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 맵:
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온타리오 35번 고속도로

Ontario Highway 35

Highway 35 marker

35번 고속도로

Map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된 35번 고속도로
경로정보
온타리오 교통부에서 유지 관리
길이195.6 km[1] (121.5 mi)
존재했다1931년 ~ 현재
주요접점
남단 401번 고속도로 - 뉴캐슬
주요 교차로 클래링턴407번 고속도로
115번 고속도로 – 피터버러
7A번 고속도로 – 포트 페리, 베서니
린제이의 7번 고속도로
카르나본의 118번 고속도로
북단 알곤퀸 주립공원 인근 60번 고속도로
위치
나라캐나다
지방온타리오.
더럼
가와르타 호
할리버튼
무스코카
타운스뉴캐슬, 오로노, 린제이, 코보콕, 노랜드, 민든힐스, 카나본, 도셋, 드와이트
고속도로 시스템
34번 고속도로37번 고속도로
구 지방도
36번 고속도로

킹스 하이웨이 35(Kings Highway 35)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지방 유지 고속도로로, 401번 고속도로카와르타 호수, 핼리버튼, 알곤킨 도립 공원을 연결합니다.이 고속도로는 뉴캐슬 서쪽에서 린제이를 거쳐 페넬론 폴스, 코보콕, 민든 힐스 근처를 거쳐 할리버튼으로 진입한 뒤 알곤킨 파크 서쪽 60번 고속도로에서 종점에 다다릅니다.오로노, 캐머런, 로즈데일, 노랜드, 무어 폴스, 마이너 베이, 러터워스, 카나본, 버터밀크 폴스, 홀스 레이크, 파인 스프링스, 도셋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이 도로의 구불구불한 코스는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그림 같은 경치와 결합되어, 일부 사람들은 이 도로를 온타리오 [2]주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고속도로라고 선언하게 만들었습니다.

고속도로 60호선의 일부를 포함한 대부분의 노선은 1940년까지 교통부의 전신인 고속도로국(DHO)에 의해 인수되었습니다.1950년대 중반에 린제이, 페넬론 폭포, 민든 등 도심에서 35번 고속도로를 우회하기 위해 여러 개의 우회로가 건설되었습니다.115번 고속도로는 1953년 엔터프라이즈 힐에서 피터버러까지 동쪽으로 건설되었으며, 1961년 남쪽 35번 고속도로와 19km(12mi) 동안 동시에 체결되었습니다.이 부분은 80년대 후반에 분할 고속도로로 확장되었습니다.연구들은 엔터프라이즈 힐과 린제이 사이의 경로를 4차선으로 넓힐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린제이의 트럼펫 인터체인지도 포함됩니다.린제이 우회도로의 일부를 4차선으로 확장하는 것은 2023년에 시작될 예정입니다.

35번 고속도로는 온타리오경찰이 순찰하고 있습니다.고속도로의 대부분 길이의 제한 속도는 시속 80km(50mph)이며, 건설된 지역에서는 시속 50km(31mph)로 느려지고, 115번 고속도로와 연결되면 시속 90km(56mph)로 늘어납니다.

경로설명

"A photo of a four-lane divided highway on a sunny day."
35번 고속도로는 115번 고속도로와 바로 남쪽에 있습니다.

뉴캐슬코보콘크

35번 고속도로는 뉴캐슬 서쪽 401번 고속도로와의 트럼펫 인터체인지에서 시작되며, 115번 고속도로와 엔터프라이즈 [1][3]힐까지 18.9km(11.7mi) 동안 동시에 연결됩니다.더럼 지방 자치 단체의 클래링턴 지방 자치 단체 내에 완전히 위치한 이 동시성의 기간 동안, 그것은 RIRO([4]right-in/right-out)라고 알려진 왼쪽 회전이 없는 분할된 4차선 경로입니다.북동쪽 방향으로 시작하며, 북쪽으로 꺾이기 전에 구 2번 고속도로(현재의 더럼 지방 고속도로 2)에서 나들목이 있습니다.고속도로 옆 농경지 사이에 주유소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등 여러 업체가 늘어서 있습니다.오로노 동쪽으로 선회한 후 35/115번 고속도로는 동쪽 407번 고속도로의 동쪽 종점과 만나게 됩니다.[5]오크리지 모레인(Oak Ridge Moraine)으로 들어가 엔터프라이즈 힐([6][7]Enterprise Hill)에 있는 가나라스카 숲의 동쪽 가장자리를 통과합니다.35번 고속도로는 동쪽으로 피터버러까지 115번 고속도로로 이어지는 분할 고속도로에서 나와 북쪽으로 2차선 [8][9]도로로 진행됩니다.

