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나야나
Hinayana시리즈의 일부 |
불교 |
---|
호나야나(Hnnayanna)는 산스크리트어로 "소형/부족한 차량"[1][2]을 뜻한다.중국어와 티베트어 고전 교사들은 이것을 "더 작은 차"[3][dubious ]라고 번역한다.이 용어는 라바카야나 경로와 프라티예카부다야나 경로에 집합적으로 적용된다.
이 용어는 1세기 또는 2세기경에 등장했다.호나야나는 종종 "위대한 운송수단"을 의미하는 마하야나와 대조되었다.
1950년 세계불교인연합회는 오늘날 존재하는 어떤 형태의 불교도들을 지칭할 때 호나야나라는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
과거, 이 용어는 모니어-윌리엄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에서 [4]언급했듯이 서양 학자들에 의해 "불교 교리의 초기 체계"를 포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현대 불교 학회는 경멸적인 용어를 폐지하고 대신 니카야 불교라는 용어를 초기 불교 학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히나야나는 스리랑카나 동남아시아의 불교 주요 전통인 '테라바다'의 동의어로도 사용되어 왔다.이것은 부정확하고 경멸적인 것으로 여겨진다.로버트 서맨은 "니카야 불교는 하버드 대학의 나가토미 마사토시 교수가 인도 불교의 18개 학파가 '히나야나 불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나에게 제안한 것입니다."라고 쓰고 있는데, 그는 "니카야 불교는 라바다 [5]전통에 있는 일부 신도들에게 불쾌감을 느낍니다."
대승불교에서는 히나야나가 누구를 지칭하는지, 무엇을 지칭하는지에 대한 해석이 분분했다.칼루 린포체는 "더 낮은" 또는 "더 위대한" 명칭이 "경제적 또는 사회적 지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3] 실천가의 정신적인 능력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소형차는 우리가 삼사라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이 고통으로 특징지어진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이것을 아는 것은, 우리 자신을 이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고, 개인의 차원에서 자신을 해방시키고, 행복을 얻으려는 의지를 낳는다.우리는 우리 자신의 관심사에 감동한다.포기와 끈기가 우리의 [6]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어원학
하냐냐나라는 단어는 "작다", "가난하다", "버림받았다", "결함", "결함" 등의 단어와 "차량"의 단어인 야나([7]ā ()[8]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차량"은 "계몽으로 가는 길"을 의미한다.Pali Text Society의 Pali-English Dictionary (1921–25)는 h inna를 더욱 강력한 용어로 정의하며, 의미론적인 필드에는 "가난, 비참, 비열, 비열, 경멸, 그리고 "despable"이 포함된다.
The term was translated by Kumārajīva and others into Classical Chinese as "small vehicle" (小 meaning "small", 乘 meaning "vehicle"), although earlier and more accurate translations of the term also exist.몽골어로 히나야나(Baga Holgon)라는 용어는 "작은" 또는 "낮은"[9] 차량을 의미하며, 티베트어로 "작은 차량"[10]을 뜻하는 gtg chung과 "상위적인 영적 접근"[11]을 의미하는 gt dman이라는 두 개의 단어를 지정합니다.
Thrangu Linpoche는 히나야나가 결코 "우위"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강조해왔다.아상가의 달마타 구별의 번역과 해설에서 그는 "히나야나, 마하야나, 바자야나의 세 가지 전통은 모두 티베트에서 행해졌으며 문자 그대로 "더 낮은 차"를 의미하는 히나야나는 결코 마하야나에 [12]뒤지지 않는다"고 쓰고 있다.
오리진스
얀 나티에르에 따르면, 호나야나라는 용어는 마하야나보다 나중에 보살과 라바카의 이상 사이의 반목과 갈등 때문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그 후 일련의 용어는 "보살-보살-차량"이라는 용어로 시작되었고, "대형 차량"이라는 별칭이 붙여졌다.보살의 가르침에 대한 태도가 더 비판적이 된 후에야 호나야나라는 용어는 이미 확립된 [13]마하야나라는 용어와 대조되는 형태로 만들어졌다.최초의 마하야나 문헌은 종종 보살바야나의 대명사이자 대명사로 마하야나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호나야나라는 용어는 초기 문헌에서는 비교적 드물고, 일반적으로 초기 번역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그러므로, 마하야나와 호나야나 사이의 종종 인식되는 대칭은 기만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용어는 같은 시대에 [14]서로 관련하여 실제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Paul Williams에 따르면, "[마하야나]에 의한 소형차량에 대한 변함없는 유비쿼터스 맹렬한 비판에 대한 뿌리 깊은 오해는 우리의 [15]텍스트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윌리엄스는 어떤 경우에는 갈등의 증거가 존재하지만, 두 [15]전통 사이의 평화로운 공존을 보여주는 실질적인 증거도 있다고 말한다.
