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아니아 예술
Oceanian art오세아니아 예술 또는 오세아니아 예술은 하와이, 이스터 섬과 같이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을 포함하여 태평양 섬과 호주의 원주민들이 만든 창작 작품들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두 개의 다른 기간 동안에도 불구하고 그 지역에 정착한 두 그룹의 사람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그들은 제 때에 서로 교류하고 함께 더 멀리 떨어진 섬들에 도달할 것이다. 이 지역은 흔히 네 개의 개별 지역으로 구분된다.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호주는 내륙 멜라네시아(파푸아)와 함께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안인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한 제1의 물결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반면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섬, 폴리네시아는 후기 오스트리아-멜라네시안 항해사들의 후손이며 주로 신석기 라피타 문화를 통해 원주민들과 섞여 있다. 후대의 모든 지역은 서양의 영향과 식민지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다. 보다 최근 오세아니아 사람들은 그들 지역의 예술적 유산에 대해 더 큰 감상을 발견했다.
이러한 사람들의 예술적 창작은 문화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 그 주제는 전형적으로 다산과 초자연적인 주제를 다룬다. 가면과 같은 예술은 종교 의식이나 사회 의식에서 사용되었다. 암각화, 타투, 회화, 목각, 석각, 직물 작업 등은 다른 일반적인 예술 형태다. 현대 태평양 예술은 전통적인 스타일, 상징, 재료들을 아우르며 살아있고 잘 살아있지만, 지금은 다양한 현대적 형태로 상상되어 지리적, 문화적, 개인의 상호 작용과 역사의 복잡성을 드러낸다.[1]
개요
오세아니아 예술은 호주, 뉴질랜드, 태평양 섬, 레바논 다히아 토착민들의 예술적 전통을 적절히 아우른다. 이들 섬 사람들의 조상들은 동남아시아에서 각기 다른 두 집단에 의해 각기 다른 시기에 왔다. 첫 번째,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안 민족과 현대 멜라네시안과 호주 원주민의 조상들은 약 4만~6만년 전에 뉴기니와 호주에 왔다. 멜라네시아인들은 기원전 38,000년까지 북부 솔로몬 제도까지 확장되었다. 제2의 물결, 즉 동남아시아에서 바다를 갈망하는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은 앞으로 3만 년 동안은 오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가장 외진 태평양 섬에도 서로 교류하고 함께 도달하게 될 것이다.[2][3] 이들 초기 민족은 글쓰기 체계가 부족했고, 부패하기 쉬운 재료에 대한 작품을 만들었기 때문에, 이때부터 그들에 대한 기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4] 해양 민족들은 전통적으로 '예술'이라는 서구적 개념으로 작품을 보지 않고, 오히려 종교나 사회적 의식에서, 또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사물을 창조했다.[5]
기원전 1500년까지 제2의 물결의 후손인 오스트로네시아 라피타 문화는 더욱 외딴 섬으로 확장되어 퍼져나가기 시작할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오세아니아에서 조각의 초기 예를 포함한 예술이 뉴기니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원전 1000년부터 라피타 사람들은 통합하여 사모아, 통가, 피지의 현대 폴리네시아 문화를 창조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거기서 더 멀리 태평양으로 모험을 해서 기원전 200년과 서기 1년 사이에 마르케사와 노던 쿡 제도를 정착시켰다. 