35번 고속도로는 경계 도로(더럼/카와르타 호수 도로 20)에서 대부분 시골의 단일 [10]계층 지자체인 카와르타 호수 도시로 건너갑니다. 이 도로는 인근 캐나다 타이어 모터스포츠 [11]공원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이 고속도로는 일직선으로 북쪽으로 이동하여 폰티풀의 동쪽을 지나 발리더프 [12]로드 근처의 오크리지 모레인을 빠져나갑니다.7A번 고속도로의 동쪽 다리와 교차한 다음, 서쪽 다리와 마주치기 전에 북동쪽으로 잠시 굽습니다.자넷빌 로드(Kawartha Lakes Road 57)[12] 바로 남쪽에 강이 흐르고 있으며, 피죤 강의 상류는 근처에 있습니다.린제이에 접근하는 지형은 평평해지고,[13] 그곳에서 7번 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동시에 진행됩니다.7/35번 고속도로는 린제이를 남서쪽으로 우회하고, 35번 고속도로는 동쪽으로 켄트 스트리트로, 그리고 북쪽으로 분기하고, 7번 고속도로는 [12]서쪽으로 이어집니다.

A low perspective of a highway. The highway curves to the right, with rolling hills in the background. A reassurance marker is posted in the ground to the right of the highway
페넬론 폭포 근처 35번 고속도로

린제이 북쪽의 35번 고속도로는 트렌트-세번 수로 근처를 지나며 스터전 호수, 캐머런 호수, [14]발삼 호수를 따라 경로를 추적합니다.그것은 오르도비스기 석회암과 선캄브리아기 캐나다 [15][16]방패 사이의 경계에 접근하면서 켄 리드 보호 구역 근처의 몇몇 석회암 큐에스타들 중 첫 번째를 지나갑니다.이 길은 북동쪽으로 굽어 캐머런의 공동체뿐만 아니라 농지를 통과한 후, 이전 121번 고속도로(현재의 카와르타 호수 도로 121)의 남단과 교차하는 폴스 코너(Powles Corners)에서 북쪽으로 돌아옵니다.카와르타 호수 8번 도로와 교차하기 위해 짧은 거리에 북쪽으로 계속됩니다. 이전에는 35A번 고속도로에서 페넬론 [5][17][18]폭포로 들어가는 동쪽 다리였습니다.아이작스 글렌 근처의 캐머런 호수 남단을 중심으로 굽은 고속도로는 북쪽으로 잠시 이동한 다음 로즈데일을 [19]통해 북동쪽으로 지그재그를 걸어 컨스터블 랜달 F를 통해 트렌트-세번 강을 가로지릅니다.1986년 [20]2월 14일 근처에서 치명적인 추락 사고를 당한 지역 경찰관의 이름을 딴 스키드모어 다리.고속도로 옆의 농지는 로즈데일 북쪽으로 갈수록 좁아집니다. 이 길은 코보콘크[5]접근하기 때문입니다.

코보콘-드와이트

35번 고속도로는 노랜드 북쪽에서 시작하여 몇 개의 당당한 바위절벽을 통과합니다.

코보콘크 마을로 접근하는 35번 고속도로는 걸리[16]계곡으로 두 번째 쿠에스타를 내려갑니다.강을 건너 [5][17]48번 고속도로의 이전 북동쪽 종점과 교차합니다.마을의 북쪽에 있는 이 길은 평평한 석회암 고원에서 바위투성이의 캐나다 [15]방패로 마지막 하강을 합니다.고속도로가 실버호[5]섀도우호의 서쪽을 따라 굽이굽이 흐르면서 지형은 초원과 낙엽수림에서 화강암 돌출지와 보얼호림으로 빠르게 이동합니다.노랜드에서 이 노선은 이전 503번 고속도로(현재의 카와르타 호수 [17]45번 도로)와 교차합니다.핼리버튼 [21]카운티로 북동쪽으로 굽어가면서 나머지 길이 동안 계속해서 건너고 평행한 걸리 강을 따라가기 시작합니다.35번 고속도로는 무어 폴스와 마이너 베이 지역을 지나 무어와 걸리 호수 주변을 굽이치며 퀸 엘리자베스 2세 와일드랜즈 도립 공원의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합니다.[22]구간에는 여러 개의 통과 차선과 짧은 4차선 고속도로가 있습니다.민덴 마을에 이르러 다시 121번 고속도로와 만나 민덴 야생수역 [17][23][24]보호구역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35번 고속도로는 일반적으로 민덴 북쪽의 옛 밥카이건 식민지화 도로를 따라 형성되지만, 수년에 걸쳐 몇 가지 구조 조정이 현재의 구불구불한 [25]길로 이어졌습니다.Carnarvon에서 118번 고속도로와 만납니다.그런 다음 이 경로는 보쉬쿵 호수의 동쪽을 따라, 버터밀크 폭포를 지나 홀스 호수의 서쪽을 따라 이동한 다음 북서쪽으로 아치를 그리며 쿠쇼 [26]호수의 중간 지점을 가로지릅니다.북쪽으로 갈수록 산악 지대로 향하는 이 고속도로는 도셋 근처무스코카로 건너가 곧 알곤킨 [2][27]파크 서쪽의 60번 고속도로에서 종점에 다다릅니다.

교통.

35번 고속도로의 교통량은 스노우모빌, 코티지, 캠핑 등 레저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1년 동안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의 길이에 따라 상당히 다양합니다.35번 고속도로와 115번 고속도로를 동시에 따라, 하루 평균 차량 수는 20,000대를 넘습니다.이는 35번 고속도로가 엔터프라이즈 힐에서 하루 10,000대 이하로 갈라지면서 감소합니다.이 양은 북쪽 민덴까지 상당히 일정한데,[1] 이 시점에서 60번 고속도로에서는 차량 수가 5,000대 이하로 감소하고 2,000대 이하로 감소합니다.

