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hāvatthu
Kathāvatthu팔리 캐논 |
---|
![]() |
1. 비나야 피 ṭ카 |
2. 수타 피 ṭ카 |
3. 아비담마 피 ṭ카 |

카타바투(, 약칭: Kv, Kvu; "논쟁의 지점")는 불교 경전으로, 상좌부 압히담마 피타카에 나오는 7권의 책 중 하나입니다. 이 텍스트는 다양한 대화자들의 이질적인 견해와 다양한 문제에 대한 정통적인 테라바다의 입장을 대조합니다. 후자는 주요 출처 텍스트에서 확인되지 않지만 (역사적으로 후속) 주석에서 특정 사상 학파와 추측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원문은 아쇼카 왕의 치세(기원전 240년경)와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역시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1] 본문의 핵심은 아쇼카 시대에 형성되기 시작했을 수 있지만, 스자토 비구는 "그 시기에는 작품 전체가 작곡되었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오랜 기간의 정교화의 결과이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하고,[2] 아쇼카 시대 이후까지 등장하지 않았던 학교에 대한 많은 견해를 논의합니다.
조직
카타바투는 200개가 넘는 논쟁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3] 논쟁의 대상은 4개의 파 ṇṇ사카(lit., "50명의 그룹")로 나뉩니다. 각 파 ṇṇ사카는 다시 20장(vagga)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또한 4명의 파 ṇṇ사카를 따라 3명의 바가가 더 있습니다.
각 장에는 가장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고 반박하며 거부하는 방법으로 질문과 답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토론의 형식은 참가자에 대한 신원을 제공하지 않으며, 어느 쪽이 옳은지 명시적으로 말하기 위해 토론 밖으로 나서지 않습니다.
카타바투에 대한 주석서의 해석에 의해 비이단적이라고 여겨지는 견해들은 세라바다 교파에 의해 수용되었습니다. 주석서에 따르면, 의견이 거부된 사람들은 사르바스티바다를 포함한다고 합니다.[5]
교리적 입장
본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불교 학파의 견해를 반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6]
- '사람'이 실재적이고 궁극적인 사실로서 존재하고 그것이 한 삶에서 다음 삶으로 옮겨간다고 본 푸트갈라바다 학파의 견해.
- 완벽한 존재(Arhat)는 완벽에서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시간적 영원주의의 한 형태인 세 번의 시간(과거, 현재, 미래)에 "모든 [다르마]가 존재한다"는 사르바스티바딘의 견해.
- Arhat은 야행성 방출을 할 수 있습니다.
- 아르하트는 지식이 부족하거나 의심을 가지거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뛰어나게 될 수 있습니다.
- 인식 이벤트 기간이 하루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 깨달음의 다양한 단계에 대한 그 침투와 통찰력은 점차적으로 성취됩니다.
- 부처님의 세속적인 말씀이 어쩐지 초문적이었다는 것.
- 부처님의 모든 능력이 그의 선도적인 제자들에 의해서도 소유된다는 것입니다.
- 평신도가 아르하트가 될 수 있다는 것.
- 다시 태어나는 순간에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네 가지 고귀한 진리, 비물질적 상태, 공간, 종속적 기원이 무조건적이라는 것입니다.
- 중간 상태(바르도)가 존재한다는 것은
- 그 모든 담은 잠시 동안만 지속됩니다(ksana).
- 그 모든 것은 카르마 때문입니다.
- 수도회가 선물을 받는다고 해서는 안 됩니다.
- 부처 자신이 불법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그의 주술적 창조에 의해 가르침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 자나를 이룬 자는 소리를 계속 듣습니다.
- 다섯 가지 가장 중대한 위반(산모살, 귀족살 등)은 의도치 않게 저지른 경우에도 즉각적인 응징을 수반한다는 점.
- 그 마지막 해방은 특정한 족쇄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얻어질 수 있습니다.
