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번 비행대 RAF

No. 78 Squadron RAF
78번 비행대 RAF
78 Squadron badge
활동적인1916년 11월 1일 - 1918년 4월 1일 (RFC)
1918년 4월 1일 ~ 1919년 12월 31일 (RAF)
1936년 11월 1일 ~ 1954년 9월 30일
1956년 4월 15일 ~ 1971년 12월 1일
1986년 5월 22일 ~ 2007년 12월
2008년 1월 24일 ~ 2014년 9월 30일
2021년 ~ 현재
나라United Kingdom 영국
분점 영국 공군
홈 스테이션RAF(U) 스완윅
모토라틴어: 니모논파라투스
(준비되지 않은 사람 없음)[1]
전투명예 *별표로 표시된 명예는 비행대대 표준에[2] 새겨진 명예입니다.
휘장
비행대대 배지전설적인 호랑이가 기승을 부리고 이중 줄을 섰습니다.
비행대대 배지 헤럴드1939년 11월 조지 6세의 승인을 받았습니다.[3]
비행대대 코드KA (1939년 2월 ~ 1939년 9월)
YY (1936년 11월 ~ 1939년 9월)
EY (1939년 9월 ~ 1950년 4월)
SA–SZ (1986년 5월 ~ 2007년 12월)

영국 공군 78번 비행대대는 햄프셔주 스완윅위치한 영국 공군의 비행대대 번호판입니다. 비행대는 2021년 초에 역할을 할당받았습니다.[4]

2008년 1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영국 공군 벤슨에서 아구스타웨스트랜드 멀린 HC3/3A 수송헬기를 운용하다가 2014년 9월 30일 RNAS Yeovilton에서 영국 해군 항공대특공대로 옮겨졌습니다.

1986년 5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포클랜드 제도RAF 마운트 플레전트에 78 비행대대가 주둔하면서 웨스트랜드 시 킹 HAR3보잉 치누크 HC2를 운용했습니다.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제78비행대대는 1916년 11월 1일 해리엇샴에서 가정 방어를 위해 왕립 비행단의 일부로 창설되어 영국 남부 해안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원래는 낡은 B.E.2 2인승 복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B.E.12 1인승이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1917년 9월 25일 밤, 비행대대의 벨 대위는 독일군 고타와 마주쳤고, 영국 공군 조이스 그린 상공에서 공격했습니다. 존 롤링스는 영국 공군 전투기 편대(1969)에서 '그날 밤 독일의 사냥꾼 중 한 명이 바다에서 길을 잃고 돌아오지 못했기 때문에 그것을 손상시킨 것으로 믿어집니다'[5]라고 말했습니다. 이 비행단은 1917년 말에 솝위드 1 ½ 스트럿터스를 받았고, 1918년 중반에 솝위드 낙타를 받았습니다. 1917년 9월 커버트 로든 소령이 지휘하는 서튼스 농장에 도착해 1919년 12월까지 비긴 힐에 분견대를 두고 있었습니다. 1919년 12월 31일 정전협정으로 해체되었습니다.[6]

종교개혁과 제2차 세계대전

암스트롱 휘트워스 V T4131, 제78 비행대대, 1940.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시기에 영국 공군이 증강되는 동안, 제78 비행대대는 처음 결성된 지 22년 후인 1936년 11월 1일 영국 공군 보스콤 다운에서 10 비행대대를 장착한 핸들리 페이지 헤이포드의 비행을 재지정함으로써 개혁되었습니다. 새로운 비행대대는 1937년 초 요크셔에 있는 RAF 디시포스로 이동하여 영국 공군 폭격기 사령부 4번째 그룹 RAF에 합류했습니다. 1937년 7월 암스트롱 휘트워스 휘틀리 야간 폭격기를 장착했습니다.[7]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비행대대는 훈련비행대대로 지정되었습니다.[8] 1939년 10월 15일 영국 공군 린튼-온-오즈로 이동했고, 7월에 야간 폭격기 비행대대로 복귀하면서 디시포스로 복귀했습니다. 1941년 2월, 몰타에서 날아온 78비행대대와 51비행대대의 휘틀리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첫 번째 영국 낙하산 작전인 콜로수스 작전을 위해 이탈리아 남부 상공에 낙하산 부대를 투하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1941년 4월, 비행대대는 영국 공군 미들턴 세인트로 이동했습니다. 조지. 9월에, 그 비행대는 베를린에 대한 첫 번째 폭격을 날렸습니다. 1941년 10월에 다시 RAF 크로프트로 이전했습니다.[7][9]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B.1941년 영국 공군 브레이튼기지를 둔 78 비행대대의 II 시리즈 1A LW 235

