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시편자
Latin Psalters다음 시리즈의 일부 |
성경 |
---|
![]() |
성경 관련 주제의 개요![]()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번역 |
---|
![]() |
종류들 |
이론 |
기술 |
현지화 |
기관 |
관련 항목 |
라틴어 시편지는 시편집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것들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라틴 의식의 시간의 리투르기에 사용되는 최고의 리터러시 자원이다.
이 번역본들은 일반적으로 시편이라 불리는 단어의 한 부분이나 별도의 권에 배치되는데, 시편들은 하루의 표준 시간에 기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중세에는 시편가들이 화려한 조명을 받은 원고를 자주 썼고, 로마네스크 시대와 초기 고딕 시대에는 조명을 받기 위해 가장 자주 선택하는 책의 유형이었다.
버전
라틴 교회는 시편 전체 번역을 다소 다르게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 중 로마나, 갈리카나, 콕스타 헤브라쿰 등 3개의 번역본은 전통적으로 라틴 벌게이트의 저자인 제롬이 맡았지만, 로마나는 제롬에 의해 제작되지 않았다. 두 개의 다른 번역본인 피아노와 노바 벌가타는 20세기에 만들어졌다.
이러한 번역의 상당수는 사실 서로 상당히 유사하며, 특히 문체상으로는 로마자, 암브로시안자, 모짜라브어 시편 등이 비교적 적은 차이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세 가지 모두를 부르는데 동일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연관성도 386~389년 사이에 만들어진 제롬의 갈리칸 시편(베르시오 갈리카나)이 있는데, 이 시편은 헥사플라 셉투아긴트의 그리스어에서 번역된 것이다. 후에 제롬은 히브리어로 된 시편집을 번역했는데, 이 번역본을 versio juxta hebraicum이라고 한다. 노바 벌가타 시편(1979)은 이것들과 스타일리시하게 유사하지만 히브리어 마소레틱 텍스트에 더 가깝게 따라갈수록 오히려 이러한 전통적인 시편에서 더 많이 분리된다. 이 시편지들 중 두 개는 히브리어와 독립된 번역으로 구분된다: 제롬의 헥스타 헤브라쿰과 피아노 버전(1945)이다.
베르시오 베투스 라티나
구 라틴 성경의 시편자인 시편 베투스라고도 불린다. 라틴어 저자들의 시편에서 인용된 인용구는 4세기 중엽에 관련있지만 뚜렷한 구 라틴어 퇴폐가 많이 나돌았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들은 당시 카르타고의 키프리아인의 작품에서 발견된 퇴고문인 구 라틴어 '사이프리아어 시살터'를 상당 부분 대체했으며, 이 작품들은 도나티스트들의 4세기 저술에서만 살아남았으며, 모두 잃어버린 3세기 초 판의 수정본으로 생각된다.[1]
몬테 카시노(Ms. Cas. 557)의 12세기 라틴어 성경에는 로마, 갈리칸, 아이유스타 헤브라에오스 시편과 나란히 보존되어 있는데, 헥사플라 그리스어의 기둥을 참조하여 광범위하게 정정된 시편 4번째 완결판이 있으며, 아마도 밀라노에서 생존한 것과 유사한 헥사플라 시편문의 주상 필사본을 사용했을 것이다. 이 원고의 라틴어 본문은 3세기 초의 '사이프리아어 시편'과 일치한다고 여겨진다.[1]
베르시오 암브로시아나
이것은 밀라노에서 사용하기 위해 암브로시안 의례에서 사용되는 버전이다.[2]
베르시오 모차라비차
이것은 톨레도에서 사용하기 위해 모짜라브 의식에 사용되는 버전이다.[2]
베르시오 로마나
베르시오 로마나 또는 로마누스라고도 불리는 로마 시편은 전통적으로 제롬이 384년에 완성한 시편을 최초로 수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베르시오 베투스 라티나로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그리스어 공통의 본문에 있는 시편과 좀 더 일치하도록 수정하였다. 더 최근의 장학금은 이 이론을 거부한다.[3] 로마 시편집은 사실 4세기 중엽 라틴 시편 5개의 알려진 개정판 중 하나이지만, 다른 네 개와 비교했을 때, 로마 시편집의 개정판은 서투른 라틴어로 되어 있고, 특히 조화 판독을 바로잡지 못하는 제롬의 알려진 번역적 원리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롬의 서신(특히 길고 상세한 서신 106)을 보면, 비록 어떤 책임도 인정하지 않았지만, 이 시편지에 익숙했다는 것이 분명하고, 결과적으로 살아남은 베르시오 로마나는 제롬이 발견한 것처럼 최소로 수정된 로마 문자를 대표한다고 추측된다.[4]
