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전쟁
New Zealand Wars뉴질랜드 전쟁 응가파칸가오 아오테아로아 | |||||||||
---|---|---|---|---|---|---|---|---|---|
![]() 뉴질랜드 전쟁에서 사망한 모든 사람들을 위한 오클랜드 전쟁 기념 박물관의 기념관. "Kia matetoa"는 "죽을 때까지 싸운다" 또는 "죽을 때 강해진다"로 번역되며 뉴질랜드 육군의 오타고와 사우스랜드 연대의 모토입니다. 국기는 유니언 잭(Union Jack)과 게이트 파(Gate Pā)의 마오리(Maori) 수비대의 깃발입니다. | |||||||||
| |||||||||
Belligerents | |||||||||
마오리 iwi | |||||||||
힘 | |||||||||
18,000(최대 구축) | 5,000(최대 구축) | ||||||||
인명 및 손실 | |||||||||
745명 사망(민간인 포함) | 2,154명 사망(민간인 포함)[1] |
뉴질랜드 전쟁은 1845년부터 1872년까지 뉴질랜드 식민지 정부와 동맹국인 마오리족, 그리고 다른 한쪽에서는 마오리족과 동맹국인 정착민들 사이에서 일어났습니다. 이 전쟁들은 이전에는 보통 토지 전쟁 또는 마오리 전쟁으로 불렸고,[2] 마오리족의 언어 이름에는 Nga pakangaoo Aotaroa (뉴질랜드 전쟁)와 Teriri Pakkeha (백인의 분노)[2]가 포함되었습니다. 역사학자 제임스 벨리치([3]James Belich)는 1980년대에 "뉴질랜드 워즈(New Zealand Wars)"라는 이름을 대중화했지만 빈센트 오말리(Vincent O'Malley)에 따르면 이 용어는 1920년대에 역사학자 제임스 코완(James Cowan)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4]
전쟁은 처음에는 분쟁 중인 토지 매입에 대한 긴장으로 촉발된 국지적 분쟁이었지만, 정부가 더 이상의 토지 매각에 대한 연합된 마오리 저항과 크라운 주권 인정 거부에 직면하고 있다고 확신함에 따라 1860년부터 극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식민지 정부는 수천 명의 영국군을 소집하여 ī 응기탕가(마오리 왕) 운동을 제압하고 영국 정착민들을 위한 농업 및 거주지 정복을 위한 주요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이후 캠페인은 파이마리 종교의 극단주의적 부분인 이른바 하우하우 운동을 진압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이 운동은 마오리 땅 정복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마오리 정체성 강화에 열을 올렸습니다.[7]
1860년대 적대가 절정에 달했을 때, 포병, 기병 및 지역 민병대의 지원을 받은 18,000명의 영국 육군은 약 4,000명의 마오리족 전사들과[8] 싸웠고, 이는 인력과 무기의 엄청난 불균형이 되었습니다.[9] 마오리족은 수적으로는 열세였지만, 대포병 벙커와 신중하게 배치된 파, 즉 요새화된 마을의 사용을 포함한 기술로 적을 견딜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적의 진격을 막고 종종 큰 손실을 입었지만, 큰 손실 없이 빠르게 진지를 포기할 수 있었습니다. 게릴라식 전술은 나중의 캠페인에서 양측에 의해 사용되었고, 종종 빽빽한 덤불 속에서 싸웠습니다. 타라나키 전투와 와이카토 전투가 진행되는 동안 약 1,800명의 마오리족과 800명의 유럽인의 목숨을 잃었고,[5] 모든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총 마오리족의 손실은 2,100명을 넘어섰을 것입니다.
1843년 6월 남섬의 와이라우 계곡에서 토지 소유권을 둘러싼 폭력이 처음 발생했지만, 타라나키의 긴장 고조는 결국 1860년 3월 와이타라에서 영국군의 개입으로 이어졌습니다. 정부와 ī 은기탕가 마오리 사이의 전쟁은 북섬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가장 큰 단일 작전은 1863-1864년 와이카토 침공이었고, 적대 행위는 타라나키의 리화 ī 토코와루(1868-1869)와 랑가티라(대장)의 추격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동해안의 테 쿠티 아리키랑이 테 투루키 (1868–1872).
비록 마오리는 처음에 영국군에 의해 싸웠지만, 뉴질랜드 정부는 지역 민병대, 소총 자원봉사단, 전문가인 포레스트 레인저스와 쿠파파(친정부 마오리)를 포함한 자체적인 군사력을 개발했습니다. 전쟁에 대한 호주의 광범위한 참여의 일환으로 빅토리아 식민지는 해군 병력을 배치했고, 적어도 2,500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태즈먼 해를 건너 뉴질랜드 민병대와 통합하는 파견대를 구성했습니다.[10][11] 정부는 또한 전쟁 비용을 충당하는 데 사용되는 자금으로 정착민들에게 판매하기 위해 마오리 반대자들을 투옥하고 북섬의 넓은 지역을 몰수하는 법안으로 대응했습니다.[12][13] 동서 해안의 징벌적 조치는 마오리 저항과 침략의 강화를 유발했습니다.
배경
1840년 영어 버전의 와이탕기 조약은 마오리이위 부족들이 영국인이 되는 대가로 그들의 땅, 숲, 수산업 및 기타 타옹가(보물)를 방해받지 않고 소유해야 한다고 보장했습니다. 토지를 정부에만 매각하고(선취권), 영유권을 영국에 넘겨주는 것. 그러나 마오리어로 된 조약에서 주권이라는 단어는 "통치"를 의미하는 신조어인 kawanatanga로 번역되었습니다.[14] 이로 인해 조약의 의미에 대해 상당한 의견 차이가 발생했습니다.[15] 일부 마오리족은 평화를 강화하기 위해 서명하기를 원했고, 테우레웨라의 투호에와 같은 티노랑가티라탕가를 유지하기를 원했습니다.
조약 이전의 모든 식민지 토지 매매 거래는 두 당사자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졌습니다. 접촉 초기에 마오리는 일반적으로 유럽인들과 무역을 추구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는 선교소를 세웠고, 선교사들은 iwi로부터 집, 학교, 교회, 농장을 위한 땅을 받았습니다.
무역업자, 시드니 사업가, 뉴질랜드 회사는 1840년 이전에 많은 땅을 구입했습니다.[16] 와이탕기 조약에는 토지 매매에 대한 크라운 선취권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민자 유럽 정착민들의 압력을 받은 뉴질랜드 식민 정부는 농지 제공을 위해 토지 매매에 속도를 내려고 했습니다. 이것은 1850년대에 등장한 ī 응기탕가(마오리 왕) 운동의 저항에 부딪혔고 더 이상의 유럽 침략에 반대했습니다.
1859년 토머스 고어 브라운 주지사가 와이타라의 분쟁 지역을 도발적으로 매입하면서 정부는 크나큰기탕가 운동과 충돌의 길로 접어들었고, 정부는 크나큰기탕가 대응을 [17]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했습니다. 고어 브라운 주지사는 이 인식된 도전을 진압하기 위해 호주 식민지에서 3500명의 제국군을 데려오는 데 성공했고, 4년 안에 총 9,000명의 영국군이 4명 이상의 도움을 받아 뉴질랜드에 도착했습니다.정부가 "반란" 마오리족에 대한 결정적인 승리를 추구하면서, 식민지와 쿠파파파(친정부 마오리족)의 전사들이 수천 명에 달했습니다.
