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마니 파드미 험

Om mani padme hum
옴마니 파드미 험
한자이름
중국인唵嘛呢叭咪吽
카란다비야 수트 이름
중국인唵麼抳缽訥銘吽
티베트 이름
티베트어ཨོཾ་མ་ཎི་པདྨེ་ཧཱུྃ
베트남이름
베트남의움마니바트니 ồ옹
앙마니밧디 ồ옹
태국이름
타이어โอํ มณิ ปทฺเม หุํ
한국이름
한글을옴 마니 반메 훔
옴 마니 파드메 훔
몽골이름
몽골 키릴 문자Ум мани бадмэ хум
옴마니배드메쿰
몽골 문자ᢀᠣᠸᠠ
ᠮᠠᢏᢈ
ᢒᠠᢑᠮᠧ
ᢀᠾᠤᠤ
일본이름
카나オーム マニ パドメー フーム
オム マニ ペメ フム
타밀어 이름
타밀어ௐ மணி பத்மே ஹூம்
힌디어 이름
힌디어ॐ मणि पद्मे हूँ
산스크리트어 이름
산스크리트어데바나가리: :
싯담: 싯담
러시아이름
러시안Ом мани падме хум
벵골어 이름
벵골어ওঁ মণি পদ্মে হূঁ
동명
앗사메ওঁ মণি পদ্মে হূঁ
네팔이름
네팔어ॐ मणि पद्मे हूँ
버마어 이름
버마어ဥုံ မဏိ ပဒ္မေ ဟုံ
IPA[òʊɰ̃맨 ḭ ʔ엠에 òʊɰ̃]
말라얄람어 이름
말라얄람어ഓം മണി പദ്മേ ഹും
오디아명
오디아ଓଁ ମଣି ପଦ୍ମେ ହୁଁ
마라티어명
마라티ॐ मणि पद्मे हूँ
펀자비 이름
펀자비ਓਮ ਮਣਿ ਪਡਮੇ ਹੂਁ
메이테이 이름
메이테이ꯑꯣꯝ ꯃꯅꯤ ꯄꯗ꯭ꯃꯦ ꯍꯨꯡ

파드메후 (산스크리트어: ॐ मणि पद्मे हूँ, IPA:[õːː m ɐɳɪ p ɐdme ː ɦũː]는 특히 연민의 보살관음보살의 네 팔 샤닥샤리 형태와 관련된 여섯 음절의 산스크리트 만트라입니다.그것은 마하야나 카라 ṇḍ비유하슈트라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그것은 또한 사닥사라(6음절)와 파라흐르다야(parahrdaya)라고도 불리며, 관세음보살의 "마음속"이라고도 합니다.이 글에서 만트라는 모든 불교 가르침의 축약된 형태로 보여집니다.[3]

그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의미는 불교 학자들에 의해 많은 논의가 남아 있습니다.영어에서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연꽃 속의 보석에 대한 찬사"[4] 또는 "보석-연꽃 속의 나"를 의미하는 선언적인 열망으로 표현됩니다.[5]파드마는 인도 연꽃(Nelumbon nucifera)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이며, 마니는 "보석"을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 널리 언급되는 영적인 "보석"의 한 종류입니다.[6]첫 번째 단어인 aum/om인도의 여러 종교에서 신성한 음절로, hum깨달음의 정신을 나타냅니다.[7]

티베트 불교에서, 이것은 가장 보편적인 만트라이며, 비전문가와 수도원 모두에 의해 행해지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종교적 수행입니다.그것은 또한 흔히 바위에 새겨진 마니 돌로 알려져 있으며 언덕의 측면에 그려지거나 기도 깃발기도 바퀴에 쓰여지는 풍경의 항상 현재적인 특징이기도 합니다.[8]

11세기 동안 중국 불교도들과 티베트인들 그리고 몽골인들 사이의 증가된 상호작용 때문에, 만트라는 또한 중국 불교에 들어왔습니다.[9]만트라는 또한 중국의 도교로 각색되었습니다.[10]

의미와 효과

1348년 서녕대군 술라이만의 기증을 기념하기 위해 마가오 동굴에 세운 술라이만 비석.그것은 6개의 다른 문자로 쓰여진 만트라를 포함합니다: 란사[1열], 티베트[2열], 위구르[맨 왼쪽], '파그스파[왼쪽], 탕구트[오른쪽], 중국어[맨 오른쪽].

