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트링크 (멜본)

EastLink (Melbourne)
이스트링크

New EastLink Logo.png
Busy Eastlink (27438452052).jpg
EastLink (Melbourne) is located in Melbourne
North end
노스엔드
South end
남쪽 끝
좌표
일반 정보
유형프리웨이
위치멜버른
길이39km(24mi)
열린2008년 6월 29일
유지 관리 대상커넥트이스트
경로 번호 M3(2008-현재)
주요 접점
노스엔드 동부자유로
멜버른 주, 돈베일
남쪽 끝 프랭크스턴 프리웨이
멜버른 시퍼드
위치
LGA
주요 교외/마을링우드, 랑디르나, 스코어즈비, 로울빌, 단데농 노스, 키즈버러, 캐럼 다운스, 시포드
고속도로 시스템

이스트링크(EastLink)는 호주 멜버른의 동부 및 남동부 교외를 관통하는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M3 고속도로의 토클링 구간이다.[1] 이것은 멜버른의 메트로폴리탄로드 프로젝트의 일부분이다.

EastLink는 SICE가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현금 부스가 없는 전자 토튼으로 연결되어 있다. SICE 톨링 시스템은 CityLink 톨링웨이에서 사용되는 e-TAG 시스템과 유사하며 상호운용 가능하다. 이스트링크(EastLink)는 2008년 6월 29일 일요일에 개통되었으며, 개통과 함께 2008년 7월 27일 정기통행이 시작되기 전까지 한 달간의 통행료 면제 기간이 발생하였다.[2]

이 프로젝트는 호주 건설회사 티에스 컨벤더스와 존 홀랜드합작해 건설했으며,[3] 토링 시스템은 SICE와 계약했으며 기계 및 전기 공사는 유나이티드 그룹 인프라와 계약했다.[4] 최종 사업비는 25억 달러였다.

표지판은 링우드, 단데농, 프랭크스턴, 돈캐스터로 가는 톨게이트 입구와 톨게이트에 있다.

역사

랑디르나 보로니아 도로 위의 이스트링크 건설
2009년 12월 이스트링크

이 도로는 원래 1969년 멜버른 교통 계획에 F35 고속도로로 나타나 있었다.

이 고속도로는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와 그것이 '완전한' 대도시 순환도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논란이 되고 있다. 1999년 10월, 브랙스 정부는 (노동당이 선거에서 약속하지 않았던) 고속도로가 폐기되었다고 발표했다. 대신 정부는 로우빌 철도 노선의 우선 노선을 조사하고 75대의 전차를 녹스까지 연장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이 중 어느 것도 이행되지 않았다.[5] 그러나, '주요 정책 온페이스'에서, 브랙스 정부는 2000년 8월에 고속도로를 위한 연방 기금을 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이 고속도로가 국가 간 고속도로 그리드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중요성'의 도로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고속도로의 'U턴'은 로울빌 철도 노선 등 대중교통 대안이 백지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대중교통이용자협회 등 반대파들로부터 강하게 비판받았다.[7]

2001년 멜버른 대학의 학자인 폴 미스피터 배첼러 교통부 장관과 도로공사(VicRoads)가 건설과 관련된 추가 조치를 취하지 못하도록 1999년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법 475조에 따른 가처분 신청을 연방법원에서 제기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고속도로나 동부 순환 도로로 가는 스코어즈 바이 프리웨이" 그는 이 고속도로가 철새, 식물 종, 습지를 위협할 것이며 그린스버러로 가는 대도시의 순환도로 건설 계획의 일부라고 주장했다.[8] 법원 사건을 고려하여, 주 정부 관료들은 메트로폴리탄 전략 초안에서 메트로폴리탄 순환도로에 대한 언급을 삭제했다.[9]

2003년 빅토리아 정부에 의해 남부동부 통합 교통청(SEITA)이 설립되어 정부를 대신하여 사업을 관리하고 감독하였다. SEITA는 민간 부문 입찰자 선정 과정을 관리하는 책임을 맡았다.[3]