1865년부터 "반군" 마오리에게 생계 수단을 빼앗긴 징벌적 토지 몰수 정책이 사용되면서 마오리의 분노와 분노는 더욱 증폭되었고, 타라나키(1863–1866)와 동해안(1865–1866)에서 분쟁의 불길을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갈등들
뉴질랜드 전쟁의 다양한 갈등은 상당한 기간에 걸쳐 있으며, 그 원인과 결과는 천차만별입니다. 1840년대 초기 분쟁은 마오리족이 여전히 지배적인 세력이었던 시기에 발생했지만 1860년대에는 정착민 수와 자원이 훨씬 더 많았습니다. 1862년부터 영국군은 훨씬 더 많은 숫자로 도착하기 시작했고, 1864년 3월에는 총 병력 수가 약 14,000명(제국군 9,000명, 식민지군 4,000명 이상, 쿠파파군 수백명)으로 정점을 찍었습니다.[18]
와이라우 어프레이
1843년 6월 17일 남섬 북쪽의 와이라우 계곡에서 마오리족과 유럽인 정착민 사이에 최초의 무력 충돌이 일어났습니다. 이 충돌은 뉴질랜드 회사의 대표가 이끄는 정착민들이 땅 한 구획에 대한 허위 소유권 증서를 가지고 조사 준비가 된 땅에서 마오리를 제거하려고 시도하면서 촉발되었습니다. 당은 또한 은가티 토아 추장 테 라우파라하와 테 랑기해아타를 체포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전투가 벌어져 22명의 유럽인과 4~6명의 마오리족이 사망했습니다. 유럽인들 중 9명이 붙잡힌 후 살해당했습니다. 1844년 초, 새로운 주지사 로버트 피츠로이는 그 사건을 조사했고 정착민들에게 잘못이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초기 문헌에서 와이로 대학살로 묘사된 와이로 어프레이는 남섬에서 일어난 뉴질랜드 전쟁 중 유일한 무력 충돌이었습니다.[19][20]
북부 전쟁


기수 전쟁은 1845년 3월에서 1846년 1월 사이에 뉴질랜드의 가장 북쪽, 아일랜드 만 주변에서 발생했으며 영국과 마오리족 사이의 첫 번째 주요 분쟁이었습니다.[21] 1845년 조지 그레이는 주지사로 임명되기 위해 뉴질랜드에 도착했습니다. 이때 호네 헤케는 코로라레카에 있는 플래그스태프 힐의 기수를 자르는 것으로 시작하여 영국의 권위에 도전했습니다. 국기 직원들은 이전에 뉴질랜드 연합 부족의 국기를 휘날렸지만 지금은 연합 잭을 달고 있으므로 와탕기 조약 체결 이후의 변화에 대한 헤케와 그의 동맹국 테루키 카위티의 불만을 상징했습니다.
기병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었고 헤케는 위탕이 조약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교회 선교회(CMS)에 의한 토지 취득이 논란이 된 반면, 헤케가 주도한 반란은 CMS 선교사들이 헤케를 설득하여 싸움을 끝내려고 노력하면서 식민지 세력에 대한 것이었습니다.[22][23] 타마티 와카 네네와 응푸히 대부분이 정부 편에 섰음에도 불구하고 작고 서투른 영국군은 오해와이 전투에서 패배했습니다. 재정적인 지원과 피츠로이에게 거부당한 32발 대포로 무장한 훨씬 더 많은 군대가 있는 그레이는 루아페카페카에 있는 카위티의 요새를 공격하고 점령하여 카위티는 후퇴해야 했습니다. 헤케는 타마티 와카 네네와 그의 전사들과의 전투에서 부상을 입은 후, 식민지 군대를 지원했던 일부 파케하 마오리를 포함하여 영국이 소집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감이 떨어졌습니다.[24]
루아페카페카 전투 이후 헤케와 카위티는 평화를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25] 그들은 타마티 와카 네네에게 접근하여 그레이 총독과 협상하기 위해 중재자 역할을 맡았고, 그는 헤케와 카위티를 반란으로 처벌해서는 안 된다는 네네의 조언을 받아들였습니다. 북부에서의 전투는 끝났고 응푸히 땅에 대한 징벌적 몰수는 없었습니다.[26]
허트밸리와 왕가누이 캠페인
1846년의 허트 밸리 캠페인은 와이로 어프레이의 속편으로 나왔습니다. 원인은 뉴질랜드 회사의 의심스러운 토지 매입과 소유권에 대한 분쟁이 해결되기 전에 육지로 이주하려는 정착민들의 열망이 비슷했으며 두 분쟁은 같은 주인공을 많이 공유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충돌은 1846년 5월 16일 불콧 농장의 황실 울타리를 습격한 마오리족의 새벽 공격과 [27]8월 6일부터 13일까지 영국군으로 추정되는 마오리족 2명이 사망한 전투였습니다. 지역 민병대와 쿠파파는 테 랑기하아타(Te Rangihaata) 족장이 이끄는 응가티 토아(Ngāti Toa) 군대를 추격하여 가파르고 빽빽한 덤불 지대를 통과했습니다. Ngāti Toa 추장 Te Rauparaaha도 캠페인 기간 동안 구금되었습니다. 그는 오클랜드에서 2년 동안 무혐의로 구금되었습니다.[28]
유혈 사태로 인해 인근 왕가누이에서는 정착민들의 공포감이 높아졌는데, 왕가누이는 공격으로부터 경계할 수 있는 강력한 군사력을 받았습니다. 1847년 4월, 미성년자인 왕가누이 마오리 족장의 실수로 인해 정착민 가족에 대한 피비린내 나는 복수 공격이 일어났고, 가해자들이 붙잡혀 교수형을 당하자 보복 차원에서 마을에 대한 대대적인 급습이 시작되었습니다. 마오리는 1847년 7월 정면 공격을 감행하기 전에 마을을 포위했습니다. 1848년 초에 평화 정착이 이루어졌습니다.[29]
제1차 타라나키 전쟁
제1차 타라나키 전쟁의 촉매제는 테아티 아와 부족의 가장 중요한 족장인 와이어무 ī응기의 거부권과 지역 마오리의 판매 금지에 대한 "엄청난 계약"에도 불구하고 와이타라에 있는 240 헥타르의 땅을 왕궁에 매각한 분쟁이었습니다. 브라운 총독은 상황을 충분히 알고 이 땅을 차지하려 했고, 이는 무력 충돌로 이어져 영국이 와이탕기 조약에서 얻은 실질적인 주권을 과시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적대행위는 1860년 3월 17일에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은 호주에서 들여온 3,500명이 넘는 제국군과 의용병, 민병대가 수백에서 약 1,500명 사이를 오가는 마오리군을 상대로 벌인 전투였습니다.[17] 브라운 주지사의 증원 요청에 따라 빅토리아주 정부는 자국 최초이자 유일한 군함인 HMVS 빅토리아호를 파견해 인력을 공급하고 해안 폭격과 해안 순찰을 수행하는 한편 항구 간 공급로를 유지했습니다. 선원들은 해안가에서 전투를 벌였고, 1860년 8월 빅토리아호는 포위된 뉴플리머스 마을에서 민간인 100명을 구출했습니다. 제1차 타라나키 전쟁에서 이 배의 복무는 호주 군 부대가 해외에서 활동하는 것을 처음으로 기념하는 것이며, 오늘날 호주 왕립 해군에 의해 최초의 전투 영예로 인정받고 있습니다.[30]
일련의 전투와 행동 끝에 전쟁은 휴전으로 끝났고, 양측 모두 상대방의 평화 조건을 명시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제국군, 의용군, 민병대의 총 손실은 238명으로 추정되며, 마오리족의 사상자는 총 200명 정도로 추정됩니다. 전쟁에서 이겼다는 영국인들의 주장도 있었지만, 당시에는 불리하고 굴욕적인 결과를 겪었다는 견해가 널리 퍼졌습니다. 역사학자들도 그 결과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습니다.[31] 역사학자 제임스 벨리치는 마오리가 자신들에게 주권을 행사하려는 영국의 시도를 좌절시키는 데 성공했고, 따라서 승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벨리치는 또한 마오리족의 승리는 공허한 승리였으며, 이는 와이카토족의 침략으로 이어졌다고 말합니다.
