 사이에서 활동한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 출신의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에스토니아의 정교회 신도들에 대한 첫 언급은 1030년부터 시작된다.[5] 서기 600년경에 토오메 언덕(토오메메메기)의 동쪽에 에스토니아인들이 타르바투(현대 타르투)라는 마을을 세웠다. 1030년, 키예프 왕자인 야로슬라브 the Wise는 타르바투를 습격하여 유례프라는 자신의 요새를 건설했으며, 또한 그의 수호성인인 성 조지를 위해 바친 성당에도 신도들이 있었다고 한다. 회중들은 1061년까지 살아남았을지도 모르는데, 이때 유례프는 전소되고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추방되었다.
13세기 초 발트 십자군의 결과, 북부 에스토니아는 테우토닉 질서에 의해 덴마크와 남부 지역에 정복되었고, 이후 리보니아 검의 형제들에 의해 정복되어 오늘날 에스토니아는 모두 서구 기독교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 출신의 러시아 상인들은 후에 에스토니아 여러 마을에 작은 정교회 회합회를 세울 수 있었다.[5] 그러한 신도 중 한 명은 1472년 독일인들에 의해 도르팟(타르투) 마을에서 쫓겨났고, 이들은 그들의 사제 이시도르를 순교시켰으며, 다수의 정교회 신자들이 (1월 8일 이 집단을 기념되었다.[6]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 니콘이 도입한 소송 개혁을 피해 많은 옛 신자들이 러시아로부터 그곳을 탈출한 17, 18세기까지 이 지역 교회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7]
18세기와 19세기에 에스토니아는 북방전쟁에서 패배한 후 1721년 스웨덴 제국에 양도된 러시아 제국이었다. 1800년대 동안 상당수의 에스토니아 농민들이 땅으로 보상을 받겠다는 (불충분한) 희망에 따라 황제의 정교회 신앙으로 개종했다.[8] 이로 인해 1850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리가의 교구(현대 라트비아)가 설립되었다.[5] 19세기 후반에 러시아 계급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현지 에스토니아 성직자들은 지원하지 않는 루스화 물결이 유입되었다. 성당 탈린에 있는 알렉산더 넵스키와 쿠레마에에 있는 푸르티차 컨벤트가 이 무렵에 지어졌다.[6]
자율로 가는 길
에스토니아 민족주의가 19세기에 걸쳐 꾸준히 성장함에 따라 에스토니아인 성직자들도 에스토니아인 주교가 이끄는 탈린에서 볼 수 있는 에스토니아인 교구를 시작으로 더 큰 독립을 열망했다.[9] 1917년 전체회의는 성인의 사제인 폴 쿨부쉬를 선출했다. 페테르부르크 에스토니아 정교회 공동체 탈린의 플라톤 주교가 된다.[10] 확고한 독립 옹호자였던 그는 2년 후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중 붉은 군대에 의해 처형되었다.[6]
러시아가 에스토니아 독립국가를 인정한 데 이어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인 세인트. 1920년 티콘은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EAOC)를 경제적, 행정적, 교육적 문제에 있어서 자율적인 교회로 인정하고, 일시적인 자가당착을 허가했다. 알렉산더 파울루스 대주교가 선출되어 탈린과 올 에스토니아의 메트로폴리탄 EAOC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6]
이에 앞서 소련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를 채택해 종교를 없애고 국가 무신론으로 대체했다.[11] 이에 대해 티콘 총대주교는 1918년 소련 지도부를 파문해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강도 높은 박해의 시대로 이어졌다.[12] 1922년 4월 티콘은 수감되었고, 에스토니아 성직자들은 모스크바 총대주교와의 연락이 끊겼다.[13] 1922년 9월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평의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멜레티우스 4세를 러시아 정교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1) 에스토니아 교회의 통제를 이양해 달라고 청원했고, (2) 에스토니아 교회의 성직적 지위를 명확히 했다. 1923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는 EAOC를 콘스탄티노폴리스 관할로 끌어들여 자율권을 부여한 토모스(국회의 칙령)를 발표했지만 완전한 자동 체계는 아니었다.[5][14]
1935년 교회는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라는 이름으로 국가에 법령을 등록했다.[15] 이것은 나중에 중요한 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스토니아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주체로 남아 있었다. 그 무렵 에스토니아 전체 인구의 약 5분의 1이 에스토니아의 초대 대통령 콘스탄틴 페츠를 포함한 정교회 기독교인이었다.[16] 타르투 대학 신학부에는 21만 명이 넘는 신학자(대부분 민족 에스토니아인), 주교 3명, 교구 156명, 사제 131명, 사부 19명, 정교회장이 있었다. 주목할 만한 정교회 기관으로는 페테리의 프스코보-페체스키 수도원, 나르바와 쿠레메, 탈린의 전리품,[17] 페테리의 신학교 등이 있다.
