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계통도
Zen lineage charts![]() |
의 일부 연재물 에 관하여 |
선불교 |
---|
![]() |
선혈통 도표는 달마의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의 전승을 묘사한다. 이들은 당나라 때 인도 불교와 동아시아 마하야나 불교에서 나온 요소들을 통합하여 발전하였으나,[1] 당 말기에 처음 간행되었다.[2]
역사
찬에서 가부장적 혈통에 대한 생각은 제5대 총대주교인 다만 홍렌(弘601–674)의 제자인 푸루(法如638–689)의 비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두 개의 입구와 네 가지 관행에 관한 논문 긴 두루마리와 저명한 승려들의 계속되는 전기에서 다오유와 다즈 후이케는 유일하게 분명하게 확인된 보디달마의 제자들이다. 비문에는 보디달마(Bodhidharma)를 초대 총대주교로 식별하는 계통이 있다.[3][4]
6세기에는 유명한 승려들의 전기들이 수집되었다. 이 장르에서 대표적인 찬 계통이 개발되었다.
이 유명한 전기들은 비종교적이었다. 그러나 찬 전기 작품들은 인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적이 가능한 합법적인 불교 학교로서 찬을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동시에 찬의 특정한 형태를 옹호하였다. 역사적 정확성은 컴파일러들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오래된 전설은 반복되었고, 새로운 이야기들은 발명되었고, 그들도 전설이 될 때까지 반복되었다.[5]
맥레이에 따르면, 스키마는 몇 세기 동안 발전했다.[6] 이는 인도와 중국 문화의 결합상품으로, 과거 7대 불상과 같은 "동아시아 마하야나 불교의 더 큰 전통으로부터" 요소를 계승한 것이다.[6]
[T]그는 인도의 불교와 카슈미르의 4~5세기 불교 명상 전통에서 계통을 바탕으로 한 전파 계획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찬송계도와 8세기 이후 중국의 족보 사이에는 여러 가지 유사점이 있지만 인도 불교도들도 중국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부모와 교사, 가족 계보, 입문계열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인도와 중국 요소들의 결합으로서, 중국 전송 스키마는 중국 불교적 맥락 안에서 발전했고 특히 그러한 환경에 잘 적응했다.[2]
전체 시스템은 아마도 801년쯤 발표되었지만 확실히 952년까지 발표되었다.[6]
D. T. 스즈키는 7~8세기 동안 성룡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불교의 창시자로부터 직접 전승한 공인된 기록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고, 성룡 역사가들이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여 보디달마를 28대 불교대주교로 삼았다고 주장한다.[7]
라인업
석가모니에서 보디달마까지 이어지는 인도의 혈통
초창기의 찬나라에 대한 묘사는 초가불에서 보디달마까지 연속적인 혈통으로 발전했다. 초가여래불의 혈통 사상은 찬 학파의 독특한 혈통 전통의 기초가 된다. 게이잔이 쓴 덴코로쿠(덴코로쿠)는 28명의 족장들에게 이 전시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한다.[8][9]
산스크리트어 | 중국어 | 베트남의 | 일본인입니다 | 한국인입니다 | |
1 | 마하카야파 | 摩訶迦葉 / Móhējiāyè | 마하-카-디프 | 마카카쇼 | 마하가섭 / Mahagasŏp |
2 | 아난다 | 阿難陀 (阿難) / Ānántuó (Ānán) | 아난차 (아난) | 아난다 (아난) | 아난다 (아난) / Ananda (Anan) |
3 | 나바사 | 商那和修 / Shāngnàhéxiū | 투엉나하투 | 쇼나와슈우 | 상나화수 / Sangnahwasu |
4 | 우파굽타 | 優婆掬多 / Yōupójúduō | 슈바쿠차 | 우바키쿠타 | 우바국다 / Upakukta |
5 | 드르타카 | 提多迦 / Dīduōjiā | đềaca-Ca | 대타카 | 제다가 / Chedaga |
6 | 미카카 | 彌遮迦 / Mízhējiā | 디다카 | 미사카 | 미차가 / Michaga |
7 | 바수미트라 | 婆須密 (婆須密多) / Póxūmì (Póxūmìduō) | 바투미트 (바투미트타) | 바슈미쓰 (바슈미타) | 바수밀다 / Pasumilta |
8 | 부다난디 | 浮陀難提 / Fútuónándī | 피따-차-난시 | 부다난다이 | 불타난제 / Pŭltananje |
9 | 불상 | 浮陀密多 / Fútuómìduō | 피차미타 | 부다미타 | 복태밀다 / Puktaemilda |
10 | 파르시바 | 波栗濕縛 / 婆栗濕婆 (脅尊者) / Bōlìshīfú / Pólìshīpó (Xiézūnzhě) | Ba-Lậ-Thp-Phưc / Ba-Lật-Thp-Ba(Hiếp-Tôn-Giả) | 바리시바 (쿄소냐) | 파률습박 (협존자) / P'ayulsŭppak (Hyŏpjonje) |
11 | 푸냐야야샤스 | 富那夜奢 / Fùnàyèshē | 푸나다샤 | 후나야샤 | 부나야사 / Punayasa |
12 | 아나보디 / 아바고아 | 阿那菩提 (馬鳴) / Ānàpútí (Mǎmíng) | 아-나-바-바-바-바흐 (마냥-민) | 아나보티 (메료) | 아슈바고샤 (마명) / Asyupakosya (Mamyŏng) |
13 | 카피말라 | 迦毘摩羅 / Jiāpímóluó | 카-트-마-라 | 카비모라 (카비마라) | 가비마라 / Kabimara |
