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출혈
Obstetrical bleeding산부인과 출혈 | |
---|---|
기타 이름 | 산모 출혈, 산부인과 출혈, 산모 출혈 |
전문 | 산부인과 |
빈도 | 870만(2015년)[1] |
죽음 | 83,000 (2015)[2] |
산부인과 출혈은 임신 전, 출산 중 또는 출산 후에 발생하는 출혈이다.[3] 출산 전 출혈은 임신 24주 후에 발생한다.[3] 출혈은 질일 수도 있고 복강으로 덜 들어갈 수도 있다. 24주 전에 발생하는 출혈은 임신 초기 출혈로 알려져 있다.
출산 전후와 출산 중 출혈의 원인으로는 자궁경부염, 태반전증, 태반침착, 자궁파열 등이 있다.[3][4] 출산 후 출혈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자궁 수축이 원활하지 않은 점, 임신의 유제품, 출혈 장애 등이 있다.[3]
2015년에는[1] 약 870만건의 심각한 모성 출혈이 발생해 8만3000명이 사망했다.[2] 2003년과 2009년 사이에 출혈은 전 세계적으로 산모 사망의 27%를 차지했다.[5]
후기 임신
산전출혈(APH) 역시 임신 24주[6](때로는[7][6] 임신 20주)부터 출산까지 임신 중 출혈이 있다.[4] 주요 고려사항은 자궁경부 내 경추에 또는 매우 가까운 곳에 낮은 누워있는 태반인 태반의 유무다. 이 상태는 1000건의 임신 중 약 4건이 발생하며 대개 제왕절개를 통해 아기를 분만하는 것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태반이 일찍 분리되는 태반적 부패는 산과성 출혈로 이어질 수 있으며, 때로는 은폐될 수 있다. 이 병리학은 자동차 사고나 추락과 같은 모성 외상 후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산발성 출혈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다른 고려사항은 40주째가 가까워질 때 환자의 확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무균 질 검사들이다. 자궁경부 부족은 임신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학적인 개입이 필요할 수 있는 자궁경부의 중간 확장(14-26주)으로 정의된다.[9]
노동 중
태반 전위증, 태반절제술 이외에도 자궁 파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내출혈이나 외출혈로 이어지는 매우 심각한 질환이다. 태아에서 출혈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와튼의 코드 젤리에 의해 태아 혈관이 보호받지 못하는 태아 삽입 지점 근처에 놓여 있는 바사 전위(vasa previa)와 벨라멘틱 탯줄 삽입이라는 두 가지 조건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10] 때때로 이 상태는 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다. 모혈과 태아의 피를 구별하기 위한 검사도 있는데, 이는 출혈의 원인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배송후
분만 후 이상 출혈, 즉 산후 출혈은 질 분만 후 500ml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거나 제왕절개 후 1000ml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는 것이다. 과도한 산후 출혈의 다른 정의는 혈류역학적 불안정성,[11] 10% 이상의 헤모글로빈 투하 또는 수혈이 필요한 것이다. 문헌에서 1차 산후 출혈은 24시간에서 6주 사이에 2차 출혈이 발생하는 동안 분만 후 처음 24시간 내에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출혈로 정의된다.[12]
위험요소
드물지만 혈우병, 폰 윌레브란트병(vWD) 또는 인자 IX나 XI 결핍과 같은 유전적 출혈 장애는 심각한 산후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산후기에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12] vWC 환자와 혈우병 환자의 산후 출혈 위험이 각각 18.5%,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병리학은 분만 후 산모의 응고 인자의 정상적인 생리적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2차 산후 출혈의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13] 또 다른 출혈 위험인자는 혈소판감소증 또는 혈소판 수치 감소인데, 이는 임신 유도 고혈압과 관련된 가장 흔한 혈액학적 변화다. 혈소판 수치가 마이크로리터 당 10만 리터 이하로 떨어지면 환자는 분만 중과 분만 후 응고할 수 없는 심각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14]
건강검진
임신 초기에 소량의 출혈이 발견될 경우 의사는 다음을 요청할 수 있다.
