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의 토착 음악
Indigenous music of Australia호주의 토착 음악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주민들의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들의 문화적, 의식적 관찰과 교차하며, 개인과 집단적 역사의 수천 년을 거쳐 오늘날에 이른다.[1][2][3][4] 전통적인 형식은 특정한 지역이나 호주 원주민 그룹 특유의 공연과 음악적 악기들의 많은 측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음악적 전통의 몇몇 요소들은 호주 대륙의 많은 부분 그리고 심지어 그 너머까지 공통적이거나 널리 퍼져있다. 토레스 해협 섬사람들의 음악은 뉴기니의 인접지역과 관련이 있다. 음악은 호주 원주민들의 문화 유지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5]
이러한 토착 전통과 음악적 유산 외에도, 18세기 유럽 식민지화가 시작된 이래, 원주민 호주 음악가들과 연주자들은 전통 악기와 감성과 함께 종종 알려지는 수입된 서양 음악 스타일을 많이 채택하고 해석했다. 마찬가지로, 원주민이 아닌 예술가들과 연주자들은 그들의 작품에서 원주민의 호주풍과 악기를 각색, 사용, 샘플링했다. 로큰롤, 컨트리, 랩, 힙합, 레게와 같은 현대 음악 스타일은 모두 다양한 토착 오스트레일리아의 뛰어난 연주자들을 특징으로 했다.
전통 악기
디제리두
디데리두는 서양의 음악적 분류에 따라 공중전화의 범주에 속하는 악기의 일종이다. 그것은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악기 중 하나이다. 그것은 손가락 구멍이 없는 긴 튜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튜브를 통해 플레이어가 불게 된다. 그것은 때때로 밀랍으로 만든 마우스피스를 장착하기도 한다. 디제리두는 전통적으로 유칼립투스로 만들어지지만 PVC 배관 등 현대적인 재료가 사용된다. 전통적인 상황에서 그것은 오직 남자들에 의해서만 연주되며, 보통 의식적인 노래나 오락적인 노래에 대한 반주로 연주되거나, 훨씬 더 드물게 단독 악기로 연주된다. 숙련된 연주자들은 연속적인 소리를 내기 위해 원형 호흡의 기술을 사용하고, 또한 복수의 조화 공진을 유도하는 기술을 채용한다. 비록 전통적으로 이 악기는 전국에 널리 퍼지지 않았지만 - 가장 북쪽에 있는 원주민 그룹에서만 사용되었지만 - 오늘날에는 남부 민족에 의해 호주 원주민들의 국가 악기로 여겨지고 있으며 독특하고 상징적인 악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많은 북부의 원주민들은 양성의 어느 한쪽의 성별을 가진 미개척 원주민들과 비토착 호주 원주민들이 빈번하고 부적절한 사용을 계속해서 강력히 반대한다. 유명한 선수로는 자울루 구루위, 마크 앳킨스, 윌리엄 바튼, 데이비드 허드슨, 조 가이아, 셰인 언더우드를 비롯해 백인 거장 찰리 맥마흔 등이 있다.