14 | 나가르주나 | 那伽閼剌樹那 (龍樹) / Nàqiéèlàshùnà (Lóngshù) | 나자아-야트-라트-타-나(롱-타) | 나가아라주나 (류주) | 나가알랄수나 (용수) / Nakaallalsuna (Yongsu) |
15 | 아리아데바 / 카나데바 | 迦那提婆 / Jiānàtípó | 카-나-나-바 | 카나다이바 | 가나제바 / Kanajeba |
16 | 라훌라타 | 羅睺羅多 / Luóhóuluóduō | 라후라차 | 라고라타 | 라후라다 / Rahurada |
17 | 상하난디 | 僧伽難提 / Sēngqiénántí | 탕자난시 | 소교난다이 | 승가난제 / Sŭngsananje |
18 | 상하야하스 | 僧伽舍多 / Sēngqiéshèduō | 탕자차 | 소가야샤 | 가야사다 / Kayasada |
19 | 쿠마라타 | 鳩摩羅多 / Jiūmóluóduō | 츄-마-라-자 | 쿠모라타 (쿠마라타) | 구마라다 / Kumarada |
20 | 자야타 / 자야타 | 闍夜多 / Shéyèduō | 자다자 | 샤야타 | 사야다 / Sayada |
21 | 바수반두 | 婆修盤頭 (世親) / Póxiūpántóu (Shìqīn) | 바투반슈 (Thth-Than) | 바슈반즈 (세진) | 바수반두 (세친) / Pasubandu (Sechin) |
22 | 마노리타 | 摩拏羅 / Mónáluó | 마노라 | 마누라 | 마나라 / Manara |
23 | 하클레나야하스 | 鶴勒那 (鶴勒那夜奢) / Hèlènà (Hèlènàyèzhě) | 흐크-르크-나 | 카쿠로쿠나 (카쿠로쿠나야샤) | 학륵나 / Haklŭkna |
24 | 심하보디 | 師子菩提 / Shīzǐpútí | Sư-Tử-Bồ-Tri / Sư-Tử-Tri | 시시보다이 | 사자 / Saja |
25 | 바시아시타 | 婆舍斯多 / Póshèsīduō | 바샤타타 | 바샤시타 | 바사사다 / Pasasada |
26 | 푸냐미트라 | 不如密多 / Bùrúmìduō | Bht-Như-Mht-đa | 푸니요미타 | 불여밀다 / Punyŏmilta |
27 | 프라냐타라 | 般若多羅 / Bōrěduōluó | 바트-나앙-아-라 | 한냐타라 | 반야다라 / Panyadara |
28 | 달마 / 보디달마 | Ta Mo / 菩提達磨 / Pútídámó | đ-마 / b-đ-ề---ma-Ma | 다루마 / 보다이다루마 | 탈마 / 보나마 / 포이달마 |
중국 계통의 6대 선조
가장 초기의 줄에는 보디달마에서 후이농까지의 혈통을 기술하였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제7대 중국 총대주교는 없다.[web 1]
찬, 선, 선 전통의 원칙적 스승은 총대주교로 제1회 영어 번역에서 흔히 알려져 있지만, 현재의 경향은 원래 용어는 성중립이기 때문에 '앵커스터'나 '파운더스' (祖)와 '앵커스트' 또는 '파운딩 마스터' (祖)의 보다 정밀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저자의 다양한 기록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송 라인의 변화를 제공한다.
계속 전기 수도승의 Xù gāosēng zhuàn 續高僧傳 다오수안 자손이다. (596-667) | 전송 기록 달마보석의 Chuán fǎbǎo jì 傳法寶記 of Dù Fěi 杜胐 | 라파타수트라 수트라 마스터스와 제자의 역사 Léngqié shīzī jì 楞伽師資紀記 종주아 자손이다. (ca. 683 - ca. 650) | 시엔조앙지 ì记记 shhu 지파 | |
1 | 보디달마 | 보디달마 | 보디달마 | 보디달마 |
2 | Huìkě 慧可 (487? - 593) | Dàoyù 道育 | Dàoyù 道育 | Dàoyù 道育 |
Huìkě 慧可 (487? - 593) | Huìkě 慧可 (487? - 593) | Huìkě 慧可 (487? - 593) | ||
3 | Sēngcàn 僧璨 (d.606) | Sēngcàn 僧璨 (d.606) | Sēngcàn 僧璨 (d.606) | Sēngcàn 僧璨 (d.606) |
4 | Dàoxìn 道信 (580 - 651) | Dàoxìn 道信 (580 - 651) | Dàoxìn 道信 (580 - 651) | Dàoxìn 道信 (580 - 651) |
5 | Hóngrěn 弘忍 (601 - 674) | Hóngrěn 弘忍 (601 - 674) | Hóngrěn 弘忍 (601 - 674) | Hóngrěn 弘忍 (601 - 674) |
6 | - | Fǎrú 法如 (638-689) | 유취안 선슈 神6 (606? - 706) | Huìnéng 慧能 (638-713) |
유취안 선슈 神6(606? - 706) 神秀 | Xuánzé 玄賾 | |||
7 | - | - | - | Xuánjué 玄覺 (665-713) |
당나라
Hongren - Huineng - Northern School - Sitou-lineage - Mazu-lineage - Southern School
다이이 다옥신(大 day580–651)과 다만 홍렌(弘 60601–674)의 시대는 화엄메이의 홍렌의 거주지 위치 때문에 이스트 마운틴 티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용어는 홍렌의 가장 중요한 후계자인 유취안 선슈가 사용하였다.[10]
다만홍렌의 가장 중요한 후계자는 유취안 선슈( yu (606?-706)이다. 701년, 그는 우제티안의 초청을 받아 황실의 경의를 표했다. 최초의 혈통 문서는 이 시기에 제작되었다.[11]
전통에 따르면,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조상의 창시자인 희농( chan history; 638–713)은 찬 역사의 거인 중 하나였으며, 살아남은 모든 학교들은 그를 그들의 조상으로 여긴다.[web 2]
휘응의 후계자인 선희는 공개적으로 인정받은 후생 유취안 선슈 대신 휘응이 홍렌의 후계자라고 주장했다.[12] 선후이 계통의 계승자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기풍종미[13] 선후이( gu後hui)의 영향력은 화인(華人)의 이야기를 대중적으로 전하면서도 선후이가 일으킨 반목을 화해시키는 플랫폼경(Platform Sutra)에서 추적할 수 있다. 선희 자신은 연단경에서 알 수 없다. 그는 사실상 찬 역사에서 쓰여진 것이다.[14]