- 임신을 확인하거나 잠재적인 유산의 진단을 돕기 위한 정량적 인간 맥락고나도트로핀(hCG) 혈액 검사
- 임신이 자궁[15] 밖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한 전신 골반 초음파 검사
- 신생아[15] 용혈성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혈액형 및 Rh 검사
후기 임신 테스트에서 보이는 출혈의 경우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전체 혈액수(CBC) 및 혈액형 및 화면
- 태반 위치 결정을 위한 초음파
- 특히 모성 외상이 있는 경우 클라이하워-베트케(KB) 테스트
임신한 환자는 성적 외상, 신엽, 가장 흔한 자궁경부암, 혈액 장애 등 외상으로 인해 생식기관에서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어금니 임신(수분형 몰이라고도 함)은 자궁 내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임신 유형이지만, 그 결과 배아보다는 포도 같은 성단을 닮은 낭종이 발생한다. 출혈은 이 종양이 발병하는 초기 징후일 수 있다.[16]
참고 항목
참조
- ^ a b Vos, Theo; Allen, Christine; Arora, Megha;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Brown, Alexandri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 Coggeshall, Megan; Cornaby, Leslie;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Dilegge, Tina;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leming, Tom; Forouzanfar, Mohammad H.;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awashima, Toana; et al.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 ^ a b Wang, Haidong; Naghavi, Mohsen; Allen, Christine;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ian; Coates, Matthew M.; Coggeshall, Megan;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oreman, Kyle; Forouzanfar, Mohammad H.; Fraser, Maya S.;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Huynh, Chantal;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infu, Yohannes; et al.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a b c d Walfish, M.; Neuman, A.; Wlody, D. (December 2009). "Maternal haemorrhag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3: i47–i56. doi:10.1093/bja/aep303. PMID 20007990.
- ^ a b Stables, Dorothy; Rankin, Jean (2010). Physiology in Childbearing: With Anatomy and Related Biosciences. Elsevier Health Sciences. p. 429. ISBN 978-0702044113.
- ^ Say, Lale; Chou, Doris; Gemmill, Alison; Tunçalp, Özge; Moller, Ann-Beth; Daniels, Jane; Gülmezoglu, A Metin; Temmerman, Marleen; Alkema, Leontine (2014). "Global causes of maternal death: a WHO systematic analysis". The Lancet Global Health. 2 (6): e323–e333. doi:10.1016/S2214-109X(14)70227-X. ISSN 2214-109X. PMID 25103301.
- ^ a b patient.info » PatientPlus » 산산염 마지막 업데이트: 2009년 5월 5일
- ^ 왕립여성병원 > 산발성 출혈 2009년 1월 13일 회수된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2010-01-08
- ^ Soyama H, Miyamoto M, Ishibashi H, Takano M, Sasa H, Furuya K (2016). "Relation between Birth Weight and Intraoperative Hemorrhage during Cesarean Section in Pregnancy with Placenta Previa". PLOS ONE. 11 (11): e0167332. Bibcode:2016PLoSO..1167332S. doi:10.1371/journal.pone.0167332. PMC 5130260. PMID 27902772.
- ^ Berghella, MD, Vincenzo (July 2017). "Cervical insufficiency". UpToDate.
- ^ Charles J Lockwood, MD, MHCM, Karen Russo-Stieglitz, MD (July 2017). "Velamentous umbilical cord insertion and vasa previa". UpToDate.
- ^ Atukunda EC, Mugyenyi GR, Obua C, Atuhumuza EB, Musinguzi N, Tornes YF, Agaba AG, Siedner MJ (2016). "Measuring Post-Partum Haemorrhage in Low-Resource Settings: The Diagnostic Validity of Weighed Blood Loss versus Quantitative Changes in Hemoglobin". PLOS ONE. 11 (4): e0152408. Bibcode:2016PLoSO..1152408A. doi:10.1371/journal.pone.0152408. PMC 4822885. PMID 27050823.
- ^ a b 2000년 Carmen Dolea1, Carla AbouZahr2, Claudia Stein1 정책 증거 및 정보(EIP), 세계보건기구, 제네바, 2003년 7월 모성 출혈로 인한 전 세계적인 부담
- ^ Kadir RA, Aledort LM (October 2000). "Obstetrical and gynaecological bleeding: a common presenting symptom". Clinical and Laboratory Haematology. 22 Suppl 1: 12–6, discussion 30–2. doi:10.1046/j.1365-2257.2000.00007.x. PMID 11251653.
- ^ Aldred, Heather E. (1997). Pregnancy and birth sourcebook. health reference series. ISBN 9780780802162.
- ^ a b c d e f Heine PR, Swamy GK (August 2009). "Vaginal bleeding during early pregnancy". Merck Manual.
- ^ Aldred, Heather E. (1997). Pregnancy and birth sourcebook. Omnigraphics. ISBN 9780780802162.
외부 링크
분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