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탄 학교

Cretan School

크레타 학파는 중세 후기 크레타가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번성했다가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 절정에 달해 15, 16, 17세기 그리스 회화의 중심 세력이 된 중요아이콘 [1]페인팅 유파를 묘사하고 있다.크레타 화가들은 동서양의 예술적 전통과 움직임의 영향을 받아 특정한 스타일의 그림을 개발했다; 그 학교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엘 그레코는 서유럽에서 경력을 쌓으려고 노력한 많은 화가들 중 가장 성공적이었고, 또한 그의 뒤로 가장 멀리 비잔틴 스타일을 떠난 화가였다.그의 말년에.

15세기

영원도움의 성모님, 아마도 13세기 또는 14세기 초기 크레타 작품일 겁니다.
Nikolaos Zafouris의 1490년대 석고, 개탄, 부활 3점화(바르샤바 국립박물관).

중세 내내 유럽에는 비잔틴 성화에 대한 상당한 수요가 있었고, 1204년 이후 베네치아의 소유물로서 크레타는 자연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었고 곧 공급을 지배하게 되었다.가능한 초기 사례는 1499년까지 로마에서 잘 알려진 영원한 도움의 성모라고 알려진 로마의 유명한 성모상입니다.현재 크레타의 작품들은 양식적으로 다른 비잔틴의 작품들과 구별되는 것이 거의 없고, 작품의 질은 콘스탄티노폴리스와 관련된 것보다 낮다.

이 시기에는 지역 교회와 수도원에서 상당한 수의 벽화가 발견되었는데, 모두 850여 점의 14세기와 15세기의 벽화가 크레타에서 남아 있는데, 이는 초기나 후기 [2]시기보다 훨씬 많은 양이다.

15세기 후반까지 크레타 예술가들은 "정확한 윤곽, 얼굴의 볼에 짙은 갈색 언더페인트와 촘촘한 작은 하이라이트를 가진 육체의 모델링, 의복의 밝은 색, 휘장의 기하학적 처리, 그리고 마침내 균형 잡힌 관절로 구별되는 독특한 아이콘 페인팅 스타일을 확립했다.구성의 이온"[3] 또는 "윤곽선, 슬림한 실루엣, 선형 휘장 및 절제된 움직임"[4]입니다.그 시대의 가장 유명한 예술가는 안드레아스 리초스 (1421년경–1492년)였는데, 그의 아들 니콜라스 또한 잘 알려져 있었다.최근까지 17세기의 보수적인 화가로 여겨졌던 안젤로스 아코탄토스는 1436년 유언을 발견한 이후, 그 유서가 실제로 등록된 약 1457년까지 살아남은 비잔틴과 서양 양식을 융합한 혁신적인 예술가로 보인다.이 유언장은 콘스탄티노플로의 항해를 예상하여 작성되었다; 몇몇 성화는 교회 기관에 유산으로 남겼는데, 일부 가톨릭 신자이지만 주로 정교회였다. 그리고 그의 패턴 그림 재고의 처분은 신중하게 [5]명시되었다.안드레아스 파비아스 (1504년 이후 사망)와 그의 제자 안젤로스 비자모스, 니콜라스 차푸리스 (1501년 이전 사망)[6]는 다른 주요 예술가였다.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기 전부터 주요 비잔틴 예술가들이 크레타에 정착하기 위해 수도를 떠났다는 증거가 있다.크레타로의 비잔틴 예술가들의 이주는 다음 몇 년 동안 계속되었고 크레타가 "그리스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예술의 중심지"가 된 1453년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된 후 정점에 도달하여 그리스 세계의 나머지 예술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크레타 아이콘은 아토스 산과 다른 [7]곳에 있는 수도원들에 의뢰되었다.1522년 터키에 넘어갈 때까지 크레타 학파는 [8]로도스의 작고 덜 중요한 예술가 집단과 맞먹었다.