35번 고속도로는 온타리오[28]경찰이 순찰하고 있습니다.고속도로의 대부분 길이의 제한 속도는 시속 80km(50mph)이며, 건설된 지역에서는 시속 50km(31mph)로 느려지고, [29][30]115번 고속도로와 연결되면 시속 90km(56mph)로 늘어납니다.

역사

"A black and white photo of a highway curving gently to the left. A lake occupies most of the background, while several large trees dominate the foreground."
1941년 카메론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35번 고속도로

35번 고속도로는 온타리오 호수에서 시작하여 캐나다 실드로 건너가는 많은 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31]정착지를 연결하는 여러 산책로로 시작되었습니다.고속도로의 남부 대부분은 다양한 측면[citation needed]양보를 따르고 있습니다.린제이와 페넬론 폭포 사이에는 35번 고속도로가 옛 페넬론 도로를 따라가고, 북쪽에는 1850년대 페넬론과 민든 사이에 새겨진 산책로인 카메론 도로를 따라갑니다.민덴의 북쪽에 있는 이 [32][33]고속도로는 1850년대 드와이트까지 북쪽으로 건설된 식민지화 도로인 밥케이건 로드(Bobcaygeon Road)를 따라 거칠게 나섭니다.

선대 및 시공

35번 고속도로의 몇몇 부분들은 중부 온타리오의 국경으로 정착지를 열기 위해 1850년대에 지어진 식민지화 도로인 밥케이건 로드를 따라 또는 근처에 지어졌습니다.19세기 전반에는 온타리오 호를 따라 형성된 타운십인 "프론트"를 따라 정착이 이루어졌습니다.어퍼 캐나다의 내부 땅을 예비 정착자들과 농업에 개방하기 위해, 정부는 캐나다 방패의 남쪽 가장자리의 황야를 통과하는 식민지 도로의 건설을 시작했습니다.1854년 마이클 딘은 오늘날 밥카이건과 카르나본 [33][34]사이의 선을 조사했습니다.측량선을 따라 통행 가능한 도로의 실제 건설은 1856년 10월 16일에 시작되었습니다.피터버러 카운티 보안관 윌리엄 콩거([33]William Conger)에 의해 이름 지어졌으며, 그는 몇 년 동안 도로 건설을 추진했습니다.

밥케이건 로드의 5마일(8km)은 1856년 말에 개통되었습니다.1858년 말에는 킨마운트의 번트 강 북쪽으로, 1860년에는 민덴의 마을 부지가 조성된 걸리 강으로 개방되었습니다.이 도로는 1861년 여름에 까나본의 피터슨 로드까지 북쪽으로 더 많이 열렸고,[33] 1862년 말에는 도셋까지 개통되었습니다.도로의 유지보수는 법령 노동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는 요소들로 인한 열화를 따라갈 수 없었습니다.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밥케이건 도로는 1930년대에 [33][25]35번 고속도로의 미래 노선이 건설될 때까지 사용되었습니다.

홀스 레이크 건설공사(Halls Lake, 1934)

대공황이 한창이던 1931년 말, 코보콘크와 도셋 사이에 새로운 [35]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구호 프로젝트는 최소 13개의 임시 작업 캠프에 거주하는 2,300명 이상의 남성들을 고용했습니다.많은 곳에서 손으로 작업을 했고,[25][36] 바위가 많은 호수의 해안선을 따라 건설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이너마이트와 말들만 있었습니다.1936년 말까지 공사가 마무리되었는데, 이는 DHO 관할 구역이 트렌트-세번 수로 [25][37]북쪽으로 확장되기 전 마지막 해였습니다.

지정 및 포장

35번 고속도로 지정은 1931년 린제이와 페넬론 폭포 사이의 도로에 처음 적용되었습니다.캐머런 로드는 그 [38][39]해 7월 1일 옵스와 페넬론의 타운쉽을 통과했습니다.1934년 4월 15일 페넬론 폭포와 로즈데일 사이의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연장되어 고속도로 길이가 38.9 km (24.2 mi)[38][40]에 달했습니다.1937년 4월 1일, 북부개발부는 [37]에 합병되었고, 결과적으로 35번 고속도로의 길이에 138.4킬로미터(86.0마일)의 도로가 추가되었습니다.빅토리아 카운티 내의 코보크 남쪽 부분은 그해 8월 11일에 부서에 의해 인수되었고, 코보크에서 노랜드 북쪽까지의 카운티 내 나머지 부분은 몇 주 후인 9월 1일에 인수되었습니다.노랜드 북부에서 드와이트와 헌츠빌에 이르는 핼리버튼 카운티 내에 위치한 구역은 한 달 후인 10월 [41]6일에 추정되었습니다.마침내 1938년 4월 13일에 린제이와 뉴캐슬 사이의 53.2킬로미터 (33.1마일)가 가정되었고, 고속도로는 232.6킬로미터 (144.5마일)[38][42]의 최고 길이에 도달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추정되는 경로의 대부분은 자갈길이었습니다.오로노 남쪽과 린제이에서 카메론까지의 구간만 [43]포장이 되어 있었습니다.도로의 자갈 구간을 포장하는 공사가 빠르게 시작되었습니다.카메론과 페넬론 폭포 사이의 약 11킬로미터의 포장은 [44]1938년에 완성되었습니다.1939년에는 헌츠빌과 드와이트 사이의 고속도로 35/60도 동시 [45]개통이 이루어졌습니다.1940년에는 드와이트 남쪽에서 버켄데일까지 약 2.5km(1.6mi), 빅토리아에서 약 15km(9mi)의 자갈치 표면 포장이 완료되었습니다.핼리버튼 카운티는 노랜드 북쪽에서 [46]민든까지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1942년 [47]카르나본 북쪽에서 렌 호수까지 약 24킬로미터(15마일)의 포장이 완료되었습니다.렌 호수와 버켄데일 사이의 자갈길의 나머지 27킬로미터(17마일)는 [48]1945년에 포장되었습니다.1947년에 노랜드 북부에서 드와이트까지 그리고 페넬론 폭포와 로즈데일 사이에 영구적인 포장도로가 놓였습니다.[49]1950년에 로즈데일과 코보크 사이에 포장이 완료되었고,[50] 코보크와 빅토리아 사이에 남은 틈에 포장이 완료되었습니다.1953년 [51][52]핼리버튼 카운티 경계.1958년까지 린제이 [38]남쪽에서 포장이 시작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1955년 오샤와 동쪽 401번 고속도로와 35번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공사

