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53°19'09°N 060°25'33″W/53.31917°N 60.42583°W/ 53.31917; -60.42583

CFB 구스베이

CFB Goose Bay
CFB 구스베이
구스베이 공항;
CFS 구스베이
해피밸리-구스베이, 뉴펀들랜드, 캐나다 래브라도
CYYR
CYYR
CFB 구스베이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의 위치
좌표53°19'09°N 060°25'33″W/53.31917°N 60.42583°W/ 53.31917; -60.42583
유형군공군기지/민간공항
사이트정보
주인캐나다 정부
교환입니다. 캐나다 왕립 공군
1941(1941) – 현재
민간운영자구스베이 공항공사
웹사이트http://www.rcaf-arc.forces.gc.ca/en/5-wing/index.page ?
현장이력
지었다.1941 (1941) – 1943 (1943)
빌드: 캐나다 왕립 공군
사용중1941(1941) – 현재
수비대 정보
현재의
사령관
가이 파리지앵 중령
개리슨5 윙
재실자444 전투지원중대
5 윙 에어 리저브 비행
전진 작동 위치 구스 베이
비행장 정보
식별자IATA: YYR, ICAO: CYYR, WMO: 71816
승진160ft (49m) AMSL
활주로
방향 길이 및 표면
08/26 아스팔트 오버레이가 적용된 11,051ft(3,368m) 콘크리트
16/34 아스팔트 덧씌우기 9,222ft(2,920m) 콘크리트
14/32 1,600m(5,200ft) 자갈
09/27 1,500ft(460m) 자갈
호스팅된 장치 배포 위치:

루프트바페 1980년 ~ 2005년
2001년 ~ 2005년 에어로네리카 밀리타레

네덜란드 왕립 공군 1985~2005
RAF(U) 구스베이
Royal Air Force Panavia Tornados
RAF(U) Goose Bay Leuchars badge
유형영국 공군 부대
사이트정보
주인국방부
교환입니다. 영국 공군
조건.닫힘
현장이력
지었다.1941 (1941)
사용중1942–2005 (2005)
운명.
수비대 정보
개리슨No.1 그룹
재실자제14비행단
No. XV(R) 편대
17번중대
제20비행단
제25호 (전투기) 편대
제31비행단
617호 중대
구스 공군기지
USAF F-15 at Goose AFB
Goose Air Defense Sector
유형미 공군기지
사이트정보
주인국방부
교환입니다. 미국 공군
조건.닫힘
현장이력
지었다.1941 (1941)
사용중1942–1976 (1976)
운명.
수비대 정보
개리슨항공우주방위사령부
전략공군사령부
동북공군사령부
구스 방공 부문
항공수송사령부
재실자21 항공 사단
제26항공사단
37 항공 사단
제64항공사단
제95전략비행단
4082d 전략비행단
제59전투중대
제641항공기통제중대
4732d 방공군
6603d 공군기지단
제21공군
RCAF 구스 베이 스테이션 본부 c.1957
5 윙 구스 베이
CFB 구스베이의 루프트바페 토르나도스
CH-135 Twin Huey from Base Rescue Goose Bay (후에 444 중대)
CFB 구스베이에 전시중인 아브로 불칸 XL361

캐나다군기지 구스베이(, IATA: YYR, ICAO: CYYR)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해피밸리 구스베이에 위치한 기지입니다.캐나다 왕립 공군(RCAF)에 의해 공군 기지로 운영되고 있습니다.주 RCAF 로더 유닛은 5 Wing이며, 일반적으로 5 Wing Goose Bay라고 불립니다.

CFB 구스베이의 비행장도 민간 항공기가 사용하고 있으며 기지의 민간 작전은 구스베이 공항이라고 합니다. 공항은 Nav Canada에 의해 입국 공항으로 분류되며 CBSA(Canada Border Services Agency)에 의해 직원이 근무합니다.이 공항의 CBSA 담당자는 일반 항공기만 취급할 수 있으며, 승객은 15명 이내입니다.

5 Wing의 임무는 북미 영공 방어를 지원하고 RCAF와 연합 공군의 [1]훈련을 지원하는 것입니다.CH-146 그리폰을 비행하는 444 전투지원비행대대와 5 날개 항공예비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CFB 구스 베이는 또한 RCAF CF-18 호넷 항공기의 전진 작전 장소로 사용되며 기지와 주변 지역은 때때로 훈련 기간 동안 캐나다 육군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역사

노스웨스트주변의 평평하고 상대적으로 날씨가 좋은 지역은 예상되는 북대서양 항공 노선을 위한 공항으로 몇 년 동안 고려되어 왔지만, 1941년[2][3] 7월 1일 도미니언 측지측량의 에릭 프라이가 이 지역을 조사한 후에야 구스 베이 지역이 선택되었습니다.프라이는 엘리엇 루스벨트 대위가 지휘하던 유사한 미육군 공군 조사팀을 3일 차이로 따돌렸습니다. 미국팀은 구스 베이가 될 모래 평원에서 프라이와 합류하기 전에 인근 에피넷 포인트를 먼저 조사했습니다.이 조사는 그렌펠 미션에 착륙한 수륙양용 항공기를 사용했습니다. 그 곳에서 [4]배를 타고 탐사를 했습니다.