와이카토 침공

브라운은 제1차 타라나키 전쟁이 끝날 무렵 ī 응기탕가 요새를 파괴하기 위한 와이카토 작전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준비는 1861년 12월 조지 그레이 경으로 대체되면서 중단되었지만, 그레이는 1863년 6월 침공 계획을 부활시켰습니다. 그는 런던의 식민지 사무소를 설득하여 1만 명 이상의 제국군을 뉴질랜드로 파견했고, 던컨 카메론 장군이 이 캠페인을 이끌도록 임명되었습니다. 캐머런은 1863년 7월 9일 군인들을 동원해 ī 응기탕가 영토의 경계까지 18km 길이의 그레이트 사우스 로드를 건설했고, 1863년 7월 9일 그레이는 오클랜드와 와이카토 사이에 사는 모든 마오리족에게 빅토리아 여왕에게 충성 맹세를 하거나 와이카토 강 남쪽으로 추방하라고 명령했다. ī 은기탕가 영토로 변방하여 전진기지를 건설했습니다. 그의 보급로에 대한 일련의 부시 습격으로 카메론은 그 지역을 통해 광범위한 요새와 재도약망을 구축해야 했습니다. 캐머런은 계속적인 병력 증강으로 결국 14,000명의 영국군과 식민지 군인들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었는데, 그 중에는 제1, 2, 3, 4 와이카토 민병대 연대로 통합된 호주의 지원병 2,500명과 와이카토 강에서 사용할 증기선과 기갑선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약 4,000명의 마오리족 부대와 싸웠습니다.[32]
캐머런과 그의 크링기탕가 적들은 랑기리 전투와 오라카우에서의 3일간의 포위전을 포함한 여러 주요 전투를 벌였고, 1863년 12월 크링기탕가의 수도인 응우라와히아를 점령하고 1864년 4월 와이카토 정복을 완료했습니다. 와이카토 캠페인은 700명의 영국과 식민지 군인과 약 1,000명의 마오리족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33]
ī 응기탕가 마오리족은 북섬의 험준한 내부로 후퇴했고, 1865년 뉴질랜드 정부는 백인 정착을 위해 마오리족의 약 12,000km(뉴질랜드 국토 면적의 4%)를 몰수했습니다. 이 조치는 제2차 타라나키 전쟁을 빠르게 촉발시켰습니다.
타우랑가 캠페인
1864년의 6개월간의 타우랑가 캠페인은 처음에 유럽인들의 정착을 위해 마오리족의 보급로를 파괴하고 플렌티 만을 확보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그것은 주로 응아이 테 랑기를 중심으로 한 영국 제국군과 지역 마오리 부족 간의 전략적인 작전과 치열한 전투로 특징지어졌습니다. 선거운동은 초기에 프레드릭 휘태커 총리가 공격적인 접근법을 지지하는 가운데 내부 정치적 분열에 직면했고, 그레이 주지사는 더 광범위한 반란을 막기 위한 방어적 입장을 지지했습니다. 갈등은 지난 4월 라위리 푸히라케가 이끄는 마오리족 수비대가 영국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해 큰 사상자를 내고 영국군에게 굴욕적인 패배로 명성을 떨친 게이트 파 전투로 끝이 났습니다.
이 같은 패배로 그레이 주지사는 토지 몰수를 제한하고 마오리족의 저항을 줄이려는 등 평화협상 노력이 거세지면서 적대행위가 일시적으로 중단됐습니다. 그러나 6월, 호레이트 마타타이가 강화하고 지휘하는 마오리 부대는 테 랑가에서 영국군과 다시 교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결정적인 전투에서 조지 캐리 준장이 이끄는 영국군은 마오리족의 참호를 극복하고 양측 모두 상당한 사상자를 냈습니다. Tauranga 캠페인은 Ngai Te Rangi 전사들의 항복으로 마무리되어 뉴질랜드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마오리와 식민지 정부 간의 후속 협상을 형성했습니다.
제2차 타라나키 전쟁
1863년과 1866년 사이에 타라나키에서 마오리와 뉴질랜드 정부 사이에 적대 행위가 재개되었고, 이는 때때로 제2차 타라나키 전쟁이라고도 불립니다. 와이카토와 타우랑가의 전쟁과 겹친 이 갈등은 1860년 와이타라의 토지 매각에 대한 마오리의 반감과 정부의 문제 해결 지연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습니다. 1863년 말 정부에 의해 시작된 대규모 토지 몰수 정책, 그리고 소위 하우하우 운동의 발흥, 파이 마리레 혼합 종교의 극단주의적인 부분으로, 마오리 땅의 소외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마오리의 정체성을 강화하기를 열망했습니다.[34] 개별 마오리족 지휘관이 없는 상황에서 하우하우 운동은 타라나키 마오리족의 통합 요인이 되었습니다.
1863년 이후의 전쟁 방식은 1860-1861년의 전쟁과 현저하게 다르며, 마오리는 진지를 점령하고 공개 경쟁에 군대에 도전했습니다. 1863년부터 육군은 더 많은 병력과 중포를 동원하여 주민들을 쫓아내고, 전쟁이든 다른 지역이든 마을을 공격하여 마오리 마을과 경작지에 쓰레기를 버리는 "초토"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조직적으로 마오리 땅을 점령했습니다. 역사학자 브라이언 돌턴(Brian Dalton)은 "목표는 더 이상 영토를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적에게 최고의 '처벌'을 가하는 것이었습니다. 필연적으로 많은 잔인함, 방어되지 않은 마을의 많은 불태움, 그리고 충성스러운 마오리족이 종종 고통을 받았던 무차별적인 약탈이 있었습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35] 군대가 전진함에 따라 정부는 확장된 리두브 라인을 구축했으며, 그 뒤에는 정착민들이 집을 짓고 농장을 개발했습니다. 그 효과는 충성심이 강한 마오리족의 땅과 반란을 일으킨 마오리족의 땅을 거의 구분하지 않고 거의 4,000km2(1,500평방미터)의 땅을 조금씩 몰수하는 것이었습니다.[36] 1860년에서 1869년 사이에 타라나키에서 일어난 무력 충돌의 결과는 정부에 대한 반란으로 뒤덮인 마오리족으로부터 타라나키 부족의 땅을 강제로 몰수한 일련의 사건이었습니다.[37]
이스트케이프 전쟁
1865년 4월 동해안의 적대행위는 제2차 타라나키 전쟁과 마찬가지로 마오리족의 징벌적 정부 토지 몰수에 대한 분개와 급진적인 파이 마리르 표현의 포용에서 비롯되었습니다.[34] 이 종교는 1865년 초 타라나키에서 동쪽 해안에 도착했습니다. 1865년 3월 2일 오포티키에서 파이 마리레(또는 하우하우) 추종자들이 칼 볼크너 선교사를 살해한 사건은 폭력의 발생에 대한 정착민들의 두려움을 촉발시켰고, 그 해 말 뉴질랜드 정부는 볼크너의 살인자들을 사냥하고 이 운동의 영향력을 무력화하기 위해 긴 탐험을 시작했습니다. 파이 마리레 추종자들과 보수적인 마오리족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마오리족 사이에 많은 전쟁이 일어났고, 정부는 이 운동을 말살하기 위해 쿠파파파를 무장시켰습니다.[38]