또한 기원전 1000년경부터는 태평양 제도와 본토 아시아 간의 교역이 활발해졌으며, 기원전 600년부터는 청동작품으로 유명한 베트남의 동손문화의 작품들을 오세아니아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들의 이미지는 토착 예술 전통에 큰 영향을 미친다. AD 1000년까지의 기록은 거의 없지만, 하와이, 이스터 섬, 타히티, 뉴질랜드를 포함한 새로운 지역뿐만 아니라 무역과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이 특징이지만, 대부분의 예술적 전통은 뉴기니 조각과 호주 록 아트처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기 1100년경부터 이스터섬 사람들은 거의 900개의 모아이(큰 석상)를 짓기 시작했다. AD 1200년경에 미크로네시아 섬인 포엔페이 사람들은 인공섬과 운하의 도시인 난마돌을 건설하면서 또 다른 거대 건설에 착수했다. 1500년까지 최초의 유럽 탐험가들은 오세아니아에 도착하기 시작한다. 비록 이전의 예술적, 건축적 전통이 지속되고 있지만, 다양한 지역들은 더 뚜렷한 문화를 분리하고 기록하기 시작할 것이다.[6][7]
선사시대
호주 원주민들의 록아트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고 있는 예술 전통이다. 호주의 Arnhem Land에서 발견된 이 사이트들은 Pre-Estuarine (c. 4만?–6000 BC), Estuarine (기원전 6000 BC–500 AD) 및 Fresh Water (기원전 500년–기존) 그것들은 예술의 스타일과 내용에 기초하여 날짜가 정해진다. 가장 오래된 프레-에스터아린은 붉은 황토색소에 이미지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기원전 6000년경에 이르러 점점 정교해지는 이미지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에스토아린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 이 암벽화는 여러 가지 기능을 했다. 어떤 것들은 마법에 사용되었고, 다른 것들은 사냥을 위한 동물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사용되었고, 어떤 것들은 단순히 재미를 위한 것이었다. 이 지역에서 가장 정교한 락 아트 컬렉션 중 하나는 우비르(Ubirr)의 터인데, 우기에는 수천 년 동안 바위의 얼굴을 여러 번 칠해 놓았던 캠핑장이다.[8]
오세아니아에 있는 조각은 섬 전역에서 발견된 석조 조각으로 뉴기니에 처음 나타나지만 대부분 산악지대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작품들에 대한 연대기적 기한을 설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그 중 하나는 기원전 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각품의 내용은 박격포, 페스텔, 그리고 자유분방한 인물의 세 가지 범주에 들어맞는다. 많은 페슬의 꼭대기에는 종종 새나 사람의 머리와 같은 이미지가 있다. 박격포들은 비슷한 이미지, 또는 때로는 기하학적 패턴을 보여준다. 자유분방한 인물들은 인간, 동물, 그리고 골동품이라는 유사한 주제를 다시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들의 원래 의미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의식의 맥락에서 사용되었을 것이다.[9]
예술적 전통이 있는 또 다른 초기 문화로는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전 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라피타가 있는데, 그는 폴리네시아와 섬 멜라네시아의 현대 문화의 조상이라고 생각된다. 그 문화는 제2의 물결의 오세아니아 정착민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 이름은 뉴칼레도니아에 있는 라피타라는 곳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곳은 이 독특한 조각이 발견된 최초의 장소 중 하나이다. 문화가 정확히 어디에서 발전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그 사람들 자체가 원래 동남아시아에서 왔다. 그들의 예술은 정교한 기하학적 모티브와 때로는 의인적인 이미지를 포함한 도자기들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디자인들 중 일부는 현대의 폴리네시안 문신과 나무껍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빗살 같은 도구를 발사하여 디자인들을 젖은 진흙에 찍어 만들었다. 각각의 우표는 하나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정교한 패턴이 만들어질 때까지 층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들의 용도는 주로 요리, 서빙, 그리고 음식을 저장하는 데 있었다.[10]