에릭 프라이는 "공항은 실제로 테링턴 분지의 서쪽 끝 고원에 위치해 있지만 구스 베이와 테링턴 분지 사이의 좁은 곳에서 내륙으로 5마일 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뉴펀들랜드에 갠더 공군기지를 둔 저는 래브라도 지역의 구스 베이 공항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했고 [5]그 제안은 받아들여졌습니다."

영국과 미국의 압력으로 캐나다 항공부는 기록적인 속도로 일했고, 11월까지 3개의 2,100 미터 (7,000 피트) 자갈 활주로가 [6]준비되었습니다.첫 육상 항공기 이동은 1941년 12월 9일에 기록되었습니다.1942년 봄이 되자 전시 암호명 알카리를 달고 있던 이 기지는 영국으로 향하는 항공 교통으로 폭발하고 있었습니다.이윽고, USAAF와 영국 공군(RAF)은 각각 자신들의 용도를 위해 삼각형 기지의 구역을 개발했지만, 공항은 아직 캐나다의 일부가 아닌 뉴펀들랜드 자치령에 위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캐나다의 통제 하에 있었습니다.영국과의 99년 임대 계약은 1944년 [7]10월까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비행장

1942년 경 비행장은 53°20의 RCAF 비행장 – 구스 베이, 래브라도로 명명되었습니다.'N 60°24'W/53.333°N 60.400°W/53.333, -60.400, 서쪽 35도, 고도 45미터(147피트).필드는 "모두 단단한 표면"으로 표시되었으며 다음과 [8]같이 세 개의 활주로가 표시되었습니다.

활주로명 길이 표면
9/27 2,000m (6,600ft) 60m (200ft) 단단한 표면
17/35 1,800m (6,000ft) 60m (200ft) 단단한 표면
5/23 1,800m (6,000ft) 60m (200ft) 단단한 표면

이 시설의 북동쪽은 임시 RCAF 기지로 지어졌으며, 자체 격납고와 관제탑이 완비되었고, 남쪽은 미국인들을 위해 지어졌으며, 앞치마와 격납고, 흙으로 뒤덮인 잡지, 관제탑과 인프라가 업그레이드되고 있었습니다.캐나다와 미국의 기지들은 RCAF[9] 기지로 건설되었고, 나중에 전략 항공[10] 사령부와 항공 우주 방위 사령부의 부대들을 수용하는 구스 AB로 알려진 미국 공군 기지로 건설되었습니다.이후 영국 공군, 루프트바페, 에어로네타리카 밀리타레, 네덜란드 왕립 공군의 영구적인 분견대의 본거지가 되었고, NATO 국가들의 임시 배치도 이루어졌습니다.

냉전사

1950년 - 리비에르 뒤루프 사건

구스 공군기지는 1950년 미 공군 전략항공사령부(SAC)가 여름에 11개의 모델 1561과 마크 4 원자폭탄을 기지에 배치하고 [11]12월에 그것들을 날려보냈을 때 캐나다 최초의 미국 핵무기가 있던 곳입니다.폭탄들 중 하나를 싣고 데이비스-먼턴 공군 기지로 돌아오는 동안, 미 공군의 B-50 중폭격기가 엔진 고장에 부딪혀 떨어져야 했고, 재래식으로 세인트 로렌스 상공에서 폭탄을 터뜨려 우라늄-238로 강을 오염시켰습니다.

1954년 - 전략항공사령부 무기보관소[3] 건설

구스 공군기지에 있는 SAC의 무기 저장고 [12]건설은 1954년에 공식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그 지역은 철조망으로 덮여있는 두 개의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습니다.이곳은 구스 공군기지에서 가장 높은 보안 구역이었고,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 경비원집 1개
  • 하나의 관리 건물
  • 창고 3개(기준예비품 1호, 기준예비품 2호, 공급창고)
  • 6개의 가드 타워
  • 1개의 플랜트 그룹 빌딩
  • 핵무기 비저장용 지구피복 잡지 5종
  • "pit" 보관을 위한 흙으로 덮인 4개의 잡지("bird cages"를 보관하기 위해 금고와 선반으로 구성됨)

1951~1952년 해외작전기지로 건설된 시디 슬리만 공군기지, 벤 게이어 공군기지, 누아수르 공군기지에 위치한 모로코의 3개 SAC 무기창고와 날씨와 지형에 대한 약간의 수정만 있을 뿐 구스 공군기지 무기창고의 설계와 배치는 동일하였습니다.1971년 [13]6월 구스 공군기지 무기창고에 보관 중이던 마지막 핵폭탄 부품이 철거됐습니다.