소비에트 점령
1940년 에스토니아는 1939년 8월 독일-소비에트 불가침조약의 비밀 영토 분할 협정의 일환으로 소비에트 연방의 구성 공화국이 되었다. 소련 시절 에스토니아 교회가 콘스탄티노플에 유리하게 모스크바와 단교하기로 한 결정은 불법으로 판결됐다. 이에 따라 교회는 자치권을 상실하고 1941년 2월 28일 러시아 정교회로 통합되었다.[14] 에스토니아 정교회 성직자의 절반 이상이 항의로 사임했다.[5]
이 협정은 1941년 7월 나치 독일이 에스토니아를 침공했을 때 단기간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이 에스토니아 정교회 역사상 최초의 분열을 촉발시켰는데, 1942년 교회는 자치권을 선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관계를 새롭게 하였으나, 대부분 러시아 민족이 거주하고 있는 에스토니아 교구 나르바는 러시아 정교회와의 연계를 유지했다.[5][14]
시간이 흐르면서 독일의 운명은 바뀌었다. 1944년 초까지 러시아의 붉은 군대는 침략한 독일군을 에스토니아 국경으로 밀어 넣었다. 소련 재점령이 임박하면서 10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에스토니아를 탈출했다. 이들 중에는 메트로폴리탄 알렉산더도 있었는데, 그는 약 20명의 사제들과 함께 스톡홀름에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를 설립했다. 그곳에서 EAOC in Evilation은 전세계 약 1만 명의 에스토니아 정교회 기독교인들을 섬겼다.[17]
퇴각하는 독일군과 에스토니아 민족주의자들의 강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1944년 가을까지 에스토니아에 대한 통제를 재천명했다. 1945년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EAOC를 청산하여 남은 성직자들을 해임하고 모든 에스토니아 집단을 러시아 정교회 내의 단일 교구로 끌어들였다.[14]
에스토니아 정교회는 거의 반세기 가까이 에스토니아를 소비에트 연방의 회원국으로 하는 한 분열된 상태로 남아 있었다. 1953년 죽기 전에 메트로폴리탄 알렉산더는 그의 신도들을 콘스탄티노플 휘하의 망명자로 세웠다. 망명 중인 교회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1958년 스웨덴에서 시노드가 조직되었다. 에스토니아 내에서는 러시아 정교회의 교구로서 교회가 계속되었다.[9][18] 1978년 러시아 정교회의 요청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1923년 자치 귀양 토모스를 '불능'으로 통치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플이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서 운영되는 자치 정교회의 불가능성을 인정했다는 뜻이다.[15][17]
에스토니아 독립과 재산 개혁
1991년 8월 20일 에스토니아는 해체된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여 1940년 이전의 의회 정부를 복원하였다. 정교회 사회 내의 분열이 곧 일어났다. 일부는 모스크바 총대주교회의 지배하에 남기를 원했고, 다른 일부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관할의 자치교회를 복직시키기를 원했다.[14]
그 문제에는 법적인 측면도 있었다. 일단 독립한 에스토니아는 재산 개혁, 즉 점령 기간 동안 소련에 의해 수용된 재산을 회복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러나 망명중인 교회, 콘스탄티노플 휘하의 교회, 모스크바 휘하의 에스토니아 정교회 중 어느 교회가 정당한 에스토니아 정교회였을까?[18][19]
1993년 초 에스토니아 의회는 모든 종교 기관이 내무부에 재등록하도록 한 교회 및 회합법을 통과시켰다. 같은 해 8월 망명 중인 교회는 1935년 법령을 등록했는데, 이는 그 자체가 원래 에스토니아 사도교 정교회의 계속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1월 모스크바 주도의 교구는 같은 1935년 법령 등록을 시도했으나 거부당했다. 이에 대해 교구는 망명 중인 교회가 아닌 그것이 소련 점령기에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의 연속성을 유지해왔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하면서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망명 중인 교회가 실로 소비에트 이후 에스토니아 정교회의 합법적인 후계자였다는 판결로 EAOC가 에스토니아에 있는 모든 1940년 이전의 모든 정교회 재산의 유일한 법적 계승자가 되었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이러한 노력을 일축했다.