로마판은 로마 미살(Missal)에 보존되어 있고, 그레고리우스 교황의 저술에서 발견되지만, 신관부에게는 9세기 이후부터 제롬의 이른바 갈리칸(Galican)판으로 서쪽 대부분에 걸쳐 대체되었다. 그것은 영국에서 노르만 정복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고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는 그 조각들이 성 베드로 사무소에서 사용되었다. 1609년부터 1807년까지 베니스의 마크 대성당.[5]
베르시오 갈리카나
갈리칸 시편(Galican Psalter, 9세기부터[6] 가울에 퍼졌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으로도 알려진 베르시오 갈리카나 또는 시잘테리움 갈리칸움은 전통적으로 제롬이 386~389년 사이에 헥사플라자의 그리스어로 만든 시편을 제롬의 두 번째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7] 이것이 식스토클레멘타인 벌게이트 성경의 시편이 되었다.[6]
이 가장 영향력 있는 시편가는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그 기원이 셉투아긴트의 번역이기 때문이다.[8] 셉투아긴트에 이어 의인화를 지양한다. 예를 들어 히브리 시살터에서는 록이라는 용어를 신에게 수없이 적용하지만 라틴어 페트라라는 용어는 갈리카나에서 신의 대명사로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 refugium, "난민", locus militus, "힘의 장소" 또는 "부관자"와 같은 더 추상적인 단어들이 사용된다.[9]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리쿰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라쿰 또는 베르시오 아이유스타 헤브라에오스는 제롬이 마지막으로 만든 것이다. 라틴어로 쓰여졌음에도 불구하고 흔히 비공식적으로 "히브루 시살터"라고 불린다. 단순히 갈리카나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는 이 시편을 히브리어에서 새롭게 번역하여, 마소레틱 이전의 원고 ca. 392를 사용하였다.[10] 이 시편은 알쿠인의 개혁이 카롤링거의 재판 개혁과 연계되기 전까지 성경책에 있었다. 알쿠인은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라쿰을 당시 가울에서 사용하던 시살터 버전으로 교체했다. 후자는 갈리칸 시편(위 절 참조)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라쿰을 대체하였다.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라쿰은 갈리칸 시편가가 다른 곳에서 대체한 후 오랫동안 벌게이트의 스페인 필사본에 보관되었다.[11]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라쿰은 리투르기에 사용된 적이 없다.[12]
베르시오 피아나
비오 12세에 따라 교황청 성서연구소에서 베르시오 피아나, 시편(Psalterium) 바티칸툼 또는 노밤 시편(Novum Psalterium)으로 알려진 [13]시편(Psalms)의 새로운 라틴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14][13][15] 이 번역은 히브리어로 된 것이다. 그것의 라틴어는 성서적인 문체보다는 고전적인 양식을 채택했다. 이 버전은 때때로 그것의 작가인 아우구스틴 베아의 이름을 따서 Bea psalter라고 불린다.[a][16] 1945년에, 그것의 사용은 공식적으로 인코티디아니스 사전버스를 통해 교황에 의해 허용되었지만, 필요하지 않다.[13][15][16]