1958년 - 방공사령부 탄약고[3] 건설

1958년 [14]구스 공군기지의 방공사령부 탄약고 건설이 완료되었습니다.SAC 무기 저장 구역으로의 확장은 이전에 건설된 구역 바로 옆에 별도의 출입구가 있습니다.이 지역 내에 지어진 건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장동 3개
  • 경비실 1개
  • 미사일 조립 건물 하나.

저장고는 GAR-11/AIM-26 "핵" 팰콘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조각으로 보관되므로 사용하기 전에 조립이 필요합니다.

1976년 - 미 공군 전략 항공 사령부의 해체와 구스[3] AB의 폐쇄

이전의 미국 시설은 CFB 구스 베이로 재지정되었습니다. (이 시설 이름이 사용된 것은 두 번째입니다.)1953년 이후 미 공군이 건설하고 개선하여 캐나다로 이전한 비행장과 시설의 가치는 미화 2억[citation needed] 5천만 달러(오늘날 13억 달러에 해당) 이상으로 추산되었습니다.1976년까지 모든 SAC 자산은 중단되었고, 오직 USAF 물류 및 수송 지원만 남았습니다.

1980년 - 다국적 저준위 비행훈련 강화

베트남 전쟁에서 얻은 교훈과 유럽에 배치소련의 대공 레이더와 지대공 미사일 기술의 발전대응하여 NATO 동맹국들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탐지를 회피하는 저고도 비행을 의무화하는 새로운 교리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CFB 구스베이는 래브라도에 위치해 있으며, 인구는 약 30,000명, 면적은 294,000km2(114,000평방미터)로 저고도 비행훈련을 하기에 최적의 장소입니다.래브라도의 거주지가 희박하고 소련의 일부 지역과 유사한 지역 지형과 유럽 NATO 국가들과 인접해 있어 CFB 구스베이는 [citation needed]1980년대 여러 NATO 공군들의 주요 저급 전술 훈련 지역으로 성장했습니다.

전투기에 의한 저고도 비행의 증가는 이누 네이션이 지상에 근접초음속으로 이동하는 항공기의 소음이 야생동물, 즉 순록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example needed] 작전에 대해 큰 소리로 항의했기 때문에 심각한 논란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전통적인 [15][16][17][18]땅에서의 삶의 방식에 폐를 끼치고 말았습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CFB 구스베이는 영국 공군, 루프트바페, 네덜란드 공군(RNLAF),[3] 에어로네타리카 밀리타레에서 영구적인 분리대를 유치했으며, NATO 국가들로부터 임시로 파견되기도 했습니다.RNLAF 상설파견대는 1990년대에 CFB 구스베이를 떠났지만,[citation needed] 그 이후로 임시 훈련 게시물이 제공되었습니다.구스베이는 자국의 높은 인구 집중도와 저고도 비행을 금지하는 수많은 법들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공군들에게 매력적인 훈련 시설이었습니다.1,300만 헥타르 (13만 km2; 50,000 평방 마일)의 폭격 거리는 몇몇 유럽 [Note 1]국가들보다 더 큽니다.

1983년 – 우주왕복선 엔터프라이즈호 방문

1983년, 우주왕복선 엔터프라이즈호를 실은 NASA 보잉 747 수송기가 유럽 투어를 가는 도중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CFB 구스 베이에 착륙했고, 그곳에서 원형 셔틀이 프랑스와 영국에 전시되었습니다.미국 우주왕복선이 미국 밖에 [19]착륙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1988년 – 장거리 레이더 폐쇄

1988년 CFB 구스베이와 인접한 파인트리 라인 레이더 사이트(멜빌 에어 스테이션)가 폐쇄되었습니다.

