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 임신
Ovarian pregnancy난소 임신 | |
---|---|
전문 | 산부인과 |
난소임신은 난소에 있는 자궁외임신을 말한다.전형적으로 난세포는 배란 시 방출되거나 포착되지 않고 임신이 [1][2][3]착상되는 난소 내에서 수정된다.그러한 임신은 보통 [3]임신 후 첫 4주 이후에 진행되지 않는다.치료되지 않은 난소임신은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복부내 출혈을 유발하고 따라서 의료상 응급상황이 될 수 있다.
원인과 병리
난소임신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특히 골반염증 질환과 골반수술과 같은 일반적인 원인인 요세관 외소임신이 관련이 [4]없는 것으로 보인다.자궁내 장치(IUD)[5][4]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IUD가 난소가 아닌 다른 임신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일부에서는 체외수정을 받는 환자들이 난소임신을 [6]할 위험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난소임신은 보통 성숙한 난세포가 모낭에서 배출되거나 포착되지 않고 정자가 모낭으로 들어가 난자를 수정하여 모낭 내 [3]임신을 일으킬 때 시작되는 것으로 이해된다.난소 밖에서 수정한 난세포가 난소 표면에 착상될 수 있다는 것도 아마도 십이지장 반응이나 자궁내막증의 [3]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논란이다.난소임신이 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양아세포가 난소 밖에서 더 많은 지지대를 발견하여 튜브와 다른 [3]장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매우 드문 경우지만, 그 임신은 복부 임신으로 지속할 수 있는 충분한 발판을 난소 밖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가끔 출산이 [3]보고되었다.
진단.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무증상 임신부를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합니다.골반 검사에서 일방적인 부신 덩어리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전형적인 증상은 복통과 임신 중 질 출혈이다.환자는 저혈당이 있거나 내부 [5]출혈로 인해 순환기 쇼크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상적으로 초음파는 자궁강이 비어 있는 동안 난소에서 임신낭의 위치를 보여주며, 만약 내부 출혈이 있다면,[7]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튜브가 가깝기 때문에 튜브 임신과 난소 임신의 초음파상 구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시리얼 hCG 레벨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진행성 [8]상승을 나타내지 않습니다.[7] 12명의 환자 중 평균 임신기간은 [7]45일이었다.
조직학적으로, 진단은 제거된 난소와 튜브의 수술 시료에 대한 슈피겔버그 기준에 의해 이루어졌다.하지만 초음파 검사로 조기 진단을 할 수 있고 외과의사들은 난소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튜브와 난소는 보통 제거되지 않는다.1878년 슈피겔버그의 기준이 도입되기 전에는 난소임신의 존재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의 기준은 다른 [2]외과학자들로부터 난소임신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임신낭은 난소 부위에 위치한다.
- 임신낭은 난소 인대에 의해 자궁에 부착된다.
- 난소 조직은 태낭의 벽에서 조직학적으로 증명되었다.
- 영향을 받은 쪽의 배관은 온전하다(다만, 이 기준은 난소[3] 임신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난소임신은 수술 [8]전 나팔관임신이나 출혈성 난소낭종이나 황체 등으로 오인될 수 있다.출혈성 난소낭종 물질의 조직학적 검사 중 영양아세포 조직의 존재만으로 [3][8]출혈의 원인이 난소임신임을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관리
난소임신은 위험하고 내부출혈이 일어나기 쉽다.따라서 의심될 경우 개입이 요구됩니다.종래에는 시험적 개복술이 실시되어 난소임신이 확인되면 난소절제술 또는 난소절제술(임신제거술 포함)이 실시되었다.오늘날, 그 수술은 종종 [7]복강경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수술의 정도는 발생한 조직 파괴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난소임신환자는 미래 출산예후가 양호하므로 보수적인 수술관리를 권장한다.[9]또한 난소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수술은 [7]난소의 일부만 가지고 임신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이것은 난소 쐐기 [5]절제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난소임신은 1988년 [11]자궁외임신 관리에 도입된 이후 메토트렉세이트로[10] 성공적으로 치료되어 왔다.
난소임신은 정상적인 자궁내임신과 함께 진행될 수 있다; 그러한 이소성임신은 자궁내임신을 위태롭게 하지 않기 위해 전문가의 관리를 필요로 할 것이다.
역학
난소임신은 드물다: 대부분의 이소임신은 난소에서 일어난다; 이소임신의 약 0.15-3%만이 [8]난소에서 일어난다.발병률은 [8]약 1:3,000에서[5] 1:7,000으로 보고되고 있다.
역사
1614년 Mercier (Mercerus라고도 함)는 난소임신을 [12]튜브임신과는 별개의 상태로 처음으로 설명했다.생리학의 연구가 [13]시작되자, 보이머는 자궁외 임신을 복부, 난소, 튜브의 세 종류로 분류했다.특히 메이어는 난소임신의 존재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당시 기록된 사례가 다른 [14]조건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논문을 썼다.그리고 나서 콘스타인은 난소임신을 위해 존재해야 할 4가지 기준이 존재한다고 제안했다.그의 요구 사항은 1) 임신이 의심되는 쪽에 난소가 없다는 것, 2) 난소 인대를 통한 자궁과 주머니의 연결, 3) 원통형 조직이 난소 알부기나와 주머니 벽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로 주머니의 층에 정렬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4) 양수강과 난소와의 연결의 증거였다.난포 또는 황체.이것들은 1878년 오토 슈피겔베르크의 기준에[15] 의해 대체되었고, 20세기까지 추가와 [16]수정으로 사용되었다.