1953년에 115번 고속도로는 폰티풀 [38]근처 35번 고속도로에서 동쪽으로 2차선 도로로 건설되었습니다.1954년에 [53]피터버러까지 완공되었고,[38][54] 1961년에 35번 고속도로와 공동 지정되었습니다.공사는 [55]1984년부터 4차선으로 확장되기 시작했고,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56]초에 완공되었습니다.60번 고속도로와의 병행성은 1961년 [57]이후 1969년 [58]이전에 35번 고속도로에서 삭제되었습니다.

1954년부터 여러 개의 우회로가 그 [38]길을 따라 마을과 마을 주변에 세워졌습니다.이 중 첫 번째는 밥케이건 로드와 사우스 워터 [59]스트리트를 따라 옛 루트를 우회하는 민덴이었습니다.이것은 1955년 페넬론 폭포의 우회도로에 이어졌습니다.35번 고속도로는 현재의 카와르타 호수 도로 121호선과 카와르타 호수 도로 8호선을 따라 마을을 드나들다가 7번 컨세션 라인이 포장되고 고속도로가 그 [31][60]위로 다시 연결될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1956년 뉴캐슬과 오로노는 우회되었고 35번 고속도로는 [38]마을 서쪽 401번 고속도로의 동쪽 종점과 직접 연결되었습니다.이전 노선은 현재 더럼 지방도 [61]19호선입니다.린제이 [62]우회도로 뿐만 아니라 린제이 북쪽으로 가는 고속도로를 재건하는 작업도 그 해에 시작되었습니다.우회도로가 개통되기 전, 35번 고속도로는 린제이 가를 따라 켄트 가까지 갔다가 윌리엄 가와 콜본 가를 따라 북서쪽으로 조깅을 했습니다.그런 다음 오늘날의 카와르타 호수 4번 도로를 남북으로 따라 현재의 [38][63]35번 고속도로 교차로까지 이어졌습니다.이 경로는 1958년 [64]10월 10일 우회도로가 개통되면서 35B 고속도로가 되었습니다.1960년대에는 폰티풀(현재의 존 스트리트)을 통과하는 경로가 [38]우회되었습니다.

코보콕 북쪽 35번 고속도로에서 가을 전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그림자와 은빛 호수가 보입니다.

2007년 이전에 고속도로는 페넬론 폭포 근처의 카와르타 호수 121번 도로와 카르나본의 118번 고속도로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복구되었습니다.여기에는 세 번째 통과 차로를 위한 고속도로 확장과 여러 [65]구간의 재포장이 포함되었습니다.

2009년 현충일 전날, 린제이와 노랜드 사이의 35번 고속도로 구간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을 기리기 위해 미들랜드 연대 기념 고속도로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지정을 [66]알리는 표지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속도로를 따라 배치됩니다.2012년 4월 25일, 고속도로를 따라 4개의 다리가 경찰관들의 순직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바뀌었습니다.랜달 F 순경.로즈데일의 트렌트-세번 수로 위에 있는 스키드모어 다리, 무어 폴스의 걸 강 위에 있는 에릭 니슈테트 순경, 그리고 광부 베이와 [67][68]민든 사이에 있는 제임스 스미스 상병과 론 J. 채피티스 중사.

미래.

국토교통부는 현재 115번 고속도로 구간과 린제이 사이의 35번 고속도로에 대해 4차선 [69][70]확장에 대비해 환경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2009년, 돌턴 맥기티 주 정부는 [71]린제이 근처의 7/35번 고속도로를 확장하기로 약속했습니다.4차선 단면을 [72]수용할 수 있도록 스쿠고 강 위에 다리를 넓히는 작업이 그 해 말에 시작되었습니다.2021년 [73]말 상세설계보고서를 제출하여 2023년부터 확대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주요 교차로

다음 표는 온타리오 [1]교통부가 언급한 대로 35번 고속도로를 따라 있는 주요 분기점을 나열한 것입니다.

