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 프리젬
Geo Prizm![]() |
Geo/Chevrolet Prizm | |
---|---|
![]()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지오 프리젬(1990-1997) 쉐보레 프리젬(1998~2002) |
생산 | 1988–2001 |
연식 | 1989–2002 |
조립 | 프레몬트, 캘리포니아(NUMMI) |
차체 및 섀시 | |
클래스 | 준중형차(1989–1992) 소형차(1993~2002) |
배치 | 횡방향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플랫폼 | Toyota E90, E100, E110 플랫폼(GM 내에서 S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음) |
연대기 | |
전임자 | 쉐보레 노바 |
후계자 | 폰티액 바이브 쉐보레 코발트 |
지오 프리젬과 쉐보레 프리젬은 일본 자동차업체 도요타가 북미 시장에서 직접 판매한 적이 없는 도요타 스프린터를 리바이드한 소형차였다. 스프린터 자체는 도요타 코롤라에서 파생된 것이다. Prizm은 1997년 연식 이후 단종될 때까지 Geo 명판으로 판매되었다. 그 후, 그 차량은 시보레 명판 아래 판매되었다. 제너럴 모터스(GM)는 이를 비롯한 도요타 코롤라 파생 차량을 GM S 플랫폼으로 지칭했다. 이 자동차들은 1988년부터 2002년까지 GM과 도요타의 합작으로 운영되는 조립 공장인 NUMMI의 코롤라와 함께 생산되었다. 프리젬은 미국에서 독점 판매되었고 1985–1988년 시보레 노바를 계승했으며, 이 역시 스프린터에서 파생되어 NUMMI에서 생산되었다.
생산
모든 프리짐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레몬트의 도요타와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법인 NUMMI(New United Motor Manufacturing, Inc.)에 건설됐다. 프리몬트의 NUMMI 공장은 프리즘의 전신인 시보레 노바를 제조했고, 이후 그 대체품 중 하나인 폰티악 바이브를 제조하게 되었다. 마지막 Prizm은 2001년 12월 13일에 지어졌고, 그 결과 2002년에 간략하게 만들어졌다.
1세대(E90)
1세대(E90) | |
---|---|
![]()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토요타 스프린터 |
생산 | 1989–1992 |
연식 | 1990–1992 |
디자이너 | 가와하라 히로시(1985)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4도어 세단 5도어 해치백 |
관련 |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
치수 | |
휠베이스 | 95.7인치(2,431 mm) |
길이 | 170.7인치(4,336 mm) |
폭 | 65.2인치(1,656 mm) |
높이 | 52.4인치(1,331 mm) |
프리젬은 1989년 2월 당시 GM의 새로운 Geo 브랜드 수입차를 위해 1990년 연식을 위해 도입되었다.[1] 1991년까지 판매된 해치백 버전은 도요타 스프린터 시엘로의 리바이드 버전이었지만 스프린터(및 코롤라 리프트백)와는 달리 세단과 동일한 전면 클립을 받았다. 1990-1992년의 스포티한 GSi 모델은 130 hp(97 kW) 트윈캠 엔진, 스포츠 서스펜션, 디스크 브레이크, 그리고 1988년 Nova 트윈캠의 후속 모델이지만 한정판인 14인치 휠로 이전 모델의 블랙 세단 모델과 대조적으로 두 가지 차체 스타일과 전체 색상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그들은 미국에서 4A-GE 엔진과 함께 제공되는 유일한 4도어 모델이었고, 그 조합을 제공한 도요타 모델은 없었다. 일반 엔진은 102마력(76kW)을 제공했다.[1] 베이스와 GSi 외에도 표준 엔진 LSi 모델이 더 잘 장착됐다. LSi는 더 많은 장비 외에도 바디 컬러 범퍼도 받았다.
1991년 차명의 문자는 이탤릭체와 대문자로 'PRZM'으로 바뀌었으며(스티어링 휠은 계속 프리즘을 사용함), 베이스 모델의 B-필러와 도어 프레임은 검은색 대신 차체 색상으로 바뀌었다. 프리젬은 캐나다에서 판매되지 않았고 GM은 지오 메트로의 세단 버전을 대신 제공했다. 지오 메트로 세단은 1990년부터 스즈키 스위프트 브랜드 버전이 판매되고 있었지만 1995년까지는 미국의 쉐보레 딜러점에서 구입할 수 없었다. 디자인 특허는 1985년 12월 6일 도요타 자동차 공사에 의해 신청 번호 1985-051078로 최종 디자인 1:1 표현을 사용하여 출원되었으며, 1988년 7월 13일에 등록 번호 0718088-005로 등록되었다.
