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시
Rōshi![]() |
의 일부 연작 위에 |
선종 |
---|
![]() |
老師(Roshi)는 선종(禪宗)에서 종파와 나라에 따라 다른 용법을 가진 호칭입니다. 린자이 선에서는, 이 용어는 전체 고안 교육 과정을 마친 것을 의미하는 인카쇼메이를 받은 사람만을 위한 것으로, 이는 주어진 시간에 총 100명 미만에 해당합니다. 소토 선과 산보 교단에서는 좀 더 느슨하게 사용됩니다. 특히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는, 일본에서는 전례가 없는, 법의 전수를 받은 거의 모든 교사를 로시라고 부르거나, 심지어 자신을 지칭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어원
일본어 로시는 '옛 주인'이라는 뜻의 더 오래된 중국 노자(zi子, 노자)를 번역한 것으로, 현명한 노인의 원형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현대 중국 老師/ 老师 (중국어 pinyin: 로시 ī)는 로시의 종교적 또는 영적 의미가 없는 교사 또는 교수를 일컫는 일반적인 단어입니다. 중국 찬불교(zen佛敎, Zen은 찬( is)의 일본어 번역본)는 師父/师父 또는 만다린의 시푸(fus)라는 의미론적으로 관련된 호칭을 사용하며, 문자 그대로 "마스터 아버지" 또는 "마스터들의 아버지" 또는 "마스터들의 아버지", 또는 "마스터들의 스승"이라는 师傅/師傅, 문자 그대로 "마스터들의 스승" 또는 "마스터들의 스승"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며, 둘 다 최고의 마스터들을 위한 경칭으로 "슈 ī푸"라고 발음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도사나 수녀들의 정중한 연설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용.
전통적으로, 로시라는 용어는 지혜가 성숙하고 달마(일본어: 무조도노타이겐)에 대한 탁월한 이해와 표현을 얻었다고 여겨지는 상당히 나이가 많은 선종 교사에게 경의를 표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로시는 수년 전에 달마 전승(Jap: inka showmei)을 받았을 것이며, 비록 종종 수도원의 수도원장이나 영적인 책임자는 이러한 책임을 수행하기에 너무 늙었을 수도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이러한 역사적 현실에도 불구하고, 일부 현대 선종 학교에서는 받는 사람의 나이와 상관없이 교사의 일반적인 호칭으로 적용되기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시호를 받고 기초 교육을 마친 소토 불교 교사의 총칭인 오쇼(ōshi)와 로시( r word)라는 단어가 혼동되어 다소 혼란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적으로, 로시라는 용어는 그들이 여러 해 동안 교사로 근무한 후에야 오쇼에 적용될 것입니다.
린자이
일부 린자이 단체에서는 승려가 인카쇼메이를 받은 후 로시(ō r)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그들이 고안 공부를 마치고 그들의 스승으로부터 법을 전수받았음을 의미합니다.
린자이선에서는 누가 로시이고 누가 그렇지 않은지를 비교적 쉽게 말할 수 있습니다. 다른 로시(즉 그의 스승)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자는 로시입니다. 이 허가서(공식적으로 "잉카쇼메이" 문서)는 종이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구어적으로 "이치마이", 즉 "종이 한 장"이라고도 합니다. 전송은 교사에서 학생으로 완전히 수직이며 동료 제어가 수반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린자이 종파가 누가 로시가 되고 누가 되지 않는지를 통제할 수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린자이로시스의 수는 보통 주어진 시간에 100마리 미만입니다.[1][web 1]
쓰시모토 로시 소쿤에 따르면, 로시의 칭호는 선주와 쉬크에 해당한다고 합니다.[2]
'로시'는 정통 명인에 의해 법의 후계자로 공식적으로 인가된 가장 공식적인 칭호 '시케'와 호환되는 칭호입니다.[2][3]
소토
소토(小土) 조직에서는 사람이 진탕( shike)이라는 칭호를 받은 후 로시(ōshi)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결코 표준적인 관행이 아닙니다.
소토에는 약 50개 정도가 있습니다. (린자이로시는 "시케"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T]여기에는 "시케카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위원회가 있는데, 모든 일본 소토시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 외국인의 흔들림은 없습니다. 쉬크가이는 누구나 자신과 동등하다고 생각하는, 즉 진정한 훈련과 공부를 하고, 스스로를 연마하고, 다른 쉬크의 깨달음에 필적할 정도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되는 어떤 이해를 얻으면 쉬크로 임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셰이크 임명은 어떻게 보면 수평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web 1]
서양 선
미국의 많은 선인 공동체들은 일본의 선인들이 인식하는 전통을 존중하여 선생님들에게 로시라는 존칭을 정규 칭호로 수여합니다. 대부분의 서양 사례에서 일본에서 상당히 구체적인 의미를 갖는 선승이라는 용어와 동의어로 쓰이는데, 즉 사찰과 승려 수련관을 관리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선별된 집단입니다.[web 1][4]
서쪽에서는 린자이어와 소토어가 혼용되고 있습니다.
린자이선이 먼저 서양으로 건너갔기 때문에 로시는 어떤 자격을 가진 선인으로 이해되었습니다. 소토의 도입과 함께 인간관계에 대한 강조가 접목되어 공식적이고 합법적인 것과 개인적이고 애정적인 것을 결합하는 복합적인 용어가 되었습니다. 더욱이 다이아몬드 상하, 로스앤젤레스 젠 센터 및 로체스터 젠 센터 계통은 현대의 소토와 린자이 젠의 요소를 결합했습니다. 서양에서 로시의 사용에 모호성과 다양성이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5]
소토와 린자이 요소를 결합한 평신도 조직인 산보교단에서는 인카를 받았을 때 로시라고 하는데, 이는 그들이 고안 교육과정에 합격하여 법통을 받았음을 의미합니다.
비평
미국과 유럽에서 로시라는 용어의 사용은 때때로 혼란과 논란으로 이어졌습니다.[6][7][8][9][web 2] 스튜어트 라흐스(Stuart Lachs)는 서양의 선종 기관들이 종종 신화적인 지위를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는 로시(Roshi)라는 칭호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web 3]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Wenger, Michael (2002), "What is a Roshi?", Buddhadharma: The Practitioner's Quarterly, retrieved 2018-05-20
- ^ a b Boeddistisch Dagblad, 2013년 4월 17일, Rients Ritskes op beschulding: 'Raks for me uitgereikt als beijs van competent zenleiderschap' 2013년 4월 20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됨
- ^ 쓰시모토 소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일본 타임즈를 참조하십시오. 몸과 영혼을 돌보는 일. 츠시모토 소쿤 인터뷰
- ^ 보디포드 2008, 페이지 276.
- ^ 부처다마사전: 로시 어카이브 더 웨이백 머신 2012-12-04
- ^ 오가타, 37세
- ^ 시거, 107
- ^ 가타기리, 184세
- ^ 가드, 193
웹 참조
원천
- Bodiford, William M. (2008), Dharma Transmission in Theory and Practice. In: Zen Ritual: Studies of Zen Buddhist Theory in Practice (PDF), Oxford University Press
- Gard, Richard A. (2007). Buddhism. Gardners Books. ISBN 978-0-548-07730-6. OCLC 176932841.
- Katagiri, Dainin (1988). Returning to Silence: Zen Practice in Daily Life. Shambhala Publications. ISBN 0-87773-431-3. OCLC 16982186.
- Ogata, Sohaku (1975). Zen for the West. Greenwood Press. ISBN 0-8371-6583-0.
- Seager, Richard Hughes (1999). Buddhism In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0868-0. OCLC 4048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