나누기위치km[1]목적지메모들
더럼클래링턴0.00.0 401번 고속도로토론토, 킹스턴115번 고속도로의 남단 동시성;[1] 분할[74] 고속도로의 시작
0.70.43러브킨 로드
1.30.81 리저널 하이웨이 2 – 뉴캐슬, 보우먼빌구2번 고속도로[17]
4.22.6 지방도 17호선 (메인 스트리트) – 뉴캐슬
클라크 3차 양보
6.23.9클라크 4차 양보
8.15.0 지방도 17호선 (메인 스트리트) – 오로노북쪽 방향 출입구 없음, 클라크 5차[74] 컨세션 경유 북쪽 방향 출입구
8.65.3스테이션 스트리트115번 고속도로(우측/우측)[74]를 통과할 수 없음
10.26.3밀 스트리트 / 탐블린 로드 – 오로노남행 출구 및 밀 스트리트 입구; 북행 출구 및 탐블린[74] 로드 입구
10.96.8 지방도 제4호선 (툰턴로)
클라크 6차 양보
13.48.3 지방도 9호선 (클라크 7호선) - 비들리
14.38.9 웨스트 407번 고속도로 – 토론토14번 출구는 2019년 [75][76]12월 9일에 개장했습니다.
15.49.6클라크 8차 양보
17.610.9스켈딩 로드남행출구 및 출입구[74]
18.711.6구대로35번길남행입구[74]
윌콕스 로드북행출구[74] 및 출입구
18.911.7 115번 고속도로 북쪽 - 피터버러19번 출구; 115번 고속도로의 북단 동시;[1] 분할된[74] 고속도로의 끝
더럼 – 카와르타 호 경계클래링턴 – 카와르타 호 경계20.412.7 지방도 제20호선(경계로)
가와르타 호22.914.2 동쪽으로 12번 도로 (퐁티풀 도로)
30.519.0 7A번 고속도로 동쪽피터버러, 베서니7A번[1] 고속도로 남단 동시다발성
32.019.9 7A번 고속도로 서쪽포트 페리7A번 고속도로 북단 동시다발성[1]
39.124.3 57번 도로 서쪽 (골프장 도로) – 자넷빌
40.625.2 동쪽으로 31번 도로 (호렙산길) – 오메미
50.031.1 7번 고속도로 / TCH 이스트 - 피터버러
북쪽 15번 도로 (린제이 스트리트) – 린제이
7번 고속도로의 동시다발성과 린제이 [1]우회도로; 15번 도로 이전 7B 고속도로 서쪽 / 35B[17] 고속도로 북쪽
51.431.9 4번 도로(엔젤린 스트리트 사우스 / 리틀 브리튼 로드)
55.534.5 7번 고속도로 / TCH 서부 – 토론토
드롭 인 로드
7번 고속도로 북단과 린제이[1] 우회도로
56.335.0켄트 스트리트 웨스트 / 유니로얄 로드 – 린제이켄트 스트리트 웨스트 (Kent Street West) 이전 7B 고속도로 / 35B[17] 고속도로 남쪽
59.537.0 4번 도로(썬더브릿지 로드)
62.939.1 북로 21번 도로 (킬라니 베이 로드)
9번 도로 서쪽 (캠브레이 도로)
67.241.8 34번 도로(카메라론로드/롱비치로드)
72.445.0 121번 도로 북쪽 (빅토리아 도로) – 페넬론 폭포 121번[17] 고속도로 북부
76.647.6 8번 도로 동쪽 (빅토리아 도로) – 페넬론 폭포구 35A번[17] 고속도로 동쪽
77.448.1 8번 도로 서쪽 (글레나름 도로)
92.557.5 43번 도로 동쪽 (소머빌 7구역) – 번트 리버, 포 마일 레이크
92.957.7 동부로42번길 (기점로)
93.758.2 48번 도로 서쪽 (포트리지 로드) – 비버튼 48번[17] 고속도로 서부 방면
101.463.0 45번 도로(몽크로드) – 오르막, 킨마운트구 503번[17] 고속도로
할리버튼민든힐스111.869.5 군청도 2호선(딥베이 로드)
민덴126.078.3 군청도 121호선 - 킨마운트 121번[17] 국도
128.780.0 카운티 16번 도로 동쪽 (사우스 레이크 로드) – 젤러트, 로클린
카운티 로드 2 남쪽 (뉴캐슬 스트리트)
130.581.1 카운티 로드 21 이스트 – 핼리버튼 빌리지 121번[17] 고속도로 동쪽
카르나본143.689.2 118번 고속도로 – 브레이스브리지, 핼리버튼 빌리지
홀스레이크154.295.8 군도 13호선 동쪽 (리틀호크로드)
황소 내로우즈160.499.7 현도 11호선(구쇼호수로)
무스코카도셋177.9110.5 디스트릭트 로드 117 웨스트 - 브레이스브리지 117번[17] 고속도로 서쪽
할리버튼 군도 39호선 (주로)
군도 8호선 동쪽 (가와가마 호숫가)
무스코카만의 호수 구립도 21호선 서부(여우각시도)
드와이트195.6121.5 60번 고속도로 – Huntsville, Whitney, Algonquin Park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접미사 경로