1942년 초, 비행대는 휘틀리를 대체하기 위해 엔진이 4개 달린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를 받기 시작했고, 그 해 3월에 개조가 완료되었고, 1942년 4월 29일에 핼리팩스와 함께 오스텐드를 상대로 첫 작전을 펼쳤습니다.[7] 1942년 5월 30일/31일 밤, 78비행대대는 22대의 핼리팩스를 쾰른에 대한 최초의 "1,000 폭격기" 공습인 밀레니엄 작전에 투입했습니다.[7]

비행대는 미들턴 세인트로 다시 이동했습니다. 1942년 6월에 조지, 그리고 1942년 9월에 린튼-온-오스로.[7] 1943년 6월, 비행대대는 제6군단의 캐나다 폭격기 부대를 위해 린튼온 오스를 해방시키기 위해 RAF 브레이튼으로 이동했습니다.[9]

1944년 1월, 이 비행단은 멀린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핼리팩스 B를 대체했습니다.핼리팩스 B와 함께.성능을 제공하는 브리스톨 헤라클레스 방사형 엔진으로 구동되는 IIIs. 이 비행대는 1944년 6월 프랑스 침공 당시와 이후 독일 도시를 상대로, 연합군 지상군을 직접 지원하기 위해 유럽에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폭격 임무를 계속했습니다. 총 6,337회의 작전 분류 동안 17,000톤의 폭탄과 지뢰를 투하하여 182대의 항공기를 잃었지만 28대의 적 전투기가 격추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10]

수송 작전 (1945-1971)

1945년 5월, 비행대대는 더글러스 다코타 Mk와 함께 수송 사령부로 옮겨졌습니다.7월에 링거를 맞았습니다.1945년 8월, 9월 카이로로 이동, 중동지역을 비행하는 수송작전과 지중해 동부 상공을 비행하는 공해상구조대.[11] 1950년 4월 비커스 발레타 C.1s로 개조하여 1954년 9월 30일 이집트의 RAF 파야드에서 해체되었습니다.[9][11]

1956년 4월 15일 아덴RAF 호르막사르에서 스코틀랜드 항공 파이오니어 CC.1 단일 엔진 STOL 수송기를 운영하면서 비행대를 개조했습니다.[12] 1958년 11월, 더 큰 쌍발 엔진의 스코틀랜드 항공 트윈 파이오니어 CC.1로 대체되었습니다.[11] 부대는 1962년 4월 1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25년의 복무기간을 부여받았습니다.[2] 1965년에 이것들은 21비행단으로 옮겨졌고 비행단은 웨식스를 운영하는 헬리콥터 부대로 개조되었습니다. 1967년 영국 공군 샤르자로 이전하여 1971년 12월 1일 해체될 때까지 육군 지원 및 수색 구조 임무를 계속 수행했습니다.[13]

헬기 운용 (1986–2014)

비행대대는 1986년 5월 22일 포클랜드 제도의 RAF 마운트 플레전트에서 1310편대와 보잉 치누크를 운용하는 서랜드 시 킹 HAR.3을 장착한 1564편대가 합병하면서 개편되었습니다.[8][14]

1988년부터 78 비행대대는 포클랜드 제도에 기지를 두고 있었습니다. 이 비행대는 서해왕 HAR.3과 치누크 HC2를 운용했습니다.[15]

캘리포니아 사막에서 훈련 중인 78 비행대대의 아구스타 웨스트랜드 멀린 HC3 ZJ137, 2009.

