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아누 다 마타

Cristiano da Matta
크리스티아누 다 마타
Cdmlb06.jpg
2006년 롱비치 그랑프리 다마타 선수단
국적Brazil 브라질의
태어난 (1973-09-19) 1973년 9월 19일 (48세)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벨로 호라이즌테
업적2002년 CART FedEx 챔피언십 시리즈 챔피언
챔프카 경력
101개의 경주는 6년에 걸쳐 열린다.
년 활동1999–2002, 2005–2006
아르시에로웰스
PPI 모터스포츠
뉴먼하스
PKV 레이싱
데일 코인 레이싱
루스포트
Best finish2002년 1월 1일
퍼스트 레이스1999년 말보로 그랑프리 오브 마이애미 (홈스테드)
라스트 레이스2006년 산호세 그랑프리 (산호세 성좌)
첫승2000년 시카고 대상 그랑프리(치카고랜드)
마지막 승리2005 포틀랜드 그랑프리 (포트랜드 레이스웨이)
이김. 시상대 폴스
12 20 7
포뮬러월드 챔피언십 커리어
활동년수20032004
토요타
항목28
선수권 대회0
이김.0
시상대0
경력점수13
폴 포지션0
가장 빠른 랩0
첫 번째 항목2003년 포뮬러 원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마지막 항목2004년 포뮬러 원 독일 그랑프리

크리스티아누 몬테이로 마타(1973년 9월 19일생)는 브라질의 전직 프로 레이싱 드라이버다. 2002년 CART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도요타 팀과 함께 포뮬러 원(Formula One)을 운전했다.

커리어 전기

기원과 초기 경력

다 마타는 1995년 브리티시 포뮬러3 챔피언십 시즌실버스톤에서 웨스트 서리 레이싱으로 운전하고 있다.

다 마타의 아버지는 14회 브라질 투어 자동차 챔피언인 토니뉴 다 마타였다. 벨로 호라이즌테에서 태어난 크리스티아누 다 마타는 16살에 카팅을 시작했으며 유명한 아버지의 헬멧과 거의 동일한 헬멧 디자인을 채택했다. 1993년 브라질 포뮬러 포드 대회 우승에 앞서 수많은 카팅 챔피언을 차지하며 단숨에 정상에 올랐다. 1994년에는 헬리오 카스트로네브스, 리카르도 준타 등과 브라질 포뮬러3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는 등 성공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1995년 다마타는 브리티시 포뮬러 3 시리즈에 참가하여 1개 경주에서 우승하고 순위 8위에 올랐다. 이어 이듬해 포뮬라 3000 챔피언십에서 8위를 차지하며 파우에서 4위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북미 경주

1997년 다 마타는 인디 라이트 경주 시리즈로 미국으로 건너갔고, 이 시리즈에서 그는 올해의 신인상을 받았다. 이듬해(1998년)에는 7개 경주에서 우승하고 4극 포지션을 확보해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 다 마타는 도요타 엔진을 운영하던 아르시에로 웰스 팀의 CART 시리즈에서 경주를 했고, 다 마타는 그 때부터 2004년까지 도요타 자동차를 운전했다. 그의 첫 승은 2000년에 이루어졌으며, 몇몇 스폰서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는 2001년 선두에 선 뉴먼/하스 레이싱 팀에 합류했다. 2002년 도요타 파워로 뉴먼/하스 레이싱 팀과 함께 CART 드라이버즈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7승 7패로 한 해를 압도했다.

포뮬러 원

다 마타씨는 2004년 미국 그랑프리 토요타 팀을 위해 운전하고 있다.
2004년 크리스티아누 다 마타.