1865년 10월 오포티키 근처의 테 타라타파에 대한 기병대와 포병대의 공격으로 약 35명의 마오리가 사망했고, 1865년 11월 7일간의 왜렌가아히카 포위전이 있었습니다.[39] 1866년 1월, 정부는 볼크너의 살해자들에 대한 마오리족의 지원으로 추정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해 우레웨라 땅의 북부 지역을 몰수했고, 1년 후 네이피어 정착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한 마오리족을 격퇴시킨 후 호크만의 추가 토지를 몰수했습니다.[40]
Tītokowaru’s War

1868년 6월 타라나키에서 전쟁이 다시 발발한 것은 은나라인의 수장 리화 ī 토코와루가 마오리족의 점령을 막기 위해 계획적이고 효과적인 정착민과 정부군에 대한 공격으로 몰수된 토지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정착에 대응했기 때문입니다. 테 쿠티에 의한 동부 해안의 유럽인 정착지에 대한 폭력적인 급습과 동시에, 공격은 유럽 식민지 주민들이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시대라고 간주했던 것을 산산조각냈고, "적대적인 마오리족의 총 봉기"에 대한 두려움을 만들었습니다.[41][42]
제2차 다라나키 전쟁에 참전한 ī 토코와루는 서해안 마오리족 전사 중 가장 뛰어난 실력을 가진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파이마리 종교의 극단주의 하우하우 운동의 사제이자 예언자의 역할을 맡았으며, 전투에서 최초의 전사자로부터 찢어진 인간의 마음으로 식인 풍습과 마오리 신들의 영속이라는 고대 의식을 부활시켰습니다.[43] ī 토코와루의 군대는 수적으로 적었고 처음에는 정부군에 의한 12 대 1의 전투에서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그들의 공격의 맹렬함은 정착민들 사이에 두려움을 불러일으켰고 많은 민병대 지원자들의 사임과 이탈을 촉발시켰습니다.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정부군이 남타라나키에서 철수하고 ī에게 뉴플리머스와 왕가누이 사이의 거의 모든 영토를 장악하도록 했습니다. ī토코와루는 제2차 타라나키 전쟁에 참전한 부족들 사이에서 사라진 전략과 지도력을 제공했고, 그의 군대는 집중적인 전투에서 결코 패배하지 않았지만, 불가사의하게도 타우랑가이카파의 강력한 진지를 포기했고, ī토코와루의 군대는 즉시 해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제57연대에서 탈영한 후 ī 토코와루의 하푸와 함께 노예로 살았던 킴블 벤트는 50년 후 코완에게 추장이 다른 추장의 아내와 간통한 후 마나타푸, 즉 신성한 권력을 잃었다고 말했습니다.
ī 토코와루가 패배하고 동해안의 위협이 최소화되자 마오리 땅의 소외와 마오리의 정치적 예속은 더욱 빠른 속도로 계속되었습니다.
Te Kooti's War
테 쿠티의 전쟁은 동해안 지역과 숲이 우거진 중부 북섬과 풍요의 만에서 정부군과 영적 지도자 테 쿠티 아리키랑이 테 투루키의 추종자들 사이에 벌어졌습니다. 갈등은 테 쿠티가 채텀 제도에서 2년 동안 억류 생활을 한 후 뉴질랜드로 돌아와 거의 200명의 마오리족 포로와 그 가족들과 함께 탈출하면서 촉발되었습니다. 2년 동안 이 섬에서 재판 없이 억류되어 있던 테 쿠티는 자신과 그의 추종자들을 평화롭게 내버려 둘 것을 요청했지만, 2주 안에 민병대, 정부군, 마오리족 자원봉사자들에게 쫓기고 있었습니다. 추격전은 4년에 걸친 게릴라전으로 변했는데, 테 쿠티의 전사 수가 줄어드는 것에 맞서 식민지와 마오리족 군대가 30번 이상 원정했습니다[12].
처음에는 정부군을 추격하는 것에 대항하여 방어적으로 싸웠지만, 테 쿠티는 1868년 11월부터 공격에 나섰고, 마타우로 지역에서 선발된 유럽인 정착민들과 마오리족 반대자들을 상대로 잘 조직된 번개탄인 이른바 빈곤만 학살을 시작으로 51명의 남자들이 참여했습니다. 여자들과 아이들은 학살당했고 그들의 집은 불이 났습니다. 이 공격은 피비린내 나타파파에 대한 포위를 포함한 정부군의 또 다른 맹렬한 추격을 촉발시켰습니다: 테 쿠티는 포위에서 벗어났지만, 정부에 충성하는 마오리 세력은 130명 이상의 지지자들과 그가 이전에 붙잡았던 포로들을 잡아 처형했습니다. 유럽의 침략과 몰수에 맞서 싸우는 마오리족의 저항에 불만을 품은 테 쿠티는 마오리족에게 억압으로부터의 구원과 약속된 땅으로의 귀환이라는 구약성경의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전투에서 세 번이나 부상을 입은 그는 죽음에 대한 면역력이 있다는 평판을 얻었고, 성취되는 것처럼 보이는 예언들을 내뱉었습니다.[46] 1870년 초에 테 쿠티는 투호 부족으로부터 피난처를 얻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농작물과 마을이 파괴되는 일련의 손상된 습격을 겪었고, 다른 마오리이위는 테 쿠티의 포획에 대한 5,000파운드의 보상 약속에 매료되었습니다. 1872년 마침내 마오리 왕으로부터 성역을 부여받고 킹 컨트리로 이주하여 링가투 신앙의 의식, 본문, 기도를 계속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1883년 2월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사면되었고 1893년에 사망했습니다.
2013년 와이탕기 재판소 보고서에 따르면 1865년부터 1869년까지 동부 해안에서 일어난 크라운군의 전투(동해안 전쟁과 테 쿠티 전쟁)로 뉴질랜드 전쟁 당시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마오리족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이 단체는 동부 해안 지역 성인 남성 인구의 4분의 1이 채텀 제도에서 발생한 "불법 감금"을 비난하고, "무법 잔혹 행위"를 통해 남성 인구의 약 43%가 전쟁에서 패배한 것은 뉴질랜드의 역사와 성격에 대한 오점이라고 말했습니다.[47]
참가자
뉴질랜드 전역에는 이위 지역 출신의 마오리족 전사들이 참여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ī 응기탕가 운동과 연합하여 제국군, 지역 민병대, 전문가 포레스트 레인저스와 쿠파파, 또는 "충성주의자" 마오리족과 함께 싸웠습니다.