초기 불교 학교의 마하야나 멤버
비록 18-20개의 초기 불교 학교들이 현대에 느슨하게 호나야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정확한 것은 아니다.마하야나가 별도의 정식 불교 종파를 지칭했다는 증거는 없으며, 오히려 특정한 이상과 이후의 [16]교리를 지칭했다는 것이다.Paul Williams는 또한 마하야나가 초기 불교 학교와 분리된 비나야 또는 서품 계보를 가지고 있었던 적도 없었고, 따라서 비카우스와 비카우스가 마하야나에게 공식적으로 집착한 것은 초기 학교의 비나야를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는 동아시아에서는 다르마굽타카 서품 계통과 티베트 불교에서는 물라사르바스티바다 서품 계통과 함께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마하야나는 결코 초기 [17]학교의 분리된 종파가 아니었다.인도를 방문한 중국 승려들로부터, 우리는 이제 인도의 마하야나 수도승과 비마하야나 수도승이 종종 [18]같은 수도원에서 나란히 살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7세기 중국의 승려이자 순례자인 Yinging은 다양한 "차량"과 인도의 초기 불교 학교 사이의 관계에 대해 썼다.그는 "서양에는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학교들이 많이 있지만, 지속적인 전통을 가진 주요 학교는 4개뿐입니다."라고 썼다.이 학교들은 마하시카 니카야, 스하비라 니카야, 물라사르바스티바다 니카야,[19] 그리고 사미티야 니카야입니다.그리고 그들의 교리적인 관계를 설명하면서, 그는 "네 개의 학파 중 어느 학파를 마하야나와 함께 분류해야 할지, 아니면 호나야나와 함께 분류해야 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쓰고 있다.즉, 한 불교 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호나야나" 또는 "마하야나"[20] 가르침을 배우는지 간에 단순한 교류가 없었다는 것이다.
학교 전체를 라바카와 프라티예카부다뿐만 아니라 마하야나 보살이 포함된 "하냐나"로 식별하는 것은 그들의 동료 마하얀주의자들의 학교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학교도 공격하는 것이 될 것이다.대신, Yinging이 제시한 Hnnayanna의 정의에서 증명된 것은 이 용어가 교리적인 [21]차이에 기초한 개인을 지칭했다는 것이다.
흐나야나(라바카야나)
학자 이사벨 오니안스는 "마하야나가..."라고 주장한다.초기 불교를 열등한 길인 히나야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중등 문헌에서 이 이름의 우세는 인도 문헌의 발생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그녀는 "라바카야나"라는 용어는 [22]마하얀주의자들이 사용하는 "정치적으로 더 올바르고 훨씬 더 평범한" 용어였다고 지적한다.조나단 실크는 "히나야나"라는 용어는 어떤 경우에든 비판하고 싶은 사람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불교 [23]신자들의 확실한 집단을 지칭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해왔다.
호나야나와 테라바다
중국 순례자의 견해
7세기에 인도를 방문한 중국 승려 Yinging은 다음과 같이 마하야나와 호나야나를 구분했다.
둘 다 같은 비나야를 채택하고 있으며, 다섯 가지 범죄의 금지와 사대부적 진실의 실천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보살을 존경하고 마하야나 수트라를 읽는 이들을 마하얀파라고 부르며, 그렇지 않은 이들을 [21]호나얀파라고 부른다.
7세기 중국의 승려 현장은 스리랑카에 마하비하라와 아바야기리 비하라가 동시에 존재했다고 묘사했다.그는 마하비하라의 승려들을 "하냐나 스타비라스"라고 부르고, 아바야기리 비하라의 승려들을 "마하야나 스타비라스"[24]라고 부른다.Xuanzang은 "마하비하라바신들은 마하야나를 거부하고 하야나를 실천하는 반면, 아바야기리비하라바신들은 호나야나와 마하야나의 가르침을 모두 연구하여 [25]팔만대장경을 전파한다"고 썼다.