전임자 | ||||
5 | 다만홍렌(601-674)(5대 총대주교) (WG 타만 흥젠, Jpn. 구닌) | |||
6 | 유취안선시우(605?-706) (WG 위취안 심시우, Jpn. 진슈) | 희엥 (638-713) (WG 희응, Jpn. Eno) | ||
7 | 노던 스쿨 | 칭위안싱시(660-740) (WG 칭위안 칭수, Jpn. 세이겐 교시) | 난이에 화랑 (677-744) (wg 난위허 화이장, jpn. 난가쿠에조오) | 헤제선후이 (WG 호세 선희, Jpn. 카타쿠 진에)[15][16] |
8 | 시토우 시치안 (700-790) (WG 시츄-tou Hsi-chien, Jpn. 키젠 세키토) | 마즈 다오이 (709-788) (WG 마쓰 타오이, Jpn. 바소도쓰) | 서던 스쿨 (WG호테스학교, Jpn. 카타쿠학교) | |
9 | 파얀 학파 윤먼스쿨 카오동학파 | 홍저우 학파 린지 스쿨 | ||
5세대: 기펑종미(780–841) ((峰 密密 WG Kuei-펑 성미, Jpn. 게이호 슈미츠) |
시토우 시첸 - 파얀 학교 - 윤먼 학교 - 카오동/소토 학교
시투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통 전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학자 마리오 포체스키 씨는 시투가 생전에 영향력이 있거나 유명했던 것 같지는 않다고 쓰고 있다.[17] 시토우와 마즈 다오이가 각각 죽은 후 수십 년부터 당대 최고의 두 주인이라는 취지의 말을 한다. 시투우가 회고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것은 그의 혈통을 시투로 거슬러 올라간 9세기 스승 둥산 량지의 중요성에 힘입은 바가 크다.[18]
육대주교 | ||||
희엥 (638-713) (WG: Hui-eng. Jpn:에노) | ||||
칭위안싱시(660-740) (WG: TC'ing Yüan Hing-su. Jpn: 세이겐 교시) | ||||
0 | 시토우 시치안 (700-790) (WG: 시-토우-시-치엔. Jpn:세키토 키젠) | |||
1 | 톈황다오우(748-807) (WG: 톈황 타오우. Jpn : 덴노다이고) | 야오산 웨이얀 (ca.745-828) (야오산웨이옌, Jpn. 야쿠산 이겐) | ||
2 | 룽탄총신 (8/9세기) (WG: Lung-tan Chung-hsin; Jpn: 류탄 소신) | 윤옌 탄성(780-841) (윈옌 탄선, Jpn. 운간돈조) | ||
3 | 데산쉬안지안 (782-865년 (WG: Te-shan Hsuan-chien; Jpn: Tokusan Sengan) | 둥산량지(807-869) 퉁산량치허, Jpn. 토잔 료카이) | ||
4 | Xuefeng Yicun (822-908)(雪峰 义 存) (WG: 쉬에펑 I-tsun. Jpn: 세포 기손) | 카오산벤지 (840-901) (차오산펜치, Jpn. 소잔혼자쿠) | 윤주도잉(d.902) (윈추 타오잉, Jpn. 운고도요) | |
5 | 징칭다오투(ca.863-937) (WG: 칭칭 타오푸. Jpn : 교세이 도후) | 윤먼 웬얀 (864-949) (WG: Yün-men Wen-yen. Jpn: 음몬 번엔) | 카오동학파 | 8세대 |
6 | 쉬안샤 시베이(835-908) | 둥산쇼우루 (910-990) | 도겐 | |
7 | 뤄한 기첸 (867-928) | 윤먼스쿨 | 소토 | |
8 | 파얀 웬이 (885-958) | |||
9 | 파얀 학파 |
마즈 - 홍저우 학파 - 구이양 학파 - 린지 학파
전통적으로 마즈 다오이는 스승 난유 화랑은 후인응의 제자·후계자로 여겨지기 때문에 후인응 계통의 후계자로 그려진다. 후이농과 난유 화랑의 이러한 연관성은 의심스러운데, 후에 찬 역사를 다시 써서 마즈 다오이를 전통 선에 배치한 산물이 된다.[19]
마즈 다오이는 아마도 찬 불교의 형성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스승일 것이다.[20] 송나라 때 찬이 불교의 지배적인 학파가 된 반면, 후기 당나라와 마즈 다오이의 홍저우 학파는 찬의 '황금시대'로 간주되었다.[21] 안루산 반란(755~763)은 당나라에 의한 지배력 상실로 이어졌고, 대도시 찬은 "군벌들이 지배하는 외곽 지역에 다른 학교들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들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찬의 선봉장들이다. 그들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다. 선희의 설교의 힘은 모두 희응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22]
육대주교 | ||
희엥 (638-713) (휘응, Jpn.에노) | ||
난이에 화랑 (677-744) (난위위위위위위위위장, Jpn. 난가쿠에조오))) | ||
마즈 다오이 (709-788) (마쓰 타오이, Jpn. 바소도쓰) | ||
난취안 푸위안(748-835) (난취안 푸위안, Jpn. 난센 푸간) | 바이장 화이하이(720-814) (파이창 화이하이, Jpn. 히아쿠조에카이) | |
자오저우 콩젠(778-879) (차오초우 츠엉센, Jpn. 조슈 주신) | 황보현 (d.850) (황포시위안, Jpn. 오바쿠 키운) | 기산 링유(771-853) (쿠에이산 링유, Jpn. 이산레이유) |
임지 이쉬안 (d.866년) (린치 이쉬안, Jpn. 린자이 기겐) | 구이양학파 | |
린지 스쿨 |
송나라 - 찬의 다섯 집
찬의 다섯 집(Chen. school") 즉, 다섯 개의 "학교"가 인정되었다. 이것들은 원래 "학교"나 "곤충"으로 여겨지지 않고, 다양한 찬 게로로그에 근거하고 있었다. 역사적으로 그들은 "학교"로 이해되었다.