35A번 고속도로

Highway 35A marker

35A번 고속도로

위치35번 고속도로 페넬론 폭포
길이3.7 km[77] (2.3 mi)
존재했다1955년 5월 25일~1997년[78] 4월 1일

1955년 5월 25일 페넬론 폭포의 새로운 우회도로가 35번 고속도로의 일부로 지정되면서 35A번 고속도로가 만들어졌습니다.폴스 코너스와 페넬론 폭포 사이의 옛 노선은 당시 121번 고속도로의 일부가 되었고, 페넬론 폭포에서 동쪽으로 나가는 나머지 노선은 35A번 [31][79]고속도로로 번호가 변경되었습니다.1997년 4월 1일 빅토리아 [78]카운티로 이전될 때까지 2.7킬로미터의 짧은 경로는 지방 고속도로 시스템에 남아 있었습니다.

35B번 고속도로 (린세이)

Highway 35B marker

35B번 고속도로

위치켄트 가, 린제이 가
길이5.8 km[77] (3.6 mi)
존재했다1958년10월10일~1997년4월1일[78]

35B번 고속도로는 7B번 고속도로동시에, 35번 고속도로와 양 [77]끝을 연결하는 켄트 스트리트 웨스트와 린제이 스트리트 사우스를 따라 린제이를 통과했습니다.1958년 10월 10일 린제이 우회도로가 개통되면서 마을 [64]남서쪽으로 연결된 7/35번 고속도로로 방향이 바뀌었습니다.처음에 35B 고속도로는 린제이 가를 따라 켄트 가까지 갔다가 켄트 가, 윌리엄 가, 콜본 가를 따라 북서쪽으로 조깅을 했습니다.그런 다음 오늘날의 카와르타 호수 4번 도로를 남북으로 따라 현재의 교차로인 35번 고속도로와 8.8킬로미터(5.[38][63]5마일)의 거리에 도달했습니다.그러나 1968년 9월 21일, 켄트 스트리트 북쪽의 2.2 킬로미터 (1.4 마일) 부분이 빅토리아 [80]카운티로 이전되었습니다; 35B 고속도로는 결과적으로 켄트 [81]스트리트를 따라 다시 연결되었습니다.나머지 5.8킬로미터(3.6마일)는 1997년 4월 1일에 해체되어 빅토리아 [78]카운티로 이전되었습니다.

35B번 고속도로 (도셋)