시맨틱

만트라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무자들에 의해 해석될 수도 있고, 심지어 엄격한 의미적 의미를 넘어서는 효과가 있는 단순한 소리의 시퀀스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만트라의 중간 부분인 파드메는 종종 장소적인 경우인 "연꽃 속의 보석", 산스크리트어 마 ṇ어 "보석, 보석, 신타마니", 파드마 "연꽃"의 장소적인 경우로 해석됩니다.연꽃은 인도 종교 전반에 걸쳐 존재하는 상징으로, 순수함(진흙에서 얼룩지지 않은 채 나올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과 정신적 결실(따라서 각성)을 의미합니다.[11] 파드메 앞에는 오 음절이, 뒤에는 후 음절이 뒤따르는데, 두 음절 모두 언어적 의미는 없지만 신의 소리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티베트 문법 자료를 인용한) 도날드 로페즈에 따르면, 파드마는 사실 마 ṇ파드마라고 불리는 보살을 부르는 직업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합니다. 즉, 관세음보살의 대체적인 예명인 "보석-로투스"입니다.

데미안 키온은 또한 이 만트라의 의미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은 이 만트라가 실제로 마니파드미라는 이름의 여성 신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13]이것은 만트라를 여성 신으로 묘사한 카라 ṇḍ비유하슈트라와 같은 문헌에서 나온 증거 때문입니다.또한 스터드홈이 언급한 바와 같이, 만약 그 단어를 어휘로 읽는다면, 남성적이라면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가 될 것이기 때문에 여성적인 문법적 성별에서 가장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14]따라서 로페즈가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진언의 원래 의미는 사실 "연꽃 보석의 그녀"의 호출일 수 있는데, 그녀는 비디야(지혜)이자 관세음보살의 배우자이며 시바에 대한 샥티의 역할에 해당합니다.[15]

보석과 연꽃의 관계에 대해, 스텐 코노우는 그것이 "보석인 연꽃" 또는 "연꽃 속의 보석"을 지칭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는 두 번째 설명이 더 일리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두 번째 설명은 또한 마니와 파드마와 연관된 용어인 링암요니의 이미지를 통해 샤이브파의 영향을 보여줍니다.[15]따라서 이 진언은 사실 "오, 그녀의 연꽃 속에 보석을 든 그녀"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렉산더 스터드홈에 따르면 마니파드메의 의미는 다음을 가리키는 "보석 연꽃 안에서" 또는 "보석으로 만들어진 연꽃 안에서"를 의미하는 (남성 또는 중성) 위치적인 경우에서 "타푸루사 또는 '결정적인' 화합물로 파싱되어야 한다"고 합니다.[16]

부처와 보살들이 이러한 경이로운 꽃망울 속에 앉아 있다고 전해지는 방식, 특히 부처들의 정토에 더 많은 세속적인 존재들이 나타난다고 믿어지는 방식.카라 ṇḍ브유하와 마하야나에서, 아미타바라는 순수한 땅의 종교적인 목표가 우세한 것을 고려할 때, 마 ṇ파드메는 그곳에서 인간의 재탄생의 방식과 아주 자연스럽게 연관되었을 것이라고 안전하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오 ṃ 마 ṇ리 파드메 후 ṃ의 암송에서는 수카바티에서 사람이 다시 태어나는 방식에 대한 선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보석 연꽃 속에"

카라 ṇḍ라비유하슈트라에 의하면

카라 ṇḍ비유하에 따르면 진언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탄트리즘 시작 의식의 핵심 요소인 관세음보살의 티베트산 만다라
베이징 용허사에서.
네팔의 라니자 문자로

이 만트라에 대한 최초의 설명은 티베트와 같은 특정 마하야나 강령의 일부인 카라 ṇḍ비유하슈트라("바구니의 진열", c. 4-5세기경)에 나타납니다.경전에서 석가모니불은 "이것이 가장 유익한 진언입니다.저조차도 이 염원을 모든 백만 불자들에게 바쳤고 그 에 아미타불로부터 이 가르침을 받았습니다."[17]