철학적 차이
마하얀주의자들은 주로 니카야 [26]학파 중 가장 포괄적인 교리 체계 구조를 가진 사르바스티바다의 바이바시카 학파와 철학 변증법이었다.이를 염두에 두고 대승론자들은 대승론에서 사라지게 된 사바스티바다파와 달리 대승론파는 독립적인 다마의 존재를 주장하지 않기 때문에 대승론자들에 의해 '히나야나'파로 간주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또한, 보살은 가능한 한 빨리 각성에 이르기 보다는 깨달음을 미루는 존재라는 개념은 현재나 역사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지 않다.테라바다 학파는 마하야나에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것 외에, 히나야나의 구별은 마하야나 전통 자체에서 볼 수 있는 특정한 견해와 관행에 따라 사용된다.마하야나 학파와 마찬가지로 테라바다 학파는 고통을 [27][28][29]끝내기 위해서는 자신의 각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따라서 현대의 테라바딘 인물들은 심장경이나 물라마디아마카리가에서 [30][31]발견되는 마하야나 철학에 대해 동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마하얀주의자들은 사르바스티바딘과 사우트란티킨의 실체주의 사상에 시달렸고, 우냐타의 교리를 강조하면서 데이비드 칼루파하나는 그들이 초기 [32]가르침을 보존하려고 노력했다고 주장했습니다.테라바딘은 사르바스티바딘과 사우트란티킨(및 다른 학파의 추종자)도 그들의 이론이 규약의 비실질주의와 상충된다는 이유로 반박했다.테라바다의 주장은 카타바투에 [33]보존되어 있다.
학자의 의견
일부 서양 학자들은 아직도 테라바다 학파를 마하야나 문학에서 언급되는 히나야나 학파 중 하나로 간주하거나 히나야나를 [34][35][36][37][38]테라바다의 동의어로 간주한다.이 학자들은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35][37]부처의 진정한 가르침으로 받아들이지 않은 불교 종파를 가리키는 용어로 이해한다.동시에 학자들은 히나야나의 경멸적인 의미에 반대하여 어떤 [39]학파에서도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 학자도 있다.
메모들
- ^ "Sanskrit Dictionary".
- ^ "Meaning of hina hina meaning in sanskrit origin and history of hina sanskrit syllables and sounds and text in hina".
- ^ a b 린포체 1995, 페이지 15
- ^ Monier-Williams 산스크리트-영어사전(Oxford, 1899), "적절한 명사: 더 단순하거나 덜 간단한 차량.불교 사상 최초의 체계 이름(후대의 대하야나와는 반대되는, 야나 참조)
- ^ 하버드 대학의 로버트 서먼과 마사토시 나가토미 교수: 로버트 서먼, The Empty That is Compassion, 각주 10, 1980.
- ^ 린포체 1995, 16페이지
- ^ "Sanskrit Dictionary for Spoken Sanskrit". Retrieved 2010-06-29.
- ^ "Sanskrit Dictionary for Spoken Sanskrit". Retrieved 2009-04-15.
- ^ 맥밀란 불교대백과사전 2004, 492쪽은 "최근과 같이 중국(티베트 포함), 한국, 베트남, 일본의 불교단체와 개인들은 비록 그 용어에 내재된 논쟁이나 가치 주장이 희미하게 느껴졌을지라도 자신들을 대승불교라고 밝힌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 ^ "Rangjung Yeshe Wiki - Dharma Dictionary:theg chung". Rangjung Yeshe Wiki. Tsadra Foundation.
- ^ "Rangjung Yeshe Wiki - Dharma Dictionary:theg dman". Rangjung Yeshe Wiki. Tsadra Foundation.
- ^ 린포체 2004, 페이지 113
- ^ Nattier 2003, 페이지 174(각주 6).
- ^ Natier 2003, 페이지 172
- ^ a b Williams & Williams 2004, 페이지 43
- ^ Natier 2003, 193-194페이지.