클랩스틱
박수갈채는 서양의 음악학적 분류에 따르면 타악기의 범주에 속하는 악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을 칠 때 사용하는 드럼스틱과 달리, 박수갈채는 한 막대기를 다른 막대기로, 그리고 사람 또한 때리기 위한 것이다. 그것들은 뱀, 도마뱀, 새 등의 그림이 그려진 타원형 모양이다. 'tatty' 스틱이라고도 한다.[6]
껌잎
유칼립투스 껌나무의 잎은 손에 쥐는 자유 갈대 악기로 사용된다.이 악기는 원래 새를 부를 때 사용되었다. 스키피.[7][8][9][10][11]
불로어러
불장수(또는 황소장수)는 의례에 사용되는 기구다. 그것은 평평한 나무 조각에 부착된 몇 피트 길이의 줄로 이루어져 있다. 플레이어는 줄의 자유 끝을 잡고 나무 조각을 원을 그리며 돌려서 윙윙거리는 소리를 낸다. 소리의 강도는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12][13][14]
산딸기
구이루나 톱니 클럽과 유사한 과론적 산물이며, 부메랑의 가장자리를 끌어내어 수조를 생산한다.[6]
전통 양식
클랜송/매니케이
마니카이는 이루르칼라를 포함한 북동부 아르넴 랜드의 욜랑구족 일부 그룹의 "클란곡"이다. 이 노래들은 종종 씨족이나 가족사 혹은 그 지역의 다른 역사 혹은 신화적인 사건, 사회적 관계와 사랑에 관한 것으로, 인기 있는 영화와 음악을 고려하여 자주 업데이트된다. 비슷한 클랜송은 그루테 아이랜드트에서도 에메바로 알려져 있다.[15] 마니카이는 "요르투족이 공공의식을 행할 때 행하는 신성한 노래 전통"으로 묘사되어 왔다. 이 매체는 욜루족이 현실을 해석하고, 그들의 인간성을 정의하며, 그들의 조상들의 선율을 계산하고, 그들의 조상들의 전통을 노래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그들의 세습 조국에 대한 증거 소유권이다.[16] 흔히 '클랜송'으로 번역되는데, 1950년대부터 민족학자, 사회인류학자들이 이 형식을 연구해 왔다.[17]
마니케이(Manikay)는 아른헴 랜드 의식의 노래 구성요소를 묘사하는 데 자주 쓰이고, 붕굴(아래 참조)은 각각의 단어가 두 요소 모두를 가리키는 데 쓰이기도 하지만, 춤을 가리킨다.[15][18][19]
송라인
"꿈꾸는 트랙"이라고도 알려진 송라인은 "꿈꾸는 트랙" 동안 창조자 존재들이 뒤따르는 경로를 표시하면서 땅이나 하늘을 가로지르는 길을 나타낸다. 노랫줄의 길은 전통적인 노래 주기, 이야기, 춤, 예술로 기록되며, 종종 의식의 기초가 된다. 복잡한 일련의 노래 사이클은 항해를 위한 랜드마크와 추적 메커니즘을 식별한다.[20][21][22]
전사
초기 방문객들과 정착민들은 원주민 전통 음악에 대한 많은 기록들을 출판했다.[23][24] 원주민 음악의 가장 초기 필사본은 1793년 런던의 에드워드 존스에 의해 1811년 뮤지컬 호기심에 출판되었다. (뉴사우스웨일스 시드니 지역의) 예메로완과 베넬롱 두 사람이 아서 필립과 함께 영국으로 여행을 떠났고, 런던에 있는 동안 다루그어로 된 노래 리사이틀을 했다.[25][26]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붕굴
욜른구라는 용어는 북방영토 동부 아르넴 랜드 중심부에서 의식을 행하는 노래, 음악, 춤을 말한다. 남쪽에 있는 주노루까지 만 강 동쪽, 남동쪽에 있는 로즈 강 지역을 가로질러 누불와르까지 공연된다. 이 곡들은 구체적인 단어를 담고 비슷한 구조를 사용하며, 디제리두와 스틱비팅이 멈춘 후 오랫동안 가사를 부르는 '최종 리커멘티브'가 종종 있다. 어떤 노래들은 꿈속의 조상들의 과거 서사시 여행을 말해준다; 엘킨은 188곡으로 구성된 노래 시리즈의 예를 인용했다. 쟈트팡가리 스타일의 사람들은 일상적인 사건들을 말해준다. 가사는 노래마다 많이 다르며, 연주에 따라 연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특정한 구조와 패턴 내에서 뮤지션들이 즉흥적으로 연주하고 '송맨'을 리드한다. 의식의 리더는 무용수들뿐만 아니라 음악도 이런 형태로 노래하는 사람이 이끄는 서부 아른헴 랜드와는 대조적이다.[27]
붕굴은 종종 의식의 춤 구성 요소를 묘사하는 데 쓰이고, 마네카이는 노래를 가리킨다.[15][18][19]