그 경전은 해방을 위한 수단으로 이 만트라의 암송을 촉진합니다.만트라를 아는 사람은 누구나 해방을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부처로 알게 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그것은 또한 자격을 갖춘 선지자(이는 평신도 다르마바나카, 비디야다라 또는 마하시드다라고 함)에 의한 진언으로의 입문이 이 진언을 실천하기 위한 중요한 요건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이 경전에서 관음보살은 만다라를 보지 못한 사람에게 진언을 주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18]이 시작은 마하야나족이든 히나야나족이든 계급과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불교인들에게 개방된다고 하지만 티르티카족에게는 개방되지 않습니다.[19]

카라 ṇḍ브유하슈트라(Kara Navyyuhassutra)는 만트라를 모든 "팔사천 다르마"의 pith 또는 축약된 표현으로 보기도 합니다.이 때문에 '마하야나의 쌀알'이라 불리며, 이를 읊는 것은 수많은 경전을 읊는 것과 맞먹습니다.[20]

따라서 스투드홈에 따르면 카라 ṇḍ브유하에 있는 진언의 중요성은 주로 관음보살의 "가장 속마음"이기 때문에 "관음보살의 존재에 들어가는 것과 보살의 권력의 일부를 전유하는 수단 둘 다"라는 것입니다.그 실천은 다음과 같은 수많은 긍정적인 자질을 이끌어 낸다고 합니다.[22]

  • 보살의 '천배' 형태를 보는 것(다르사나),
  • 보살의 몸의 모공 속에 담긴 무수한 세계로의 재탄생
  • "사랑하는 친절과 연민을 즐기는"(maitri-karuna-mudito)의 사마디를 포함하여 셀 수 없이 많은 사마디(mediti-caruna-mudito).
  • "큰 연민" (maha karuna)의 발전
  • 측정치못한 메리트
  • 여섯 가지 완성도의 달성
  • 각성 (보디)

이 경전에는 사닥사리 마하비디야(6음절의 큰 비디야)도 여신으로 등장하는데, 네 팔에는 연꽃과 기도구슬을 들고 나머지 두 팔에는 안잘리무드라를 입고 있습니다.스터드홈에 따르면, 이러한 특징들은 "둘 다 간결한 비디야, 그들 각각의 [마음]으로서의 날, 수이 제네시스는 자유를 얻는 수단이며, 드물고 다소 비밀스럽지만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바야 만트라 옴나마 시바야시바야 텍스트에 묘사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둘 다 프라나바 [신의 소리]의 형태로 생각되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습니다."[23]

카라 ṇḍ브유하슈트라는 11세기 또는 12세기에 중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중국 불교 경전의 일부입니다.

티베트 불교에서

티베트 문자의 만트라는 여섯 음절로 채색되어 있습니다.
"옴마니 파드메 후 ṃ īḥ"
라싸 포탈라궁 에 있는 티베트 문자로 새겨진 마니 ṃ "옴마니 파드메후"
세계에서 가장 큰 만트라 명문은 러시아[25] 키질의 도게산에 있습니다.

11세기 벵골의 거장 아티 ś라 ī파 ṃ카라 ś르 ī냐나는 또한 아리아-사드-악사리-사드하나라는 진언에 대한 짧은 논문을 썼습니다.일부 불교 학자들은 티베트 불교에서 행해진 만트라가 12세기에 출판된 사드하나 또는 정신적 수행의 모음집인 사드하나말라에 바탕을 두었다고 주장합니다.[27]하지만, 피터 알란 로버츠(Peter Alan Roberts)에 따르면, "티베트 관세음보살의 수행과 가르침의 주요 원천"은 11세기 마 ṇ리 캄붐(Ma Mai Kambum)입니다.