1845년까지 약 80건의 난소임신이 [17]제안되었다.메이어가 난소임신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1845년 부정하면서, 의사들은 그들의 [18]사례의 설명과 분석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다.수많은 사례가 평가되었지만, 일부는 미시적 증거를 제공하지 못했고, 다른 일부는 임신에 필요한 조직학적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거나 하나 이상의 [19]기준에 실패했다.1899년 Catharine van Tussenbroek은 [20][21]첫 번째 정확한 임상 및 조직학적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난소 [12]임신의 존재에 대한 문제를 해결했다.의심스럽긴 [22][23]했지만, 그녀의 결과는 3년 후 [23]톰슨에 의해 확인되었다.
레퍼런스
인용문
- ^ Lin, E. P.; Bhatt, S; Dogra, V. S. (2008). "Diagnostic clues to ectopic pregnancy". Radiographics. 28 (6): 1661–71. doi:10.1148/rg.286085506. PMID 18936028.
- ^ a b Speert, H. (1958). Otto Spiegelberg and His criteria of Ovarian Pregnancy, in Obstetric and Gynecologic Milestones. New York: MacMillan. p. 255ff.
- ^ a b c d e f g h Helde, M. D.; Campbell, J. S.; Himaya, A.; Nuyens, J. J.; Cowley, F. C.; Hurteau, G. D. (1972). "Detection of unsuspected ovarian pregnancy by wedge resection". Th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06 (3): 237–242. PMC 1940374. PMID 5057958.
- ^ a b Ercal, T.; Cinar, O.; Mumcu, A.; Lacin, S.; Ozer, E. (1997). "Ovarian pregnancy: Relationship to an intrauterine devic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37 (3): 362–364. doi:10.1111/j.1479-828x.1997.tb02434.x. PMID 9325530. S2CID 34369714.
- ^ a b c d Raziel, A.; Schachter, M.; Mordechai, E.; Friedler, S.; Panski, M.; Ron-El, R. (2004). "Ovarian pregnancy-a 12-year experience of 19 cases in one institution".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14 (1): 92–96. doi:10.1016/j.ejogrb.2003.09.038. PMID 15099878.
- ^ Priya, S.; Kamala, S.; Gunjan, S. (2009). "Two interesting cases of ovarian pregnancy after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and its successful laparoscopic management". Fertil. Steril. 92 (1): 394.e17–9. doi:10.1016/j.fertnstert.2009.03.043. PMID 19403128.
- ^ a b c d e Odejinmi, F.; Rizzuto, M. I.; Macrae, R.; Olowu, O.; Hussain, M. (2009). "Diagnosis and laparoscopic management of 12 consecutive cases of ovarian pregnancy and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Gynecology. 16 (3): 354–359. doi:10.1016/j.jmig.2009.01.002. PMID 19423068.
- ^ a b c d e Nwanodi, O.; Khulpateea, N. (2006).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primary ovarian pregnancy". Journal of the National Medical Association. 98 (5): 796–798. PMC 2569290. PMID 16749658.
- ^ Manjula, N. V.; Sundar, G.; Shetty, S.; Sujani, B. K.; Mamatha. "A rare case of a ruptured ovarian pregnancy". Proceeding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Habbu, J.; Read, M. D. (2006). "Ovarian pregnancy successfully treated with methotrexat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6 (6): 587–588. doi:10.1080/01443610600831357. PMID 17000523. S2CID 23443252.
- ^ Kudo, M.; Tanaka, T.; Fujimoto, S. (1988). "A successful treatment of left ovarian pregnancy with methotrexate". Nippon Sanka Fujinka Gakkai Zasshi. 40 (6): 811–813. PMID 2969025.
- ^ a b 소렉 1926 페이지 106
- ^ 제이콥슨 1908, 페이지 241~242.
- ^ 제이콥슨 1908, 페이지 242~243.
- ^ 제이콥슨 1908, 페이지 243
- ^ 1926년 108쪽
- ^ 제이콥슨 1908 페이지 247
- ^ 제이콥슨 1908, 250페이지 250
- ^ 제이콥슨 1908, 페이지 258~262.
- ^ Rizk 2010, 페이지 267
- ^ 1914년 맥도날드, 페이지 92~93
- ^ 영국 의학 저널 1900, 페이지 1442
- ^ a b 레이 1921, 페이지 437
원천
- Jacobson, Sidney D. (1908). "True Primary Ovarian Pregnancy: Operation; Recovery". In Brooks, Henry T. (ed.). Contributions to the Science of Medicine and Surgery: In celebration of the twenty-fifth anniversary, 1882-1907, of the founding of the New York Post-Graduate Medical School and Hospital. New York: Jacobson New York Post-graduate Medical School and Hospital Faculty /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 McDonald, Ellice (1914). Studies in gynecology and obstetrics. New York: American Medical Publishing Co. OCLC 11339026.
- Ray, Henry M. (June 1921). "Primary Ovarian and Primary Abdominal Pregnancy: Their Morphological Possibility". Surgery, Gynecology & Obstetrics. Chicago: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 Franklin H. Martin Memorial Foundation. 32. Retrieved 21 March 2016.
- Rizk, Botros R. M. B. (2010). Ultrasonography in Reproductive Medicine and Infertilit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48457-2.
- Thorek, Max (February 1926). "Case of Ovarian Pregnancy with Histological Findings". The Illinois Medical Journal. Chicago: Illinois State Medical Society. 49: 106–111. Retrieved 6 April 2016.
- "Obstetrical Society of London". The British Medical Journal. London: Royal Medical and Chirurgical Society. 2 (2081): 1442. 17 November 1900. PMC 2463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