2007년 12월, 78 비행대대는 1564 비행이라는 이전의 정체성으로 되돌아갔고, 새로운 78 비행대대는 2008년 1월 28일 합동 헬리콥터 사령부의 일부로 RAF 벤슨[16]서서 덴마크에서 구입한 아구스타 웨스트랜드 멀린 HC3와 6대의 새로운 멀린 HC3A 헬리콥터를 조종했습니다. 이 비행대대는 28대의 영국 공군 멀린 헬리콥터의 총 함대를 역시 영국 공군 벤슨에 본부를 둔 28(AC) 비행대대와 공유했습니다.[17]

2014년 9월 30일,[18] 제78비행대대는 제78비행대대를 해체했습니다.[19]

2020년 3월 24일,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이라크 전쟁에서 활약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투 명예를 수여받았습니다.[20]

군 항공교통관제(2021~현재)

비행대대 번호판은 2021년 초에 RAF(Unit) 스완윅에 할당되었습니다.[4] 이 부대는 햄프셔의 스완윅에 본부를 둔 민간 런던 지역 통제 센터(London Area Control Center)에 내장되어 있으며 영국 전역에서 군용 항공 교통 통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21]

운항중인 항공기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Pine, L.G. (1983). A dictionary of mottoes (1 e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p. 148. ISBN 0-7100-9339-X.
  2. ^ a b "78 Squadron Standard Laid In Falkland Islands". raf.mod.uk. Royal Air Fo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pril 2010. Retrieved 27 March 2020.
  3. ^ "78 Sqn". RAF Heraldry Trust. Retrieved 27 March 2020.
  4. ^ a b "Two historic RAF Squadron Numberplates are set to return". Royal Air Force. 7 May 2021. Retrieved 7 May 2021.
  5. ^ 영국 공군 전투기 편대 존 롤링스, 1969년 맥도널드, p.193
  6. ^ Jefford 1988, p. 48
  7. ^ a b c d e 롤링스 에어 화보 1961년 4월 104쪽.
  8. ^ a b '78 비행대'. 영국 공군. 2014년 1월 1일 검색.
  9. ^ a b c "76번 - 80번 비행대 역사"는 2010년 3월 2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습니다. 권위의 공기 - RAF 조직의 역사. 2012년 8월 21일. 2014년 1월 1일 검색.
  10. ^ Rolling Air Picture 1961년 4월 104–105쪽.
  11. ^ a b c 롤링스 에어 화보 1961년 4월 105쪽.
  12. ^ "No.78 Squadron". www.nationalcoldwarexhibition.org. Royal Air Force Museum. Retrieved 27 March 2020.
  13. ^ 롤링스 1982, 페이지 39–40, 91.
  14. ^ 애쉬워스 1989, 157쪽.
  15. ^ "No. 78 Squadron". Air of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rch 2010. Retrieved 7 May 2021.
  16. ^ "78 Squadron History". Royal Air Fo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09. Retrieved 27 March 2020.
  17. ^ "78 Squadron Oper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07. Retrieved 10 December 2007.
  18. ^ "No 78 Squadron". Air of Authority - A History of RAF Organisation. Retrieved 27 March 2020.
  19. ^ "RAF Bension". Ministry of Defence. Retrieved 7 May 2021.
  20. ^ "RAF Squadrons Receive Battle Honours from Her Majesty The Queen". Royal Air Force. 24 March 2020. Retrieved 26 March 2020.
  21. ^ "RAF(U) Swanwick". Royal Air Force. Retrieved 7 May 2021.

원천

  • 애슈워스, 크리스 현대 왕립 공군 비행대대의 백과사전. 영국 웰링버러: 패트릭 스티븐스 유한회사, 1989. ISBN 1-85260-013-6.
  • 1912년 이래로 모든 RAF 비행대대와 그 선행대의 이동장비에 대한 종합적인 기록인 제포드(Jefford), C.G. RAF 비행대. 슈루즈베리, 슈롭셔, 영국: 에어라이프 출판사, 1988 (2001년 2판). ISBN 1-85310-053-6.
  • 롤링스, 존 D. R. 해안, 영국 공군의 지원특수 비행대와 그들의 항공기. 런던: 제인스 출판사, 1982. ISBN 0-7106-0187-5.
  • 롤링스, J.D.R. "스쿼드론 히스토리: 78번" 에어 화보, Vol. 23 No. 4, 1961년 4월 104-105쪽.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