2004년 10월 SEITA는 2004년 11월 ASX에 상장된 회사인 ConnectEast에 이스트링크 설계, 시공,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커넥트이스트는 양대 건설사의 제휴로 결성된 그룹 티에스 존 홀랜드와 계약해 이스트링크의 상세설계와 시공 작업을 진행했다.[3]

콘넥트이스트는 도로의 소유자로서 2043년 양도증서가 만료될 때까지의 일상적인 경영을 책임지고 있다. 이스트링크의 건설은 2005년 3월에 시작되었고, 이 도로는 2008년 6월 29일에 개통되었다.

2008년 6월 29일 개통된 도로의 개통으로 인근 스터드, 스프링베일, 블랙번 도로의 교통량은 30%~40%[10] 감소했으나, 버크 로드 교차로에서는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량이 5% 증가했고, 시내에서는 호들 가의 교통량이 약 1~2% 증가했다.[11] 평균 270,868대의 자동차, 트럭, 모터바이크가 7월 23일에 토링이 소개될 때까지 매일 도로를 여행했다.[12] 통행료 도입 후 첫 주에는 하루 평균 통행량이 13만3722건으로 줄었다. 이는 40~50%의 감소 예상과 일치하지만 전망치보다 3분의 1 낮은 것이다. 여행당 평균 통행료는 3.10달러로 추정치인 2.91달러를 웃돌았다.[12]

이스트링크는 운영 후 처음 6개월 동안 거의 9천3백만 달러의 손실을 보았다.[13] 2010년에는 예상보다 적은 교통량 때문에 도로 교통량 예측을 다시 작성해야 했다.[14]

이름 지정 기록

수년 동안 이 프로젝트는 동부 순환 도로, 스코어즈바이 프리웨이, 스코어즈비 바이패스, 미참-프랑크스톤 프리웨이 등으로 다양하게 언급되었다.

2005년 3월 23일 당시 스티브 브랙스 총리로울빌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이 도로를 이스트링크(EastLink)라고 부를 것이라고 발표했다.[15] 이 새로운 이름은 말하기 쉽고, 외관상 기억하기 쉽고, 거리의 전화번호부에 들어맞기 쉽기 때문에 선택되었다고 한다.

2008년 2월 27일, 이스트링크/모나시 프리웨이 인터체인지에 호주의 룰 축구 선수 윌스의 이름을 따서 "톰 윌스 인터체인지"로 명명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6] 2008년 3월 24일 팀 팔라스는 쌍둥이 터널의 이름이 각각 '멜바'와 '물럼 물럼'으로 명명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7]

경로

이스트링크(EastLink)는 누나와딩의 스프링발레 로드(Springvale Road)에서 동부간선도로의 동쪽 끝에서 시작하여 멀럼 물럼 크리크 지역 아래 링우드를 향해 동쪽으로 운항한다. 그 후 프랑크스톤을 향해 남쪽으로 40km를 이동하며, 프랑크스톤 프리웨이의 북쪽 끝, 란디르나 남부, 스코어즈비, 로울빌, 물그레이브, 단데농 노스, 노블 파크, 키즈버러, 단데농 남부, 방홀름, 카럼 다운스를 거쳐서 프랑크스톤 프리웨이의 북쪽 끝에서 끝난다.[18] 고속도로의 대다수는 각 방향으로 3개 차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톰슨 Rd와 프랭크스턴 프리웨이 사이에는 각 방향으로 2개 차선이 운행되고 있다.[19]

이스트링크의 양방향 표준 이동시간은 26분. (프랑크스톤 프리웨이 / 반도 링크와 모나시 프리웨이 사이 12분, 모나시 프리웨이와 버우드 하이웨이 사이 7분, 버우드 하이웨이스프링베일 로드 사이 7분)이다. 일반적인 이동 시간은 30~40분이다.