베네치아의 기록물은 15세기 말까지 대량 생산의 하나가 된 베니스와 크레타 사이의 예술적 아이콘 거래에 대한 상당한 문서를 보존하고 있다.1499년 성모 성모 성화 700개, 서양식 500개, 비잔틴식 200개 등 특정 주문에 대한 기록이 있다.주문은 베네치아인과 그리스 본토에서 온 두 명의 딜러에 의해 3명의 아티스트에게 이루어졌으며 계약일로부터 배송까지의 기간은 45일밖에 되지 않았다.아마도 그러한 의뢰된 많은 아이콘의 질은 상당히 낮았을 것이고, 마돈네리라는 용어는 그러한 대량 화가들을 묘사하기 위해 고안되었고, 마돈네리 역시 나중에 이탈리아에서 종종 준비잔틴 스타일을 사용했고, 분명히 종종 그리스인이나 달마티아인 개인을 사용했다.이러한 레벨의 아이콘의 생산은 시장의 과잉으로 이어졌고, 이후 20년 동안 유럽의 수요가 [9]감소하면서 크레타 무역이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증거가 많다.하지만 시장의 최상단에서 크레타 아이콘은 이제 비잔틴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아이콘이었다.

16세기

약 120명의 예술가들이 1453년부터 1526년까지 칸디아(현재헤라클레이온)에서 작업한 것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그들은 이탈리아 [10]모델을 바탕으로 Schuola di San Luca 화가 길드를 조직했다.동양의 전통과 서양의 전통이 혼합되고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의식의 편안한 교류가 이 섬의 예술의 황금기인 "크레탄 르네상스"로 이어졌으며, 이 시기에는 문학과 회화가 모두 번성했다.이 화가들 중 일부는 콘스탄티노플의 비잔틴 전통을 이어가는 것을 선택했고, 다른 화가들은 조반니 벨리니[11]티티아누스와 같은 베네치아 르네상스의 거장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나중에 베로네즈는 특별한 영향력이 될 것이다.이 거장들의 작품이나 복제품들은 섬의 수도원과 교회에 있었고, 초기 네덜란드 그림의 칸디아의 가톨릭 교회를 장식하거나 부유한 베네치아인들과 [12]그리스인들의 개인 소장품에서 발견되었다.특히, 칸디아에는 큰 프란치스코회 교회와 성 캐서린 수도원의 딸 집인 큰 정교회 수도원이 있었는데, 이 두 곳 모두 각각의 전통으로부터 강한 수집품을 가지고 있었다.

현대 문서들은 그림에서 두 가지 스타일을 언급한다: 마니에라 그레카 (비잔티움 성어와 일치하는 알라 그레카)와 마니에라 라티나 (서양의 기법에 따른 알라 라티나); 화가들이 알고 상황에 따라 사용하였고, 그 결과 일종의 "생태주의"[13]가 나타났다.실제로, 때때로 두 스타일 모두 같은 아이콘, [12]즉 바로 옆에 있는 아이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가장 유명한 크레타 화가들의 명성은 그리스, 지중해 그리고 유럽 전역에 퍼졌다.16세기 초 이후, 크레타 예술가들은 다시 한번 더 많은 의뢰를 받았고 그들의 작품은 그들의 시대의 새로운 트렌드에 맞춰 새로운 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열심히 추구되었다.어느 정도 지난 세기에 비해 양이 질로 대체되었을 것이다.

16세기 예술가

게오르기오스 클론차스의 세의 그리스도의 열정 장면(우익 소실)

엘 그레코를 제외하고, 세기의 가장 유명한 크레타 예술가들은 테오파네스 크레타알려진 테오파니스 스트렐리차스, 미카엘 다마스케노스, 게오르기오스였다.람바르도스 가문의 다양한 구성원들 또한 중요한 예술가였다.미술사학자들에게는 다행스럽게도, 많은 크레타 화가들은 전통적인 비잔틴 관습이 [14]아닌, 아마도 서양 화가들처럼 일찍부터 그들의 작품에 서명하는 관행을 채택했다.

Theophanes the Cretanes는 비교적 보수적인 크레타 화가였고, 그의 첫 번째 작품은 1527년 작품이며, 알려진 모든 작품은 본토나 더 작은 섬에서 만들어졌다.그는 서양의 도상학 및 문체적 요소들을 통합한 그의 시대 가장 중요한 그리스 벽화가였지만, 본질적으로는 비잔틴적인 정신으로 남아있었다.