다마타는 2003년 레이싱 사다리 위로 올라 도요타 포뮬러원 팀과 함께 모터스포츠 정점에 도달했다. 그는 그해 베테랑이자 팀 동료인 올리비에 파니스보다 4점이 많은 10점을 득점했고, 2003년 브라질 그랑프리 대회 전반기 대부분을 몬순히트레이스에서 세계 챔피언인 마이클 슈마허를 호명하며 보냈다가 결국 10위를 기록하면서 포뮬러 원에서 이름을 날렸다. 그는 2003년 영국 그랑프리 대회에서 트랙을 침범한 시위대에 의해 레이스가 차질을 빚으며 세이프티카 배치를 촉발한 후 17바퀴를 돌면서 우승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선두 차들이 다마타를 선두로 두고 예정에 없던 피트 스톱을 하게 되었고, 결국 데뷔 시즌 4점 만점에 7위로 마감했다. 그러나 2004년 그의 재산은 감소세로 돌아섰다. 챔피언결정전 승점 3점에 그쳤던 다 마타는 호켄하임에서 열린 독일 그랑프리 이후 리카르도 준타에게 레이스 좌석을 빼앗겼다. 이는 성능 문제뿐 아니라 다마타가 도요타가 얼마나 경쟁력이 없는지에 대해 공개적으로 발언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으로 돌아가기

2005년에 다 마타는 PKV 레이싱 팀을 위해 챔프카 월드 시리즈로 다시 이적했다. 그 시즌 그는 포틀랜드에서 우승했고, 종합 순위 11위에 올랐다. 2006년 챔프 카 시즌 동안, 그는 데일 코인 레이싱으로 전환하여 19위 포드 롤라를 운전했고, 2006년 6월 9일까지 다시 팀을 바꾸면서 루즈포트의 A. J. 올멘더 자리를 물려받았다.[1] 산호세에서의 2위는 그에게 시리즈 전체 6위를 남겼다.

테스트 중 사슴과의 충돌

2006년 8월 3일, 다 마타가 로드아메리카에서 챔프카 오픈 테스트 도중 6번 회전을 향해 향하던 중 앞에서 달리던 사슴과 충돌했다. 그는 오른쪽 앞 타이어로 사슴을 때렸고, 사슴은 다시 날아와 조종석에 있는 다 마타를 때렸다.[2] 사슴이 조종실에서 다 마타에게 부딪혔을 때, 그는 의식을 잃었다고 믿어진다. 그는 안전요원들이 도착해서 차에서 다 마타를 구출했을 때 여전히 스로틀에 발을 올려놓은 채 의식불명 상태로 있었다.[3] 다 마타는 위스콘신주 네나에 있는 더다 클라크 메디컬 센터로 공수되어 그곳에서 경막하 혈종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4] 수술 후, 다 마타는 부기가 가라앉도록 유도 혼수 상태에 놓였다.[5] 8월 7일 현재, 다 마타는 "느리지만 꾸준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의사들은 다 마타의 진정 수준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6] 이 느린 회복은 8월 9일에 확인되었는데, 다 마타가 "신체 자극에 대한 반응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사지를 자발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다"[7]고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8월 20일, 다 마타는 중환자실에서 이송되었다.[8] 지난 8월 30일 다마타는 영어와 포르투갈어로 대화하고 단거리를 걷는 등 꾸준한 행보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9] 2006년 9월 21일, 다 마타는 예상보다 회복이 잘되어 퇴원할 수 있었다.[10]

9월 24일 미국 로드아메리카 그랑프리 대회에서 챔프카 월드시리즈가 경주에 복귀했을 때, 다 마타는 전통적인 명령인 "엔진 시동을 걸어라"를 내렸다. 그 후 2년 동안, 그는 그의 경주 미래를 결정하면서 훈련과 치료 시스템에 종사했다.[11]

컴백

2008년 3월 20일, 다 마타는 Rolex 스포츠카 시리즈 챔피언 GINGESCO/Bob Stallings Racing이 준비한 라일리 데이토나 시제품에서 이틀간의 테스트를 마치고 사고 이후 처음으로 경주용 차에 다시 올라탔다. 그는 곧바로 스피드를 찾았고 구단주 밥 스털링스는 "재기가 시작됐다"고 말했다.[12]다 마타 감독은 "시험이 끝난 후 내가 아직도 이 방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면서 "가장 큰 것은 안도감이었다. 나에게는 큰 안도감이었다."[13] 다마타는 전 챔프카 챔피언 지미 바세르와 짝을 이뤄 2008년 마즈다 레이스웨이 라구나 세카에서 열린 롤렉스 시리즈 레이싱에 출전했다.[14] 탄탄한 레이스를 거쳐 이 둘은 32위로 분류됐다.