이스트링크는 멜버른의 다른 도시 대도시 고속도로처럼 정기적으로 피크 시간대 혼잡을 겪지 않는다. 그러나, 도로 공사 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고 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때때로, 고속도로가 3차선에서 2차선으로 바뀌는 카럼 다운스톰슨 로드와 다른 3개 고속도로와의 분기점 사이에 교통 체증이 발생한다. 혼잡도가 심해지면 이동시간은 40분 이상에 이를 수 있다.

출구 및 상호 교환

LGA위치kmmi목적지메모들
화이트호스-매닝엄 경계누나와딩-돈발레 경계0.00.0 동부간선도로(M3) – Bulleen, City톨게이트 북쪽 종착역, 동부 고속도로 서쪽까지 계속
스프링발레길(국도 40호선) – 누나와딩돈발레싱글 포인트 도시 교환
매닝엄돈발레1.20.75요금소1길
1.7–
3.3
1.1–
2.1
멜바 터널 북행 / 물럼 물럼 터널 남행
마룬다링우드3.92.4 링우드 바이패스(62번 국도) – 링우드, 릴리데일반방향 T 교환, 마룬다 고속도로 출구 램프를 통해 북쪽으로 향하는 출구
4.42.7 마룬다 고속도로(34번 국도) – 링우드, 릴리데일, 박스힐, 미첼람수정된 SPUI, 마룬다 고속도로의 북행 출구 서쪽 방향만 해당
5.13.2요금소2길
6.13.8 캔터베리 로드(주 32번 국도) – 버몬트몬트로즈
녹스랑디르나6.94.3요금소3길
7.64.7 보로니아 도로(국도 36호선) – 보로니아, 버몬트
8.65.3요금소4길
란디르나-완티르나 남부 경계9.35.8 버우드 고속도로(주 26번 국도) – 버우드, 펜트리 굴리
랑디르나 남부10.26.3요금소5길
11.16.9 하이 스트리트 로드(24번 국도) – 글렌 웨이벌리, 펜트리 굴리
12.27.6요금소6길
스코어즈비148.7 펜트리 굴리 도로(국도 22호선) – 오클리 주, 펜트리 굴리
15.19.4요금소7길
15.39.5Dalmore Drive / Eastlink 아웃바운드 BP 서비스 센터남쪽 방향 출구 및 진입 전용
Eastlink 인바운드 BP 서비스 센터북쪽 방향 출구 및 진입 전용
로울빌16.510.3 웰링턴 도로(18번 국도) – 로울빌, 멀그레이브
17.310.7톨게이트로8번길
모나시멀그레이브18.111.2 경찰로16번길남쪽 방향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만
대단동단데농북18.911.7 모나시 프리웨이(M1) – 멜버른 공항, 와래굴, 시티Tom Wills Interchange, M1 남동쪽으로 나가는 북쪽 출구 없음, M1 북서쪽에서 남쪽으로 들어가는 입구 없음
19.312.0 경찰로16번길모나시 고속도로 출구 램프를 통해 북쪽으로 향하는 출구만
20.812.9요금소9길
단데농북단동노블파크북4리포인트21.513.4 프린스 하이웨이(A60) – 오클리, 클레이턴, 단데농
키즈버러25.816.0요금소10길
24.315.1 첼트넘 로드(국도 10호선) – 멘톤, 단데농남쪽 방향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
25.315.7 단데농 우회(국도 49호선, 방패 동쪽 없음) – 키즈버러, 단데농 남쪽
25.816.0톨게이트로11번길
26.516.5 그린스 로드(국도 12호선) – 나레 워렌 주, 모르디알록
방홀메31.319.4요금소12길
프랑크스톤-그리터 단데농 경계카럼 다운스-방홀름 경계33.120.6 톰슨 로드(6번 국도) – Carrum, Cranbourne
프랭크스턴카럼 다운스35.522.1요금소13길
36.922.9 반도 링크(M11) – 백스터, 로즈버드, 포트시M11 남동쪽, M11 북서쪽 출입구
시퍼드37.723.4러더퍼드 로드 – 프랭크스턴남쪽 방향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만
프랭크스턴 프리웨이(M3) – 프랭크스턴남부 종착역: 프랭크스턴 프리웨이로 남쪽으로 이어진다.