도널드 로페즈는 17세기 제5대 달라이 라마 총리의 작품에 따르면 만트라의 의미는 "보석과 연꽃을 가진 당신이여"라고 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매니파드메가 직업적인 경우에 있다는 것은 9세기 티베트의 문법 논문에서도 뒷받침되고 있습니다.[29]

로페즈는 또한 티베트 불교 문헌의 대부분이 만트라의 번역을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해 왔으며, 대신 만트라의 6음절과 불교 전통의 다양한 다른 그룹의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30]

예를 들어, Chenrezig Sadhana에서 Tsangsar Tulku Rinpoche는 만트라의 의미를 확장하여 6개의 음절로 6개의 존재 영역의 정화를 나타냅니다.[31]


음절 여섯 마리의 파라미타 정화하다 삼사리아 왕국 신의 상징 (그들에게 소원을 빕니다)
아량 자존심/에고 데바스 하얀색 지혜는. 완벽한 포탈라 왕국
엄마. 윤리학 질투/오락욕 아수라스 초록의 동정심 완벽한 포탈라 왕국
참기 열정/욕망 인간 노란 색 몸,말,마음
자질과 활동성
드와첸
패드 근면 무지/편견 애니멀스 파랑색 평정심 프로텍터(첸레시그)의 존재
나야. 포기 욕심/소유욕 프레타스 (배고픈 유령) 빨간. 블리스. 완벽한 포탈라 왕국
지혜는. 공격성/혐오성 나라카 블랙입니다. 연민의 질 (첸레식의) 연좌제의 존재.


트리장 린포체에 의하면

현재 달라이 라마의 가정교사인 트리장 린포체(Trijang Rinpoche, 1901-1981)는 만트라에 대해 다음과 같은 논평을 썼습니다.

마니파드메에 관해서는 '보석연화' 또는 '보석연화'는 고귀한 관세음보살의 이름 중 하나입니다.그가 그렇게 부르는 이유는 연꽃이 진흙으로 더럽혀지지 않듯이, 고귀한 관음보살 자신도 큰 지혜를 통해 삼사라의 뿌리를 버리고 그 잠재성과 함께 참된 존재라는 관념의 모든 오점을 버렸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그가 세속적인 존재의 극단을 지키지 않는다는 것을 상징하기 위해, 그는 손에 하얀 연꽃을 들고 있습니다.그는 두 손의 손바닥을 마주잡고, 마치 소원을 들어주는 보석처럼, 모든 중생들에게 고통의 억압을 없애고 모든 일시적이고 궁극적인 혜택과 행복을 주는 것을 상징하는 보석을 들고 있는 몸짓을 합니다.[32]

제14대 달라이 라마에 의하면

"옴마니 파드메가 걸어놓은 진언을 암송하는 것은 매우 좋지만, 그것을 하는 동안에는 그 뜻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6음절의 의미가 크고 방대하기 때문입니다.첫째, 옴[...]은 수행자의 불결한 몸, 말, 마음을 상징하며, 부처[...]의 순수한 숭고한 몸, 말, 마음을 상징합니다.]"
"중도의 길은 다음 네 음절로 표시됩니다.보석이라는 뜻의 마니는 방법의 요소들을 상징합니다: (깨달음하려는) 이타적인 의도, 연민, 그리고 사랑. [...]"
"연꽃을 뜻하는 파드미(padme)라는 두 음절은 지혜를 상징합니다.]"
"순결은 불가분성을 나타내는 마지막 음절로 상징되는 방법과 지혜의 불가분성에 의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므로 옴마니 파드메라는 6음절은 방법과 지혜의 불가분의 결합인 길의 수행에 의존하여 자신의 불순한 몸과 말과 마음을 부처의 순수한 고결한 몸과 말과 마음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enzin Gyatso, 14대 달라이 라마 "OMMANI PADME Hung의 의미에 대하여"[33]

딜고 킨체 린포체

장스카르의 오솔길에 각각 '옴 마니 파드메 훔'이 새겨진 마니석 조각
"만트라 옴 마니 패트메 훔은 가르침 전체의 본질을 담고 있기 때문에 말하기는 쉽지만 꽤 강력합니다.첫 음절 'Om'을 말할 때는 관대함의 실천에서 완벽함을 이루도록 도와주는 축복을 받고, 마는 순수한 윤리의 실천을 완벽하게 돕고, 니는 관용과 인내의 실천에서 완벽함을 이루도록 도와줍니다.네 번째 음절인 패는 인내의 완벽함을, 나는 집중의 연습에서 완벽함을, 마지막 여섯 번째 음절인 험은 지혜의 연습에서 완벽함을 이루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으로 만트라의 암송은 관대함에서 지혜에 이르기까지 여섯 가지 실천에서 완벽함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 여섯 가지 완성의 길은 세 번의 모든 부처님들이 걸어온 길입니다.그렇다면 진언을 말하고 여섯 가지 완성을 이루는 것보다 더 의미 있는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깨달은 자들마음보물 딜고 킨체[34] 린포체

번역문

영어에서 진언은 불교의 학교와 교사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번역됩니다.