젊은 엘 그레코의 지적, 예술적 개성은 이러한 예술적 환경에서 형성되었다.1563년, 22세의 나이로, 엘 그레코는 문서에 "마에스트로 도메니고" (maestro Domenigo)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그가 이미 지역 길드의 등록 마스터였고 아마도 자신의 [15]워크샵을 책임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는 몇 년 후 베니스로 떠났고, 크레타로 돌아오지 않았다.1567년 이전 템페라와 금으로 된 판넬(61,4 x 45cm, 헤르모폴리스, 시로스)의 그의 성모 기숙사아마도 엘 그레코의 크레타 시대 말기에 만들어졌을 것이다.이 그림은 포스트비잔틴과 이탈리아 매너리즘의 문체적, 도상적 요소를 결합하고 있으며 크레타파의 문체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6세기 후반 동안, 많은 크레타 예술가들은 의뢰와 인정을 받기 위해 베니스로 갔다.엘 그레코와는 달리, 그곳으로 이주한 다른 크레타 화가들은 그들의 스타일이나 작업 방식을 크게 바꾸지 않았다.그들은 단지 더 많은 이탈리아 모티브를 일관된 비잔틴의 틀에 통합했다.조나단 브라운은 엘 그레코가 베니스에서 활동한 다른 크레타 예술가들과 자신을 구별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하는 반면, 리차드 만은 "이들 중 누구도 예술의 창조와 변화의 관련성에 대한 르네상스 사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6]고 주장한다.미카엘 다마스케노스는 3년 후에 크레타로 돌아왔고, 그의 여생을 크레타에 머물렀다.

17세기

그대 안에서
클론차스 (1530-1608)
그대 안에서
풀라키스 (1622-1692년)

1600년대는 크레타 학파의 마지막 시기로 특징지어진다.그 운동에는 많은 예술가들이 참여했습니다.후기 크레탄 학교는 마이클 다마스키노스게오르기오스 클론차스만든 프로토타입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그 기간 동안 다마스키노스세례자 요한의 참수스테판돌팔매는 수많은 크레타 예술가들에 의해 모방되었다.필로테오스 스쿠포스[17]있었다.

게오르기오스 클론차스는 후기 크레타파의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모방된 또 다른 크레타 화가였다.의 '그대 안에서'와 '최후의 심판'은 모두 후기 크레타파 화가들의 기준이 되었다.테오도르 폴라키스는 후기 크레타 학파의 저명한 멤버였다.클론차스의 그림에 대한 그의 버전은 In You Repliceth라고도 불렸다.두 그림 모두 매우 비슷하다.많은 다른 화가들도 그들만의 클론자스의 '그대 안에서'를 만들었습니다.[18]

최후의 심판은 그리스-이탈리아 비잔틴 양식의 예술가들에 의해 다뤄졌다.클론차스는 자신만의 독특한 버전의 그림을 그렸다.클론차스의 최후의 심판은 후기 크레타 학파의 예술가들이 베낀 것이다.주목할 만한 버전은 모스코스의 '최후의 심판'과 카베르자스의 '최후의 심판'[19]이다.

후기 크레타 학파의 가장 중요한 예술 발전 중 하나는 이레미아스 팔라다스의 작품이었다.팔라다는 시나이트 승려였다.그는 신을 모시는 성 캐서린 수도원의 우상화를 위해 바퀴와 불타는 덤불로 알렉산드리아캐서린을 그렸다.이 그림은 후기 크레타 학파의 수많은 화가들에 의해 모방되었고 오늘날까지 알렉산드리아의 성 캐서린을 묘사하는 원형으로 사용되고 있다.후기 크레타 학파의 화가들도 그들만의 십자가형을 만들었다.주목할 만한 버전은 Ioannis Moskos의 십자가 처형과 Georgios Markazinis의 십자가 [20]처형이다.

엠마뉴엘 차네스의 아이콘(폴과 알렉산드라 카넬로풀로스 박물관, 아테네).