가마축제는 밤마다 방귀공연을 한다. 2014년 《월간지》의 '호주 예술 최고'판은 이 방걸을 "흥미로운 공연"이라고 묘사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 전통의 한 예"라고 묘사했다. 우리는 호주인으로서 우리의 삶에 그것의 엄청난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 모든 것을 해야 한다."[19]
쿤보르크
쿤보르크(Kunborrk and gunborg[28])는 아델라이드 동쪽에서 남동쪽으로 캐서린 쪽으로 건너가 만 강의 바로 동쪽에서 남동쪽으로 거의 로즈 강까지 갔다가 보롤룰라를 넘어 해안선을 따라갔다.[29]
건보르크는 항상 소리로 구성될 수 있는 지역의 다른 노래 스타일과 대조적으로 실제 단어를 포함하며, 노래에는 종종 짧은 휴식 시간이 있다. 노래는 거의 항상 디제리두부터 시작해서 곧 그 순서대로 스틱(반향)과 보컬이 뒤따른다. 쿤발라냐(군발라냐)의 쿤보르크 노래는 거의 항상 디제리두, 목소리, 그리고 스틱의 순서를 따른다. 쿤보르크는 디제리두와 가장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종종 보컬과 함께 끝난다. 보컬이 먼저 끝날 때도 있고, 박수가 붙을 때도 있지만 디제리두는 절대 마지막에 시작하거나 마지막에 끝나는 법이 없다.[29]
데이비드 블라나시는 손자인 대릴 디카르나가 전통을 이어가는 등 쿤보르크 전통의 달인으로 알려져 있다.[28]
와자라
와자라(Wajarra)는 북방영토 구린지 지역에서 발원한 비신사곡으로 재미와 오락을 위해 공연된다.[30] 20세기 동안 그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서부 전역에 걸쳐, 호주 원주민 노동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역 사이를 여행하면서 목회 산업의 주식 경로를 따라 멀리 퍼져나갔다. 웨이브 힐 역은 이 교류의 상당 부분이 있었던 곳이다.[31]
왕가
왕가는 남악어 강 근처에서 유래되었다. 극도로 높은 음이 리듬감 있는 타악기를 동반한 곡이 시작되고, 이어 나지막한 음조로 급전환한다. 왕가는 전형적으로 한두 명의 가수들이 박수를 치고 디데리두 선수 한 명이 연주한다. 그 행사는 보통 연기로 죽은 사람의 유품을 정화하기 위한 할례식이나 의식이다.[citation needed]
현대 트렌드
지미 리틀(팝), 요투 아인디(호주 원주민 록), 트로이 카사르-데일리(컨트리), 제시카 모보이(팝, R&B), 노KTuRNL(랩메탈), 워럼피 밴드(대안 또는 세계 음악) 등 다수의 원주민들이 주류적 명성을 얻었다. 토착 음악 또한 세계 음악 운동, 특히 WOMADelaide 축제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제프리 구루물 유누핑구(Geoffrey Gurrumul Yunupgugu)는 영어와 욜랑구족의 언어 중 하나로 현대음악을 부르면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성공한 토레스 해협 아일랜드 음악가로는 크리스틴 아누(팝)와 시만 댄이 있다.
현대 토착음악은 이전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록이나 컨트리 음악과 같은 현대 주류 음악 스타일과의 융합을 상징하기도 한다. 《The Destals》는 연주된 스타일 중 록, 컨트리, 팝을 가지고 이것을 예증한다. 디제리두, 클랩스틱 등 전통 악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돼 음악 특유의 느낌을 준다.
컨트리 음악은 클린턴 워커의 "묘지된 나라"에 기록된 바와 같이 호주 원주민들과 토레스 해협 섬사람들 사이에서 수십 년 동안 특히 인기가 있었다. 더기 영과 지미 리틀은 선구자였고 트로이 카사르 데일리는 호주의 성공적인 현대 원주민 컨트리 음악 연주자들 중 하나이다. 원주민 예술가 Kev Carmody와 Archie Roach는 민요 록과 컨트리 음악을 결합하여 원주민 권리 문제에 대해 노래하며 bant라는[further explanation needed] 노래 유형을 사용한다.[32] 다큐멘터리, 책, 그리고 사운드트랙은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토착 음악가들을 보여준다.[33]
호주 도시에서의 토착적 약점을 부각시킨 영화 <잘못된 길>과 그 사운드트랙(1981)은 밴드 <Us Mob>과 <No Fixed Address>를 널리 노출시켰다.