브라질 챔피언십 포뮬러 트럭

2009년 12월 다 마타는 이베코 소유의 포뮬라 트럭 차량을 시험했고,[15] 2010년 1월 팀을 위해 2010 포뮬라 트럭 시즌을 운영할 것임을 확인했다.[16]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2011년 다 마타는 Rocketsports Racing에 서명하여 American Le Mans 시리즈에 출전하였다. 그는 롱비치 그랑프리 대회에서 6점을 득점했다.[17]

필름 및 미디어

다 마타와 그의 1999년 차는 실베스터 스탤론이 주연한 영화 "Drived"에 출연한다.

다마타는 비디오 게임 포뮬러 2003포뮬러 04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다.

2017년에는 자신과 아버지의 모터스포츠 생활을 다룬 다큐멘터리가 공개돼 '패밀리아 가솔리나'(가솔린 패밀리)라는 제목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유튜브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경마 후 경력

다 마타는 더 이상 경주를 하지 않고 다 마타 디자인 계열의 금융 및 물류 측면에 관여하고 있다.[18]

레이싱 커리어

국제 공식 3000 결과 작성

() ( 굵게 표시된 경로는 폴 위치를 나타냄) (이탤릭체로 표시된 경로는 가장 빠른 랩을 나타냄)

연도 엔트란트 1 2 3 4 5 6 7 8 9 10 DC 포인트
1996 퍼시픽 레이싱 NURR
9
PAU
4

5
호크
리트

리트
SPA
10
MAG
5
동부 표준시
7
머그잔
리트
호크
리트
9일 7

Indy Lights 결과 완료

()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순위 포인트
1997 브라이언 스튜어트 레이싱 미아
21
LBH
2
NAZ
1
SAV
21
STL
2
MIL
4
DET
26
POR
5
토르
18
TRO
4

1
LS
1

4
3번째 141
1998 태즈먼 모터스포츠 미아
2
LBH
1
NAZ
1
STL
3
MIL
10
DET
2
POR
20
CLE
22
토르
15
MIS
2
TRO
1

1
LS
22

11
첫 번째 154

CART/챔프 차량 결과 완성

()

연도 섀시 엔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순위 포인트
1999 아르시에루웰스 레이싱 레이너드 99i 토요타 RV8D 미아
14
MOT
25
LBH
20
NAZ
4
리오
21
GAT
17
MIL
11
POR
11
CLE
20
로아
21
토르
24
마이크
17
DET
19
MDO
9
CI
14

5
LS
22
HOU
11
SRF
13

23
18일 32
2000 PPI 모터스포츠 레이너드 2Ki 토요타 RV8E 미아
12
LBH
25
리오
4
MOT
4
NAZ
13
MIL
14
DET
23
POR
5
CLE
3
토르
4*
마이크
17
CI
1
MDO
17
로아
13

7
LS
15
GAT
4
HOU
14
SRF
4

25
10일 112
2001 뉴먼/하스 레이싱 롤라 B01/00 토요타 RV8F 엠티
1*
LBH
2
텍스
C
NAZ
10
MOT
25
MIL
25
DET
7
POR
10
CLE
7
토르
15
마이크
4
CI
19
MDO
10
로아
6

20
라우
26
ROC
3
HOU
6
LS
20
SRF
1

1
5일 140
2002 뉴먼/하스 레이싱 롤라 B02/00 토요타 RV8F 엠티
1*
LBH
8
MOT
13
MIL
11
LS
1*
POR
1*
CI
1*
토르
1*
CLE
16

12
MDO
13
로아
1
MTL
2

3
ROC
2
미아
1*
SRF
8*

11
MXC
2
첫 번째 237
2005 PKV 레이싱 롤라 B02/00 포드 XFE LBH
10
엠티
6
MIL
11
POR
1*
CLE
16
토르
17
EDM
17
SJO
10

18
MTL
6
라스
12
SRF
19
MXC
14
11일 139
2006 데일 코인 레이싱 롤라 B02/00 포드 XFE LBH
5
HOU
9
엠티
9
MIL
13
13일 134
루스포트 POR
5
CLE
14
토르
5
EDM
18
SJO
2
MTL 로아 SRF MXC