단데농 바이패스

딩글리 고속도로의 4.8km 구간인 단데농 우회도로(건설 중 단데농 남쪽 우회도로라고도 한다)는 이스트링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커넥트 이스트와 티에스 존 홀랜드가 건설했다.[20] 우회도로는 2007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다.[21]

톨링

물룸 물룸 계곡 아래 터널의 링우드 포탈
2020년 1월 힐크레스트 보호구역과 이스트링크 멜바 터널

EastLink는 상업적으로 Break라고 불리는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토글링되며, 전적으로 Tolling 시장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가진 스페인 시스템 통합 회사인 SICE에 의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CityLink에서 사용되는 Transurban e-TAG 시스템을 포함하여 호주의 다른 모든 유료 도로와 완전히 상호운용 가능하다.[22]

이 시스템은 e-TAG 표준 설계의 약 절반 크기인 고유하게 설계된 전자 차량 태그인 '브리즈 태그'를 특징으로 한다. 브리즈 시스템은 스페인 기업 SICE가 제공하고 있으며,[23] DSRC 제품의 PREMID 브랜드로 스웨덴 기업 캅쉬 트래픽콤 AB가 제공하는 브리즈 태그를 포함한 로드 사이드 장비가 있다.[24]

EastLink의 통행료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부과될 수 있다.

  • 차량에 호주 전자 톨링 "태그"(예: Break Tag 또는 Transurban's e-TAG)를 장착하는 것. 통행료는 해당 태그 계정으로 부과된다.[25]
  • ConnectEast에 Breaks non-tag 계정을 등록함. 각 차량의 번호판 사진을 촬영하여 계좌에 매칭하여 계좌 소유자에게 통행료와 소정의 처리 수수료(이륜자동차의 경우 30c, 면제)를 부과한다. 또는 CityLink에 등록된 "액세스" 계정도 이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26] 전자 스캔이 불가능한 금속 윈드스크린을 장착한 차량은 소유자가 Eastlink에 등록하면 추가 요금을 피할 수 있다. 통행료는 번호판 인식에 의해 계좌로 청구된다.
  • 전화, 이스트링크 웹사이트 또는 소매점에서 이스트링크에서 이스트링크 단방향 여행에 유효한 "트립패스"를 구입함. 트립 패스에 대한 차량 인식은 비태그 계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운전자는 승차권이 사용될 때까지 보관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승차권을 한 번에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트립 패스는 구매일로부터 6개월 후에 만료된다.[27]

운전자가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 위의 3가지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이스트링크에서 여행하는 경우, 통행료 비용 청구서와 계좌 처리 비용이 등록된 차량의 소유자에게 보내진다. 요금 청구서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연체 통지서(가산 처리 수수료 포함)가 발급된다. 만약 송장이 여전히 지불되지 않는다면, 빅토리아 경찰이 벌금을 부과한다.[28]

가격 및 할인

멜바(서쪽 방향) 터널 내부

톨게이트 이용 가격은 구간마다 다르다. 자동차의 경우, 마룬다 고속도로와 하이 스트리트 도로 사이의 구간은 42c에서 시작하여 톨게이트 남쪽에 가까운 더 긴 구간은 2.87달러의 마룬다 고속도로/링우드 우회도로와 스프링베일 도로 사이의 터널 구간을 통과하는 편도 여행에 이른다. 일부 4륜구동, 일부 유틸리티 차량, 버스, 트럭의 경우 요금이 더 비싼 반면 오토바이는 요금이 적용된다.[29]