'찬의 다섯 집'은 다음과 같다.[23]
- 구이양학교(九arma學校)는 마즈 다오이의 달마 후예인 기산 링유(771–854)와 양산 희지(813–890)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4]
- 그의 혈통이 마즈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원형의 우상화 된 첸 사부 린지의 이름을 딴 린지 학교(林地學校, 866년 생)는 그를 원형의 우상화 된 첸 사부로 세웠다.[web 3]
- 동산 량지에(807–869)와 카오산 벤지(840–901)의 이름을 딴 카오동 학교.
- 윤먼학교(尹門學校, 雲門學校, 雲門學校, 雲門學校, 949년 사망)의 이름을 딴 것으로, 시토우 시첸의 혈통을 거슬러 올라가게 된 슈에펑이춘(822년-908년)의 제자였다.[25]
- 파얀 학파(法法學校, 法眼學校, 法眼學校, xfeng學校, xfeng學校, 1885~958년)의 '대학생'인 파얀 웬이( fyiyi, 1885~958년)의 이름을 딴 것이다.
구이양학파
구이양학교(潙宗宗 (Guyanng, Jpn. 이교)는 선(先) 오행(五行)[26]의 최초의 설립 학교였다. 구이양은 거장 구이산 링유(771–854)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쿠에이산 링유, Jpn). 이산 레이유)와 그의 제자 양산 희지(807-883, [27]813–890) (양산 희치, Jpn)이다. 쿄잔 에자쿠). 양산은 구이양학교를 세운 뒤 지금의 현대식 장시성으로 학교를 옮겼다.
구이양 학교는 학교의 고안과 다른 가르침에서 난해한 은유와 이미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학교와 구별되었다.[26]
육대주교 |
희엥 (638-713) (휘응, Jpn.에노) |
난이에 화랑 (677-744) (난위위위위위위위위장, Jpn. 난가쿠에조오))) |
마즈 다오이 (709-788) (마쓰 타오이, Jpn. 바소도쓰) |
바이장 화이하이(720-814) (파이창 화이하이, Jpn. 히아쿠조에카이) |
기산 링유(771-853) (쿠에이산 링유, Jpn. 이산레이유) |
양산희지(807-883) (양산희치, Jpn) 교잔에자쿠) |
구이양학파 |
파얀학교와 윤먼학교
파양학파인 슈에펑이춘과 윤먼학파를 거쳐 시토우 시첸과 휘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슈에펑은 "슈펑 이춘을 중심으로 널리 영향력 있는 선(先) 중심지"[28]가 형성되었던 당나라 말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찬( ch) 선생 중 한 사람이었다.[29] 당나라에 의한 지배력 상실, 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불교 기관의 지원 상실은 지역에 기반을 둔 서펑의 찬과 그의 제자들을 이끈다.[30]
린지 이쉬안을 언급한 최초의 문서인 952년 편찬된 주탕지(周ang之, "가부장관의 이야기")는 슈펑 이춘 계통을 뒷받침하기 위해 쓰여졌다.[web 3] 슈에펑이춘의 혈통은 시토우 시치안(700-790)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web 3]혈통을 마주와 홍저우 학파의 계승자로 그려내고 있다. 샤에펑 이춘의 후예인 자오칭 웬뎅(884-972)의 두 제자가 쓴 것이다.
육대주교 | ||
희엥 (638-713) (WG: Hui-eng. Jpn:에노) | ||
칭위안싱시(660-740) (WG: TC'ing Yüan Hing-su. Jpn: 세이겐 교시) | ||
시토우 시치안 (700-790) (WG: 시-토우-시-치엔. Jpn:세키토 키젠) | ||
톈황다오우(748-807) (WG: 톈황 타오우. Jpn : 덴노다이고) | ||
룽탄총신 (8/9세기) (WG: Lung-tan Chung-hsin; Jpn: 류탄 소신) | ||
데산쉬안지안 (782-865년 (WG: Te-shan Hsuan-chien; Jpn: Tokusan Sengan) | ||
0 | Xuefeng Yicun (822-908)(雪峰 义 存) (WG: 쉬에펑 I-tsun. Jpn: 세포 기손) | |
1 | 징칭다오투(ca.863-937) (WG: 칭칭 타오푸. Jpn : 교세이 도후) | 윤먼 웬얀 (864-949) (WG: Yün-men Wen-yen. Jpn: 음몬 번엔) |
2 | 쉬안샤 시베이(835-908) | 둥산쇼우루 (910-990) |
3 | 뤄한 기첸 (867-928) | 윤먼스쿨 |
4 | 파얀 웬이 (885-958) | |
파얀 학파 |
린지 스쿨
북송(960–1127) 때 송의 수도는 북방 도시 비안징(현재의 카이펑)에 있었고, 왕조는 중국 내부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파얀 학파는 송법사에서 가장 먼저 인정받은 파벌로 불교계 학자-관료 자닝(919-1001)의 영향을 받았다.[web 4] 그가 죽은 후 이 지위는 린지액션에 의해 점령되었다.[web 4]
송나라의 린지학파는 선조의 고전적 요소들을 한데 모았다.
