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출혈

Obstetrical bleeding
산부인과 출혈
기타 이름산모 출혈, 산부인과 출혈, 산모 출혈
전문산부인과
빈도870만(2015년)[1]
죽음83,000 (2015)[2]

산부인과 출혈임신 , 출산 중 또는 출산 후에 발생하는 출혈이다.[3] 출산 전 출혈은 임신 24주 후에 발생한다.[3] 출혈은 질일 수도 있고 복강으로 덜 들어갈 수도 있다. 24주 전에 발생하는 출혈은 임신 초기 출혈로 알려져 있다.

출산 전후와 출산 중 출혈의 원인으로는 자궁경부염, 태반전증, 태반침착, 자궁파열 등이 있다.[3][4] 출산 후 출혈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자궁 수축이 원활하지 않은 점, 임신의 유제품, 출혈 장애 등이 있다.[3]

2015년에는[1] 약 870만건의 심각한 모성 출혈이 발생해 8만3000명이 사망했다.[2] 2003년과 2009년 사이에 출혈은 전 세계적으로 산모 사망의 27%를 차지했다.[5]

후기 임신

산전출혈(APH) 역시 임신 24주[6](때로는[7][6] 임신 20주)부터 출산까지 임신 중 출혈이 있다.[4] 주요 고려사항은 자궁경부 내 경추에 또는 매우 가까운 곳에 낮은 누워있는 태반인 태반의 유무다. 이 상태는 1000건의 임신 중 약 4건이 발생하며 대개 제왕절개를 통해 아기를 분만하는 것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태반이 일찍 분리되는 태반적 부패는 산과성 출혈로 이어질 수 있으며, 때로는 은폐될 수 있다. 이 병리학은 자동차 사고나 추락과 같은 모성 외상 후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산발성 출혈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다른 고려사항은 40주째가 가까워질 때 환자의 확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무균 질 검사들이다. 자궁경부 부족은 임신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학적인 개입이 필요할 수 있는 자궁경부의 중간 확장(14-26주)으로 정의된다.[9]

노동 중

태반 전위증, 태반절제술 이외에도 자궁 파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내출혈이나 외출혈로 이어지는 매우 심각한 질환이다. 태아에서 출혈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와튼의 코드 젤리에 의해 태아 혈관이 보호받지 못하는 태아 삽입 지점 근처에 놓여 있는 바사 전위(vasa previa)와 벨라멘틱 탯줄 삽입이라는 두 가지 조건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10] 때때로 이 상태는 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다. 모혈과 태아의 피를 구별하기 위한 검사도 있는데, 이는 출혈의 원인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배송후

분만 후 이상 출혈, 즉 산후 출혈은 질 분만 후 500ml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거나 제왕절개 후 1000ml 이상의 혈액이 손실되는 것이다. 과도한 산후 출혈의 다른 정의는 혈류역학적 불안정성,[11] 10% 이상의 헤모글로빈 투하 또는 수혈이 필요한 것이다. 문헌에서 1차 산후 출혈은 24시간에서 6주 사이에 2차 출혈이 발생하는 동안 분만 후 처음 24시간 내에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출혈로 정의된다.[12]

위험요소

드물지만 혈우병, 폰 윌레브란트병(vWD) 또는 인자 IX나 XI 결핍과 같은 유전적 출혈 장애는 심각한 산후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산후기에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12] vWC 환자와 혈우병 환자의 산후 출혈 위험이 각각 18.5%,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병리학은 분만 후 산모의 응고 인자의 정상적인 생리적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2차 산후 출혈의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13] 또 다른 출혈 위험인자는 혈소판감소증 또는 혈소판 수치 감소인데, 이는 임신 유도 고혈압과 관련된 가장 흔한 혈액학적 변화다. 혈소판 수치가 마이크로리터 당 10만 리터 이하로 떨어지면 환자는 분만 중과 분만 후 응고할 수 없는 심각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14]

건강검진

임신 초기에 소량의 출혈이 발견될 경우 의사는 다음을 요청할 수 있다.

