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슨 굿맨

Nelson Goodman
넬슨 굿맨
Nelson Goodman.jpg
태어난
헨리 넬슨 굿맨

1906년 8월 7일
죽은1998년 11월 25일(1998년 11월 25일)
교육하버드 대학교 (박사, 1941년)
시대20세기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교분석
명목주의[1]
논문품질에 관한 연구(1941년)
박사 어드바이저C. I. 루이스
박사과정 학생이스라엘 셰플러
기타 주목할 만한 학생노암 촘스키, 시드니 모겐베서, 스티븐 스티치, 힐러리 퍼트남
주요 관심사
논리학, 귀납학, 반사실론, 단순론, 미학, 과학철학, 언어철학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 개인의 [1]굿맨-레오나드 미적분, 반사실적 조건부, 굿맨의 방법, 예술 언어, 현실주의

헨리 넬슨 굿맨(Henry Nelson Goodman, 1906년 8월 7일 ~ 1998년 11월 25일)은 미국의 철학자반사실주의, 단순학, 귀납, 비현실주의, 미학관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

인생과 경력

굿맨은 매사추세츠주 소머빌에서 사라 엘리자베스(성전 우드베리)와 헨리 루이스 굿맨의 [3]아들로 태어났다.그는 유태인 [4]출신이었다.그는 하버드 대학교 A.B.를 수석으로 졸업했다.1930년대에 그는 하버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면서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미술관을 운영했고 1941년에 [5]완성했다.미술상으로서의 그의 경험은 그가 논리학이나 분석 철학보다 더 잘 알려지게 된 후에 미학에 대한 그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제2차 세계대전 동안 그[6]미군에서 심리학자로 복무했다.

그는 1946-1964년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가르쳤으며, 그곳에서 그의 학생으로는 노암 촘스키, 시드니 모겐베서, 스티븐 스티치, 힐러리 퍼트남있었다.그는 1962년부터 1963년까지 하버드 인지 연구 센터의 연구원이었고, 1968년에 하버드 철학과 교수로 임명되기 전까지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여러 대학의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1967년에는 하버드 교육대학원에서 예술인식과 예술교육에 관한 기초연구 프로젝트인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Harvard Project Zero)의 창립 이사였다.그는 4년간 이사로 재직했고 그 [7]후 수년간 비공식 고문으로 일했다.

굿맨은 메사추세츠 니덤에서 죽었다.

철학적인 일

인덕션과 "grue"

Goodman은의 책 Fact, Fiction, and Forecast에서 고전적인 유도 문제와 유추하여 "유도의 새로운 수수께끼"를 소개했다.그는 귀납적 추론(즉, 미래의 사건에 대한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추론)이 단지 우리의 일상적 존재가 우리에게 익숙해진 인간의 습관과 규칙성에 기초하고 있다는 흄의 관찰을 받아들였다.그러나 Goodman은 일부 규칙들이 습관을 확립한다는 사실을 간과했다고 주장했다(다른 구리 조각이 전기를 전도한다고 주장하는 진술의 신뢰도를 높인다). 반면 일부 규칙들은 그렇지 않다(방에 있는 주어진 남자가 3남이라는 사실이 그 신뢰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이 방에 있는 다른 남자들이 3남이라고 주장하는 진술).

헴펠확증 이론은 어떤 종류의 모든 것에 적용되는 가설과 한 가지에만 적용되는 증거 진술을 구별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Goodman의 유명한 반론은 술어 grue를 도입하는 것이었다. 술어 grue는 특정 시간 t 이전에 조사된 모든 것에 적용되며, 만약 그것들이 녹색일 경우 파란색이고 t 시간 전에 조사되지 않을 경우 다른 것에도 적용된다.시간 t 이전에 에메랄드를 조사하여 에메랄드 a가 녹색, 에메랄드 b가 녹색 등인 것을 알게 되면 모든 에메랄드가 녹색이라는 가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에메랄드 a, b, c, ... 등은 모든 에메랄드가 그레이라는 가설을 확인시켜 준다.따라서 시간 t 이전에 "모든 에메랄드는 녹색이다"와 "모든 에메랄드는 회색이다"라는 명백한 법률적 진술은 관찰에 의해 동일하게 확인되었지만, "모든 에메랄드는 회색이다"는 명백한 법률적 진술은 아니다.

Goodman의 사례는 무엇이 법률과 유사한 진술인지 결정하는 것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우리는 다시 한번 "무엇이든 무엇이든 확인할 수 있다"는 초기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명목주의와 단순론

Goodman은 Stanislaw Lesniewski와 함께 철학, 논리, 수학집합론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는 현대적 변종의 명목주의의 창시자이다.굿맨의 명목주의는 순전히 존재론적 고려에 의해 추진되었다.W. V. O. Quine과 공동 집필한 길고 어려운 1947년 논문 이후 Goodman은 집합론을 사용하지 않고 수학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찾는 데 더 이상 애쓰지 않았다. - 1913년 당시 수학유일기초로서 신용을 잃었다.

논리적인 공리에서 그것을 재구성하려는 데이비드 힐베르트의 프로그램은 1936년 괴델에 의해 헛된 것으로 증명되었다.이것과 겉으로 보기에 알찬 연구의 다른 실패들 때문에, Quine은 곧 그러한 재건이 불가능하다고 믿게 되었지만, Goodman의 펜 동료인 Richard Milton Martin은 앞으로 나아갈 방법을 제시하는 많은 논문을 쓰면서 그와는 다르게 주장했다.