캐노닉
의 일부 연작 위에 |
초기불교 |
---|
![]() |
압둘함마 피타카에 카타바투족이 포함된 것은 때때로 변칙적인 것으로 생각되어 왔습니다. 첫째, 이 책은 붓다 자신의 말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 이 책의 저자는 전통적으로 모갈리푸타 티사에게 귀속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특이한 것이 아닙니다. 첫 번째 두 의회의 비나야의 설명은 분명히 부처님의 실제 말씀이 아닙니다.[7] 둘째, 카타바투의 주제는 아부담마에 있는 다른 문헌들의 주제와 상당히 다르지만, 이것은 푸갈라판나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학자들은 또한 때때로 티피타카에 카타바투의 일부 분명히 후기(상대적으로 새로운) 부분이 포함된 것을 가리켜 팔리 캐논이 때때로 생각되었던 것보다 더 '열린' 것임을 나타내었고, 새로운 텍스트를 정준으로 성문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적하기도 합니다. 사실 이것 또한 특이한 것이 아닙니다, 캐논에는 비교적 늦은 재료가 꽤 있습니다.[8]
해석
그 논쟁들은 전통에 의해 이해되고, 많은 학자들이 뒤따르며, 불교의 다른 학파들 간의 논쟁으로 이해됩니다. 그러나 곰브리치 교수가 서구의 대표적인 아비담마 학자로 묘사한 L. S. 커즌스는 이렇게 말합니다.[9]
"전 세계의 정신적 전통에서, 강사들은 그들의 교육 방법의 일부로서 명백한 모순들을 자주 사용해 왔습니다 - 아마도 학생들에게 더 큰 인식을 유도하거나 손에 있는 주제에 대해 더 깊고 넓은 관점을 가져오기 위해서 말입니다. 팔리어 캐논에는 그러한 방법들에 대한 많은 명백한 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카타바투의 많은 부분이 이러한 용어들에서 종파적인 논란보다 더 타당합니다.)[10]
번역문
논란의 지점, tr. S.Z. 아웅 앤 C.A.F. 리스 데이비즈(Rhys Davids, 1915, 1993), 브리스톨, 팔리 텍스트 소사이어티.
참고 항목
메모들
- ^ 제임스 P. 맥더못, 카타바투; 인도철학 백과사전, 7권: 서기 150년까지 아비달마 불교.
- ^ Sujato, Bhante (2012), Sects & Sectarianism: The Origins of Buddhist Schools, Santipada, pp. 108–109, ISBN 9781921842085
- ^ Hinüber(2000), p. 72는 "Kv[Kathāvatthu]에서 200점이 조금 넘는 점이 논의되었지만, 전통은 더 많은 숫자를 가정하는 것 같습니다."라고 썼습니다. 가이거 & 고쉬(2004), p. 10, "이 책은 252가지의 잘못된 가르침에 대한 반박을 담고 있습니다..."
- ^ Hinüber(2000), p. 71, para. 145. 히뉘베르는 "카타바투의 다소 불규칙한 구조는 텍스트가 특정 기간 동안 증가해 왔으며 새로운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 Hinüber(2000), p. 73,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
- "Kv [Kathāvatthu]에서 논란이 제시된 것의 큰 단점은 논의 중인 이단적 견해가 속할 수 있는 각 학교에 대한 표시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들은 해설에서 훨씬 나중에 언급될 뿐입니다. 이 점에서 Kv는 대화자들의 이름이 붙여진 비자나카야(Vijānakāya, 사르바스티바다의 평행 텍스트)와 다릅니다."
- ^ 제임스 P. 맥더못, 카타바투; 인도철학 백과사전, 7권: 서기 150년까지 아비달마 불교.
- ^ Hinüber(2000), p. 71, 추가:
- "... Kv [Kathāvatthu]의 속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분명히 부처바카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ś오카가 사 ṃ가를 숙청한 후 제3차 공의회에서 모갈리푸타티사가 전개한 마티카[압디함마 분류법]을 부처가 천국에서 말한 것(4,3-30으로)으로 보는 견해는 이와 같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캐논을 낭송할 때 Kv가 포함되었습니다. 분명히 전통은 Kv의 상대적으로 늦은 날짜를 항상 알고 있었습니다."
- ^ Hinüber(2000), p. 73,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
- "왜 Kv가 아비담마피 ṭ카에 포함되었는지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습니다. 논의를 담고 있는 본문의 형태는 아브히담마보다는 수탄타스에 가깝습니다. 그 이유는 연대순일 수 있습니다. ś오카 치하에서 크브가 형성되었을 때, 4대 니카야는 이미 폐쇄된 소장품이었을 수도 있고, 압히담마는 아직 열려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 ^ 세계 불교학의 현황 1972-1997, Chularongkorn University, Ed Swearer & Promta, Bangkok, 2000, 182페이지
- ^ Gatārē Dhammapāla; Richard Francis Gombrich; Kenneth Roy Norman, eds. (1984). Buddhist Studies: In Honour of Hammalava Saddhātissa. Sri Lanka: Hammalava Saddhātissa Felicitation Volume Committee, University of Sri Jayawardenpura. p. 67.
원천
- 가이거, 빌헬름(trans. fr. 독일어: Batakrishna Ghosh) (2004). 팔리 문학과 언어. 뉴델리: 문시람 마노할랄 출판사. ISBN 81-215-0716-2.
- 히뉘베르, 오스카 폰 (2000). 팔리 문학 편람. 베를린: 월터 드 그뤼터. ISBN 3-11-016738-7.
- 맥더못, 제임스 P. (1975). 미국동양학회지 '카타바투 캄마 논쟁', 제95권, 제3호 (1975년 7월 - 9월), 424-433쪽.
외부 링크
- sutt central에서 pali 텍스트와 영어 번역.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