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보라크
Al-Boraq알보라크 | |||
---|---|---|---|
![]() | |||
개요 | |||
네이티브 이름 | البُراق | ||
상태 | 활동적인 | ||
소유자 | 모로코 | ||
로캘 | 모로코 | ||
터미 | 탕헤르빌 철도 터미널(탱게르) 카사보야게르스 철도역 (카사블랑카) | ||
서비스 | |||
연산자 | ONCF | ||
롤링 스톡 | 알스톰 에우프로제플렉스 | ||
역사 | |||
열린 | 2018년[1] 11월 15일 | ||
기술 | |||
선 길이 | 323km (1983mi)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표준 게이지 | ||
전기화 |
| ||
작동 속도 | 시속 320km(200mph) | ||
|
알보라크(Albic: لبُرققق)[2]는 카사블랑카와 탕헤르 사이의 323킬로 미터(201 mi) 고속철도로 모로코에서 ONCF가 운영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고속철도는 모로코 국영철도회사 ONCF가 10여 년간 기획·시공한 끝에 2018년 11월 15일 모로코의 모하메드 6세 국왕에 의해 출범했다. 모로코에서 1500km(930mi) 고속철도망으로 최종 계획되는 첫 단계다.[3] 알보라크 열차는 탕헤르와 케니트라 사이의 186 km 구간에서 최대 320 km/h의 속도에 도달하는 전용 고속선을 통해 운행한다. 케니트라에서 라바트를 거쳐 카사블랑카에 이르는 모로코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복도를 통과하는 마지막 137km의 업그레이드된 간선 위로 열차가 운행된다.[4]
이름
모하메드 6세는 이슬람 예언자,[5] 특히 예언자 마호메트를 밤 여행 중에 메카에서 예루살렘으로 수송한 생물을 언급하며 고속 서비스인 알보라크(Al Boraq, الُُاق)라고 명명했다.
역사
모로코에서 고속철도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초기 연구는 2003년에 시작되었고, 2006년까지 탕헤르와 케니트라를 잇는 노선이 건설되는 첫 번째 노선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6] 2007년에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사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ONCF는 18대의 알스톰 기차 세트를 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6][7] 2008년, ONCF는 2013년에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며, 그 해에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6]
2010년 2월 ONCF가 200억 디르함(DH) 규모의 협약을 체결할 때까지 자금조달이 마무리되지 않았다.[8] 직접투자는 프로젝트에 DH4.8억을 할당했던 모로코 정부와 총 DH19억을 투자한 유럽 출처에서 나왔고, 나머지 DH123억은 상업대출에서 나왔다.[8] DH100억이 인프라에 투입될 예정이었는데, DH56억은 지원 장비에, DH44억은 롤링 스톡에 투입될 예정이었다.[8] 당시는 2010년 중반부터 작업이 시작될 예정이었고, 2015년 12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었다.[8] 2010년 12월, ONCF는 알스톰 유로프로덕플렉스 열차 14대를 구매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9] 더 지연된 후, 2011년 9월 29일 탕헤르에서 의례적인 기공식이 일어났을 때 이 노선의 건설이 시작되었다.[10]
2012년 9월 25일, 기존 통행권에 전용 화물 선로를 건설하여 여객 열차가 고속 노선에서 탕헤르까지 카사블랑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니트라와 카사블랑카 사이의 선로상의 용량을 늘리는 프로젝트에 착수한 바 있다.[11] 철도 건설 외에 4개소(탱게어, 케니트라, 라바트/아그달, 카사블랑카)의 역이 지상에서부터 건설되거나 기존 시설에서 재건축되었다.[12] 2015년 6월 19일, 탕헤르에 첫 열차편이 도착하면서 롤링 스톡 배송이 시작되었다.[13] 9월에는 탕헤르의 열차 운행 시설이 완공되었고, 15년 계약으로 열차를 유지하기 위해 ONCF와 프랑스 철도 사업자인 SNCF의 합작회사가 설립되었다.[14] 2017년 2월, 수익 속도에서의 열차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테스트 프로그램 동안 시간당 357 킬로미터(222mph)의 아프리카 철도 속도 기록이 수립되었다.[12]
2017년 10월 선로 공사가 완료되었고, 이어 11월에는 새로운 전기식 선로 공사가 완료되었다.[3] 전기시스템은 2018년 1월 처음으로 전원이 공급됐고, 2월에는 이 노선의 관제시설이 온라인에 접속했다.[3] 2018년 중반까지 노선 상행선 시험운행으로 예상 운행은 연말까지 미뤄졌지만 역 건설은 완료됐다.[3][12]
2018년 11월 15일 탕헤르에서 취항식과 라바트까지 운행한 특별열차에서 서비스가 개시되었으며, 연말까지 수익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5] 2018년 12월 25일까지, 기차는 06:00부터 21:00까지 2시간마다 카사블랑카를 출발할 예정이었다.