베르시오노바불가타
1969년 갈리칸 시편가의 시와 문체를 많이 간직하면서 마소레틱 텍스트를 번역한 새로운 시편이 출간되었다.[17] 1969년 시편집은 9월분순의 열거보다는 시편들의 마소레틱 번호 부여를 따른다는 점에서 이전 버전에서 벗어난다. 1986년 발행된 로마 사무소 판에 사용된 시편이다.[18]
비교
Below is a comparison of Jerome's two versions of the first three verses of the psalm Venite exsultemus (psalm 94 (95)) with the Vetus Latina, Ambrosiana, Mozarabica, Romana, Gallicana, and Hebraicum versions, as well as the two 20th century versions (Piana and Nova Vulgata), which illustrates some of the distinctions noted above:
베르시오 베투스 라티나[19] | 베르시오 암브로시아나[20] | 베르시오 모차라비차[21] | 베르시오 로마나[22][23] | 베르시오 갈리카나[24][25] | 베르시오 헥스타 헤브리쿰[26] | 베르시오 피아나[24][27] | 베르시오노바불가타[28] |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 | 시살무스 94(95) |
베나이트, 도미노의 엑설테무스: 주빌리무스 데오 살루타리 노스트로. | Venite, exultemus Domino: jubilemus Deo salutari nostro. | 베나이트, 도미노에 엑설테무스, 이우빌레무스 데오 살루아토리 노스트로 | 베나이트, 엑설테무스 도미노, 이우빌레무스 데오 살루타리 노스트로. | 베나이트, 엑설테무스 도미노, 쥬빌리무스 데오 살루타리 노스트로, | 베니테로데무스 도미니툼 이우빌레무스 페트레이 이에스노스트로 | 베나이트, 엑설테무스 도미노, 아크릴메무스 페트레이 살루티스 콧구멍: | 베나이트, 엑설테무스 도미노, 이우빌레무스 데오 살루타리 노스트로. |
고해성사의 Prvenveniamus Vultum ejus: et in psalmis jubilemus ei. | 고해성사의 프르베니아무스 파시엠 ejus: et in psalmis jubilemus illi. | 고해성사에 있는 프리occupemus pasiem eius, psalmis iubilemus ei 등에 있다. | Pr confessionoccupemus fasiem eius in resolute, et et et psalmis iubilemus ei. | 고해성사의 프르보쿠페무스 파시엠 ejus, 시편 주빌리무스 ei 등: | 사탕수수 이우빌르무스 ei의 그라티아룸 액티비언에 있는 praeoccupemus vultum eius. | conspectum eius cumlaudibus의 악센트, Cum canticis exsultemus ei. | Psalmis Iubilemus ei의 고백 등에 있는 Praeoccupemus fasiem eius. |
Quia Deus magnus est, et 렉스 magnus super omnes deos: Quia non refrett Dominus populum sumum. | Quoniam Deus magnus Dominus: et Rex magnus super omnes deos. | Quoniam deus magnus dominus, 렉스 magnus super monthem terram. | Quoniam Deus magnus Dominus, et rex magnus super omnes deos. | 콰니암 데우스 마그누스 도미니우스 등 렉스 마그누스 슈퍼 옴네스 드오스. | quoniam fortis et magnus et dominus et 렉스 magnus super omnes deos | Nam Deus magnus est Dominus, Et Rex magnus super omnes deos. | Quoniam Deus magnus Dominus, et rex magnus super omnes deos. |
열거
시편 열거는 노바 벌가타에서 이전 버전에서 사용된 것과 다르다. 이전 버전은 그리스 셉투아긴트에서 열거한 것이다. 베르시오 노바 벌가타는 히브리어 마소레틱 텍스트에서 그 목록을 취한다.