트림 & 옵션
- 세단:
- 기본 • 1990년-1998년
- GSi • 1990-1992
- LSi • 1990-1992
- 해치백:
- 기본 • 1990년-1998년
- GSi • 1990-1992
- LSi • 1990-1992
2세대(E100)
2세대(E100) | |
---|---|
![]()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토요타 스프린터 |
생산 | 1992–1997 |
연식 | 1993–1997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4도어 세단 |
관련 | 토요타 코롤라(E100) 토요타 스프린터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5단 수동 3단 자동 4단 자동 |
치수 | |
휠베이스 | 97.0인치(2,464 mm) |
길이 | 173.0인치(4,394 mm) |
폭 | 66.3인치(1,684 mm) |
높이 | 53.3인치(1,354 mm) |
Prizm의 2세대, 그리고 Geo 브랜드의 마지막 세대는 1992년에 데뷔했다. Prizm은 LSi 트림에 더 많은 공간을 확보했다(미국 환경보호청 "콤팩트" 자동차 상태로 업그레이드), 운전석 측면 에어백, 1.8L 4기통 엔진 선택권을 얻었다. 더 큰 엔진과 함께 리어 스태빌라이저 바, 더 넓은 타이어, 그리고 3단 대신 4단 변속기의 선택적 자동 변속기가 나왔다. 1993년에 두 번째 에어백이 표준이 되었다; 가죽 시트는 이 세대의 LSi에서 옵션이었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스프린터와는 대조적으로, 이 세대 프리젬은 그 정지에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바가 부족했다.
트림 & 옵션
- 세단:
- • 베이스 • 1993-1998
- LSi • 1993-1997
3세대(E110)
3세대(E110) | |
---|---|
![]()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쉐보레 프리젬 |
생산 | 1997–2001 |
연식 | 1998–2002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4도어 세단 |
관련 | 토요타 코롤라(E110) 토요타 스프린터 |
파워트레인 | |
엔진 | 1.8 L 1ZZ-FE(LV6) I4(가솔린) |
전송 | 5단 수동 3단 MX1 자동 4단 MS7 자동 |
치수 | |
휠베이스 | 97.1인치(2,466 mm) |
길이 | 174.2인치(4,425 mm) |
폭 | 66.7인치(1,694 mm) |
높이 | 53.7인치(1,364 mm) |
Prizm의 1998년 재설계는 제너럴 모터스가 1997년 이후 Geo 브랜드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나머지 Geo 모델들을 모두 Chevrolets로 전환하는 것과 일치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현재 올 알루미늄으로 된 1.8L 신형 엔진으로, (벨트 대신) 타이밍 체인에 의해 구동되며, Geo years의 엔진보다 (동일한 연비로)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한다. 신형 올 알루미늄 1ZZ-FE 엔진은 모든 코롤라, 스프린터, 프리젬스에 동력을 공급해 이 세대를 이전 세대보다 가볍게 만들었다. 이 새로운 엔진은 이전 코롤라 모터(4A-FE & 7A-FE)의 밸브 가이드에 맞는 기존 수축기 대신 레이저 에치 밸브 가이드를 블록에 직접 통합했다. 이는 오일 연소 및 밸브 가이드 고장을 방지했다.
Prizm은 코롤라와 함께 컴팩트 클래스에서 사이드 에어백 옵션을 제공하는 첫 번째 차가 되었다. LSi의 선택적 취급 패키지(프론트 스태빌라이저 바 포함)가 없는 1998년식 모든 프리짐은 소비자 보고서에 의해 허술한 비상 취급으로 선정되었다. 도요타는 1999년 이 문제를 취급 패키지 표준을 정함으로써 해결했다. 2000년 동안 엔진은 가변 밸브 타이밍을 얻어 5마력(최대 125마력)의 추가 마력을 얻었다.