- ^ 윌리엄스 2009, 페이지 4-5
- ^ 윌리엄스 2000, 97페이지
- ^ Walser, Joseph (2005) Nagarjuna (문맥상): 대하야나 불교와 초기 인도 문화: 페이지 41
- ^ Walser, Joseph (2005) Nagarjuna (문맥상): 대하야나 불교와 초기 인도 문화: 페이지 41-42
- ^ a b 윌리엄스 2009, 페이지 5
- ^ 이사벨 오니안스, "탄트릭 불교 변증법, 또는 규범으로서의 안티노미안주의", D.Phil. 논문, 옥스퍼드, Trinity Term 2001 페이지 72
- ^ 조나단 어 실크대승불교란 무엇인가?Number 49:4 (2002) : 335 - 405 。Williams, 불교, Vol III, Routledge, 2005에 기사 전재
- ^ 바루아, 비부티불교 종파와 종파주의.2008. 페이지 53
- ^ 히라카와 & 그로너 2007, 페이지 121
- ^ "그들만큼 조직적이거나 완전한 교리 기구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사실, 다른 어떤 경쟁 학교도 Vaibhaikaika만큼 교리 체계학의 포괄적인 구조를 구축하는 데 근접한 적이 없습니다."씨앗의 소트란티카 이론(비자)은 다음과 같이 재논문했다. 바수반두의 씨앗 이론과 그 스릴라타/다르스탄티카 판례 사이의 이념적 연속성에 대한 특별한 언급, 창환, 박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2007년 페이지 2
- ^ Hoffman & Mahinda 1996, 192페이지
- ^ 킹 1999, 페이지 86
- ^ 테라 & 보디 1998, 페이지 42
- ^ 로페즈 주니어 2005, 페이지 24
- ^ Fronsdal, Gil. "Emptiness in Theravada Buddhism". Insight Meditation Center. Retrieved August 21, 2019.
- ^ 칼루파하나 2015, 페이지 6
- ^ 칼루파하나 2015, 페이지 24
- ^ Monier-Williams, M. (1889). Buddhism in Its Connexion with Brāhmanism and Hindūism: And in Its Contrast with Christianity. John Murray. Retrieved 2015-06-13.
- ^ a b 곰브리치 2006, 페이지 83
- ^ 콜린스 1990, 페이지 21
- ^ a b LeVine & Gellner 2007, 페이지 14
- ^ 더 아름다운 2006, 페이지 83
- ^ 맥밀런 불교참고도서관, 2004, 328페이지
원천
- Analayo, Bhikkhu (2014), "The Hinayana Fallacy" (PDF), Journal of the Oxford Centre for Buddhist Studies (6): 9–31
- Collins, Steven (1990),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āda Buddh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01488
- Gombrich, Richard (2006), Theravāda Buddhism, Routledge, ISBN 978-0415-36508-6
- Hirakawa, Akira; Groner, Paul (2007),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Sakyamuni to Early Mahayan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9550
- Hoffman, Frank J.; Mahinda, Deegalle (1996), Pāli Buddhism, Routledge, ISBN 978-0700703593
- Kalupahana, David (2015), Mulamadhyamakakarika of Nagarjun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7747
- King, Richard (1999), Indian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Hindu and Buddhist Thought, Georgetown University Press, ISBN 978-0878407569
- LeVine, Sarah; Gellner, David N. (2007), Rebuilding Buddhism: The Theravada Movement in Twentieth-Century Nepal,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25547
- Lopez Jr., Donald (2005), The Madman's Middle Way: Reflections on Reality of the Tibetan Monk Gendun Chope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93169
- Nattier, Jan (2003), A Few Good Men: The Bodhisattva Path according to The Inquiry of Ugra (Ugraparipṛcchā),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174 (footnote 6), ISBN 978-0824830038
- Rinpoche, Kalu (1995), Profound Buddhism From Hinayana To Vajrayana, Clearpoint Press, ISBN 978-0963037152
- Rinpoche, Khenchen Thrangu (2004), Distinguishing Dharma and Dharmata, A Commentary on The Treatise of Maitreya, ISBN 978-1877294334
- Swearer, Donald (2006), "Theravada Buddhist Societies", in Juergensmeyer, Mark (ed.), The Oxford Handbook of Global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37989
- Thera, Nyanaponika; Bodhi, Bhikkhu (1998), Abhidhamma Studies: Buddhist Explorations of Consciousness and Time, Wisdom Publications, ISBN 978-0861711352
- Williams, Jane; Williams, Paul (2004), Buddhism: Critical Concepts in Religious Studies, Volume 3., Routledge, ISBN 978-0415332293
- Williams, Paul (2000),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ISBN 978-0415207010
- Williams, Paul (2009),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ISBN 978-0-415-35653-4
외부 링크
- '테라바다 - 대승불교' W. 라훌라 박사의 기사
- 대하야나~히나야나~'부다사사나' 웹마스터 빈한손(www.budsas.org)이 소개한 테라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