임페리얼

1855년에는 2개의 약한 영국 연대에서 1,250명의 제국군이 뉴질랜드에 있었습니다. 두 사람 모두 연말에 떠날 예정이었지만 브라운은 정착민들이 부족 간 폭력의 확산을 우려한 뉴플리머스에서 그 중 하나를 사용하기 위해 유지하는 데 성공했습니다.[48] 1860년 타라나키 전투가 발발했을 때 오클랜드에서 뉴플리머스 주둔군을 증강시키기 위해 증원군이 동원되었고, 정규군의 총 병력은 450명으로 증가했고, 수개월 동안 무장한 마오리의 총 병력은 타라나키의 병력 수를 초과했습니다. 4월 중순 호주에서 3척의 군함과 약 400명의 군인들이 도착하면서 제국군의 숫자가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49]
1863년 5월 타라나키에서 제2차 적대행위가 일어났을 때, 그는 런던의 국무장관에게 3개 연대의 즉각적인 파견을 신청했고, 또한 호주의 주지사들에게 영국군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편지를 썼습니다.[50] 뉴질랜드 주둔 영국군 총사령관 던컨 캐머런 중장은 지난 7월 오클랜드에서 4천 명도 안 되는 유효 병력을 마음대로 동원해 와이카토 침공을 시작했지만, 해외에서 연대가 계속 들어오면서 병력이 급격히 불어나게 됐습니다.[32]
뉴질랜드에 주둔한 제국 연대 및 부대
뉴질랜드 전쟁 동안 뉴질랜드에 주둔한 영국 보병 연대는 다음과 같습니다.[51][52]
식민지 방위군

약 100명으로 구성된 기병대인 식민지방위군은 1863년[54] 5월 마마두케 닉슨 대령에 의해 창설되어 와이카토에서[55] 복무했으며 민병대도 뉴질랜드 전쟁 기간 내내 사용되었습니다. 1845년 민병대 조례는 18세에서 60세 사이의 모든 신체가 건강한 유럽 남성들이 그들의 마을에서 40km 이내에서 의무적으로 훈련 또는 복무하도록 규정했고, 오클랜드 민병대와 자원봉사자들은 와이카토 캠페인 초기에 현역으로 복무하면서 약 1650년의 정점에 도달했고,[32] 마지막 병력인 타라나키 민병대는 그들로부터 해방되었습니다. 1872년 [56]봉사

덤불에 익숙한 현지 농부들로 구성된 특별한 65명의 덤불 수렵 군단인 포레스트 레인저스는 1863년 8월에 형성되었고, 포레스트 레인저스는 11월에 두 개의 다른 회사로 분할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구스타부스 폰 템프스키가 이끌었고 둘 다 와이카토와 타라나키에서 근무했습니다. 뉴질랜드 전쟁 당시 다른 레인저 군단으로는 타라나키 부시 레인저스, 파테아 레인저스, 오포티키 자원봉사 레인저스, 왕가누이 부시 레인저스, 웰링턴 레인저스가 있었습니다.[57] 1863년 9월부터 오스트레일리아와 오타고의 금밭에 5,000명의 군사 정착민을 모집하여 "반군" 마오리로부터 몰수된 토지를 무상으로 지원하기로 약속한 첫 번째 파견대도 와이카토에서 복무하기 시작했습니다. 10월 말까지 와이카토 민병대로 알려진 군사 정착민의 수는 2,600명이 넘었고, 대다수는 호주에서 왔습니다.[50] 1864년 3월까지 병력 수는 9,000명의 제국군, 4,000명의 식민지군(그 중 3,600명의 호주인), 수백명의 쿠파파(영국을 위해 싸운 마오리족), 약 14,000명의 병력으로 정점을 찍었습니다.[18][58][59]
1864년 11월 프레드릭 웰드 총리는 뉴질랜드를 위한 "자립" 정책을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1500명의 식민지 군대로 대체될 제국 군대의 점진적이지만 완전한 철수가 포함되었습니다. 이 조치는 타라나키와 왕가누이 사이의 북섬 서쪽 해안을 "평화"하기 위해 더 광범위한 군사 작전을 추구했던 그레이와 그러한 작전이 불필요하고, 비현실적이며, 제국 정책에 어긋난다고 생각했던 캐머런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는 시기에 나왔습니다.[60] 그레이는 1865년 5월 캐머런이 뉴질랜드에서 제1연대를 파견하려는 시도를 막았고 마침내 제1연대가 1866년 1월에 출발했습니다. 1867년 5월까지 제2/18연대만이 국내에 남아 있었고, 그들은 여전히 정착민들과 마주하고 있는 "페릴"에 대한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출발이 지연되었고, 마지막 군인들은 마침내 1870년 2월에 떠났습니다.[61]
마오리

26개의 북섬 주요 부족 그룹 중 15개 정도가 와이카토 캠페인에 참가하기 위해 파견대를 보냈지만, 때로는 부족 내에서 단일 하푸(씨족)를 대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고향 공동체에서 부족 노동력이 끊임없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장에서 계속 존재하기가 어려웠고, 그래서 소규모 부족 집단의 이직이 끊임없이 있었습니다. 1863년 8월에서 1864년 6월 사이에 메레메레, 파테르랑기, 한가티키, 마웅가타우리에서 1,000명에서 2,000명 사이의 병력을 유지했지만, 군대는 국내의 노동력과 가정적 필요 때문에 각 작전 후에 해산해야 했습니다. 벨리치는 마오리족 총 동원 인원이 최소 4,000명으로 전체 가용 인력의 3분의 1을 차지한다고 추정했습니다.[62]
비록 그들은 구조화된 지휘 체계의 일부는 아니었지만, 마오리는 대체로 일관된 전략 계획을 따랐고, 22킬로미터(14마일)에 이르는 숙련된 방어선을 구축하기 위해 연합했습니다. 마오리는 레위 마니아포토와 티카오(Ngāti Maniapoto), 타미하나(Wiremu Tamihana) 등 검증된 군사 지휘관들 아래 연합했습니다.[63]
전략 및 전술
뉴질랜드 전쟁 양쪽의 운동가들은 독특한 전쟁 전략과 전술을 개발했습니다. 영국은 반대 세력과 교전하여 요새화된 진지를 포위하고 점령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유럽식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영국 육군은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싸운 경험이 있는 직업 군인들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인도와 아프가니스탄 출신이었고, 워털루에서 싸운 사람들에 의해 훈련을 받은 장교들에 의해 이끌어졌습니다.
많은 마오리족 전사들은 수십 년 동안 계속된 격렬한 부족간 전투인 머스킷 전쟁 동안 길러졌습니다. 이 전쟁 동안 전사들은 파 주변에 방어 요새를 건설하는 기술을 완성했습니다. 기함대 전쟁 동안 카위티와 헤케는 식민지 군대를 끌어들여 요새화된 파를 공격하는 전략을 따랐던 것으로 보이며, 이 전략에서 전사들은 대포 사격으로부터 안전한 강력한 방어 진지에서 싸울 수 있었습니다.