자동차 운전자들에게도 할인이 제공된다. 토요일 또는 일요일에 여행하는 비용과 평일에 연속적으로 두 번의 교환(터널 제외) 사이의 단방향 여행에도 20% 할인이 적용된다. 이스트링크 차량은 1월~2018일 일반 편도통행료 6.25달러, 주말·공휴일 4.99달러 이하의 요금이 부과된다.[29]

2021년 7월 1일 기준 통행료
유료도로 요금소 또는 요금소 주행당 최대 통행료 통행료 인상 통행료 할인점 통행료 할인 만료
자동차 오토바이 경량 상용 차량 중상용차


이스트링크[30] 다중 통행료 지점 $6.53[a] $3.27 $10.45 $17.30 매년 7월 1일 커넥트이스트 2043[31]


  1. ^ 표시된 가격은 평일 가격이다. 주말과 공휴일 가격은 5.23달러다.

주변 도로에 미치는 교통영향

이스트링크 건설로 스프링베일로의 혼잡은 완화되었지만, 특히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많은 지방의회, 조직, 지역사회 단체 및 개인은 제안과 건설 단계 전반에 걸쳐 교통 패턴과 흐름의 변경과 Eastlink가 각 지역의 지방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2009년에 매닝햄 시는 교통 보고서를 실시할 수 있었다.[32] 이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량이 "현저히" 증가했다.
  • 동부 고속도로/호들 스트리트 인터체인지의 피크 및 오프피크 기간의 이동 시간은 "의미하게" 증가했다.
  • 동부간선도로/벌린도로 인터체인지의 피크타임 혼잡도가 증가했다.
  • Springvale Road 아웃바운드 램프에서 교통량 20% 감소.
  • 동부간선도로 북쪽 벌린로 교통량 13% 증가
  • 헤드스 앤 미첼 로드 사이 파크 로드 교통량 13% 감소
  • 미들버러로 서쪽 돈캐스터 로드의 교통량 11% 감소.
  • 포터 스트리트 북쪽 피츠시몬스 레인의 교통량 8% 증가
  • 매닝햄 로드 교통량 2% 증가
  • 블랙번 로드와 스프링밸리 로드 사이의 레이놀즈 로드에서 교통량이 2% 감소하였다.

Banyule Council에 의해 행해진 또 다른 연구는 EastLink가 2008년 6월에 개통된 이후 하이델베르크와 로사나에서 하루에 800대의 트럭이 더 간선 도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이스트링크는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는 통근자들의 증가와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는 많은 교통체증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이스트링크가 더 빠른 대안을 제공하는 지방도로의 소규모 확장에서는 감소 폭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유 경로

이스트링크 트레일은 이스트링크 프로젝트와 유사한 남북 경로를 따라 걷는 공유 걷기 및 자전거 길이다. 이를 이용해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는 3m 넓이의 전용 콘크리트 길을 따라 도로의 대부분의 거리를 자전거로 달리거나 걸을 수 있다. 많은 주요 도로는 언더 패싱 또는 오버 패스를 통해 교차된다. 하이 스트리트 로드(그리고 2009년 11월까지 버우드 하이웨이)와 같은 일부 도로는 경사면에서 도로를 건너야 한다.[33]

습한 날씨에는 두 개의 지하도가 범람로에 세워져 있어 통행할 수 없다. 이것은 페르트리 굴리 로드 지하도와 웰링턴 로드 지하도 입니다. 중간 정도의 비가 내린 후에 지하도로가 범람하고 산책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길을 따라 계속 가기 위해 주요 도로를 건너야 한다. 이는 위험할 수 있으며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산책로 이용자들이 지하도가 침수됐을 때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최대 20분을 기다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스트링크 트레일은 단데농에 정차하여 계속되지 않는다. 이용자들은 이 지점에서 단데농 크릭 트레일을 타고 Carrum까지 갈 수 있으며, 그곳에서 공사 중인 Facido Link 트레일과 완공되면 Mornington에 합류할 수 있다.