- 덴루-제너(denlu-gener), "램프의 전송"[12][web 3]
- 유루장르, 당나라 사부들의 기록된 말씀,[12][web 3]
- 소개, 해설 및 시로 보충된 명장과 학생 사이의 허구적 대화와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공안(코안)[12][web 3][31] 컬렉션
- 화투 연습,[12][31] 켄쇼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공안의 "말머리"에 대한 명상적 집중.
- "경전 밖의 특별한 전달"이라는 개념은 선(先)의 정의적 특징 중 하나이다.[web 3]
말없는 진리를 전하는 우상화 선사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모든 요소들은 린지학파의 위치를 도배한 '전통적 선서화'를 형상화한 문학적 산물에 의해, 그리고 의존적으로 형성되었다. 이 설화는 송나라도 당나라도 아닌 실제의 첸실례를 묘사하지 않았다.[web 3]
웰터에 따르면 린지학파의 진짜 설립자는 린지의 4대째 달마하이르인 쇼산(또는 바오잉) 셍기니안(926~993)이었다. The Tiansheng Guangdeng lu (天聖廣燈錄), "Tiansheng Era Expanded Lamp Record", compiled by the official Li Zunxu (李遵勗) (988-1038) confirms the status of Shoushan Shengnian, but also pictures Linji as a major Chan patriarch and heir to the Hongzhou school of Mazu Daoyi, displacing the prominence of the Fayan-lineage.[web 3] 또한 '교단 밖 특별전승'이라는 슬로건을 정립하여 '찬은 다른 모든 불교 가르침과 별개로 우수하다'[web 4]는 린지학파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육대주교 | ||||
희엥 (638-713) (휘응, Jpn.에노) | ||||
난이에 화랑 (677-744) (난위위위위위위위위장, Jpn. 난가쿠에조오))) | ||||
마즈 다오이 (709-788) (마쓰 타오이, Jpn. 바소도쓰) | ||||
바이장 화이하이(720-814) (파이창 화이하이, Jpn. 히아쿠조에카이) | ||||
황보현 (d.850) (황포시위안, Jpn. 오바쿠 키운) | ||||
임지 이쉬안 (d.866년) (린치 이쉬안, Jpn. 린자이 기겐) | ||||
싱화춘장 | ||||
난위안휘용 | ||||
슈산싱어니안 | ||||
펜양산조 | ||||
시수앙추위안 | ||||
양치팡후이 | 황롱휘난 | |||
바이윤쇼우두안 | 희탕추신 | |||
우즈파얀 | 스수신 W신 | |||
카이푸 다오닝 | 위안우케친 | 몇 세대 | ||
위안산구오 | 후추쇼오룽 | 다후이종고 | 아이사이 | |
쓰퉁 라오나 | 잉안 탄화 | |||
위린시관 | 미안시엔치에 | |||
우먼후이카이 | 성위안충위시 | |||
신치카쿠신 | 린자이 학파 | |||
하쿠인 | ||||
린자이 학파 |
카오동학파
가오동 학파는 9세기에 둥산 량지와 그의 달마 하이르족이 세운 학파다.
육대주교 | ||||
희엥 (638-713) (WG: Hui-eng. Jpn:에노) | ||||
칭위안싱시(660-740) (WG: TC'ing Yüan Hing-su. Jpn: 세이겐 교시) | ||||
시토우 시치안 (700-790) (WG: 시-토우-시-치엔. Jpn:세키토 키젠) | ||||
야오산 웨이얀 (ca.745-828) (야오산웨이옌, Jpn. 야쿠산 이겐) | ||||
윤옌 탄성(780-841) (윈옌 탄선, Jpn. 운간돈조) | 린지 혈통 린지 스쿨 | |||
0 | 둥산량지(807-869) 퉁산량치허, Jpn. 토잔 료카이) | 이쉬안 린지[32] | ||
1 | 카오산벤지 (840-901) (차오산펜치, Jpn. 소잔혼자쿠) | 윤주도잉(d.902) (윈추 타오잉, Jpn. 운고도요) | 싱화춘장[33] | |
2 | 통안도피 (도피[34]) | 난위안휘용[35] | ||
3 | 통안관지 (통안[34]) | 펑쉐 옌자오[36] | ||
4 | 량산환구안 | 슈산싱어니안[37] | ||
5 | 다양징수안 (942-1027)[38] (다양)[34] | 셰시안 기싱[39] | ||
후산 파유안 (린자이 마스터) ) | ||||
6 | 토우지이칭(1032-1083) [41](투지)[34] | |||
7 | 후룽 다오카이(1043-1118) (다오카이)[34] | |||
8 | 단샤 지쿤 (1064-1117) (단샤)[34] | |||
9 | 홍지정주(1091~1157년)[42] | 전시에 칭랴오(우콩[34]) | ||
10 | 톈퉁 쫑주 (종주[34]) | |||
11 | 쉬도우지안 (쯔지안[34]) | |||
12 | 톈퉁 루징 (루징[34]) | |||
13 | 도겐 | |||
일본 선
24개의 서로 다른 선인어가 일본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까지 생존한 사람은 3명뿐이다. 소토는 13세기 CE에서 찬의 훈련을 위해 중국으로 여행한 도겐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졌다. 카오동 선에서 달마 송신을 받은 후 일본으로 돌아가 소토 선( s土線)을 세웠다. 린지 선은 일본에도 여러 차례 전승되어 린자이 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소토 학파
도겐은 가르침의 순결성, 혈통, 달마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소토학파는 다양한 선과 달마전송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43] 도겐은 2년을 함께 공부한 중국인 스승 루징으로부터 달마전송을 받았지만, 중세 소토에서는 8년을 함께 공부한 린자이 선생 묘젠의 달마 후계자로도 여겨졌다.[44] 그리고 도겐의 달마 증손자인 기카이 다루마슈의 시조인 노닌의 혈통 소유자로 린자이 학파도 있었다.[45] 기카이는 이 혈통을 게이잔에게 넘겨주었는데, 게이잔 역시 적어도 두 줄의 혈통 소유자가 되었다.[46]