파라는 단어는 마오리 마을이나 공동체 근처의 요새화된 강점을 의미합니다. 방어 목적으로 지어졌지만, 주로 음식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지어졌습니다. 부케타푸 파와 오해와이 파는 머스킷과 대포로 무장한 적들과 교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위 "총싸움 파" 중 첫 번째였습니다. 튼튼하고 나무로 된 팰리세이드는 아마 잎(포르미움 테낙스)으로 짜여져 있었고, 그 잎들은 질기고 끈끈한 잎들이 탄약의 힘의 대부분을 흡수했습니다.[64] 팰리세이드는 지면에서 몇 센티미터 높이로 들어 올려져 머스킷을 위가 아닌 아래에서 발사할 수 있었습니다. 때로는 팰리세이드에 틈이 생겨 덫을 죽이기도 했습니다. 참호와 소총 구덩이가 있어 거주자를 보호했고, 나중에는 매우 효과적인 포병대 대피소가 있었습니다.[65] 그것들은 보통 완전히 둘러싸기가 거의 불가능하도록 만들어졌지만, 보통 그 방향에서 공격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노출된 얼굴을 제시했습니다. 그것들은 값싸고 쉽게 지어졌습니다. 와이타라에 있는 L-Pa는 80명의 사람들이 하룻밤 사이에 건설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완전히 소모할 수 있었습니다. 영국인들은 파를 포위하기 위해 종종 긴 원정대를 편성했는데, 파는 그들의 폭격과 한두 번의 공격을 흡수하고 마오리족에 의해 버려질 것이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접속 불가능한 사이트에 새로운 pā가 나타납니다. 이와 같은 파는 특히 제1차 타라나키 전쟁 중에 수십 년 동안 건설되었으며, 그들은 결국 뉴 플리머스와 와이카토 전역을 둘러싼 경계선을 형성했습니다.[66]

오랫동안 현대의 파는 수와 군비의 압도적인 차이를 효과적으로 무력화시켰습니다. 1845년 오해와이파에서, 1863년 랑기리에서, 1864년 다시 파문에서, 영국과 식민지 군대는 방어된 파에 대한 정면 공격이 매우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864년 타우랑가 캠페인 기간 동안 게이트 파에서 마오리는 지하 대피소와 참호에서 하루 동안의 폭격을 견뎌냈습니다. 궁전이 파괴되자 영국군은 파를 돌진했고, 마오리는 숨겨진 참호에서 그들에게 발포하여 뉴질랜드 전쟁 중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파케하 전투에서 38명을 죽이고 더 많은 사람을 다치게 했습니다. 군대는 퇴역했고 마오리는 파를 포기했습니다.[67]
영국인들은 곧 파를 무력화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깨달았습니다. 값이 싸고 쉽게 만들 수 있지만, 포병은 상당한 노동력과 자원을 투입해야 했습니다. 파 주변 지역의 마오리족 경제 기반이 파괴되면서 하푸족은 전투원들을 지원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이것은 제2차 타라나키 전쟁에서 슈트와 맥도넬의 덤불 탐색 원정의 배후에 있는 이유였습니다.[68]
마오리족의 가장 큰 문제는 지속적인 캠페인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가 부적응했다는 것입니다. 장기간의 캠페인은 식량 공급을 방해하고 전염병으로 인해 마오리족 중 상당수가 사망했습니다.[69] 영국군은 전투에서 마오리를 물리칠 수 있었지만, 패배는 결정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루아페카페카 파를 점령한 것은 영국의 전술적 승리라고 볼 수 있지만, 영국군의 목표물로 의도적으로 만들어졌고, 그 손실은 손상되지 않았습니다. 헤케와 카위티는 그들의 군대를 그대로 둔 채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70] 그러나 영국군은 거의 무한정 전장에서 그들을 지탱할 수 있는 경제체제의 지원을 받는 직업군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와 대조적으로 마오리족 전사는 식량 생산에도 힘써야 하는 파트타임 전사였습니다.
무기
1860년대 영국군이 사용한 주요 무기는 패턴 1853 엔필드(Pattern 1853 Enfield)입니다. 라이플 머스킷으로 제대로 표현된 이 머스킷은 일반 머스킷처럼 배럴 아래로 장전되었지만 배럴은 라이플(rifle)되었습니다. 머스킷총은 약 60-80m까지 정확했지만, 1853 엔필드는 숙련된 군인의 손에서 약 300m에서 400m까지 정확했습니다. 100명의 숙련된 군인은 사람의 목표물을 쉽게 타격할 수 있었습니다. 소총의 길이는 1.44m, 무게는 4kg이며 소켓 총검은 53cm였습니다. 이 소총은 미국 남북전쟁에서도 흔히 사용되었습니다.
캘리셔와 테리 카빈(짧은 소총)은 뉴질랜드 정부가 1861년 버밍엄 총기 제조업자인 캘리셔와 테리에게 명령한 것으로, 마오리와의 전투에서 무거운 덤불에서 전투에 적합한 카빈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것은 군인이 화약을 장전하기 위해 서 있어야 했던 엔필드와 달리 탄창이 누운 상태에서 재장전할 수 있고, 탄창이 누운 상태에서 재장전할 수 있기 때문에 뉴질랜드 포레스트 레인저스가 선호하는 무기였습니다. 이 특징은 오라카우의 포레스트 레인저스의 결정적인 승리로 이어졌습니다: 몇몇 군인 그룹이 도망치는 마오리족을 납치했지만 카빈을 장착한 포레스트 레인저스만이 푸니우 강 총격까지 10km를 따라 갈 수 있었습니다.[71][72][73]
리볼버는 주로 장교들이 사용했지만 포레스트 레인저스의 일반적인 문제였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리볼버는 5발의 보몬트-아담스.44 타악기 리볼버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사용 중인 다른 리볼버는 상단 프레임이 개방된 콜트 네이비 .36 1851 모델입니다. 콜트는 가볍고 단일 액션 리볼버로서 정확하기 때문에 포레스트 레인저스에 의해 선호되었습니다. 폰 템프스키의 포레스트 레인저스 두 번째 회사도 보위 나이프를 사용했습니다.[74]
후폭풍

1863년 뉴질랜드 정착촌법에 따라 마오리족으로부터 광범위한 토지가 몰수되었는데, 이는 반란에 대한 처벌로 알려져 있습니다.[75] 실제로 토지는 "충성" 부족과 "반란" 부족 모두로부터 몰수되었습니다. 16,000km2(6,200sq mi) 이상의 토지가 몰수되었습니다. 이 중 절반 정도는 이후 마오리족의 지배권에 지불되거나 반환되었지만, 원래 소유주에게 반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76] 몰수는 피해를 입은 부족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타라나키 전쟁과 토지 몰수의 즉각적인 여파로 테 휘티오 론고마이가 [77]비폭력 저항의 원칙에 기초한 새로운 마을 파리하카를 설립했습니다. 파리하카의 인구는 1881년 11월 5일 정부가 테 휘티와 그의 지지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경찰을 파견하기 전까지 2,000명이 넘었습니다. 뉴질랜드 전쟁의 여파로 일어난 또 다른 사건은 1898년의 개 세금 전쟁입니다.
뉴질랜드 전쟁의 유산은 계속되고 있지만 요즘 전투는 대부분 법정과 협상 테이블 주변에서 벌어집니다. 와이탕기 재판소의 수많은 보고서들은 전쟁 중에 왕권의 행동을 비판했고, 또한 마오리족도 조약을 위반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78] 부족들의 역사적 청구권에 대한 법정 외 합의(Waitangi 청구권 및 합의 조약)의 일환으로 2011년 현재 왕궁은 부족들에게 공식적인 사과를 하고 있습니다.[79]
기념
뉴질랜드 전쟁 기념의 날은 2017년에 시작되었고 10월 28일에 열립니다.[80] 2019년 뉴질랜드 하원에서 뉴질랜드 전쟁 기념패가 공개되었습니다.[81]
뉴질랜드 역사 교육과정
기념의 날은 2015년[82] 뉴질랜드 오토로한가 대학의 학생들이 뉴질랜드의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뉴질랜드 역사의 한 예로서 전쟁을 더 인정해 달라는 청원서를 의회에 제출한 후에 이루어졌습니다.[83][84][85] 이는 정부와 저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2019년 개정된 교육과정 내에서 뉴질랜드에서 역사 교육이 의무화될 것이라고 발표함으로써 합의되었습니다.[86] 2021년에는 교육과정 문서 초안을 개발하여 시범 운영하였으며, 2022년 3월에는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역사와 테 타칸가오테 와, 영어-, 마오리-매체가 공식 출범하였습니다.[87]
대중문화에서
뉴질랜드 전쟁에 대한 많은 허구적인 이야기들이 영화와 문학을 위해 각색되었습니다.
- 레위의 마지막 스탠드, 무성 영화 (1925), 레위 마니아포토의 마지막 스탠드를 기반으로 한 사운드로 리메이크 (1940).
- 더글러스 스튜어트의 라디오 연극, 지진이 땅을 흔들다 (1944)
- 주지사, 도쿠드라마 텔레비전 미니시리즈(1977)는 주지사 조지 그레이 경을 기반으로 합니다.
- 우투, 테 쿠티의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1983).
- 유대인의 계절, 테 쿠티의 전쟁을 바탕으로 한 소설 (1987).
- ī 토코와루의 황가누이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2005) 리버 퀸.
마지막 참전용사
- 에드윈 베자르 (Edwin Bezar, 1838–1936), 마지막 영국 군인 (그리고 아마도 마지막 전투원)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End of the New Zealand Wars".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16 April 2013.