지역
미크로네시아
미크로네시아는 멜라네시아 북부의 섬 사람들을 아우르는 오세아니아의 제2의 물결 정착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 오스트레일리아 파도와 필리핀의 라피타 문화에서 입증된 예술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2][3] 이 지역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난마돌이라는 거대 부유 도시가 있다. 이 도시는 AD 1200년에 시작되었고, 1600년경 유럽 탐험가들이 도착하기 시작할 때 여전히 건설되고 있다. 그러나 이 도시는 사우들레우르 왕조와 함께 1800년경에 쇠퇴를 겪으며 1820년대에 의해 완전히 버려진다. 19세기에는 이 지역이 식민지 열강들 사이에서 분열되었지만, 예술은 계속 번창했다. 특히 이 지역에서 남성들에 의한 나무 조각은 벨라우에 풍성하게 장식된 의식주, 양식화된 그릇, 카누 장식물, 의식용 그릇, 그리고 때로는 조각된 형상을 만들어낸다. 반면에 여성들은 팔찌나 머리띠 같은 직물과 장신구를 만들었다. 스타일리시하게 미크로네시아 예술은 능률적이고 실용적으로 그 기능을 단순화하지만, 전형적으로 높은 수준의 품질로 완성된다.[11] 이것은 대부분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천연 재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12]
20세기 전반에는 미크로네시아의 문화적 온전성이 저하되고 서구 제국주의 세력과 일본 제국주의 세력의 강한 외세가 나타났다. 많은 역사적 예술적 전통, 특히 조각적 전통은 단순히 실천을 중단했다. 그러나 전통 건축과 직조 등 다른 예술 형태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식민지 세력으로부터의 독립은 그들의 전통 예술이 지역 내에서 새로운 관심과 존경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세대를 이러한 예술 형식을 가르친다. 미크로네시아 내에서도 20세기 말경에는 주목할 만한 현대미술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13]
디농가 아이두(idol), 1800년경, 나무, 높이: 35cm (13)3⁄4 인치; 캐롤라인 섬 출신; Musée du kuai Branly (파리)
게이블 피겨(딜루카이), 19세기 말~20세기 초, 페인트칠한 목재, 높이: 65.2cm(252⁄3 인치), 팔라우 출신, 벨라우인,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뉴욕 시)
폴리네시아
폴리네시아는 미크로네시아와 마찬가지로 라피타 문화 전통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라피타 문화는 서태평양의 일부를 포함하고 통가, 사모아 등 동쪽 멀리까지 도달했다.[14] 그러나 하와이, 뉴질랜드, 타히티, 이스터 섬과 같은 폴리네시아의 많은 부분이 비교적 최근에야 원주민들에 의해 정착되었다. 가장 유명한 폴리네시아 미술 형식은 라파 누이/에스터 섬의 모아이(통계)이다. 폴리네시아 예술은 특징적으로 화려하며, 종종 초자연적인 힘이나 마력을 담고 있다.[15] 폴리네시아 미술 작품들은 영적인 힘을 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세계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16] 그러나 AD 1600년 이상의 시대는 이전의 문화적 전통을 이어가는 것 외에도 유럽 탐험가들과 강렬한 상호작용을 보였다. 이 시기 유럽 탐험가들의 소장품들은 고전적인 폴리네시아 예술이 정말로 번성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9세기에 노예 습격과 서양 질병으로 인한 지역의 감퇴는 많은 사회와 문화를 혼란스럽게 했다. 지역에서의 선교활동은 기독교로의 개종을 초래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역의 전통문화예술유산, 특히 조각이 파괴되었다. 그러나 카바 그릇과 같은 비종교적인 물건이나 타파 제작과 같은 직물 작업과 같은 더 세속적인 예술 형태는 계속된다. 그러나 식민주의의 종식과 함께, 폴리네시아인들은 점점 더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주장하려고 시도했다.[17]

호주.