탈냉전 역사

1990년 걸프전

구스베이는 1990년 8월 사막 방패 작전사막 폭풍 작전으로 인해공군 공수사령부(MAC)의 교통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한 때, MAC 항공편은 시간당 평균 2편의 속도로 도착했습니다. 정상 속도는 한 달에 2~3편이었습니다.증가의 일부는 같은 시기에 발생한 허리케인 베르타에 의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미 공군은 증산된 물동량을 관리하기 위해 추가 인력을 기지에 배치했습니다.전반적으로 연습 [20]리포저와 같은 기존의 대량의 항공기와 유사해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1993년 – 기지 구조 비행 및 444 전투 지원 비행대

구스베이에서 운항하는 제트 항공기에 구조 및 사거리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캐나다군CH-135 트윈 휴이 헬리콥터 3대로 구성된 기지 구조 비행을 제공했습니다.1993년에 기지구조비행대는 444 전투지원비행대대로 재편성되어 3대의 헬리콥터로 구성된 같은 비행대대를 계속 운용했습니다.1996년에 CH-135는 3대의 CH-146 [21][22]그리폰 헬리콥터로 대체되었습니다.

2001-9/11 옐로우 리본 작전

2001년 9월 11일, CFB 구스베이는 뉴욕의 세계 무역 센터와 워싱턴 D.C.국방부에 대한 9/11 테러 공격의 결과로 북미 영공이 폐쇄된 후 옐로 리본 작전의 일환으로 대서양을 횡단하는 7대의 여객기를 유치했습니다.또한 캐나다 최초로 전용 [citation needed]항공기를 도입한 공항이기도 합니다.

2005년 - 다국적 저준위 비행훈련[3] 중단

2004년 영국 공군은 2005년 3월 31일부터 영구적인 영국 공군 파견을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독일이탈리아 공군은 2006년까지 이 기지를 사용하기로 협정을 맺었지만 2004년 현재는 갱신되지 않았습니다.이들 공군은 여전히 구스베이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지만,[23] 대신 시뮬레이터 훈련을 시작할 계획입니다.이 기지는 저급 전술 훈련 시설이자 RCAF의 전진 배치 장소로서 역할을 계속하고 있습니다.[citation needed]

2005년 – 탄도 미사일 방어

롬키자유당 상원의원과 같은 노동당 정치인들은 CFB 구스베이를 미 국방부가 개발 중인 미사일 방어 레이더 시스템의 부지로 사용할 것을 주장했습니다.방산업체 레이시온의 임원들은 CFB 구스 베이를 그러한 레이더 설비를 [24]배치하기에 적합한 장소로 조사했습니다.

항공사 및 운항 노선

민간 항공편은 츠바이브루켄 크레센트에 위치한 더 작은 터미널 구조를 사용합니다.2012년에는 민간인의 [25]이용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터미널 구조물이 건설되고 있습니다.터미널에는 하나의 소매점인 Flightline Cafe와 Robin's Donuts Shop이 있는 Gifts가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여객기(특히 보잉 757과 같은 중거리 항공기)들이 계획되지 않은 연료 정지를 위해 구스 베이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북대서양 [26]상공의 계절적으로 강한 제트 기류의 영향을 받는 대서양 횡단 항공편의 경우 일반적입니다.비행장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민간 항공사들은 정기적으로 이 곳으로 가는 정기 항공사들이 아닙니다.

항공사목적지
에어 보렐리스 호프데일, 막코빅, 나인, 나투아시시, 포스트빌[27]
에어 캐나다 익스프레스 핼리팩스[28]
PAL 항공 블랑새블론, 처칠 폭포, 디어레이크, 갠더, 세인트루이스 앤서니, 세인트존스, 와부시

헬리콥터 용선은 CHC 헬리콥터, 쿠거 헬리콥터, 유니버설 헬리콥터에 의해 운영됩니다.

에어 래브라도는 2017년 이누 미쿤 항공과 합병하면서 에어 보렐리스로 운항을 중단하기 전까지 공항의 임차인이었습니다.그것은 주로 구스 베이에서 뉴펀들랜드와 래브라도와 [29]퀘벡의 외딴 지역사회로 날아갔습니다.

역사적인 항공사

1950년, 캐나다 횡단 항공(TCA)은 더글러스 [30][31]DC-4의 캐나다 제조 버전인 캐나다 노스 스타 항공기와 함께 비행한 몬트리올 도발 - 구스 베이 - 글래스고 프레스트윅 - 런던 공항을 경유하여 공항에 정차하는 왕복 대서양 횡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1962년까지 트랜스캐나다는 비커스 뱅가드 터보프롭 [32]항공기로 운항하던 몬트리올 도발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을 일주일에 두 번씩 쉬지 않고 구스베이에 취항했습니다.1981년 Eastern Provinal AirwaysChurchill Falls, Dear Lake, Halifax, Montreal Dorval, St. Johns, Stephenville, Wabush에서 쉬지 않고 보잉 737-200 제트기 서비스를 제공한 유일한 항공사였지만, 이들 항공편은 매일 [33]운항되지 않았습니다.1989년까지 캐나다 항공 인터내셔널은 보잉 737-200 제트기를 몬트리올 도발까지 주 [34]4일간 쉬지 않고 운항했습니다.2021년 1월 23일, 에어 캐나다 익스프레스는 코로나19 [35]범유행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인해 공항에서 핼리팩스까지 운항을 종료했습니다.서비스는 [28]2022년 4월 30일에 복귀하였습니다.