이 서비스의 출범은 또한 여러 개의 새 또는 개축된 기차역이 개통되면서 이루어졌다. 귤-빌 철도 터미널,[15] 케니트라 역,[16] 라바트-아그달 역,[17] 카사-보야게르스 역.[18]
사회 기반 시설
이 노선은 탕헤르에서 케니트라로 가는 새로운 노선과 케니트라에서 카사블랑카로 가는 기존 노선의 업그레이드 등 두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0] 186km 길이의 탕헤르-케니트라 노선은 최고속도가 시속 320km(200mph)인 반면, 137km(85mi)의 케니트라-카사블랑카 노선은 서비스 개시 당시 시속 160km(99mph)로 정격돼 시속 220km(140mph)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었다.[5] 케니트라에서 카사블랑카까지의 선로는 결국 새로운 고속 통행권으로 대체될 계획이며, 2020년에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5] Tangier에서 Kenitra에 이르는 두 가지 전기 통신 유형이 사용된다. 새로운 선로는 50 Hz에서 25 kV로 건설되었고, Kenitra에서 Casablanca까지의 선로는 기존의 3 kV DC 카타레네이션을 유지했다.[5] ETCS형 신호 시스템은 안살도 STS와 Cofely Ineo에 의해 설치되었다.[19]
2018년 서비스 개시 당시 카사블랑카와 탕헤르의 이동시간은 4시간 45분에서 2시간 10분으로 단축됐다.[5] 카사블랑카로 전용 고속 추적을 완료하면 종단 간 이동 시간이 1시간 30분으로 더욱 줄어들게 된다.[5]
롤링 스톡
이 노선에서 운행하는 알스톰 유로프로덕스 12대(14기발주) 열차는 담즙열차로, 각 세트는 동력차 2대와 객차 8대로 구성된다.[9][5] 1등차 2대, 2등차 5대, 뷔페차 1대에 걸쳐 533명이 탑승할 수 있다.[9]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 ^ "'Africa's fastest train' steams ahead in Morocco". Al Jazeera. 15 November 2018.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صاحب الجلالة الملك محمد السادس يتفضل ويطلق إسم "البراق" على القطار المغربي الفائق السرعة". Maroc.ma (in Arabic). 12 July 2018. Retrieved 5 March 2020.
- ^ a b c d "ONCF prepares for launch of high-speed services". International Rail Journal. 12 March 2018.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TrainReview's guide to Morocco's Al-Boraq high speed train".
- ^ a b c d e f g h "Africa's first high speed line inaugurate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6 November 2018.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a b c "Work on Tanger - Kénitra high speed line to start soon".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4 May 2008.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Morocco to order Duplex TGV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3 October 2007.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a b c d "High speed funding package agree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8 February 2010.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a b c "ONCF to buy 14 Duplex high speed train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0 December 2010.
- ^ a b "Ceremony launches Tanger – Casablanca high speed project".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9 September 2011.
- ^ "Casablanca – Kénitra upgrading start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6 September 2012.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a b c "Morocco's Al Boraq high speed service to launch by year en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30 July 2018.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Africa's first high speed train delivere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 July 2015.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Tanger high speed train depot inaugurate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1 September 2015.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محطة القطار بطنجة تفتح أبوابها استعدادا لإنطلاق البراق". طنجة 24 (in Arabic). 19 November 2018. Retrieved 2 March 2020.
- ^ "محطة القطار في القنيطرة تنتزع "جائزة فرساي"". Hespress (in Arabic). Retrieved 2 March 2020.
- ^ "المغرب وفرنسا يدشنان "البراق".. أسرع قطار في أفريقيا". www.aljazeera.net (in Arabic). Retrieved 2 March 2020.
- ^ "فيديو: افتتاح محطة القطار الجديدة بتمارة بتكلفة 36 مليون درهم". 2M (in Arabic). Retrieved 2 March 2020.
- ^ "Tanger - Kénitra high speed line signalling contract signe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4 April 2013. Retrieved 5 April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