토마스 티모츠코의 수학 철학의 New directions후문에 따르면, Quine은 "우리는 수학과 과학을 구별하는 특별한 장치를 버리고 단지 결과적인 동화를 받아들일 것을 촉구했고, "우리가 받아들이는 이론들 (문장의 네트워크)에 중요한 부담을 지우고, 사인if가 있는 개별 문장에 가하지 않았다.icance는 이론적인 맥락에 따라 극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그렇게 함으로써, 수학의 철학과 과학의 철학준경험주의로 통합되었다고 티모츠코는 주장했다: 과학적 방법의 효과적인 부분으로서의 수학 실천의 강조, 결과보다 방법에 대한 강조.

개인의 굿맨-레오나드(1940) 미적분은 미국식 단순학의 출발점이다.Goodman과 Leonard의 해설은 약간의 순진한 집합론을 불러일으켰지만,[8] Goodman의 1951년 The Structure of Afterance, 그의 박사 논문의 수정과 연장은 세트의 개념을 언급하지 않았다.Simons(1987년)와 Casati and Varzi(1999)는 개인의 미적분은 약간의 집합론 또는 체계적으로 사용되는 단일한 술어 중 하나에 근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따라서 단순학은 "논리적으로 중립적"이며 Quine의 실용주의 일부를 유지한다.

참고 문헌 선택

  • "개인의 미적분과 그 용도" (헨리 S.와 함께)기호논리 저널 5(1940): 45~55.
  • 자질 연구(박사 논문).디스 하버드, 1941년1990년 갈랜드(뉴욕)가 철학 시리즈 하버드 논문의 일부로 전재.
  • "확인에 관한 질문", 철학저널(1946): 제4권, 제14호, 페이지 383–385.
  • W. V. O. Quine, 기호논리학 저널, 12(1947): 105~122, 넬슨 굿맨, 문제와 프로젝트 전재(밥스-메릴, 1972년) : 173~198.
  • 외관의 구조하버드 대학, 1951년, 2학년.인디애나폴리스:밥스-메릴, 1966년 3월호보스턴:레이델, 1977년
  • 팩트, 픽션 및 예측.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 1955년.제2판인디애나폴리스:밥스-메릴, 1965년 3차 에디션인디애나폴리스:밥스-메릴, 1973년제4판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UP, 1983년.
  • 예술 언어: 기호 이론대한 접근.인디애나폴리스:밥스-메릴, 1968년 2월호인디애나폴리스:해킷, 1976년1960-61년로크 강의에 기초하고 있다.
  • 문제와 프로젝트인디애나폴리스:밥스-메릴, 1972년.
  • 예술의 이해와 창조에 필요한 기본 능력: 최종 보고서(David Perkins, Howard Gardner, Jeanne Bamberger 등 지원)케임브리지: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프로젝트 번호 9-0283, 부여 번호 OEG-0-9-310283-3721(010), 1972.
  • 세상을 만드는 방법인디애나폴리스:해킷, 1978년 ISBN0915144522 페이퍼백 ISBN0915144514
  • 마음과 다른 것들에 대해서요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UP, 1984년.
  • 철학기타 예술 및 과학에 대한 재인식(캐서린 엘긴과 함께).인디애나폴리스:해킷; 런던: 루트리지, 1988년.Paperback Edition, 런던: Routledge, Indianapolis:해킷, 1990년

출처: 완전한 국제 서지[9] 목록 작성.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 b 넬슨 굿맨: 다른 버전의 개인의 미적분 -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2. ^ 2016년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의 '클래런스 어빙 루이스' 헌터, 브루스.
  3. ^ John K. Roth, Christina J. Moose, Rowena Wildin (에드), 세계 철학자와 그들의 작품: 프로이트, Sigmund Oakeshott, Michael, Salem Press, 2000, 페이지 735.
  4. ^ Daniel Cohnitz & Marcus Rossberg, Nelson Goodman, Routledge (2014), 페이지 6
  5. ^ "Goodman Dies". Harvard University Gazet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13. Retrieved 18 January 2014.
  6. ^ Gardner, Howard (2000). "Project Zero: Nelson Goodman's Legacy in Arts Education".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58 (3): 245–249. doi:10.2307/432107. ISSN 0021-8529. JSTOR 432107.
  7. ^ H. 가드너와 퍼킨스 D. "The Mark of Zero: Project Zero's Identity Revened." HGSE 동창회 회보, 1994년 12월, 39(1), 2-6.
  8. ^ Cohnitz and Rossberg (2003), ch. 5
  9. ^ "An International Bibliography of Works by and Selected Works about Nelson Goodman". homepages.inf.ed.ac.uk. Retrieved 2019-09-17.

레퍼런스

  • Casati, R. 및 Varzi, A., 1999.부품과 장소: 공간 표현 구조.MIT 프레스
  • 코니츠, 대니얼, 로스버그, 마커스, 2003년넬슨 굿맨입니다체샴:Acumen & Montreal:맥길 퀸 대학 출판부입니다
  • H. 가드너와 퍼킨스 D. "The Mark of Zero: Project Zero's Identity Revened." HGSE 동창회 회보, 1994년 12월 39(1), 2-6.
  • 쇼텐커크, 데나, 2009년명목주의와 그 여파: 넬슨 굿맨의 철학.신시사이 도서관, 제343권 스프링어, ISBN 978-1-4020-9930-4.
  • 시몬스, 피터, 1987년부품: 온톨로지에서의 연구.옥스퍼드 대학교누르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