[18][19]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이 판결에 강력히 반대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1940년대 이전에 지어진 약 20개의 교회였으며 따라서 법적으로 모스크바 주도의 교구가 운영하는 EAOC의 재산이었다.[18] 1996년 2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회는 에스토니아 사도교 정교회의 자치를 허가한 1923년 토모스를 복권하고 에큐메니컬 총대주교회에 대한 정식 종속을 확립하면서 토모스가 1978년 운전불가능 판정을 받았으나 "무효 또는 취소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고 밝혔다.[15] 에스토니아 태생인 알렉세이 2세 총대주교가 모국인 에스토니아를 자신의 정식 영토의 일부로 간주했던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갑자기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관계를 단절시켰으며, 교회들간의 교감 단절 등 그간의 관계를 끊었다.[17][disputed ]
대립하고 있는 총대주교간의 관계는 취리히에서의 회의가 에스토니아 내에서 자치교회와 러시아 교구 모두 병행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개별 교구와 성직자는 어느 관할권을 따라야 할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3개월 후에 복원되었다.[9][17]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교구민 대다수가 모스크바 총대주교를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84명 중 54명, 일반적으로 민족 노선을 따라)가 자치적인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를 선택했다.[20]
러시아 교구는 1935년 법령 등록 시도를 취하한 2001년까지 법적 승계 주장 운동을 이어갔고, 대신 '모스크바 총대주교회의 에스토니아 정교회'라는 이름으로 내무부에 신청했다. EAOC는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와 너무 흡사하다며 반발했다. 처음에 정부는 EAOC의 편을 들었고, EAOC는 대신 "에스토니아에 있는 러시아 정교회"나 "러시아 정교회 교구"와 같은 이름을 제안했다. 에스토니아 경제 협회는 곧 모스크바 총대주교를 대신하여 로비를 벌였는데, 러시아 관리들의 진술이 호의적인 등록이 에스토니아-러시아 무역에 대한 관세 인하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 노력은 성공했고, 2002년 4월 17일 러시아 교구가 모스크바 총대주교회의 에스토니아 정교회(EOCMP)로 등록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기대했던 관세 인하를 가져오지는 못했다.[21]
오늘 교회
루터교를 넘어 국내 최대 기독교 교파가 된 2011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16.5%를 차지하는 에스토니아 정교회는 여전히 분열돼 있으며,[22][23] 충실한(대부분 러시아계)의 대다수가 모스크바 산하에 남아 있다. 2004년 정부 보고에 따르면 54개 파리의 약 2만 명(대부분 에스토니아 민족)의 신자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산하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소속이며, 30개 파시에 15만 명의 신자들이 푸르티차 수도회(Pühtsa)와 함께 모스크바 총대주교와 함께 있다.[24]
부동산 소유권을 둘러싼 문제들은 대부분 해결되었다. 2002년 EAOC는 EOCMP가 사용하는 교회의 소유권을 국가에 이전하기로 합의했고, EAOC는 EOCMP에 50년 임대를 내주기로 했다.[24] 그 대가로 국가는 EAOC 교회들을 개조하기로 합의했다.[21]
참고 항목
참조
- ^ "Statistical database: Population Census 2000 – Religious affiliation". Statistics Estonia. 22 October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11. Retrieved 2011-02-18.