대부분의 권위자들은 ma ṇipadme을 단순한 두 단어가 아닌 하나의 합성어로 생각합니다.산스크리트어 문자에는 대문자가 없으며, 이는 번역된 진언의 대문자가 모든 대문자, 이니셜 대문자, 그리고 대문자가 없는 것까지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올캡 렌더링은 오래된 학술 작품과 티베트의 사다나 텍스트의 전형적인 것입니다.

변주곡

만트라: 옴 마니 페메 훔 히리

Bucknell et al. (1986, p. 15.)에 따르면, 완전한 관세음보살 만트라는 마지막 hr īḥ(산스크리트어: ह्रीः, IPA: [ɦɽi ːh])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포탈라 궁전의 천장 장식에서 볼 수 있는 음절 만다라의 중심 공간에 도상학적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따라서 티베트어로 된 전체 진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ཨོཾ་མ་ཎི་པདྨེ་ཧཱུྃ་ཧྲཱིཿ īḥ는 항상 청각적으로 소리가 나지는 않으며 의도성을 통해 "내부적으로" 또는 "은밀하게" 울려 퍼질 수 있습니다.

Sam Van Schaik에 따르면, 관세음보살의 주요 컬트 센터였던 Dunhuang의 티베트 작품들은 이 인물과 관련된 많은 진언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6음절 진언은 단지 많은 것들 중 하나일 뿐입니다.이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은 여섯 음절 진언에서 덜 알려진 변형입니다: 옴바즈라 약사 마니 파드메 훔.[37]

피터 앨런 로버츠(Peter Alan Roberts)가 언급한 또 다른 변형은 옴마니파드메 험미트라바하(Ommanipadme hummitra svaha)입니다.[28]

참고 항목

메모들

  1. ^ 티베트인이 외친 만트라의 발음:Wave FormatReal Audio Format.[dead link]
  2. ^ 스터드홈(2002), 67쪽.
  3. ^ 스터드홈 (2002), 페이지 72.
  4. ^ 그로스맨, 캐리
  5. ^ Alexander Studholme, Om Manipadme Hum의 기원: Karandavyha Sutra에 관한 연구, SUNY, 2002, p. 117
  6. ^ 본질적 불교, 신념과 수행완전한 지침서, 페이지 126, 잭 맥과이어, 2013
  7. ^ "Mantras associated with Avalokiteshvara (aka Quan Yin, Chenrezig) in Siddham, Tibetan (Uchen), Ranajana (Lantsa), Elvish, and Klingon". Retrieved 13 October 2015.
  8. ^ Studholme (2002), p. 2.
  9. ^ Orcheo et al. (2011), p.
  10. ^ Jackowicz, Steve, Om Mani Padme Hum in Daoist Revision, Journal of Daoist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Volume 6, 2013 pp. 203-210 10.1353/dao.2013.0009
  11. ^ 스터드홈(2002), 112쪽.
  12. ^ 로페즈, 331; 직업은 여성적이어야 할 것입니다
  13. ^ Keown, Damien (2004), 불교사전, p. 204.
  14. ^ 스터드홈(2002), 111쪽.
  15. ^ a b 로페즈(1988), 132쪽.
  16. ^ 스터드홈(2002), 페이지 116.
  17. ^ Khandro.net : 만트라
  18. ^ Studholme (2002), 페이지 143
  19. ^ Studholme (2002), 페이지 69-71.
  20. ^ 스터드홈 (2002), 페이지 73.
  21. ^ 스터드홈 (2002), 페이지 106.
  22. ^ Studholme (2002), 페이지 106-108
  23. ^ Studholme (2002), 74-75쪽.
  24.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m Manipadme Hum: A Study of the Karandavyuha Sut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256. ISBN 0-7914-5390-1.
  25. ^ "Biggest Ever Buddhist Mantra on a Mountain in Tuva". Tuva-Online. Retrieved 28 October 2018.
  26. ^ 스킬링, 피터, 오 ṃ 마 ṇ리파드메 후 ṃ.동남아시아의 비문, Aséanie, Sciences humaines en Asie du Sud-Est, Année 2003 11 pp. 13-20
  27. ^ Li, Yu. "Analysis of the Six Syllable practice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Syllable and Amitabha". Retrieved September 1, 2008.
  28. ^ a b 로버츠, 피터 앨런, 번역:9세기 티베트 버전의 카란다비야 수트라와의 만남JOCBS. 2012 (2): 224-242
  29. ^ 로페즈 (1988), 페이지 131.
  30. ^ 로페즈, 130
  31. ^ Changsar Tulku Linpoche, Chenrezig sadhana
  32. ^ 로페즈(1988), 133쪽.
  33. ^ 갸초, 텐진.옴 마니 파드메 헝
  34. ^ 깨달음을 얻은 자들의 심장 보물 딜고 킨체 린포체입니다.ISBN 0-8773-493-3
  35. ^ 로페즈, 131세.
  36. ^ Bucknell, Roderick & Stuart-Fox, Martin (1986).황혼의 언어: 불교 명상과 상징주의 탐구커존 프레스: 런던.ISBN 0-312-82540-4, 페이지 15.
  37. ^ Shaik (2003).