소토의 역사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기 위해, 도겐이 루징을 통해 물려받은 카오동 라인은 앞서 카오동마스터 다양 징수안에서 린자이마스터 후산 파유안을 거쳐 투지이칭으로 전해졌다. 푸산파유안은 다양징수안 밑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 진수안이 죽었을 때, 파유안은 "적당한 후계자에게 물려주겠다"고 약속하면서 진수안의 "상, 법복, 가르침을 표현한 구절"[40]을 받았다. 파유안은 이 혈통을 이어받기 위해 제자인 투지 이칭(Touzi Iching)을 선택했는데,[40] 이는 게이조의 덴코로쿠에서 인정된 사실이지만, "도겐의 저술의 표준본에서는 이칭의 간접적인 계승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모두 없어졌다"는 것이다.[40]
육대주교 | |||||
희엥 (638-713) (WG: Hui-eng. Jpn:에노) | |||||
칭위안싱시(660-740) (WG: TC'ing Yüan Hing-su. Jpn: 세이겐 교시) | |||||
시토우 시치안 (700-790) (WG: 시-토우-시-치엔. Jpn:세키토 키젠) | |||||
야오산 웨이얀 (ca.745-828) (야오산웨이옌, Jpn. 야쿠산 이겐) | |||||
윤옌 탄성(780-841) (윈옌 탄선, Jpn. 운간돈조) | 린지 혈통 린지 스쿨 | ||||
0 | 둥산량지(807-869) 퉁산량치허, Jpn. 토잔 료카이) | 이쉬안 린지[32] | |||
1 | 카오산벤지 (840-901) (차오산펜치, Jpn. 소잔혼자쿠) | 윤주도잉(d.902) (윈추 타오잉, Jpn. 운고도요) | 싱화춘장[33] | ||
2 | 통안도피 (도피[34]) | 난위안휘용[35] | |||
3 | 통안관지 (통안[34]) | 펑쉐 옌자오[36] | |||
4 | 량산환구안 | 슈산싱어니안[37] | |||
5 | 다양징수안 (다양[34]) | 셰시안 기싱[39] | |||
후산 파유안 (린자이 마스터) ) | |||||
6 | 토우지이칭 (투지[34]) | ||||
7 | 후롱다오카이 (다오카이[34]) | ||||
8 | 단샤 지쿤 (단샤[34]) | ||||
9 | 홍지정주(1091~1157년)[42] | 전시에 칭랴오(우콩[34]) | |||
10 | 톈퉁 쫑주 (종주[34]) | 린지 혈통 린지 스쿨 | |||
11 | 쉬도우지안 (쯔지안[34]) | 아이사이 | 린지 혈통 린지 스쿨 | ||
12 | 톈퉁 루징 (루징[34]) | 묘젠 | 다후이종고 | ||
13 | 도겐 | Zhuóān Déguāng (拙庵德光, 1121–1203) | |||
14 | 코운에조오 | 노닌 | |||
15 | 기카이 다쓰 | ||||
16 | 게이잔 | ||||
소토 |
린자이 학파
오토칸 계통은 1265년 승려 슈탕쯔위(일본 기도치구, 1185~1269)로부터 중국 내 전파를 받은 난포 조묘(南浦趙my) 南明明(1235–1308)가 세운 계통으로, 이후 1267년 일본으로 돌아갔다. 그 후 그의 제자 묘초 슈호(2세)와 간잔 에겐(3세)에 의해 전파되었는데, 그는 이 학교를 영향력 있는 학교로 만들었다.
오늘날 두 개의 주요 학교는 모두 하쿠인 출신인 타쿠쥬와 인잔이다.
린지 혈통 린지 스쿨 | ||||
아이사이 | 린지 혈통 린지 스쿨 | |||
묘젠 | 슈탕쯔위 虚堂愚(일본인 키도치구, 1185–1269년) | |||
Nanpo Shōmyō (南浦紹明?) (1235–1308) | ||||
묘초 슈호 | ||||
Kanzan Egen 關山慧玄 (1277–1360) 묘신지 시조 |
| |||
주오소히쓰 (1296–1380) | ||||
무인 소인 (1326–1410) | ||||
토젠 소신 (젝코 소신) (1408–1486) | ||||
토요에이쵸 (1429–1504) | ||||
타이가 탄쿄 (?–1518) | ||||
고호겐쿤(?–1524) | ||||
센쇼주이쇼(?~?) | ||||
이언 치사츠 (1514–1587) | ||||
토젠 소신 (1532–1602) | ||||
요잔 게이요(?–?) | ||||
구도 토쇼쿠 (1577–1661) | ||||
시도 부난(1603–1676) | ||||
쇼주 로진 (쇼주 로닌, 도큐 에탄, 1642–1721) | ||||
하쿠인 (1686–1768) | ||||
# Gasan Jitō 峨山慈棹 (1727–1797) | ||||
Inzan Ien 隱山惟琰 (1751–1814) | Takujū Kosen 卓洲胡僊 (1760–1833) | |||
인잔 혈통 | 타쿠주 혈통 | |||
린자이 학파 | 린자이 학파 |
웨스턴 젠
서양이 언제부터 선(先)을 뚜렷한 불교의 형태로 인식하게 되었는지는 추적하기 어렵지만, 1893년 세계종교회의 때 일본의 선승인 소이엔 샤쿠(小 soy)가 시카고를 방문한 것은 서구 세계에서 그 위상을 높인 사건으로 지적되는 경우가 많다. 선에 대한 진지한 관심을 추구하는 동양계 이민자의 후손들을 제외한 서구인들의 수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이다. 특히 일본 젠은 서양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 인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D가 출판한 책들이다.T. 스즈키.[47] 레지날드 호레이스 블라이스와 앨런 와트가 1950년부터 1975년 사이에 출판한 선에 관한 다양한 책들은 잭 케루아크, 앨런 긴즈버그, 게리 스나이더와 같은 박자 시인들의 관심이 그랬던 것처럼 서구의 선에 대한 관심이 이처럼 증가하는 데 기여했다.[48][49]
선 연습의 가장 성공적인 실행은 스즈키 슌류, 야스타니 하쿠운, 야스타니의 제자 타이잔 마에즈미가 가져왔다.