Highway 35B marker

35B번 고속도로

위치도셋의 메인 스트리트
존재했다1958–1974

참고문헌

원천
  1. ^ a b c d e f g h i j Ministry of Transportation of Ontario (2016).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DT) counts". Government of Ontario. pp. 21–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9, 2022. Retrieved October 27, 2022.
  2. ^ a b Cantor, George (September 29, 1974). "Nature's Palette Ablaze in Canada". The Los Angeles Times. p. I-4. Highway 35 which might be Ontario's most scenic road
  3. ^ Perly's (2007). Toronto & area map book (Map). Rand McNally. p. 4. ISBN 978-0-88640-928-9.
  4. ^ Transportation Capital Branch (1985–1986). "Provincial Highways Construction Projects". Northern Transportation, Construction Projects.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XI. ISSN 0714-1149.
  5. ^ a b c d e Google (September 27, 2022). "Highway 35/115 concurrency"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September 27, 2022.
  6. ^ Land Information Ontario (May 5, 2020). Oak Ridges Moraine (ORM) Planning Area (zoomed to Highway 35) (Map). Government of Ontario. Retrieved September 27, 2022.
  7. ^ MapArt 2011, 페이지 32, 섹션 F38
  8. ^ Highway 35/115 Interchange Preliminary Design and Class Environmental Assessment Study: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Study Report W.P 4174-15-00 (PDF) (Report). WSP. February 2021. pp. 48–49. Retrieved September 27, 2022.
  9. ^ Ruck, Brian (November 24, 2009). A Big Win; A Highway 407 VE Success Story! (PDF). CSVA Conference. Ottawa. pp. 25, 34. Retrieved September 27, 2022.
  10. ^ "City of Kawartha Lakes". The Neptis Foundation. 30 August 2013. Retrieved September 27, 2022.
  11. ^ "Canadian Tire Motorsport Park". Destination Ontario. Government of Ontario. Retrieved September 27, 2022.
  12. ^ a b c MapArt 2011, 페이지 32, 섹션 C37-F38
  13. ^ "Highway 35 between Tower Road and Highway 7 south of Lindsay". National Atlas of Canada – Toporama. Natural Resources Canada. January 26, 2021. Retrieved September 29, 2022.
  14. ^ MapArt 2011, 페이지 43, 섹션 V36-C37
  15. ^ a b Trent Conservation Coalition (2004). Paleozoic Region - Bedrock Topography and Geology (PDF) (Report). Ontario Ministry of Environment. Retrieved December 26, 2009.
  16. ^ a b Sturgeon Lake Watershed Characterization Report (PDF) (Report). Kawartha Conservation. 2014. p. 26. Retrieved September 30, 2022.
  1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Transportation Capital Branch (1997). "Provincial Highways Distance Table" (PDF). Provincial Highways Distance Table: King's Secondary Highways and Tertiary Roads. Ministry of Transportation of Ontario: 57–58, 79. ISSN 0825-5350. Retrieved September 30, 2022 – via Legislative Assembly of Ontario.
  18. ^ MapArt 2011, 페이지 43, 섹션 A37
  19. ^ "Rosedale ... A Trent–Severn Trail Town". City of Kawartha Lakes Tourism. 20 August 2019. Retrieved September 30, 2022.
  20. ^ MacEachern, Barbara-Ann (September 6, 2012). "Fallen OPP officer, husband, father honoured". Peterborough This Week. Retrieved September 30, 2022.
  21. ^ MapArt 2011, 페이지 43, 섹션 X36-37
  22. ^ Google (October 1, 2022). "Four laned Highway 35 west of Moore Lake"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October 1, 2022.
  23. ^ MapArt 2011, 페이지 43, 60, 섹션 V36-X37
  24. ^ Duhatchek, Eric (July 17, 2015). "Pan Am whitewater canoe and kayak events put Gull River on the map". The Globe and Mail. Retrieved October 1, 2022.
  25. ^ a b c d Shirley, Michael (1986). "The Building of Highway 35" (PDF). Minden & Area Magazine. pp. 5–7, 9–11. Retrieved October 1, 2022.
  26. ^ "Haliburton County". Scenic Highway 35. CanPages. p. 3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5, 2012. Retrieved May 15, 2010.
  27. ^ McDougall, Harry (September 17, 1983). "Ontario, in living color(s)". The Windsor Star. p. C9. Retrieved September 30, 2022 – via Newspapers.com.
  28. ^ Ontario Provincial Police Communications Strategy (PDF) (Report). Ontario Provincial Police. 2018. Retrieved October 1, 2022.
  29. ^ "R.R.O. 1990, Reg. 619: SPEED LIMITS". e-Laws. Government of Ontario. 24 July 2014. Retrieved October 1, 2022.
  30. ^ MapArt 2011, pp. 32, 43, 59–60, 섹션 R35-H39
  31. ^ a b c Suggitt pp. 66-67
  32. ^ 슈래그 페이지 18
  33. ^ a b c d e Shirley, Michael (1988). "Building the Bobcaygeon Road" (PDF). Minden & Area Magazine. pp. 15, 17–19, 58, 60–11. Retrieved October 2, 2022.
  34. ^ Shragge & Bagnato 1984, 17-21쪽
  35. ^ "Given Work on Roads". The Ottawa Journal. November 21, 1931. p. 16.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Newspapers.com.
  36. ^ "Road Lay-Off Report Denied". The Windsor Star. November 21, 1931. p. 21.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Newspapers.com.
  37. ^ a b Shragge & Bagnato 1984, 페이지 71.
  38. ^ a b c d e f g h i j k 밀러 페이지 97-98
  39. ^ Annual Report (Report) (1930 and 1931 ed.). Department of Public Highways. October 24, 1932. pp. 24, 78. Retrieved October 1, 2022 – via Internet Archive.
  40. ^ Annual Report (Report) (1934 ed.). Department of Public Highways. p. 120. Retrieved October 1, 2022 – via Internet Archive.
  41. ^ "Appendix No. 3 – Schedule of Assumptions and Reversions of Sections of the King's Highway System for the Fiscal Year". Annual Report (Report) (1937 ed.). Department of Highways. April 20, 1939. pp. 80–81.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42. ^ "Appendix No. 3 – Schedule of Assumptions and Reversions of Sections of the King's Highway System for the Fiscal Year". Annual Report (Report) (1938 ed.). Department of Highways. October 26, 1939. pp. 81, 84.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43. ^ 1937-38 지도.M5–N8
  44. ^ "King's Highway Operations: Division No. 7—Port Hope". Annual Report (Report) (1938 ed.). Department of Highways. October 26, 1939. p. 29.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45. ^ 1939-40년 지도, s. M5