- ^ a b Keenan, Danny (20 June 2012). "New Zealand wars – New Zealand wars overview".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23 March 2022.
- ^ The end of the war (video). Landmark Productions. Retrieved 24 March 2022 – via Te Ara.
- ^ O'Malley, Vincent (2019). The New Zealand Wars Nga Pakanga o Aotearoa. Bridget Williams Books. p. 29. ISBN 9781988545998.
- ^ a b King, Michael (1977). Te Puea: A Biography. Auckland: Hodder and Stoughton. p. 26. ISBN 0-340-22482-7.
- ^ Dalton, B.J. (1967). War and Politics in New Zealand 1855–1870. Sydney: Sydney University Press. p. 179.
- ^ a b Belich, James (1986x). The New Zealand Wars and the Victorian Interpretation of Racial Conflict (1st ed.). Auckland: Penguin. pp. 204–205. ISBN 0-14-011162-X.
- ^ Belich, James (1986a). The New Zealand Wars. Auckland: Penguin. pp. 126–133. ISBN 0-14-027504-5.
- ^ Belich 1986a, 24-25쪽.
- ^ 홉킨스-바이스, 제프리 엘리스 (2004). 1840년대와 1860년대의 뉴질랜드 전쟁에 대한 호주의 개입 (PDF) (PhD). 브리즈번, Qld: 퀸즐랜드 대학교, 페이지 313–318 2024년 2월 29일 회수.
- ^ '뉴질랜드 전쟁 1845–1864' https://guides.slv.vic.gov.au/colonialforces/newzealandwars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 ^ a b Belich 1986a, p. 126.
- ^ 돌턴 1967, 181-182쪽.
- ^ O'Malley, Vincent (2019). The New Zealand Wars Nga Pakanga o Aotearoa. Bridget Williams Books. p. 29. ISBN 9781988545998.
- ^ O'Malley, Vincent (2019). The New Zealand Wars Nga Pakanga o Aotearoa. Bridget Williams Books. p. 26. ISBN 9781988545998.
- ^ Orange, Claudia (1987). The Treaty of Waitangi. Wellington: Allen & Unwin. pp. 32–33. ISBN 086861-634-6.
- ^ a b King, Michael (2003). The Penguin History of New Zealand. Penguin Books. p. 214. ISBN 0-14-301867-1.
- ^ a b Belich 1986a, pp. 125-133.
- ^ King 2003, p. 182.
- ^ Moon, Paul (2000). FitzRoy: Governor in Crisis 1843–1845 . David Ling Publishing. pp. 81–98. ISBN 0-908990-70-7.
- ^ Belich, James (1988). The New Zealand wars and the Victorian interpretation of racial conflicts. London: Penguin books. p. 29. ISBN 0-14-011162-X.
- ^ Carleton, Hugh (1874). The Life of Henry Williams: "Early Recollections" written by Henry Williams. Vol. II. Early New Zealand Books (ENZB), University of Auckland Library. pp. 12, 28, 30–31, 35 ff.
- ^ (칼튼 1874, 권부록) II)
- ^ Nicholson, John (2006). White Chief – The Story of a Pakeha Maori. Penguin Books (NZ). pp. 100–140. ISBN 978-0-14-302022-6.
- ^ Kawiti, Tawai (October 1956). Hekes War in the North. No. 16 Ao Hou, Te / The New World, National Library of New Zealand Library. pp. 38–46. Retrieved 10 October 2012.
- ^ 식민지 뉴질랜드 전쟁, 팀 라이언과 빌 파햄, p. 28
- ^ Cowan, James (1922a). "Chapter 11: The Fight at Boulcott's Farm". The New Zealand Wars: A History of the Maori Campaigns and the Pioneering Period: Vol. 1, 1845–1864. Wellington: RNZ Government Printer.
- ^ Oliver, Steven (30 October 2012). "Te Rauparaha".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Manatū Taonga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 ^ 코완 1922a, 14장: 왕가누이 전쟁.
- ^ 블랜치, 크레이그 (2022년 1월 12일) "최초의 전쟁함", 호주 전쟁 기념관. 2022년 2월 29일 회수.
- ^ Belich 1986x, p.
- ^ a b c Belich 1986a, pp. 125-127.
- ^ 킹 2003, 216페이지
- ^ a b Belich 1986x, 페이지 204-205.
- ^ 돌턴 1967, 페이지 241.
- ^ "The Taranaki Report: Kaupapa Tuatahi" (PDF). the Waitangi Tribunal. 1996.
- ^ "...타라나키 북부 대부분은 침략당해 점령당했고, 결국 반란은 일어나지 않고 몰수당했습니다.."2012년 5월 10일 Wayback Machine, waitangi-tribunal.govt.nz 에서 아카이브됨
- ^ Dalton 1967, pp. 224–225, 240.
- ^ Cowan, James (1922b). "Chapter 11: East Coast Operations". The New Zealand Wars: A History of the Maori Campaigns and the Pioneering Period: Vol. 2, 1864–1872. Wellington: RNZ Government Printer.
- ^ Deed of settlement of historical claims, Maungaharuru-Tangitu hapu and the Crown (PDF), Office of Treaty Settlements, 25 May 2013, pp. 21–22, retrieved 18 February 2018
- ^ Belich 1986x, p.
- ^ 1869년 3월 하원의장 데이비드 모리스(David Morris)는 벨리치가 인용한 바 있습니다.
- ^ 코완 1922b, 20장: 티토코와루의 캠페인 개막
- ^ a b 코완 1922b, 29장: (285-294쪽).
- ^ 랑기누이 워커, 카화이 토누 마투 – 끝 없는 투쟁, 펭귄 북스, 1990, 8장
- ^ Binney, Judith (30 October 2012). "Te Kooti Arikirangi Te Turuki".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Manatū Taonga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10 May 2014.
- ^ "The Mangatu Remedies Report" (PDF). Waitangi Tribunal. 23 Dec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6 February 2016. Retrieved 1 July 2015.
- ^ Dalton 1967, pp. 28–30, 52.
- ^ Dalton 1967, pp. 103–104, 108–110.
- ^ a b Dalton 1967, pp. 174, 180
- ^ O'Malley, Vincent (2019). The New Zealand Wars Nga Pakanga o Aotearoa. Bridget Williams Books. p. 13. ISBN 9781988545998.
- ^ The Oxford companion to New Zealand military history. McGibbon, I. C. (Ian C.), Goldstone, Paul. Auck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70. ISBN 0195583760. OCLC 44652805.
{{cite book}}
: CS1 메인트: 기타(링크) - ^ "70th (Surrey) Regiment of Foot". regiment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anuary 2008. Retrieved 6 July 2019.
{{cite web}}
: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알 수 없음 (링크) - ^ Barber, Laurie. "Nixon, Marmaduke George". Dictionary of New Zealand Biograph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24 March 2022.
- ^ "New Zealand wars".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 ^ ""Armed forces",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13. Retrieved 30 June 2013.
- ^ Stowers, Richard (1996). Forest Rangers. Hamilton: self-published. pp. 1, 10–11, 34. ISBN 0-473-03531-6.
- ^ F. 글렌, 영광과 농장을 위하여: 1860-1866년 뉴질랜드 전쟁에 호주가 참전한 이야기(Whakatane, 뉴질랜드: Whakatane & District Historical Society, 1984)
- ^ 마크 G.A. 휘트모어 "와이카토 투어: 호주와 뉴질랜드 전쟁, 1863–64", 전시: 호주 전쟁 기념관 공식 잡지 7 (1999) : pp. 44–50
- ^ Dalton 1967, pp. 209–211, 218, 239.