부대, 중대 및 편대

CFB 구스 베이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36]

고정 베이스 연산자

CFB 구스 베이에는 다음과 같은 FBO(fixed-base operator)가 있습니다.

오염

비행장 차트, CFB 구스 베이

현장과 주변 지역이 심하게 오염된 것은 수십 년에 걸친 군사 [38]작전의 결과입니다.수년간 폐기물은 현장에서 처리되었습니다.오염은 주로 폐기물 쓰레기 더미와 저장 탱크, 파이프라인, 장비에서 발생하는 물질 누출 때문입니다.이로 인해 현장의 토양과 지하수 모두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중금속, 폴리염화비페닐 등의 [39]유해물질로 오염됐습니다.또한, 2014년에는 정화가 [40]시작되기 전에 용해되지 않은 석유가 100만 리터 이상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이 오염은 기지 [41]내 100개 이상의 개별 장소에 퍼져 있습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은 기지 자체에서 인근 사유지와 지방 소유 [42]토지로 확산되었습니다.2004년에 주변 지역의 지하수 오염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국방부는 지역 농부들에게 추가적인 테스트가 [43]끝날 때까지 우물물 사용을 피하라고 경고했습니다.

교정조치

작업은 2009년에 복구 작업을 시작하여 2028년에 완료될 예정입니다.2022년 기준으로 연방정부는 [44]1억 4,290만 달러를 들여 사이트를 복구했습니다.물속의 [45]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쓰레기장 중 한 곳이 공학적 습지로 탈바꿈했습니다.또 46,000m가3 넘는 오염된 토양을 청소해 [46]현장으로 돌려보냈습니다.700,000리터 이상의 탄화수소가 회수되었고 500만리터 이상의 오염된 지하수가 처리되었습니다.

이중상 진공 추출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현장 정화에 사용되었습니다.

사고 및 사고[47]