판매 감소, 낮은 인기, 그리고 쉐보레 캐벌리어와 GM의 새턴 S 시리즈 코롤라와의 더 직접적인 경쟁사 때문에 프리젬은 2003년부터 폰티악 바이브로 대체되었다. 바이브는 NUMMI 공장에서 도요타 모델인 도요타 매트릭스와 함께 제작되기도 했다.
프리젬은 1998년 지오에서 쉐보레로 브랜드 디노미네이션이 바뀌면서 지오 형제와 함께 심각한 매출 손실을 입었다. 지오 모델은 리바이드된 쉐보레를 3대 1로 앞섰다.
트림 & 옵션
- 세단:
- • 1998-2002년
- LSi • 1998-2002
토요타 코롤라와의 비교
3세대 중 어느 세대에서도 프리즈m은 사실상 도요타 코롤라와 같은 차였다. 지오와 쉐보레의 다른 자동차에 비해 생산되는 기간 동안 도요타와 유사성이 더 크다. 그 구별은 사소한 미용상의 차이, 1992년 이후 GM 델코 라디오, 3대에 걸친 마차 이용 불가, 1989-1992년 모델년도의 해치백(Corolla는 그 해 동안 북미에서 해치백으로 제공되지 않았다). 3세대 프리짐도 코롤라의 덴소 에어컨 대신 델파이 에어컨 시스템을 선보였다. 모든 프리젬스는 또한 코롤라 선수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현대의 스프린터 프런트 엔드를 사용했다.
엔진
모든 Prizms는 현대식 도요타 코롤라 모델의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 1990-1992년 Geo Prizms는 4A-FE 또는 옵션 4A-GE 엔진으로 구동됨
- 1993–1997년 Geo Prizms는 4A-FE 또는 옵션 7A-FE 엔진으로 구동됨
- 1998-2002년형 쉐보레 프리젬스는 도요타의 1.8 L 1ZZ-FE 인라인 4엔진을 장착했으며, 2000-2002년형 모델에는 VVT-i(지능을 갖춘 가변 밸브 타이밍)가 탑재됐다.
참고 항목
참고 문헌 목록
- 1990 Geo Prizm 세일즈 브로셔 (1990) by Geo
- 1997년 Geo Prizm 세일즈 브로셔(1994) by Geo
- 1995년 Geo Prizm 세일즈 브로셔 (1995) by Geo Prizm Sales 브로셔 (1995)
- 1996년 Geo Prizm 세일즈 브로셔(1996) by Geo Prizm Sales Brafter(1996)
- 1997년 Geo Prizm 세일즈 브로셔(1997) by Geo
- 1998 Chevrolet Prizm 세일즈 브로셔 (1998년)
- 1999 Chevrolet Prizm 세일즈 브로셔 (1999년)
- 2000 쉐보레 프리젬 세일즈 브로셔(2000년)
- 2001 Chevrolet Prizm 세일즈 브로셔(2001) by Chevrolet
- 2002년 쉐보레 프리젬 세일즈 브로셔(2002년)
- 1989년 Guy Henle & Consumer Reports의 신차 구매 가이드(1989)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1990년 신차 구매 가이드 (1990년)
- 1993년 빌 하트포드 & 컨슈머리포트(Bill Hartford & Consumer Reports)
- 1994년 빌 하트포드 & 컨슈머리포트의 신차 구매 가이드(1994)
- 1995년 Bill Hartford & Consumer Reports의 신차 구매 가이드(1995)
- 1996년 Bill Hartford & Consumer Reports의 신차 구매 가이드(1996)
- 빌 하트포드 & 컨슈머리포트의 1997년 신차 구매 가이드(1997)
- 1998년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신차 구매 가이드(1998)
- 1999년 소비자 보고서별 신차 구매 가이드(1999)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2000년 신차 구매 가이드(2000년)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2002년 신차 구매 가이드(2002)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중고차 구매 가이드(1997)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중고차 구매 가이드(1998)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중고차 구매 가이드(2001)
- 소비자 보고서에 의한 중고차 구매 가이드(2002)
참조
- ^ a b Kowalke, Ron, ed. (1999). Standard Catalog of Independents: The Struggle to Survive Among Giants. Iola, WI: Krause Publications, Inc. p. 267. ISBN 0-87341-5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