이 트레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도로 건설 과정에서 특별히 건설된 트레일에 기존 트레일이 결합되어 있어 공유 경로가 고속도로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스트링크로부터의 상당한 편차를 이동 시간에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몇몇 매우 뒤틀린 트레일 구간으로 이어졌고, 어떤 경우에는 이스트링크에서 3km가 넘는 우회도로로 이어졌다.

헤더턴 로드 브리지에서 북쪽으로 바라보는 이스트링크의 전경.

사고

2010년 2월 18일 오후 3.15시, 웰링턴 Rd 출구에서 300m 떨어진 톨게이트 북쪽 방향에서 세미트레일러 한 대가 통제력을 잃었다. 이 트럭은 도로를 건너 중앙 안전 차단벽을 뚫고 추락한 뒤 도로 표지판을 받치고 있는 대형 주탑과 충돌했다. 트럭이 불길에 휩싸였고 운전자는 사망했다. 유료도로는 모나시 고속도로와 펜트리 굴리 도로 사이 양방향으로 폐쇄됐다. 다음날 새벽까지 폐쇄되어 경찰이 조사를 하고, 커넥트이스트가 안전하게 도로를 재개할 수 있도록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었다. 경찰 보고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citation needed]

논란

마룬다 하이웨이 다리, 철도교 쪽을 바라보는 링우드
이스트링크(EastLink)가 개통 전 쿰바 로드 교각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건설 중 링우드에 있는 이스트링크 운영 센터.
버우드 Rd 출구 근처에 있는 이스트링크에 있는 고가도로의 야간 촬영.
  • 이 사업을 둘러싼 주목할 만한 논쟁은 통행료 문제였다. 스티브 브랙스가 이끄는 빅토리아 정부는 당초 이 도로를 건설하지 않고 대신 대중교통에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5] 비록 정부가 정책 입장을 번복하고 대신 길을 가기로 했지만. 그들은 그 도로가 통행료 무료가 될 것이라고 약속했고, 그 약속은 나중에 어겼다. 이것은 그 프로젝트에 대한 부분적인 연방 자금이었던 것을 완전히 철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어떤 면에서는 많은 논쟁과 토론 그리고 분노를 야기시켰다. 통행료 없이는 사업이 불가능했다는 게 빅토리아 정부의 입장이다.
  • 연방정부의 자금 철수는 도로를 통행료 없이 통행료를 내야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이뤄졌다. 그러나 동시에 그들은 웨스트링크 고속도로인 시드니의 토튼햄 고속도로에 자금을 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자금 철수가 유료도로 자금 조달을 꺼려하기보다는 빅토리아 정부의 신용을 떨어뜨리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믿고 있다.