  • 1945년 12월 23일, 캐나다 왕립 공군의 더글러스 C-47B 다코타 IV가 눈보라 속에 착륙과 동시에 추락했습니다.
  • 1947년 12월 10일, 구스베이에서 이륙한 직후 미국 공군의 더글러스 C-54D-5-DC가 숲이 우거진 지역에서 추락하여 불에 타 23명이 사망했습니다.
  • 1950년 11월 10일 리비에르 뒤루프 핵폭탄의 보잉 B-50 슈퍼포트리스가 미국 마크 4 핵폭탄을 데이비스-먼턴 공군기지로 반환하기 위해 구스 AFB를 출발했습니다.
  • 1951년 1월 16일, 미 공군 더글러스 C-47B-1-DL기가 이륙과 동시에 추락했습니다.
  • 1951년 5월 14일, RCAF 더글러스 C-47A-10-DK가 기내에서 분해되어 4명의 승무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1952년 7월 21일, 구스 베이 근처에서 곤충 살포 작업을 하던 중 RCAF 더글러스 C-47A-30-DL기가 추락했습니다.3명의 선원들이 살해당했습니다.
  • 1956년 4월 10일, 캐나다 U-1A 오터가 09번 활주로에서 이륙 후 추락하여 3명이 사망했습니다.
  • 1956년 7월 6일, 미국 공군 보잉 KC-97 스트라토 화물기가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에서 비행기를 타고 구스 AFB로 내려오던 중 화재가 발생했습니다.비행기는 구스베이 북동쪽 72km 지점에 추락해 승무원 [48]6명이 모두 사망했습니다.
  • 1957년 10월 1일, 동부 지방 항공의 통합 PBY-5A 카탈리나가 소나 호수의 벨 캐나다 대류권 산란장에 디젤 연료를 공급하고 구스 베이로 돌아오면서 동력을 잃고 추락했습니다.
  • 1964년 11월 7일, 미 공군 더글러스 C-133A 카고마스터가 이륙 후 전력을 정지하고 추락하여 승무원 7명이 사망했습니다.
  • 1967년 10월 1일, 트랜스 커머스 리스다쏘 팰컨 20C는 연료가 떨어져 구스 베이로 접근하던 중 추락했습니다.
  • 1981년 7월 18일, 루프트바페맥도넬 더글러스 F-4F 팬텀 II가 저준위 훈련 임무를 마치고 구스베이로 돌아오던 중 [49]멜빌 호수에 추락했습니다.
  • 1984년 10월 11일, 래브라도 항공 소속의 드 하빌랜드 캐나다 DHC-6 트윈 오터 100 항공기세인트루이스에서 메디백 비행을 했습니다. 앤서니는 구스베이에 착륙하자마자 추락해 4명이 사망했습니다.
  • 1985년 5월 14일, 노스롭 테스트 파일럿 데이비드 반스는 테스트 비행 중 노스롭 F-20 타이거샤크 시제품(82-0063, c/n GI.1001, N3986B)이 추락하여 사망했습니다.
  • 1986년 1월 10일, 구스베이 항공 서비스의 드 하빌랜드 캐나다 DHC-2 비버(C-GUBD)가 구스베이를 떠나 보더비컨에서 알 수 없는 [50]상황으로 추락했습니다.
  • 1986년 3월 24일, 구스베이 에어 서비스의 드 하빌랜드 DHC-3 오터(C-FAGM)가 스네가무크 호수로 가는 전세기의 귀환 구간에서 구스베이로 비행하던 중 실린더 헤드의 피로로 인한 균열로 인해 엔진의 동력이 상실되었습니다.항공기가 추락하면서 화재가 발생해 탑승자 5명 중 4명이 숨졌습니다.
  • 1990년 5월 10일, 네덜란드 공군제너럴 다이내믹스 F-16A 파이팅 팰콘(J-358)이 그랜드 레이크에서 서쪽으로 13km 떨어진 다른 RNLAF F-16A와 공중에서 충돌하여 조종사가 사망했습니다.J-258의 조종사는 [51]무사히 탈출했습니다.
  • 1991년 2월 8일, 지방 항공의 세스나 208B 그랜드 카라반이 구스베이에 접근하던 중 지상에 추락하여 조종사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1993년 4월 22일, 루프트바페맥도넬 더글러스 F-4F 팬텀 II가 에어쇼 연습 도중 150미터에서 롤 비행을 하다가 지상에 추락하여 승무원 2명이 사망했습니다.
  • 1996년 8월 24일, 루프트바페파나비아 토나도스 2대가 구스베이 서쪽 125km 지점에서 저고도 훈련 중 추락해 조종사 [52]1명이 사망했습니다.
  • 1997년 9월 11일, RNLAF 312편대의 F-16(J-228)이 구스베이 남서쪽 55 nm에 위치한 처칠강 계곡에서 저고도 훈련 비행 중 능선을 통과하지 못하고 나무와 충돌했습니다.항공기는 [53]구스베이로 무사히 돌아왔습니다.
  • 2000년 8월 30일, 루프트바페파나비아 토네이도가 CFB 구스베이 남동쪽 190km 지점에서 저고도 비행 훈련 중 추락하여 승무원 2명이 사망했습니다.
  • 2002년 3월 4일, 지방 항공스왈딩겐 SA227-AC 메트로 III가 구스베이에 착륙할 때 추락했습니다.
  • 2002년 7월 18일, RCAF CH-146 그리폰이 탐색 및 구조 임무를 마치고 5 Wing으로 돌아오던 중, 테일 로터가 항공기에서 분리되었습니다.항공기는 구스 베이 북동쪽 68km 지점에 추락했습니다. 두 승무원 모두 [54]사망했습니다.
  • 2006년 11월 6일, 디하빌랜드 캐나다 DHC-6 트윈 오터 300 기종이 구스베이에 착륙할 때 우측 메인 기어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2017년 9월 30일, 에어프랑스 66편파리에서 로스앤젤레스로 향하던 에어버스 A380-800기(등록명 F-HPJE)에서 메인 팬과 엔진 흡입구가 분리되면서 4번 엔진의 기내 고장이 발생했습니다.비행기는 CFB 구스 베이로 방향을 바꿔 비상 착륙을 했습니다.비행기는 안전하게 착륙했고 승객이나 승무원은 다치지 않았습니다.승객들은 큰 소리와 진동이 뒤따른다는 보고를 받았습니다.비행기가 착륙한 활주로는 엔진 파편이 활주로에 흩어져 있었기 때문에 착륙 후 청소해야 했습니다.구스 베이에는 대형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큰 에어 계단이 없었기 때문에 승객들은 기내에 머물러야만 했습니다.에어프랑스는 몬트리올에서 보잉 777-300 2대를 급파해 승객들을 [55]로스앤젤레스로 계속 데려갔습니다.
  • 2022년 12월 14일, 9월 14일, 누크향하던 파이퍼 PA-46기가 공항 서쪽 5km 지점에서 08번 활주로로 접근하던 중 추락했습니다.탑승자 2명은 중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조종사는 나중에 [56]부상으로 사망했습니다.