  • 임신을 확인하거나 잠재적인 유산의 진단을 돕기 위한 정량적 인간 맥락고나도트로핀(hCG) 혈액 검사
  • 임신이 자궁[15] 밖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한 전신 골반 초음파 검사
  • 신생아[15] 용혈성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혈액형 및 Rh 검사

후기 임신 테스트에서 보이는 출혈의 경우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관계없는 출혈

임신한 환자는 성적 외상, 신엽, 가장 흔한 자궁경부암, 혈액 장애 등 외상으로 인해 생식기관에서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어금니 임신(수분형 몰이라고도 함)은 자궁 내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임신 유형이지만, 그 결과 배아보다는 포도 같은 성단을 닮은 낭종이 발생한다. 출혈은 이 종양이 발병하는 초기 징후일 수 있다.[16]

참고 항목

참조

  1. ^ a b Vos, Theo; Allen, Christine; Arora, Megha;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Brown, Alexandri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 Coggeshall, Megan; Cornaby, Leslie;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Dilegge, Tina;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leming, Tom; Forouzanfar, Mohammad H.;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awashima, Toana; et al.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2. ^ a b Wang, Haidong; Naghavi, Mohsen; Allen, Christine;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ian; Coates, Matthew M.; Coggeshall, Megan;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oreman, Kyle; Forouzanfar, Mohammad H.; Fraser, Maya S.;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Huynh, Chantal;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infu, Yohannes; et al.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3. ^ a b c d Walfish, M.; Neuman, A.; Wlody, D. (December 2009). "Maternal haemorrhag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3: i47–i56. doi:10.1093/bja/aep303. PMID 20007990.
  4. ^ a b Stables, Dorothy; Rankin, Jean (2010). Physiology in Childbearing: With Anatomy and Related Biosciences. Elsevier Health Sciences. p. 429. ISBN 978-0702044113.
  5. ^ Say, Lale; Chou, Doris; Gemmill, Alison; Tunçalp, Özge; Moller, Ann-Beth; Daniels, Jane; Gülmezoglu, A Metin; Temmerman, Marleen; Alkema, Leontine (2014). "Global causes of maternal death: a WHO systematic analysis". The Lancet Global Health. 2 (6): e323–e333. doi:10.1016/S2214-109X(14)70227-X. ISSN 2214-109X. PMID 25103301.
  6. ^ a b patient.info » PatientPlus » 산산염 마지막 업데이트: 2009년 5월 5일
  7. ^ 왕립여성병원 > 산발성 출혈 2009년 1월 13일 회수된 웨이백 기계보관된 2010-01-08
  8. ^ Soyama H, Miyamoto M, Ishibashi H, Takano M, Sasa H, Furuya K (2016). "Relation between Birth Weight and Intraoperative Hemorrhage during Cesarean Section in Pregnancy with Placenta Previa". PLOS ONE. 11 (11): e0167332. Bibcode:2016PLoSO..1167332S. doi:10.1371/journal.pone.0167332. PMC 5130260. PMID 27902772.
  9. ^ Berghella, MD, Vincenzo (July 2017). "Cervical insufficiency". UpToDate.
  10. ^ Charles J Lockwood, MD, MHCM, Karen Russo-Stieglitz, MD (July 2017). "Velamentous umbilical cord insertion and vasa previa". UpToDate.
  11. ^ Atukunda EC, Mugyenyi GR, Obua C, Atuhumuza EB, Musinguzi N, Tornes YF, Agaba AG, Siedner MJ (2016). "Measuring Post-Partum Haemorrhage in Low-Resource Settings: The Diagnostic Validity of Weighed Blood Loss versus Quantitative Changes in Hemoglobin". PLOS ONE. 11 (4): e0152408. Bibcode:2016PLoSO..1152408A. doi:10.1371/journal.pone.0152408. PMC 4822885. PMID 27050823.
  12. ^ a b 2000년 Carmen Dolea1, Carla AbouZahr2, Claudia Stein1 정책 증거 및 정보(EIP), 세계보건기구, 제네바, 2003년 7월 모성 출혈로 인한 전 세계적인 부담
  13. ^ Kadir RA, Aledort LM (October 2000). "Obstetrical and gynaecological bleeding: a common presenting symptom". Clinical and Laboratory Haematology. 22 Suppl 1: 12–6, discussion 30–2. doi:10.1046/j.1365-2257.2000.00007.x. PMID 11251653.
  14. ^ Aldred, Heather E. (1997). Pregnancy and birth sourcebook. health reference series. ISBN 9780780802162.
  15. ^ a b c d e f Heine PR, Swamy GK (August 2009). "Vaginal bleeding during early pregnancy". Merck Manual.
  16. ^ Aldred, Heather E. (1997). Pregnancy and birth sourcebook. Omnigraphics. ISBN 9780780802162.

외부 링크

분류
The offline app allows you to download all of Wikipedia's medical articles in an app to access them when you have no Internet.
위키피디아의 건강관리 기사는 메디컬 위키피디아 앱으로 오프라인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