공식 1 결과 작성

() (볼드체로 표시된 경주는 폴 위치를 나타내며, 이탤릭체로 표시된 경주는 가장 빠른 랩을 나타냄)

연도 엔트란트 섀시 엔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WDC PTS.
2003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토요타 TF103 토요타 RVX-03 3.0 V10 AUS
리트

11
브라
10
SMR
12
ESP
6
자동
10

9

11
EUR
리트
프레이
11
GBR
7
GER
6

11
ITA
리트
미국
9
JPN
7
13일 10
2004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토요타 TF104 토요타 RVX-04 3.0 V10 AUS
12

9
BHR
10
SMR
리트
ESP
13

6
EUR
리트

DSQ
미국
리트
프레이
14
GBR
13
GER
리트
ITA CHN JPN 브라 17일 3

경주를 끝내지 못했지만, 경주 거리의 90% 이상을 완주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결과 완성

연도 엔트란트 클래스 섀시 엔진 타이어 1 2 3 4 5 6 7 8 9 순위 포인트
2011 재규어 RSR GT 재규어 XKR GT2 재규어 5.0 L V8 D
ovr:ret
cls:ret
LNB
ovr:12
cls:6

ovr:ret
cls:ret
모스 중앙의 AME 26일 6

참조

  1. ^ "RUSPORT ANNOUNCES DRIVER CHANGE". Champ Car World Series. 9 June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06. Retrieved 22 February 2016.
  2. ^ "UPDATE: Da Matta In Critical Condition". Speed Channel. 3 August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ugust 2006. Retrieved 22 February 2016.
  3. ^ PadockTalk, 2006년 8월 4일 "잘못된 장소, 잘못된 시간: Cristiania da Matta Still in Critical Condition" 2007년 9월 28일 웨이백 머신보관
  4. ^ "Update on Condition of RuSport Driver Cristiano da Matta" 2006년 8월 3일 Wayback Machine, RuSport에서 2008년 7월 7일 보관.
  5. ^ 2006년 8월 5일, RuSport, "Champ Car Driver Cristiano da Matta 조건 업데이트"
  6. ^ RuSport, 2006년 8월 7일 "Cristiano da Matta의 상태는 계속 개선되고 있다."
  7. ^ 2006년 8월 9일 루스포트 "Cristiano Da Matta Making Steading Progress"
  8. ^ 2006년 8월 20일 루스포트의 "Christiano Da Matta가 중환자실에서 이송되었다"
  9. ^ 2006년 8월 30일, RuSport의 "Cristiania da Matta를 위한많은 발전"
  10. ^ 2006년 9월 21일, F1 기술 "다 마타는 병원을 떠난다.
  11. ^ "Da Matta yet to decide on his future". Grandprix.com. 1 December 2006. Retrieved 1 December 2006.
  12. ^ "Motorsport.com: News channel". 12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08. Retrieved 3 September 2018.
  13. ^ "Comeback continues for de Matta". The Indianapolis Star. 26 March 2008. Retrieved 24 July 2020 – via Newspapers.com.
  14. ^ 다 마타는 2008년 3월 25일 GINESCO/Bob Stallings Racing Test에서 트랙으로[dead link] 돌아왔다.
  15. ^ "FÓRMULA TRUCK: Cristiano da Matta testa F-Truck em Brasília (15/12/2009)". www.gpnews.com. 15 Dec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1.
  16. ^ "Cristiano da Matta disputará temporada da Fórmula Truck - Esportes". Estadão.
  17. ^ "2011 American Le Mans Series Presented By Tequila Patron Championship Points Standings" (PDF). www.americanleman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September 2011.
  18. ^ Brown, Allen. "Cristiano da Matta". oldracingcars.com. Retrieved 3 September 2018.

외부 링크

스포츠 포지션
선행자 브라질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
챔피언

1993
성공자
선행자 브라질 포뮬러 3 챔피언십
챔피언

1994
성공자
선행자 인디 라이트
챔피언

1998
성공자
선행자 챔프카 월드 시리즈
챔피언

2002
성공자
선행자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네이션스컵

2003
포함:퐁시 니에토 & 길레스 파니지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