호주의 힙합 음악과 랩 음악에는 수상 경력이 있는 베이커 보이, 2019년 올해의 젊은 호주인 등 다수의 원주민 지수가 욜구 마타에서 랩을 하고 노래를 부른다.[34][35][36]
장르를 주름잡는 이 모조 주주는 2018년부터 여러 차례 수상 또는 후보에 올랐으며, 그녀의 음악은 Underbelle: Razor, Underbelle: Squizzy, Roadtrip Nation 등 다수의 텔레비전 쇼에 출연했다.[37]
델마 플럼은 2019년 7월 데뷔 앨범 'Better in Blak'을 발매했다.[38]
DOBBY는 호주 원주민/필리피노 음악가로 주로 래퍼와 드러머로 시드니 밴드 재키 브라운 주니어와 함께 활동한 경험이 있다. 무라와리 공화국의 일원으로 영어뿐만 아니라 무라와리어로도 노래하고 있으며, 원주민 문제를 다루는 정치 활동가다.[39][40][41]
M. Yunupi dru 박사의 조카이자 Yothu Yindi의 창단 멤버인 스튜어트 켈러웨이(Stuart Kellaway)의 아들이 그들만의 밴드인 킹 Stingray를 시작했는데, 이 밴드를 "Yolngu surp rock"이라고 부른다. 이루냐 유누피수와 로이 켈러웨이가 쓴 그들의 첫 싱글은 2020년 10월에 발매되었다.[42]
연수기관
1997년 주정부와 연방정부는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머의 음악과 재능을 전통에서 현대까지 모든 스타일과 장르에 걸쳐 보존하고 육성하기 위해 원주민 국립공연예술센터(ACPA)를 엘리트 국립연구소로 설립했다.
참고 항목
- 멜버른과 브리즈번에서 인터넷과 방송을 스트리밍하는 3KND 커뮤니티 라디오 방송국.
- 원주민 록 음악
- 묻힌 나라, 토착 컨트리 음악에 대한 영화와 책
-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미디어 협회(CAAMA, Central Australian Original Media Association, CAAMA), 원주민 음악을 홍보하는 기관
- 전국 토착 음악상
- 치명적인 상
- First Nations Media Australia, 토착 방송, 미디어 및 통신의 국가 최고 기관
-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힙합
- 스톰펜 그라운드, 브룸
- 바이브 오스트레일리아
참조
- ^ Aboriginal Australia & the Torres Strait Islands: Guide to Indigenous Australia.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01. ISBN 978-1-86450-114-8. Retrieved 13 May 2013.
- ^ Fiona Richards (2007). The Soundscapes of Australia: Music, Place And Spirituality. Ashgate Publishing, Ltd. ISBN 978-0-7546-4072-1.
- ^ Newton, Janice (1990). "Becoming 'Authentic' Australians through Music". Social Analysi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and Cultural Practice. 27 (27): 93–101. JSTOR 23164573.
- ^ Dunbar‐Hall, P.; Gibson, C. (2000). "Singing about nations within nations: Geopolitics and identity in Australian indigenous rock music". Popular Music and Society. 24 (2): 45. doi:10.1080/03007760008591767. S2CID 190738751.
- ^ 윌우라 크리에이티브(2010년). 2011년 10월 1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음악
- ^ Jump up to: a b "Music". Newcastle Morning Herald and Miners' Advocate (18, 521). New South Wales, Australia. 22 February 1936. p. 5. Retrieved 23 May 2021 – via Trove.
- ^ "FOR WOMEN". The Sydney Morning Herald (30, 507). New South Wales, Australia. 12 October 1935. p. 9. Retrieved 6 February 2019 – via Trove.
- ^ "Abo. Music And Musicians". The Nowra Leader. New South Wales, Australia. 31 October 1930. p. 8. Retrieved 6 February 2019 – via Trove.
- ^ "GUM LEAF MUSIC FOR FAMOUS COMPOSER". The Sydney Morning Herald (29, 375). New South Wales, Australia. 27 February 1932. p. 16. Retrieved 20 February 2019 – via Trove.
- ^ https://dictionaryofsydney.org/media/5092
- ^ "Youthful Gum Leaf Band Here From WA Mission". The Herald (21, 759). Victoria, Australia. 14 February 1947. p. 2. Retrieved 16 October 2019 – via Trove.
- ^ "Aboriginal music". Good Neighbour (41).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stralia. 1 June 1957. p. 6. Retrieved 6 February 2019 – via Trove.
- ^ "Wild and Wide". Smith's Weekly. XVIII (1). New South Wales, Australia. 7 March 1936. p. 17. Retrieved 6 February 2019 – via Trove.