  • 로버트 도일이 이끄는 당시 빅토리아 주의 반대파는 처음에는 어떤 형태의 토오링도 반대했다. 그 후 이 정책은 통행료를 지원하도록 변경되었다. 2010년 주 선거가 끝난 후, 자유당 지도자인 테드 바일리외가 이끄는 주 지도부는 통행료를 계속 지원하고 있다.
  • 이스트링크를 건설하면 이스트링크와 메트로폴리탄 순환도로 사이에 '유실링크'(North East Link)를 건설하라는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원고들이 주장하는 법정 소송이 나왔다. 그들은 그러한 고속도로가 엘담과 워랜디테 또는 하이델베르크와 야라플랫드를 통해 환경에 민감한 녹색 쐐기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8년 10월 앤드류스 정부는 2018년 주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노스이스트 링크를 건설하겠다고 약속했다.
  • 프로젝트의 계획 단계 동안, 러더포드 로드 산업 지역(고속도로의 남쪽 종착지에 위치)의 기업들은 이스트링크 외에 모닝턴 반도 자유로와 프랭크스턴 자유도로의 온/오프 램프를 통해 접근을 원했다. 이 프로젝트에 앞서 그들은 모닝턴 반도 고속도로에서 공업 지역으로 진입하는 진입로만을 확보했다. Eastlink 아래에서, 이것은 유지되었지만, 어떤 램프도 기존 도로와 연결되도록 설계되거나 건설되지 않았다. 모닝턴 반도 고속도로와 프랑크스톤 고속도로는 그들의 문 앞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도로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러더포드 로드에서 유일한 진입로는 노스바운드의 이스트링크까지 교통이 통제된다.
  • 기존 공공도로가 이스트링크[1]의 교통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한될 것이라는 추측이 있지만, 교통의 제한을 금지하는 법률[2]이 마련되어 있고, SEITA는 "중요하게, 주 정부는 동맥로의 기존 수용량을 유지하기 위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스트링크법과 빅토리아주와 커넥트이스트의 계약은 사람들을 이스트링크로 강제 이동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기존의 도로를 폐쇄하거나 좁히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3]
  • 2006년 8월 28일, 벨그레이브릴리데일 철도 노선의 교량 준비 공사가 늦게 완료됨에 따라, 대체 버스를 위한 긴 대기열이 형성된 링우드에서 블랙번링우드 역 사이의 노선의 폐쇄에 대한 통근자들에게 부적절한 경고와 함께 오전 동안 노선이 폐쇄되었다. 헤더데일, 미치암, 누나와딩 역의 승객들은 교량 지지대가 건설되고 있는 레일 라인 근처에서 휴대용 크레인 '백설공주'가 운행하지 못해 지연이 발생한 난장판 때문에 발이 묶였다. 지면이 너무 부드러워서 기중기를 주문해야 했고 지연을 초래했다. 존 홀랜드는 통근자들이 변제를 받지 않는 동안 코넥스 멜버른에 벌금을 내야 했다. 더 자발적인 통근자들 중 일부는 블랙번까지 한 시간 정도 걸어가기 시작했다. 이 사람들은 링우드에서 혼란에 빠진 다른 통근자들보다 한 시간 이상 앞서 가까스로 도착했다.[34]