- ^ Dalton 1967, pp. 227–230, 245, 275.
- ^ Belich 1986a, pp. 128-130.
- ^ Belich 1986a, pp. 131-133.
- ^ Cowan, James (1955). "Flax-masked Palisade". The New Zealand Wars: A History of the Maori Campaigns and the Pioneering Period: Volume I (1845–64). Retrieved 10 October 2012.
- ^ Belich 1986a, pp. 294–295.
- ^ Belich 1986a, pp. 106-107.
- ^ Belich 1986a, 페이지 178-188
- ^ Belich 1986a, p. 239.
- ^ Rogers, Lawrence M. (1973). Te Wiremu: A Biography of Henry Williams. Pegasus Press. pp. 215–216.
- ^ Ian McGibbon, 뉴질랜드 군사 역사의 옥스포드 동행, p. 373
- ^ Stowers, Richard (1996). Forest Rangers. Hamilton: self-published. p. 106. ISBN 0-473-03531-6.
- ^ 예술가이자 모험가인 본 템프스키. M왕과 로즈 G. 1981.
- ^ Tempsky, Gustavaus Ferdinand von. "Tempsky, Gustavaus Ferdinand von". Dictionary of New Zealand Biograph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6 June 2019.
- ^ Stowers, Richard (1996). Forest Rangers. Hamilton: self-published. pp. 270–283. ISBN 0-473-03531-6.
- ^ "Maori land loss, 1860–2000".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20 July 2010.
- ^ "Treaty of Waitangi".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20 July 2010.
- ^ Riseborough, Hazel (1989). Days of Darkness: Taranaki 1878–1884. Wellington: Allen & Unwin. pp. 35–37. ISBN 0-04-614010-7.
- ^ "Turanga Tangata Turanga Whenua: The Report on the Turanganui a Kiwa Claims". Waitangi Tribu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0. Retrieved 20 July 2010.
- ^ "Ngāti Pāhauwera Treaty Claims Settlement Bill 273-2 (2011), Government Bill – New Zealand Legislation". legislation.govt.nz. 2011. Retrieved 13 September 2011.
The Crown unreservedly apologises for not having honoured its obligations to Ngāti Pāhauwera under the Treaty of Waitangi (Te Tiriti o Waitangi) and through this settlement, the Crown seeks to atone for its wrongs and to begin the process of healing. The Crown looks forward to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Ngāti Pāhauwera, based on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founded on the Treaty of Waitangi (Te Tiriti o Waitangi) and its principles.
- ^ "Date set to commemorate land wars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mch.govt.n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9. Retrieved 2 June 2019.
- ^ Jessica Long (15 September 2019). "Compulsory New Zealand history curriculum will 'open Pandora's box'". Stuff.co.nz. Retrieved 20 September 2019.
- ^ Wilson, Libby; Thomas, Rachael (28 September 2015). "College students petition for a national holiday to recognise Land Wars". Stu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22. Retrieved 12 October 2022.
- ^ "Aotearoa commemorates Te Pūtake o Te Riri". RNZ. 28 October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21. Retrieved 18 November 2022.
- ^ Rikihana Smallman, Elton; Small, Vernon (8 December 2015). "Otorohanga College students deliver Land Wars petition to Parliament". Waikato Times. Stu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22. Retrieved 22 September 2022.
- ^ "Editorial: Commemoration of New Zealand wars is long overdue". Dominion Post. Stuff. 2 Novem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22. Retrieved 12 October 2022.
- ^ "New Zealand history will be compulsory in all schools by 2022". RNZ (News New Zealand / Te Ao Maori). 12 September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22. Retrieved 22 September 2022.
- ^ "Aotearoa New Zealand history curriculum launches" (News: NZ Politics). Radio New Zealand. 17 March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22. Retrieved 22 September 2022.
추가읽기
- 바르토프, 마이클 (1979). 대담한 마오리족을 상대하기 위해. 호더와 스토튼.
- 벨리치, 제임스 (1996) Making People. 펭귄.
- 비니, 주디스 (1995). 구원의 노래: 테 쿠티 아리키랑이 테 투루키의 일생 오클랜드: 오클랜드 대학 출판부.
- 뷰익, T. 린제이 (1976). 올드 말버러(Old Marlborough). Christchurch: Capper Press. (원래 1900년 출판)
- 코완, 제임스, & 해셀버그, P. D. (1983) 뉴질랜드 전쟁 뉴질랜드 정부 프린터. (원래 1922년 출판) 온라인: 1권 1845-64, 2권 1864-72
- Fletcher, Henry James, Rev., Turnbull, Alexander (ed.), 뉴질랜드 국립도서관, Māori Names 지수, The New Zealand Collection of the University of Waikato Library, 약 1925년에 편찬된 미발행 원고[1]
- Green, David (2010). Battlefields of the New Zealand Wars: A Visitor's Guide. Auckland (North Shore): Penguin. ISBN 978-01432-0-4183.
- 리, 잭 (1983). 저는 그것을 섬의 만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호더와 스토튼.
- 리, 잭 (1987). 호키안가. 호더와 스토튼.
- Maning, F.E. (1862). 헤케 족장에 대항한 뉴질랜드 북부의 전쟁사. (역사적 정확성을 보기 위한 목적보다는 오락을 목적으로 주로 쓰였지만 거의 동시대적인 이야기)
- 맥스웰, 피터 (2000). 프런티어, 뉴질랜드 북섬 전투. 연예인 책.
- 오말리, V. (2019) 뉴질랜드 전쟁 Nga Pakanga O Aotaroa Bridget Williams Books
- Prickett, Nigel (2016). Fortifications of the New Zealand Wars (PDF) (Report). Wellington: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 라이언, 팀 & 파햄, 빌. 식민지 뉴질랜드 전쟁 (1986, Wellington, Grantham House) ISBN 1-86934-006-X
- 심슨, 토니 (1979). Te Riri Pākehā. 호더와 스토튼.
- 싱클레어, 키스 (ed.) (1996). 옥스퍼드 일러스트레이티드 뉴질랜드의 역사 (제2판) 웰링턴: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스미스, S. 퍼시, 19세기 마오리 전쟁, 휘트콤비와 무덤스 유한회사, 크라이스트처치, 1910[2], 뉴질랜드 전자 텍스트 센터
- 스트링펠로우, 올가 (1960). 메리 브라벤더. 젊은 영국 여성의 눈을 통해 본 뉴질랜드 전쟁에 대한 허구적인 대우.
- 바지올리, 돔 펠리시 (2000). 뉴질랜드와 그 주민의 역사, J. 크로켓 옮김. 더니딘: 오타고 대학 출판부. (이탈리아어 원문, 1896)
- 워커, 랑기누이 (2004) 카화와이 토누 마투: 끝이 없는 펭귄과의 투쟁.
- 라이트, 매튜 (2006) 두 사람, 하나의 땅: 뉴질랜드 전쟁 펭귄 ISBN 9780790010649
- "많은 절정의 사람들: 마오리 전기"(1990). 뉴질랜드 전기사전, 제1권, 1769–1869. Bridget Williams Books and 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외부 링크

- 뉴질랜드 전쟁 / 응가 파캉가 와후아 오 무아.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 대학교의 대니 키넌이 운영하는 웹사이트
- 뉴질랜드의 19세기 전쟁 NZHistory.net.nz
- 뉴질랜드 육군 웹사이트의 역사 연표
- 뉴질랜드 전쟁 (1845–1872) 뉴질랜드 전자 텍스트 센터 소장품
- 1966년 마오리 전쟁 뉴질랜드 백과사전
- 1966년 마오리 전쟁의 기원에 대한 신화 뉴질랜드 백과사전
- 뉴질랜드 전쟁훈장 수상자 조사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