벌게이트 및 기타 초기 버전에 사용된 이전 열거, 9월분에서 추출 | Versio Nova Vulgata 및 가장 현대적인 영어 성경에서 사용된 새로운 열거형; 마소레틱 텍스트에서 가져온 것 |
---|---|
1-8 | |
9 | 9-10 |
10-112 | 11-113 |
113 | 114-115 |
114-115 | 116 |
116-145 | 117-146 |
146-147 | 147 |
148-150 |
- 노바 벌가타의 시편 9와 10은 구 버전의 시편 9로 함께 수록되어 있다.
- 노바 벌가타의 시편 114와 115는 이전 버전의 시편 113이다.
- 이전 버전의 시편 114와 115는 노바 벌가타에서 시편 116으로 나타난다.
- 이전 버전의 시편 146과 147은 노바 벌가타에서 시편 147을 형성한다.
- 이전 버전의 시편 10-112 및 116-145(150개 중 132개)는 노바 벌가타에서 같은 시편보다 1개 낮은 번호로 번호가 매겨진다.
- 시편 1-8과 총 11편인 148-150에는 구본과 신본 모두 같은 번호가 매겨진다.
사단
아래에 기술된 도식과는 별도로, 중세 시편지에서는 시편지문을 숫자 순서대로 부분이나 구획으로 나누는 것이 관례였는데, 그 시작은 일반적으로 다른 시편지보다 훨씬 크고 장식된 초기 문자로 표시되었다. 시편 1편 'B'인 비투스 비르(Beatus Vir)는 보통 가장 확대·장식되었으며, 그 두 단어가 한 장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글자의 둥근 모양은 장식에 매우 적합하다. 이것들은 종종 "Beatus 이니셜"이라고 불린다. 중세 초기의 시편에서는 시편 1, 51, 101에 장식된 글자가 있는 3중분단이 전형적이었으나, 고딕 시대에 이르러서는 프랑스어 시편들이 흔히 8개 섹션으로 나뉘었고, 시편 1, 26, 38, 51, 52, 68, 80, 97, 101, 109에서는 영어 시편들이 10개로 나뉘었다.[29]
셰마타
체계(라틴 스키마, 복수형 스키마)는 다양한 표준 시간에 배포하기 위한 시편 전체 또는 대부분의 시편을 배열한 것이다. 적절한 시편 외에도, 이 도식들은 일반적으로 성경의 다른 책들에서 나온 시편과 같은 칸티클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1971년 '시간'의 리투르기는 몇 개의 시편과 몇 개의 구절을 생략하고 나머지 부분을 4주 주 사이클에 걸쳐 배포하지만, 이 도식들은 1주일의 기간 동안 캔디클이 첨가된 시편 150편을 전부 배포했다. 보다 중요한 계획의 일부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30][31]
서비스 순서는 회전 스키마 외에도 일반 텍스트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는 보통 시편 94(95)인 Invitative와 칸티클인 베네딕투스 도미너스, 마그니카트, 너크 디미티스가 포함된다.
교황 비오 5세의 스키마
트렌트 평의회의 의뢰로 성 비오 5세는 1568년 로마 의례의 교회에서 사용하기 위해 로마 브레비야리의 개혁을 발표했다. 이 약어에 사용된 계획은 일부 세부사항에서 St의 계획과 다르다. 베네딕트, 그러나 전체적인 패턴을 따른다.[32][33] 몇몇 분명한 차이점들은 일요일이 세 개의 녹턴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날은 한 개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라우즈와 낮 시간은 시편에서 편차가 적었고, 컴플린은 시편을 30편으로 추가했다. 게다가, St. 베네딕트는 "분할된" 시편을 많이 사용했는데, 로마 의례는 시편 118편만 나누었다.
이 계획은 도미니카인[34](그 중 교황 비오 5세가 회원으로[35] 있었다)과 같은 많은 종교적 명령에도 사용되었다.