호주 원주민들은 서양 탐험가들과 접촉한 후에도 계속해서 연습하는 락 아트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예술은 종종 한 캠프에서 다른 캠프로 이동하는 그들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비록 여전히 매우 장식적이긴 하지만 실용적이고 휴대적이다. 그들은 물감을 만들기 위해 바위와 다른 천연 자원을 물과 섞어서 사용했다. 종종 막대기를 사용하여 유명하지만 최근(1971년) 도트 그림을 만든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호주 원주민들이 이것을 만드는 것을 여전히 본다. 춤을 출 때는 흰색 '페인트'로 몸을 칠해 패턴과 의미 있는 모양과 선으로 몸에 바른다. 그들의 춤은 호주 토종 동물들을 영감으로 사용한다.[18]
멜라네시아
뉴기니와 주변의 섬들과 제1의 물결 정착민들로 구성된 멜라네시아는 아마도 모든 오세아니아 중에서 가장 놀라운 예술품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스타일리스트적인 예술은 전형적으로 매우 장식적이며 종종 성적 주제의 과장된 형태를 묘사한다. 그것은 대부분 조상, 사냥, 식인 풍습과 연관되어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그것들은 정교한 탈을 만드는 것과 같은 영적인 의식의 맥락에서 사용되곤 했다. 그러나 오늘날 이 섬에는 멜라네시아 미술의 예가 거의 없다.[5]
1600년 이후 오세아니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유럽 탐험가들과의 만남이 증가하였다. 그들이 목각으로 정교하게 조각한 최초의 기록과 같은, 예술과 문화의 번창하는 전통이었다. 그러나 서구화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그 타격을 받기 시작한다. 어떤 전통적인 형태의 예술은 쇠퇴하기 시작하지만, 조각과 같은 다른 예술은 그 지역에서 살아남고 심지어 번창하기도 한다. 더 많은 섬들이 서구 열강들에 의해 탐험되기 전까지는 멜라네시안 예술의 순수한 다양성이 보이기 시작한다. 20세기경에는 멜라네시아 미술이 서양으로 가는 길을 찾기 시작하며 현대 미술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 문화대란이 일어날 것이고, 많은 전통예술이 쇠퇴하거나 파괴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수십 년 후에 그들의 모국 예술 형식에 대한 새로운 감상에 의해 뒤따를 것이다.[19]
참고 항목
메모들
- ^ Brunt, Peter (2012). Art in Oceania: A New History.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p. 410–497. ISBN 978-0-300-19028-1.
- ^ Jump up to: a b Gray, RD; Drummond, AJ; Greenhill, SJ (2009). "Language Phylogenies Reveal Expansion Pulses and Pauses in Pacific Settlement". Science. 323 (5913): 479–483. Bibcode:2009Sci...323..479G. doi:10.1126/science.1166858. PMID 19164742.
- ^ Jump up to: a b Pawley, A. (2002). "The Austronesian dispersal: languages, technologies and people". In Bellwood, Peter S.; Renfrew, Colin (eds.). Examining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hypothesis.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University of Cambridge. pp. 251–273. ISBN 978-1902937205.
- ^ 기원전 80000-2000년 오세아니아 미술사 연대표 만나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Jump up to: a b 허친슨 백과사전. 오세아니아 예술 웨이백 기계에 2006-05-15를 보관했다. 2006년 6월 23일에 회수되었다.
- ^ 기원후 1000-1400년 오세아니아 미술사 연대표 만나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기원후 1400-1600년 오세아니아 미술사 연대표 만나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미술사 우버르(40,000?B)를 만났다.C.-현재.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뉴기니에서 온 선사시대의 석조 조각, 미술사 연대표를 만났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미술사 연대표, 라피타 도예 (기원전 1500년-5000년)를 만났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1800-1900년 미술사 미크로네시아를 만났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2006년 6월호 컬럼비아 백과사전 "해양 예술"
- ^ 1900년 미크로네시아 미술사 연대표를 만났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D'Alleva, Anne (1998). Arts of the Pacific Islands. Abrams. p. 14. ISBN 0-8109-2722-5.
- ^ Kaeppler, Adrienne (2008). The Pacific Arts of Polynesia and Micronesia. Oxford University Press. p. 5. ISBN 978-0-19-284238-1.
- ^ Hooper, Steven (2006). Pacific Encounters: Art and Divinity in Polynesia 1760-1860.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28. ISBN 978-0-8248-3084-7.
- ^ 1900년 현재 미술사 연대표를 만났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1800-1900년 오스트레일리아 미술사 연대표 만나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 ^ 서기 1900년 멜라네시아 미술사 연대표를 만났다. 2006년 6월 22일에 회수되었다.
추가 읽기
- Goldwater, Robert; et al. (1969). Art of Oceania, Africa, and the Americas from the Museum of Primitive Art: an exhibition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Kjellgren, E.; et al. (2001). Splendid isolation: art of Easter Island.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SBN 978158839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