- ^ "PC0454: AT LEAST 15-YEAR-OLD PERSONS BY RELIGION, SEX, AGE GROUP, ETHNIC NATIONALITY AND COUNTY, 31 DECEMBER 2011". Statistics Estonia. 31 December 2011. Retrieved 9 January 2014.
- ^ "PHC 2011: over a quarter of the population are affiliated with a particular religion". Statistics Estonia. 29 April 2013. Retrieved 9 January 2014.
- ^ "Population By Religious Affiliation And Ethnic Nationality". Statistics Estonia. 22 October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ugust 2011. Retrieved 2011-07-11.
- ^ a b c d e f 톰, 타르모. "에스토니아, 정교회 in" 동방 정교회 기독교 백과사전, 2011년 월리-블랙웰 출판 페이지 226-8.
- ^ a b c d 에스토니아 정교회의 역사적 배경, 모스크바 총대주교회의 에스토니아 정교회 웹사이트.
- ^ 에스토니아의 러시아 옛 신자들은 2011-07-20을 웨이백머신, Estonia.eu 웹사이트에 보관했다.
- ^ "Octodoxy", Estonica - 에스토니아에 관한 백과사전, 에스토니아 연구소.
- ^ a b c 2011-09-28년 에스토니아 정교회 웹사이트 웨이백머신(Wayback Machine)에 보관된 에스토니아 정교회의 간략한 역사.
- ^ 포스카, 위리. "비숍 플라톤 - 그의 삶과 순교자"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웹사이트.
- ^ 레닌, 블라디미르 일리히. 1909년 5월 13일 (26) 45번 프롤레타리 "종교에 대한 노동당의 태도"
- ^ 포스피엘롭스키, 디미트리 5세 소련 체제하의 러시아 교회, 1917-1983년, 2장, 세인트 블라디미르 신학교 출판사, 1984년 크레스트우드 NY.
- ^ 미국 정교회 웹사이트인 "미국에의 사도, 성 티콘의 영광"
- ^ a b c d e 링귀, 링고. "논란의 역사" 에스토니카 - 에스토니아에 관한 백과사전, 에스토니아 연구소.
- ^ a b c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바르톨로뮤 1세 1996년 2월 20일 "1923년 에스토니아 정교회 도모스의 가부장적·회교적 도모스의 재활성화에 관한 애국 및 회교법".
- ^ Huang, Mel. "Estonia", 동유럽: 사람, 토지, 문화에 대한 소개, 1권, 페이지 65, ABC-CLIO Inc., 2006.
- ^ a b c d e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2013년 11월 03일 카톨릭 근동복지협회 웨이백머신에 보관되었다.
- ^ a b c d 마이트, 발렌티나스 "에스토니아: 2002년 5월 10일 라디오 자유 유럽/라디오 자유 문서 보관소인 '한 나라에서 살려고 하는 정교회 두 분과'가 있다.
- ^ a b 링귀, 링고. "새로 독립한 에스토니아의 동방 정교회 - 논란의 제2막" 에스토니카 - 에스토니아에 관한 백과사전, 에스토니아 연구소.
- ^ 리메스타드, 세바스찬. "1990년대 에스토니아 정교회" 에스토니아 정교회 웹사이트 웨이백머신(Wayback Machine)에 2011-09-28을 보관했다.
- ^ a b 링귀, 링고. "분쟁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 에스토니카 - 에스토니아에 관한 백과사전, 에스토니아 연구소.
- ^ "PC0454: AT LEAST 15-YEAR-OLD PERSONS BY RELIGION, SEX, AGE GROUP, ETHNIC NATIONALITY AND COUNTY, 31 DECEMBER 2011". Statistics Estonia. 31 December 2011. Retrieved 9 January 2014.
- ^ "PHC 2011: over a quarter of the population are affiliated with a particular religion". Statistics Estonia. 29 April 2013. Retrieved 9 January 2014.
- ^ a b 상원 외교위원회. "에스토니아", 2004년 국제 종교 자유 연례 보고서, 324페이지, 2005년 정부 인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