17세기 크레타 학파를 대표하는 또 다른 주요 인물로는 유명한 그리스 화가 엠마뉴엘 차네스가 있는데, 그의 작품 중 130점이 살아남았다.크레타 아이콘 화가들은 세기 중반까지 계속 번성했다.베네치아 미술만이 크레타 학파의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다.후기 크레타 학파는 조각가 사델러 1세의 조각의 영향을 받은 것이 특징이다.사델러는 베니스에서 워크숍을 했다.그의 작품은 콘스탄틴스 차네스와 게오르기오스 마르카지니스에게 영향을 미쳤다.

오스만 투르크는 1669년 [21]20년간의 포위 끝에 마침내 함락된 칸디아를 제외한 모든 섬을 점령했다.오스만 제국의 크레타 점령 이후, 그리스 그림의 중심은 나폴레옹 전쟁 때까지 베네치아의 지배하에 있던 이오니아 제도로 옮겨갔다.주로 서유럽의 예술적 경향에 영향을 받은 헵탄 학파라고 불리는 새로운 예술 운동이 만들어졌다.많은 크레타 예술가들은 예술의 자유를 즐기기 위해 헵타이나 서유럽으로 이주했다.점령 후 크레타에서 계속 번성하는 예술가는 거의 없었다.그들 중 일부는 미카엘 프레벨리스, 요아니스 코르나로스, 게오르기오스 카스트로필라카스였다.프랑스영국에 의한 이오니아 섬들의 연이은 점령은 1830년 그리스가 독립할 때까지 헵탄 섬들이 그리스 예술의 중심지로 남아 있게 했다.

조사.

신그리스 연구소는 비잔틴 제국의 몰락부터 현대 그리스가 시작될 때까지의 수많은 예술가들의 기록을 요약한 세 권의 백과사전을 발간했다.그리스 화가가 이 같은 규모와 규모에 이름을 올린 것은 사상 처음이다.이 작품은 조르지오 바사리의 "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의 삶"과 베르나르도 도미니키의 "비테피토리", "스컬토리", "에디테티 나폴리타니"[17]닮았다.

그 책들은 수천 점의 그림, 프레스코, 그리고 다른 예술 작품들을 특징으로 한다.백과사전에는 수백 명의 화가가 등장한다.이 세 권의 책은 현재 그리스어로만 구할 수 있으며, 가을 이후의 그리스 화가들 (1450년-1830년) 또는 그리스 화가들 (1450년-1830년)이라는 제목이다.유제니아 드라코풀루와 마놀리스 핫지다키스가 주요 공헌자였다.이 책들은 1987년, 1997년, 2010년에 출판되었다.이 책에는 크레타 학파나 그리스 르네상스 시대의 많은 예술가들이 등장한다.드라코풀로는 오늘까지 연구소와 [22][23]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된 후 그리스 화가들의 아카이브를 건설하는 것이다.그것은 상세한 전기와 예술 작품 색인을 특징으로 한다.신그리스 연구소는 휴대용 아이콘, 교회 벽화, 또는 다른 예술 작품들을 분류합니다.그리스에서 이 [24]기간을 대표하는 체계적인 기록이 축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갤러리

「 」를 참조해 주세요.