스즈키 슌류
Shunryu Suzuki (鈴木 俊隆 Suzuki Shunryū, dharma name Shōgaku Shunryū 祥岳俊隆, often called Suzuki Roshi) (born May 18, 1904, Kanagawa Prefecture of Japan; died December 4, 1971 in San Francisco, CA, USA) was a Sōtō Zen monk and teacher who helped popularize Zen Buddhism in the United States, and is renowned for founding the first Buddhist monastery outside Asia (Tassajara Zen Mountain Center). 스즈키는 샌프란시스코 젠 센터를 설립했는데, 이 센터는 자회사의 사원들과 함께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선 기관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가르침인 '선 마인드, 초심 마인드'는 서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선과 불교에 관한 책 중 하나이다.[web 8][web 9][web 10]
스즈키 슌류(1904년—[50]1971) | |
젠타츠 리차드 베이커 (1936년 출생) 시호 1971 | 스즈키 호이쓰(1939년 출생) |
|
|
하쿠운야스타니
하쿠운 야스타니(安安,, 야스타니 하쿠운, 1885년–1973년)는 산보 교단 선불 조직의 창시자인 소토 로시(小藤正)이다. 산브이 교단은 소토 전통의 많은 것뿐만 아니라 린자이 코안 학문과 통합되어 있는데, 야스타니가 스승 하라다 다이운 소가쿠로부터 배운 스타일이다. 야수타니는 산보 교단의 창시자, 타이잔 마에즈미의 스승으로서 선(先) 관행을 서부로 끌어들이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산보교단의 회원 수는 적지만 1988년 등록 팔로워 3790명, 강사 24명 등 '산보교단'은 서양의 선(先)에게 과도한 영향을 끼쳤다.[51][51] 그의 서양 제자들은 타이잔 마에즈미를 통해 퍼져 나갔다.
소토 혈통 | 린자이 혈통 | |||||||
하라다소도카쿠쇼(1844~1931)[web 11] | 도쿠탄 소산(가명). 도쿠탄 도요타)(1840~1917)[web 11] | 린자이 혈통 | ||||||
하라다다이운소가쿠(1871~1961)[web 11] | 소토 혈통 | 조코로시 [웹 12][주 1] | ||||||
하쿠운야스타니[웹 11] | 하쿠운야스타니[웹 11] | 바이안 하쿠준 쿠로다 | 오사카 고류(1901~1985) | |||||
브리짓 코운안 도루 치코 다이시 도르트치 (1921–1990)[web 11] | 아키라 지운켄쿠보타(1932년 출생) | 묘도니사토미(1896~1978) | 필립 카플라우(1912–2004) | 야마다 코운(1907–1989) | 타이잔 마에즈미(1931~1995) | |||
윌리기스 예거(1925~2020) |
|
|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서면 참조
- ^ 맥레이 2003, 페이지 4-5.
- ^ a b 맥레이 2003, 페이지 5
- ^ 두물린 1993, 페이지 37.
- ^ 콜 2009, 페이지 73–114.
- ^ Yampolski 2003, 페이지 5-6.
- ^ a b c 맥레이 2003, 페이지 4.
- ^ 스즈키 1949 페이지 168.
- ^ 2003년 요리, 페이지.
- ^ 슈마허 & 워너 1991, 페이지 266.
- ^ 맥레이 2003, 페이지 33-36.
- ^ 맥레이 2003, 페이지 48.
- ^ a b c d e 맥레이 2003, p. .
- ^ Yampolski 2003, 페이지 9.
- ^ 맥레이 2003, 페이지 63.
- ^ 맥레이 2003, 페이지 68.
- ^ 존 M. 톰슨, 휴이넨 (Hui-eng) (638년–713년),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
- ^ 포체스키 2007, 페이지.
- ^ 포체스키 2007, 페이지 97–98.
- ^ 맥레이 2003, 페이지 82.
- ^ 슈마허 & 워너 1991, 페이지 141.
- ^ 맥레이 2003, 페이지 18-21.
- ^ Yampolski 2003, 페이지 11.
- ^ 클리어리 2005, 페이지.
- ^ Yampolski 2003, 페이지.
- ^ 존스 2010, 페이지.
- ^ a b 퍼거슨 2011, 페이지 126–127.
- ^ 쾰 1997, 페이지 207.
- ^ 맥레이 2003, 페이지 13.
- ^ 두물린 2005, 페이지 169.
- ^ 2006년, 페이지 90.
- ^ a b 슐뤼터 2008, 페이지.
- ^ a b 퍼거슨 2009년 223페이지.
- ^ a b 퍼거슨 2009, 페이지 27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클리어리 1990, 페이지.
- ^ a b 퍼거슨 2009년 313페이지.
- ^ a b 퍼거슨 2009, 페이지 335.
- ^ a b 퍼거슨 2009, 페이지 359.
- ^ 2008년 슐뤼터 80페이지
- ^ a b 퍼거슨 2009, 페이지 386.
- ^ a b c d e 보디포드 1991, 페이지 428.