참고문헌

  • Mani 수련회의 가르침, Chenrezig Institute, 2000년 12월(2001), Lama Zopa Rinpoche, ISBN 978-1-891868-10-8, Lama Yeshe Wisdom Archive 다운로드 가능
  • Bucknell, Roderick & Stuart-Fox, Martin (1986).황혼의 언어: 불교 명상과 상징주의 탐구커존 프레스: 런던.ISBN 0-312-82540-4
  • 로페즈, 도널드 (1998)샹그릴라의 죄수들: 티베트 불교와 서양.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시카고.ISBN 0-226-49311-3.

추가열람

  • 알렉산더 스터드홈:옴 마니파드메 험의 기원.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ISBN 0-7914-5389-8 (포함) 목차)
  • 마크 언노:신곤 굴절: 묘에와 빛의 만트라.Somerville MA, USA: Wisdom Publications, 2004 ISBN 0-86171-390-7
  • Bucknell, Roderick & Stuart-Fox, Martin (1986).황혼의 언어: 불교 명상과 상징주의 탐구커존 프레스: 런던.ISBN 0-312-82540-4
  • 버스웰, 로버트 E. 주니어 & 로페즈, 도널드 S. 주니어..프린스턴 불교 사전.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2014(p. 603).
  • A.H. Franke:Om Mani Padme-Hum의 의미, 왕립아시아학회지, 1915
  • Orzech, Charles; Sørensen, Henrik; Payne, Richard; 밀교 불교와 동아시아 탄트라, BRILL, 2011.
  • 라마 아나가리카 고빈다:티베트 신비주의의 기초, 1969.Samuel Weiser, Inc.: 뉴욕, ISBN 0-87728-064-9
  • 로페즈, D. S. (jr.) 샹그릴라의 죄수들: 티베트 불교와 서양.시카고 대학 출판부, 1988. (p. 114ff.)
  • 로저 카메네츠:작가의 여운이 있는 The Jew in the Lotus (PLUS) (HarperOne, 2007) 논픽션목차
  • 세이크, 샘 밴.10세기 티베트 관음보살 숭배: 둔황 필사본의 증거. "티베트 불교 문학과 프락시스:형성기의 연구, 900-1400 : PIATS 2003 : 티베트 연구 : 국제 티베트학회 제10차 세미나의 회차, 옥스포드, 2003"
  • 소그얄 린포체:티베트의 살아 숨쉬는 책, 부록 4 pg. 396-398, Rider, 10주년 기념판, 2002 ISBN 0-7126-1569-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