교황 비오 10세의 스키마
1911년, 교황 비오 9세는 로마 브레비야리를 개혁하여 시편을 새로운 계략으로 재구성하여 반복을 적게 하고, 요일마다 대략 같은 양의 시편을 편찬하였다.
시편 94(불화)는 매틴스의 초창기에 매일 낭송되었다. 라우즈에게는 두 가지 계획이 있다. 라우즈 1세는 9월달부터 팜 선데이까지를 제외하고 모든 일요일과 페리아에 축하되었고, 일년 중 어느 때라도 축하하는 잔치였다. 라우즈 2세는 좀 더 참회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성탄절 철야까지, 그리고 성탄절부터 성주의 월요일까지 재림절의 일요일과 페리아에 사용되었다. 파스칼타이드 외곽의 제2종과 제3종의 시위에도 사용되었다. 라우즈 2세가 언급되었을 때, 생략된 시편은 참회 시즌 동안 매주 150편의 시편을 모두 포함하기 위해 프라임에서 4번째 시편으로 언급되었다. 라우즈 2세와 함께 일요일에는 계획이 92, 99, 118i, 118ii가 되었다. 일요일 시편을 사용한 잔치에서는 53, 118i, 118ii가 프라임에서 언급되었다. 에피파니와 펜테코스트 이후 일요일에는 프라임에서 4번째로 아타나시안 신조가 발표되었는데, 더블 잔치 기념이나 옥타브 기념일이 발생하면 생략되었다.[36]
교황 바오로 6세의 스키마
1971년 교황 바오로 6세 휘하의 신관 사무소 신판이 발표되면서, 150개의 시편 중 147편을 4주 사이클에 걸쳐 배포한 새로운 스키마가 도입되었다.
몬스타슘 시살테륨
시살테리움 모나스티툼은[37] 바티칸 2세가 개혁한 베네딕토 사무소가 1981년 "그리스도교 성가대로 승려와 수녀들이 축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산한 시살터다. 150개의 시편을 모두 수록하고 노바 벌가타의 라틴어를 사용한다. 4개의 스키마(A, B, C, D)를 포함한다.[38]
메모들
- ^ 아우구스틴 베아의 저서 일누오보 살테리오 라티노. 치아리멘티 술의 기원 e lo traduzione, Roma, 1946년(The Catholic Bibratic Quarterly, Vol. 8, No. 1월, 1946년 1월, 페이지 4-35에서 영어로 출판됨)은 그의 버전의 기준과 이유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라틴어 시편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a b Norris, Oliver (2017-06-12). "Tracing Fortunatianus′ Psalter". In Dorfbauer, Lukas J.; Victoria, Zimmerl-Panagl (eds.). Fortunatianus redivivus: Bischof Fortunatian von Aquileia und sein Evangelienkommentar. Corpus Scriptorum Ecclesiasticorum Latinorum, [Extra Seriem]. De Gruyter. pp. 283–306 (283). doi:10.1515/9783110471588-011. ISBN 978-3-11-047158-8.CS1 maint: 날짜 및 연도(링크)
- ^ a b "CATHOLIC ENCYCLOPEDIA: Breviary". www.newadvent.org. Retrieved 2019-08-10.
- ^ Goins, Scott (2014). "Jerome's Psalters". In Brown, William P. (ed.). Oxford Handbook to the Psalms. Oxford University Press. p. 188.
- ^ Norris, Oliver (2017). "Tracing Fortunatianus's Psalter". In Dorfbauer, Lukas J. (ed.). Fortunatianus ridivivus. CSEL. p. 285. doi:10.1515/9783110471588-011.
- ^ Cattin, Giulio. Musica e Liturgia a San Marco. Edizione Fondazione Levi. pp. 57–59.
- ^ a b Canellis, Aline, ed. (2017). "Introduction : Du travail de Jérôme à la Vulgate" [Introduction: From Jerome's work to the Vulgate]. Jérôme : Préfaces aux livres de la Bible [Jerome : Preface to the books of the Bible] (in French). Abbeville: Éditions du Cerf. pp. 213, 217. ISBN 978-2-204-12618-2.