- ^ 슐뤼터 2008, 페이지 79.
- ^ a b 퍼거슨 2011, 페이지 454.
- ^ 2008년, 270-271페이지.
- ^ 보디포드 1991, 페이지 426.
- ^ 보디포드 1991, 페이지 426-427.
- ^ 보디포드 1991, 페이지 427.
- ^ 맥마한 2008년, 페이지.
- ^ 아이켄 1994, 페이지.
- ^ 필즈 1992, 페이지.
- ^ "Shunryū Suzuki lineage chart". Sweeping Z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8, 2012.
- ^ a b 샤프 1993, 페이지.
- ^ 모로 2008년 2월.
웹 참조
- ^ 禪宗第七祖之爭的文獻研究
- ^ "禅宗研究一百年" [One hundred years of Zen studies].
- ^ a b c d e f g h i Welter, Albert, The Formation of the Linji lu: An Examination of the Guangdeng lu/Sijia yulu and Linji Huizhao Chanshi yulu. Versions of the Linji lu in Historical Context (PDF)
- ^ a b c Young, Stuart (March 2009). "Review of Welter, Albert,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Sayings Literature". H-Buddhism, H-Net Reviews.
- ^ 코린지 – 리니지
- ^ 일본의 오토칸 린자이 계통의 기원
- ^ 린자이(린치) 사사키 로시 조슈의 리니지
- ^ 젠 마인드, 초심자 마인드
- ^ 슌류 스즈키 선 마인드, 초심성
- ^ 샌프란시스코 젠 센터에서 초심자, 젠 마인드
- ^ a b c d e f "Sanbo Kyodan: Harada-Yasutani School of Zen Buddhism and its Teach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4, 2015.
- ^ a b "Sweeping Zen Interview with Bernie Glassmann". Zen Peacemakers International. May 1, 2012.
- ^ Barthashius, Jason. "Maria-Kannon: A Focal Point for Buddhist Christian Interactions". Maria Kannon Zen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8, 2008.
원천
- Aitken, Robert (1994), Foreword to "A Buddhist Bible", Boston, Massachusetts: Beacon Press
- Bodiford, William M. (Winter 1991). "Dharma Transmission in Soto Zen: Manzan Dohaku's Reform Movement". Monumenta Nipponica. Sophia University. 46 (4): 423–451. doi:10.2307/2385187. ISSN 0027-0741. JSTOR 2385187.
- Bodiford, William M. (2008), Dharma Transmission in Theory and Practice. In: Zen Ritual: Studies of Zen Buddhist Theory in Practice (PDF), Oxford University Press
- Chang, Chung-Yuan (1967), "Ch'an Buddhism: Logical and Illogical", Philosophy East and West, Philosophy East and West, Vol. 17, No. 1/4, 17 (1/4): 37–49, doi:10.2307/1397043, JSTOR 1397043
- Cleary, Thomas (1990), Transmission of Light, Zen in the Art of Enlightenment by Zen Master Keizan. Translated and introduction by Thomas Cleary, San Francisco: North Point Press, ISBN 0-86547-433-8
- Cleary, Thomas (2005), Classics of Buddhism and Zen: Volume One, Boston, MA: Shambhala publications, ISBN 1-57062-831-9
- Cole, Alan (2009), Fathering Your Father: The Zen of Fabrication in Tang Buddhism, Berkeley,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5485-5
- Cook, Francis Dojun (2003), Transmitting the Light: Zen Master's Keizan's Denkoroku, Boston: Wisdom Publications
- Dumoulin, Heinrich (1993), "Early Chinese Zen Reexamined: A Supplement to Zen Buddhism: A History" (PDF),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20 (1): 31–53, doi:10.18874/jjrs.20.1.1993.31-53, ISSN 0304-10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4, 2009
-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 Ferguson, Andy (2011) [13th century], Zen's Chinese Heritage. The Masters and their Teachings [Wudeng Huiyuan (Compendium of Five Lamps)], Wisdom publications
- Ferguson (2009),
{{citation}}
: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전체 인용 필요] - Fields, Rick (1992), How the Swans Came to the Lake. A Narrative History of Buddhism in America, Boston & London: Shambhala
- Jones, Charles B. (2010), "Review of Monks, Rulers and Literati: The Political Ascendancy of Chan Buddhism" (PDF), Journal of Buddhist Ethics
- Koole (1997),
{{citation}}
: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전체 인용 필요] - McMahan (2008),
{{citation}}
: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전체 인용 필요] - McRae, John (2003), Seeing Through Zen. Encounter, Transformation, and Genealogy in Chinese Chan Buddhism,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ISBN 978-0-520-23798-8
- Morrow, Avery (2008), Theravada Buddhism in Japan (PDF)
- Poceski, Mario (2007), Ordinary Mind as the Way: the Hongzhou School and the Growth of Cha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1996-5
- Schlütter, Morten (2008), How Zen became Zen. The Dispute over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m in Song-Dynasty Chin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08-8
- Schuhmacher, Stephen; Woerner, Gert, eds. (1991), The Shambala Dictionary of Buddhism and Zen, translated by Michael H. Kohn, Boston: Shambala, ISBN 978-0-877-73520-5
- Sharf, Robert H. (August 1993), "The Zen of Japanese Nationalism", History of Religions, 33 (1): 1–43, doi:10.1086/463354, S2CID 161535877
- Suzuki, D.T. (1949), Essays in Zen Buddhism, New York: Grove Press, ISBN 0-8021-5118-3
- Yampolski, Philip (2003), Chan. A Historical Sketch. In: Buddhist Spirituality. Later China, Korea, Japan and the Modern World; edited by Takeuchi Yoshinori, Delhi: Motilal Banarsidass
- Welter, Albert (2006), Monks, Rulers, and Literati. The Political Ascendancy of Chan Buddhism, Wisdom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