사적지

CFB 구스 베이의 행어 8은 [57]2004년에 캐나다의 역사적인 장소로 지정되었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참고문헌

Public Domain 이 기사는 퍼블릭 도메인 자료를 통합합니다.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1. ^ "5 Wing Goose Bay". Canadian Royal Canadian Air Force. 10 April 2013. Retrieved 1 June 2015.
  2. ^ "A World of Opportunities in Canada's Bright Light of the North – Business in Focus". Businessinfocusmagazine.com. 17 December 2015. Retrieved 20 October 2018.
  3. ^ a b c d e f Force, Government of Canada, National Defence, Royal Canadian Air (21 October 2016). "History – 5 Wing Goose Bay- Royal Canadian Air Force". Rcaf-arc.forces.gc.ca. Retrieved 20 October 2018.{{cite web}}: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4. ^ 한센, 195-7
  5. ^ 카, 84–85
  6. ^ 카, 111세
  7. ^ 크리스티, 129세
  8. ^ 스탭 라이터 c.1942, p.
  9. ^ "Military Presence in Labrador".[데드링크]
  10. ^ "Strategic Air Command Bases". Strategic-air-command.com.
  11. ^ Clearwater, John (1998). Canadian Nuclear Weapons: The Untold Story. Dundurn Press Ltd. p. 18.
  12. ^ Seaward, DND, Larry D. (January 1999), Preliminary Information Sheets, Federal Heritage Buildings Review Office
  13. ^ Norris, Robert S; Arkin, William M; Burr, William (November–December 1999), "Where they were" (PDF),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55 (6): 26–35, Bibcode:1999BuAtS..55f..26N, doi:10.1080/00963402.1999.11460389
  14. ^ Seaward, DND, Larry D. (21 January 1999), Preliminary Information Sheets, Federal Heritage Buildings Review Office
  15. ^ "NATO's Invasion: Air Combat Training and its Impact on the Innu". culturalsurvival.org. December 1986.
  16. ^ "When Outrage Is A Scarce Commodity: Low-flying Maneuvers over Innu lands in Labrador". culturalsurvival.org. December 2000.
  17. ^ Gaudi, John (14 December 2019). "New children's book is based on Innu protests of low-level flying in Labrador". CBC News.
  18. ^ Swardson, Anne (17 March 1994). "Indians in Labrador Press for End to Low-Level Flight Training". Washington Post. Retrieved 27 November 2020.
  19. ^ "Shuttle Enterprise begins international tour". UPI. 16 May 1983.
  20. ^ McKay, James R. (16 April 2012). "CFB Goose Bay and Operation "Desert Shield"". Canadian Military History. Laurier Centre for Military Strategic and Disarmament Studies, Wilfrid Laurier University. 14 (3): 71–80.
  21. ^ Air Force Public Affairs /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15 June 2007). "444 Squadron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07. Retrieved 29 October 2007.
  22. ^ AEROWARE / RCAF.com (n.d.). "No. 444 Squadr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October 2007. Retrieved 29 October 2007.
  23. ^ "To Cope with Flying Restrictions, German Pilots Turn to Simulators". Defense Industry Daily. 4 February 2010. Retrieved 25 August 2011.
  24. ^ "U.S. missile company scouts Labrador". CBC News. 22 April 2005.
  25. ^ "CBC.ca – Labrador Morning Show – A tour of the New Airport in Happy Valley Goose Bay (Part 1)". cbc.ca. 12 April 2013. Retrieved 1 June 2015.
  26. ^ "Strong jet stream forcing airliners to make Labrador retrievals". thestar.com. 14 January 2015. Retrieved 1 June 2015.
  27. ^ Churchill Duke, Laura (20 September 2019). "Hopedale woman circulating petition calling for the province to subsidize flights to northern Labrador". Saltwire. Retrieved 23 July 2021.
  28. ^ a b "Air Canada Affirms Market Leadership by Expanding its North American Network this Summer as Recovery Accelerates" (Press release). Air Canada. 22 February 2022.
  29. ^ "Air Labrador Route Ma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17. Retrieved 1 March 2017.
  30. ^ 캐나다 횡단 항공편, 동행 항공편
  31. ^ 캐나다 횡단 항공편, 웨스트행 항공편
  32. ^ 캐나다 횡단 항공편, 빠른 참조 스케줄
  33. ^ "YYR81p1". Departedflights.com.
  34. ^ "YUL89p1". Departedflights.com.
  35. ^ Mullin, Malone (12 January 2021). "Air Canada cuts all service in Labrador, St. John's to Toronto route axed". CBC News. Retrieved 12 January 2021.