- ^ "A page for the BOYS". The Queenslander. Queensland, Australia. 26 February 1931. p. 52. Retrieved 6 February 2019 – via Trove.
- ^ Jump up to: a b c Lister, Peter. "Song Types in the Top End". Manikay.Com. Retrieved 22 January 2020.
- ^ Corn, Aaron (27 July 2017). "How Dr G.Yunupiŋu took Yolŋu culture to the world". The Conversation. Retrieved 22 January 2020.
- ^ Stubington, Jill (1994). "Yolngu manikay at Yirrkala: The Construction of a Research Field". The World of Music. Florian Noetzel GmbH Verlag, VWB. 36 (1): 82–92. ISSN 0043-8774. JSTOR 43561372. Retrieved 28 July 2021.
- ^ Jump up to: a b Hennessy, Kate (6 August 2015). "Garma: art and politics come together for a moving Arnhem Land festival". the Guardian. Retrieved 22 January 2020.
- ^ Jump up to: a b c Grabowsky, Paul (1 October 2014). "The best of Australian arts 2014: Concert music". The Monthly. Retrieved 22 January 2020.
- ^ "W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eamtime and Songlines?". Japingka Aboriginal Art Gallery. 26 October 2017. Retrieved 28 July 2021.
- ^ Cairns, Hugh; Yidumduma Bill Harney (2003), Dark Sparklers: Yidumduma's Wardaman Aboriginal Astronomy : Night Skies Northern Australia, H.C. Cairns, ISBN 978-0-9750908-0-0
- ^ Malcolm, Lynne; Willis, Olivia (8 July 2016). "Songlines: the Indigenous memory code". ABC Radio National. Retrieved 28 July 2021.
- ^ Skinner, Graeme; Wafer, Jim. "A checklist of colonial era musical transcriptions of Australian Indigenous songs". PARADISEC Australharmony. Retrieved 19 February 2019.
- ^ Peron, Francois; Freycinet, Louis Claude Desaulses de; Lesueur, Charles Alexandre (1824), Voyage de decouvertes aux terres australes : fait par ordre du gouvernement, sur les corvettes le Geographe, le Naturaliste, et la goelette le Casuarina, pendant les annees 1800, 1801, 1802, 1803, et 1804 : historique / redige par Peron et continue par M. Louis de Freycinet (in French), Arthus Bertrand
- ^ Keith Vincent Smith (2015). "Yemmerrawanne". The Dictionary of Sydney. Dictionary of Sydney Trust. Retrieved 12 July 2015.
- ^ Keith Vincent Smith (2011). "1793: A Song of the Natives of New South Wales". Electronic British Library Journal. British Library. Retrieved 12 July 2015.
- ^ Lister, Peter. "Traditional musical styles/genres of the region". Manikay.Com. Retrieved 22 January 2020.
- ^ Jump up to: a b Lister, Peter. "Mago Masterclass: An Introduction to the 'Kunborrk' Didjeridu Playing Style of the Western Arnhem Region of Australia". Manikay.Com. Retrieved 22 January 2020.
- ^ Jump up to: a b Lister, Peter. "Traditional musical styles/genres of the region:Kun-borrk". Manikay.Com. Retrieved 22 January 2020.
- ^ "The songs that went viral through the desert". National Indigenous Times. 14 May 2019. Retrieved 25 May 2019.
- ^ Turpin, Myfany. Songs from the stations : Wajarra as sung by Ronnie Wavehill Wirrpnga, Topsy Dodd Ngarnjal and Dandy Danbayarri at Kalkaringi. Meakins, Felicity. Sydney, NSW, Australia. ISBN 9781743325858. OCLC 1089228854.
- ^ (2008년 6월 2일). 호주 민속 음악 웨이백 머신에 2011년 2월 17일 보관. 오스트레일리아의 연방
- ^ Clinton Walker. Buried Country: The Story of Aboriginal Country Music.
- ^ 조지 스타브리아스, (2005) 드로핀의 의식적인 비트와 흐름: 원주민 힙합과 청소년 정체성, 호주 원주민 연구, 2위
- ^ Reich, Hannah (25 January 2020). "Baker Boy ends his tenure as Young Australian of the Year by taking Yolngu language and dance further into the mainstream".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26 January 2020.