환경문제

Ringwood/Wantirna의 Dandenong Creek에 EastLink 다리 건설

멜버른 동부와 남동부의 많은 환경 단체들은 차량 배기가스, 서식지 붕괴 등 여러 가지 요인(물럼 물럼 계곡, 단데농 계곡 습지 등) 때문에 이 프로젝트에 반대했다. 그러나, 이 도로는 광범위한 환경 영향 선언(1998년 6월)의 주제였으며, 이후 1999년 4월 정부의 최종 진행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 광범위한 공청회 절차가 이어졌다. 성명은 고속도로가 건설될 경우 이산화탄소가 18.5퍼센트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지하수와 습지에 미치는 영향,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에 대한 높은 영향, 희귀하거나 위협적인 동물과 식물 38종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예상했다.[8]

이스트링크의 건설업자에 따르면, 이 도로는 멜버른의 동부 및 남동부 교외 전역의 교통 혼잡을 완화시켜 교통 흐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 연료 소비와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한다.[35] 그러나, 그러한 모든 도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유도된 수요의 현상은 그러한 편익의 실현에 역행할 것이다.[36]

계획 단계(당시 VicRoads 프로젝트) 중에 물룸 물룸 계곡의 피해를 둘러싼 큰 논쟁이 일어났다. 계곡을 관통하는 도로의 길에는 여러 가지 선택사항이 고려되었다. 두 개의 1.6 km 터널에 대해 선택한 옵션은 두 번째로 비싸고 두 번째로 환경 친화적이었다.[37] 계획 시 고려된 다른 옵션에는 전체 길이에 대한 지표면 도로, 훨씬 더 짧은 터널 및 약간 더 긴 터널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물룸 물룸 협곡 아래에서의 튜닝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링우드 인터체인지(Ringwood Interchange)는 완전히 지상 위에 있고, 이 지역을 통해 개울을 이전하는 결과를 낳았다.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c "Who's involved?". Southern and Eastern Integrated Transport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ne 2008. Retrieved 26 June 2008.
  2. ^ Woodberry, Trent (12 December 2006). "EastLink: – Commencement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work by United Group Ltd" (PDF). Thiess John Hol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5 July 2008. Retrieved 26 June 2008.
  3. ^ Das, Sushi (8 August 2000). "Scoresby Freeway Back on Agenda". The Age. p. 3.
  4. ^ Das, Sushi (21 August 2000). "Anger at U-turn on Scoresby Freeway". The Age. p. 3.
  5. ^ Jump up to: a b Heasley, Andrew (27 October 2001). "Scoresby Freeway Faces Hurdle". The Age. p. 13.
  6. ^ Heasley, Andrew (31 October 2002). "Ring road plan altered before case". The Age. p. 6.
  7. ^ Julia Milesi (30 June 2008). "No delays as EastLink tollway cuts traffic". The Age. Retrieved 17 August 2008.
  8. ^ Ashley Gardiner (1 July 2008). "Traffic on surrounding roads plummets after EastLink opens". Herald Sun. news.com.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08. Retrieved 17 August 2008.
  9. ^ Jump up to: a b Beveridge, John (8 August 2008). "Road fees take a toll". Herald Sun. news.com.au. Retrieved 17 August 2008.
  10. ^ Silkstone, Dan (24 March 2005). "Naming and blaming launches tollway". The Age. p. 10.
  11. ^ EastLink Interchange는 축구 창립자 중 한 인 2009년 9월 5일 Wayback Machine SEITA에 보관됨. 2008년 2월 27일. 2008년 3월 26일 검색됨
  12. ^ Pilcher, Georgie (24 March 2008). "East Link Twin Tunnels named as Melba and Mullum Mullum". Herald Sun. Australian Associated Press.
  13. ^ "Dandenong Bypass". Southern and Eastern Integrated Transport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08. Retrieved 26 June 2008.
  14. ^ 이스트링크 유료도로는 2007년 12월 10일 헤럴드 선 6개월 전에 개통된다. 2007년 12월 12일 검색됨
  15. ^ "Breeze – Products". ConnectEast. Retrieved 26 June 2008.
  16. ^ "Kapsch awarded new prestigious contract in Australia". Kapsch TrafficCom AB. 2 September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July 2007. Retrieved 26 June 2008.
  17. ^ "Breeze – Tag account". ConnectEast. Retrieved 26 June 2008.
  18. ^ "Breeze – Non-tag account". ConnectEast. Retrieved 26 June 2008.
  19. ^ "Breeze – EastLink trip pass". ConnectEast. Retrieved 26 June 2008.
  20. ^ "Breeze – Toll invoice". ConnectEast. Retrieved 26 June 2008.
  21. ^ "EastLink Tolls valid 1 Jul 2021 until 30 Jun 2022" (PDF). EastLink. Retrieved 6 August 2021.
  22. ^ "Advert - General Counsel & Company Secretary" (PDF). EastLink. Retrieved 6 August 2021.
  23. ^ Manningham 시, 2009년 Manningham 시에서 Eastlink가 주변 도로와 지역 도로에 미치는 영향, 변경 및 영향에 대한 교통 보고서.
  24. ^ "Chaos after EastLink bungle". Herald Sun. 28 August 2006. pp. Internet Article.
  25. ^ Gardiner, John (March 2006). "In the Headlights". EastLink News. ConnectEast. p. 2. Vehicles travelling at reasonably consistent speeds use less fuel ... emissions are all reduced by better and more consistent speeds.
  26. ^ Jaffe, Eric (11 November 2015). "California's DOT Admits That More Roads Mean More Traffic". CityLab. Retrieved 22 January 2018.
  27. ^ Costa, Gabrielle (14 October 2000). "Government compromises on freeway". The Age. p. 4.

외부 링크

기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