  36. ^ a b Force, Government of Canada, National Defence, Royal Canadian Air (10 April 2013). "5 Wing Goose Bay – Royal Canadian Air Force". Rcaf-arc.forces.gc.ca. Retrieved 20 October 2018.{{cite web}}: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37. ^ Force, Government of Canada, National Defence, Royal Canadian Air (30 April 2013). "444 Combat Support Squadron – 5 Wing – Royal Canadian Air Force". Rcaf-arc.forces.gc.ca. Retrieved 20 October 2018.{{cite web}}: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38. ^ "5 Wing Goose Bay Newfoundland Project – Case Study". SGC Industr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rch 2023. Retrieved 29 May 2023.
  39. ^ "Site 01822018 - Canadian Side & Northside". Federal Contaminated Sites Inventory. Government of Canada. January 19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23. Retrieved 29 May 2023.
  40. ^ "The Goose Bay Military Base". Vertex Environmental Inc. 30 September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22. Retrieved 29 May 2023.
  41. ^ "Goose Bay Remediations". Defence Construction Canad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rch 2023. Retrieved 29 May 2023.
  42. ^ "SCOPING DOCUMENT FOR THE 5 WING GOOSE BAY REMEDIATION PROJECT" (PDF). Government of Canada. Impact Assessment Agency of Canada. Retrieved 29 May 2023.
  43. ^ "Toxins from Goose Bay airbase may be spreading, DND warns".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23. Retrieved 29 May 2023.
  44. ^ Blake, Emily (27 November 2022). "Canada's top five federal contaminated sites to cost taxpayers billions to clean up". CTV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23. Retrieved 29 May 2023.
  45. ^ Barker, Jacob. "Turning an old dump into new wetland in Happy Valley-Goose Ba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22. Retrieved 29 May 2023.
  46. ^ "Goose Bay Clean-Up Reaches Its Peak of Activity". Canadian Military Engineer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20. Retrieved 29 May 2023.
  47. ^ Ranter, Harro. "Goose Bay Airport, NL profile - Aviation Safety Network". Aviation-safety.net. Retrieved 28 July 2022.
  48. ^ "Newfoundland & Labrador Bureau of Aircraft Accidents Archives". Baaa-acro.com. Retrieved 28 July 2022.
  49. ^ "A West German air force team has flown into..." Upi.com. Retrieved 28 July 2022.
  50. ^ "C-GUBD with Goose Bay Air Service". Dhc-2.com. Retrieved 28 July 2022.
  51. ^ Ranter, Harro. "Accident General Dynamics F-16A Fighting Falcon J-358, 10 May 1990". Aviation-safety.net. Retrieved 28 July 2022.
  52. ^ "German Jet Fighters Crash". Apnews.com. Retrieved 28 July 2022.
  53. ^ "Airframe Details for F-16 #78-0228". F-16.net. Retrieved 28 July 2022.
  54. ^ "'Small in stature but larger than life': Father remembers helicopter crash victim, 20 years later". CBC News. Retrieved 28 July 2022.
  55. ^ Wang, Vivian (30 September 2017). "Engine Explodes on an Air France Plane, Forcing an Emergency Landing".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1 October 2017.
  56. ^ =https://www.cbc.ca/news/canada/newfoundland-labrador/central-labrador-plane-crash-1.6685457
  57. ^ "HistoricPlaces.ca – HistoricPlaces.ca". Historicplaces.ca. Retrieved 20 October 2018.
  • Lloyd H. Cornett and Mildred W. Johnson, 역사국, Peterson Air Force Base, Colorado, Aerospace Defense Center, 역사국, Loyd H. Cornett and Mildred W. Johnson, 1946–1980 핸드북
  • Winkler, David F. (1997), 하늘을 찾아서: 미국 냉전 방어 레이더 프로그램의 유산미 공군본부 항공전투사령부 준비 완료
  • Melville AS, Gooses Bay, NL에 대한 정보
  • 카, 윌리엄 G:북쪽에 있는 체크메이트.맥밀란, 토론토, 1944년
  • 크리스티, 칼 A.:오션 브릿지.토론토 대학 출판부, 1995.
  • Hansen, Chris: Enfant Thorror: 엘리엇 루즈벨트 장군의 시대와 계획.에이블 베이커, 투손, 2012년
  • 카, 윌리엄 G:북녘의 체크메이트, 1944년
  • Staff writer (c. 1942). Pilots Handbook of Aerodromes and Seaplane Bases Vol. 1. Royal Canadian Air Force.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