- ^ Canellis, Aline, ed. (2017). "Introduction : Retour à l'Hebraica veritas" [Introduction: Back to the Hebraica veritas]. Jérôme : Préfaces aux livres de la Bible [Jerome: Preface to the books of the Bible] (in French). Abbeville: Éditions du Cerf. pp. 90–93. ISBN 978-2-204-12618-2.
- ^ Plater, W.E.; White, H.J. (1926). A Grammar of the Vulgate. Oxford: Clarendon Press.
- ^ Nova Vulgata Bibliata Sacroum Editio, Praenotanda, IN PSALTERIO, Editio typeica attera
- ^ Angus, Samuel (1915). "Latin Vulgat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www.bible-researcher.com. Retrieved 2019-08-10.
- ^ Weber, Robert; Gryson, Roger, eds. (2007). "Praefatio". Biblia sacra : iuxta Vulgatam versionem. Oliver Wendell Holmes Library Phillips Academy (5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pp. VI, XV, XXV, XXXIV. ISBN 978-3-438-05303-9.
- ^ Canellis, Aline, ed. (2017). "Introduction : Du travail de Jérôme à la Vulgate" [Introduction: From Jerome's work to the Vulgate]. Jérôme : Préfaces aux livres de la Bible [Jerome : Preface to the books of the Bible] (in French). Abbeville: Éditions du Cerf. p. 213. ISBN 978-2-204-12618-2.
- ^ a b c Colunga, Alberto; Turrado, Lorenzo, eds. (1999). Biblia Sacra iuxta Vulgatam Clementinam Nova editio (10th ed.). Spain: Biblioteca de Autores Cristianos. p. 449. ISBN 84-7914-021-6.
Vulgatae textui addimus in altera columna novam versionem latinam Instituti Biblici a Pio XII pro usu liturgico approbatam, die 24 martii 1945.
- ^ Cohen, Doron B. (2013-01-11). "Five: Translation compared: psalm 23 in its numerous versions".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Hebrew Bible: History, Inventory and Analysis. BRILL. p. 230. ISBN 9789004243477.
- ^ a b "De Novae Psalmorum Conversionis Latinae usu in Persolvendo Divino Officio" (PDF). Acta Apostolicae Sedis. 37: 65–67. 1945.
- ^ a b DiPippo, Gregory. "Compendium of the Reforms of the Roman Breviary 1568-1961, Part 8.2 The reforms of Pius XII and Cardinal Bea". New Liturgical Movement. Retrieved 25 October 2018.
- ^ CLIFFORD, RICHARD J. (2001). "The Authority of the "Nova Vulgata": A Note on a Recent Roman Document". The Catholic Biblical Quarterly. 63 (2): 197–202. ISSN 0008-7912. JSTOR 43724418 – via JSTOR.
- ^ Liturgia Horarum iuxta rietum Romanum: Editio typeica atthera,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0, Vol. III, 페이지 9 항목 3
- ^ Sabatier, Pierre; de La Rue, Vincent (1743). Bibliorum Sacrorum latinae versiones antiquae : seu, Vetus italica, et caeterae quaecunque in codicibus mss. & antiquorum libris reperiri potuerunt : quae cum Vulgata latina, & cum textu graeco comparantur. 2.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Library. Remis : Apud Reginaldum Florentain. pp. 189.
- ^ Breviarium Ambrosianum (in Latin). Pars aestiva. Joannis Bernardonii. 1830. pp. 98–99.
- ^ Gilson, J. P. (Julius Parnell) (1905). The Mozarabic psalter (MS. British Museum, Add. 30, 851.). University of California Libraries. London, [Harrison and Sons, Printers]. pp. 83–84.