  46. ^ "King's Highway Operations: Division No. 11—Huntsville". Annual Report (Report) (1940 ed.). Department of Highways. December 31, 1941. p. 24.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47. ^ "King's Highway Operations: Division No. 11—Huntsville". Annual Report (Report) (1940 ed.). Department of Highways. May 28, 1943. p. 21.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48. ^ "King's Highway Operations: Division No. 11—Huntsville". Annual Report (Report) (1945 ed.). Department of Highways. March 30, 1946. p. 29.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49. ^ "King's Highway Operations: Division No. 7—Port Hope, Division No. 11—Huntsville". Annual Report (Report) (1947 ed.). Department of Highways. October 22, 1947. pp. 43, 47.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Internet Archive.
  50. ^ "King's Highway Operations: Division No. 7—Port Hope". Annual Report (Report) (1950 ed.). Department of Highways. April 3, 1951. p. 47.
  51. ^ 1953년 지도, s. Q35
  52. ^ 1954년 지도, s. 35
  53. ^ Canadian Press (March 1, 1955). ""Dishonest Practices" Hid Real Highway Work—Frost". Vol. 112, no. 213. The Ottawa Citizen. p. 21. Retrieved May 20, 2010.
  54. ^ Ontario Road Map (Map). Cartography by C.P. Robins. Ontario Department of Highways. 1961. Mileage Tables inset. Retrieved September 29, 2022 – via Archives of Ontario.
  55. ^ Annual Report 1983–1984 (Report). Ontario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March 31, 1984. Retrieved June 24, 2010.
  56. ^ Fulton, Ed (August 16, 1987). "Transport minister promises 4-lane Highway 115 by 1992". News. No. 213. The Toronto Star. p. C.28. Retrieved May 20, 2010.
  57. ^ Ontario Road Map (Map). Cartography by C.P. Robins. Ontario Department of Highways. 1961. § P34.
  58. ^ 도로국 페이지 77-78
  59. ^ County of Haliburton (Map). C. Tarling & Co. 1951. Retrieved June 26, 2010.
  60. ^ County of Victoria (Map). C. Tarling & Co. 1951. Retrieved June 26, 2010.
  61. ^ Ontario Road Map (Map). Cartography by C.P. Robins. Ontario Department of Highways. 1961. Mileage Tables inset. Retrieved October 2, 2022 – via Archives of Ontario.
  62. ^ "King's Highway Operations: District No. 7—Port Hope". Annual Report (Report) (1956 ed.). Department of Highways. April 1, 1957. p. 67.
  63. ^ a b Ontario Road Map (Map). Cartography by C.P. Robins. Ontario Department of Highways. 1960. § Lindsay Inset.
  64. ^ a b "Chronology". Annual Report (Report) (1958 ed.). Department of Highways. April 1, 1959. p. 266.
  65. ^ Ministry of Transportation of Ontario. "Appendix". Southern Highways Program 2007 to 2011 (Report). Government of Ontario. p. 50.
  66. ^ Whitnall, Catherine (November 12, 2009). "New Highway Name Honours Regiment". MyKawartha.com. Metroland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09. Retrieved October 12, 2012.
  67. ^ "Backgrounder – Haliburton Area Bridges Dedicated to Fallen Police Officers" (Press release). Government of Ontario. April 26, 2012. Retrieved October 12, 2012.
  68. ^ "Minden Area Bridges Dedicated To Fallen Police Officers". FYI Haliburton. April 27, 2012. Retrieved October 12, 2012.
  69. ^ "Transportation & Logistics". City of Kawartha Lakes Economic Development. Retrieved May 3, 2010.
  70. ^ URS Consulting Canada. Highway 35 Planning Study Site (Report). Government of Ontari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07. Retrieved May 3, 2010.
  71. ^ Hodgins, Bill (April 4, 2018). "Expect slowdowns on Hwy. 7 as MTO sets plans for widening". Kawartha Lakes This Week. Retrieved October 3, 2022.
  72. ^ Wedley, Brendan (August 20, 2009). "$23M approved for highway plan". North Bay Nugget. Retrieved October 3, 2022.
  73. ^ "Notice of Completion: Design And Construction Report Highway 7 Widening From West Of Angeline Street to East of Highway 35, City of Kawartha Lakes (GWP 4065-20-00), Detail Design" (PDF) (Press release). Retrieved October 3, 2022.
  74. ^ a b c d e f g h Google (October 3, 2022). "Highway 35/115 between Highway 401 and Enterprise Hill"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October 3, 2022.
  75. ^ "407 East EA- Mainline Part 2" (PDF). 407 East E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9, 2011. Retrieved February 18, 2019.
  76. ^ DeClerq, Katherin (December 9, 2019). "Final extension of Highway 407 now open to motorists". CTV News. Retrieved December 10, 2019.
  77. ^ a b c Ministry of Transportation of Ontario (April 1, 1989). "Provincial Highways Distance Table". Provincial Highways Distance Table: King's Secondary Highways and Tertiary Roads. Government of Ontario: 23, 59. ISSN 0825-5350.
  78. ^ a b c d Highway Transfers List (Report). Ministry of Transportation of Ontario. April 1, 1997. p. 8.
  79. ^ "Schedule of Assumptions of Sections of the King's Highway System for the Fiscal Year". Annual Report (Report) (1956 ed.). Department of Highways. April 1, 1956. p. 205.
  80. ^ "Appendix No. 26". Annual Report (Report) (1968 ed.). Department of Highways. March 31, 1969. p. 201.
  81. ^ Ontario Road Map (Map). Cartography by Photogrammetry Office. Ontario Department of Highways. 1969. Lindsay inset.
서지학
  • Ontario Back Road Atlas (Map). Cartography by MapArt. Peter Heiler Ltd. 2011. ISBN 978-1-55198-226-7.
  • Miller, Ray Y C (2005). "History of Highways in the Area". From Coal Oil Lights to Satellites. Trafford Publishing. ISBN 1-4120-4894-X. Retrieved June 25, 2010.
  • Shragge, John; Bagnato, Sharon (1984). From Footpaths to Freeways. Ontario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Historical Committee. ISBN 0-7743-9388-2.
  • Suggitt, Gladys M. (1972). Roses and Thorns, A Goodly Heritage - The Early Days of Baddow and Area. John Deyell Co.
  • AADT Traffic Volumes 1955–1969 And Traffic Collision Data 1967–1969. Department of Highways. 1969.

외부 링크

KML은 Wikidata에서 왔습니다.

Wikimedia Commons의 온타리오 고속도로 35호선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