- ^ Kelly, Barb (25 January 2019). "Baker Boy is named 2019 Young Australian of the Year" (video). ABC News. Retrieved 26 January 2020.
- ^ "Mojo Juju". Mushroom Music Publishing. Retrieved 16 October 2019.
- ^ Gallagher, Allison (29 May 2019). "Thelma Plum announces debut album 'Better in Blak', National Tour dates & shares moving new video". Music Feeds. Retrieved 16 October 2019.
- ^ "DOBBY". triple j Unearthed. 1 January 2010. Retrieved 27 January 2020.
- ^ Nicol, Emily (15 July 2018). "Rapper DOBBY's latest single is a dedication to Aboriginal struggle". NITV. Special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27 January 2020.
- ^ Talk, Shorthand - Real (12 September 2018). "Dobby". Shorthand. Retrieved 27 January 2020.
- ^ Hennessy, Kate (14 October 2020). "'Loud and proud, wrong and strong': the 'Yolŋu surf rock' of Yothu Yindi's next generation". The Guardian. Retrieved 22 May 2021.
추가 읽기
- 던바 홀, P. & 깁슨, C., (2004) 치명적인 소리, 치명적인 장소: 호주 현대 원주민 음악, UNSW 프레스, ISBN 978-0-86840-622-0
- 마렛, 앨런, 바윅, 린다와 포드, 리스베스(2013), 노래를 위하여: 왕가송맨과 그들의 레퍼토리, 시드니대학 출판부, ISBN 9781920899752
- Stubington, Jill (2007), Singing the Land - 원주민 생활에서 수행의 힘, Raymattja Marika의 포어워드, Current House Inc., ISBN 978-0-9802802-7 (hbk.) : 9780280234 (pbk)
- Turpin, Myfanwy and Meakin, Felicity(2019), Songs from the Station, Sydney University Press, ISBN 9781743325841
- 워커, 클린턴(2000/2015), 묻힌 나라: [오피니언] 원주민 컨트리뮤직 이야기, Phone Chorus Press, ISBN 978-1-891241-38-3
- Warren, A. & Evitt, R.(2010), Native Hip hop: marinality 극복, 제약조건 맞닥뜨림, Australian Geographician 41(1), 페이지 141–158.
- 로저 녹스(2020), 로저 녹스(2013), '로저 녹스 & 파인 밸리 우주비행사, 내 땅의 이방인'(2013), 로저 녹스, Give it a Go(1983) 등이 출연했다. 토니 미첼과 함께한 존 스트래튼과 존 데일, 호주 앨범의 앤톨로지: ISBN 978-1-5013-3985-1(hbk)
외부 링크
- DOBBY - 래퍼, 드러머, 작곡가. 토착연구의 영예(토착 힙합 음악에 집중) 2015.
- 토착 현대 음악 액션 플랜 2008
- 호주 토착 음악 2판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토콜. (호주 의회, 2007)
- 매니카이.Com - 전통적인 Arnhem Land 음악의 홍보와 즐거움을 위하여.
- Blacklist.org.au - 호주 원주민의 음악과 문화를 홍보하고 공유하는데 헌신한다.
- 토레스 해협의 전통 음악 -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섬머 연구(AIATSIS)의 저명한 기록 보관소로부터의 오디오 및 비디오 하이라이트. 스키니피쉬 음악으로 발매 - 1960년과 1961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 인류학과의 지원으로 녹음. (상업 링크)
- CAAMA Music Myspace - CAAMA Music Label(Commercial link) 아래에 있는 토착 음악의 홍보와 즐거움을 위해.
- Wilurra Creative, Music Development Western Desert Australia
- 오스트레일리아 음악 사무소 - 오스트레일리아 아티스트 및 음악 회사에 대한 수출 이니셔티브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기관
- AP Elkin이 온라인으로 온라인에서 녹음한, 멀리 북동쪽 Arnhem Land의 Yirrkala 지역에서 원주민 부족 음악의 발췌곡 듣기
- 호주 북서부 달리 지역의 왕가 공연과 왕가에 대한 정보를 담은 송의 오디오 녹음을 위하여.
- 스테이션의 노래 - 북방영토 출신의 구린지 가수들의 와자라 공연의 오디오와 비디오 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