- ^ From Liber Chandarius, 1993, ISBN 2-85274-076-1
- ^ "Psalterium Romanum". www.liberpsalmorum.info. Retrieved 2019-08-14.
- ^ a b Colunga, Alberto; Turrado, Lorenzo, eds. (1999). Biblia Sacra iuxta Vulgatam Clementinam Nova editio (10 ed.). Spain: Biblioteca de Autores Cristianos. p. 534. ISBN 84-7914-021-6.
- ^ 클레멘타인 시살터로부터
- ^ 2007년 슈투트가르트 판의 헥스타 헤브레이쿰으로부터, 여기와 여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 ^ "Psalterium Pianum". www.liberpsalmorum.info. Retrieved 2019-08-14.
- ^ "LIBER PSALMORUM - Nova Vulgata, Vetus Testamentum". www.vatican.va. Retrieved 2019-08-10.
- ^ McKendrick, Scott, Lowden, John and Doyle, Kathleen, (eds), Royal 원고, The Genius of Lighting, 2011 페이지 269, 2011, British Library, 9780712358156
- ^ "'Psalter Schemas' by Theo Keller". kellerboo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12. Retrieved 12 April 2018.
- ^ "CATHOLIC ENCYCLOPEDIA: Breviary". www.newadvent.org. Retrieved 2019-08-19.
- ^ The Roman breviary: reformed by order of the Holy oecumenical council of Trent: published by order of Pope St. Pius V. William Blackwood and Sons. 1908. pp. 1–213.
- ^ "Pre-Pius X Psalter (up to 1911)". gregorianbooks.com. January 14, 2018.
- ^ Cormier, Hyacinthus (1909). Breviarium Juxta Ritum S. Ordinis Praedicatorum (PDF). Roma. pp. 1–153.
- ^ "Saint Pius V pop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9-08-08.
- ^ The Hours of the Divine Office in English and Latin: a bilingual edition of the Roman Breviary text, in three volumes. Collegeville, Minnesota: Liturgical Press. 1964.
- ^ Church, Catholic (1 January 1981). Psalterium Monasticum: The Monastic Psalter. Abbaye Saint-Pierre de Solesmes. ISBN 9782852740549. Retrieved 12 April 2018 – via Google Books.
- ^ "Psalterium monasticum Abbaye de Solesmes". www.abbayedesolesmes.fr. Retrieved 2019-08-09.
외부 링크
라틴 시편어
- 베투스 라티나 시편 (pp. 9–293) 라틴어 텍스트
- Breviarium Ambrosianum 라틴어 텍스트
- 로마누마누 라틴어
- 갈리카누 문자
- Psalterium juxta Hebraicum(여기도 사용 가능) 라틴어 텍스트
- 시잘테리움 모짜라비쿰 라틴어 텍스트
- 시잘테리움 피아노움 라틴어 텍스트
- 신불가툼 라틴어 문자
- Riturgia Horarum Online 온라인 시편을 온라인에서 기도할 수 있는 매우 멋지고 실용적이며 다재다능한 버전.
- Liberpsalmorum.info 베투스 라티나에서 노바 벌가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라틴어 시편들의 목록.
잡다한
- 테오 켈러의 시편 드 프로푼디스를 비교한 결과 로마, 갈리칸, 피아노, 네오불게이트 버전의 시편이 129편 나왔다.
- 요한 주흐스도르프 목사의 시편 베투스 처녀를 비교한 결과 로마, 갈리칸, 네오불게이트, 피아노, 암브로시안 판의 시편 1편이 나왔다.
- 테오 켈러의 역사적인 시편소설의 표. 위의 Psalterium Monasticum의 네 가지 선택 사항 포함
추가 읽기
- Mohrmann, Christine (1961). "The New Latin Psalter: Its Diction and Style". Études sur le latin des chrétiens, Latin chrétien et médiéval (in French and English). II. Ed. di Storia e Letteratura. pp. 109–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