인용문

  1. ^ Spratt, Emily L. (2012). "Toward a Definition of "Post-Byzantine" Art: The Angleton Collection at the Princeton University Art Museum". Record of the Art Museum, Princeton University. 71/72: 2–19. JSTOR 24416383.
  2. ^ 비잔티움에서 그레코에 이르는 마놀리스 차지다키스, 1987년 아테네, 비잔틴 미술관
  3. ^ Nano Chatzidakis, 비잔틴에서 엘 그레코까지, 1987년 아테네, 비잔틴 미술관
  4. ^ Grove Art Online, Begrove Art Online의 포스트비잔틴 아트 부문 Anne Met-Graavgard 2008년 1월 31일 접속
  5. ^ Robin Cormack; Painting the Soul; 182-191; 1997; Reaktion Books, London; ISBN 1-86189-001-X.이전 보기는 D를 참조하십시오.비잔틴 아트
  6. ^ Manolis Chatzidakis in The Icon, 1982, 에반스 브라더스, 런던, 311-12페이지, ISBN 0-237-45645-1
  7. ^ Nano Chatzidakis, op cit, 페이지 48
  8. ^ 비잔틴에서 엘 그레코로 가는 로빈 코맥, 1987년 아테네, 비잔틴 미술관
  9. ^ 비잔티움에서 엘 그레코에 이르는 마리아 콘스탄투다키 키트로밀리데스, 아테네, 1987년, 비잔틴 미술관
  10. ^ Manolis Chatzidakis in The Icon, 1982, Evans Brothers Ltd, 런던, 310페이지, ISBN 0-237-45645-1
  11. ^ a b M. 타자르테스, 엘 그레코, 23-24
  12. ^ a b M. 람브라키플라카, 엘 그레코—그리스인
  13. ^ M. 람브라키-플라카, 엘 그레코-그리스어, 40-41
    * M. Tazartes, 엘 그레코, 23-24
  14. ^ 데이비드 탤벗 라이스, 비잔틴 아트, 1968년 제3판 펭귄북스, 페이지 384Cormack, 1997, op cit., 페이지 172-4 & passim을 참조하십시오.
  15. ^ N.M. 파나요타키스, 도메니코스의 크레타 시대, 29
  16. ^ J. 브라운, 엘 그레코, 톨레도, 76-78
    * R.G. Mann, 그레코 작품의 전통과 독창성, 88
  17. ^ a b Hatzidakis, Manolis (1987). Έλληνες Ζωγράφοι μετά την Άλωση (1450-1830). Τόμος 1: Αβέρκιος - Ιωσήφ [Greek Painters after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0-1830). Volume 1: Averkios - Iosif]. Athens: Center for Modern Greek Studie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pp. 241–254. hdl:10442/14844. ISBN 960-7916-01-8.
  18. ^ Speake, Graham (2021). Georgios Klontzas Encyclopedia of Greece and the Hellenic Tradition. London And New York: R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p. 893. ISBN 9781135942069.
  19. ^ Siopis, Ioannis (2016). Το Θέμα της Δευτέρας Παρουσίας στις εικόνες [A Detailed History of the Second Coming (Last Judgment) in Greek Paintings (Greek)] (PDF). Thessaloniki, Greece: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School of Philosophy Division of Archaeology and History. p. 51-53.
  20. ^ Vafea, Flora (2017). The Astronomical Instruments in Saint Catherine's Iconography at the Holy Monastery of Sinai The Almagest Volume 8, Issue 2. Paris, France: University of Paris. p. 85-106. doi:10.1484/J.ALMAGEST.5.114932.
  21. ^ X. Papaefthimiou, 그리스 아이콘그래피인기 있는 양상 2012년 5월 24일 아카이브에 보관.
  22. ^ Hatzidakis, Manolis & Drakopoulou, Eugenia (1997). Greek painters after the fall (1450-1830) Volume B. Athens, GR: Center for Modern Greek Studies E.I.E. pp. 10–15.
  23. ^ *Drakopoulou, Eugenia (2010). Greek painters after the fall (1450-1830) Volume C. Athens, GR: Center for Modern Greek Studies E.I.E. pp. 1–20.
  24. ^ Eugenia Drakopoulou (August 15, 2021). "Χριστόδουλος Καλλέργης (Καλέργης)". Institute for Neohellenic Research. Retrieved August 15, 2021.

레퍼런스

일반

엘 그레코

  • 자비에르 주 브레이, 엘 그레코, 2004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컴퍼니(먼 예일대)ISBN 1-85709-315-1
  • Brown, Jonathan (1982). "El Greco and Toledo". El Greco of Toledo (catalogue). Little Brown. ASIN B-000H4-58C-Y.
  • Lambraki-Plaka, Marina (1999). El Greco-The Greek. Kastaniotis. ISBN 960-03-2544-8.
  • Mann, Richard G. (2002). "Tradition and Originality in El Greco's Work" (PDF). Journal of the Rocky Mountain. The Medieval and Renaissance Association. 23: 83–1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6-09-06. Retrieved 2006-12-12.
  • Panayotakis, Nikolaos M. (1986). ""The Cretan Period of the Life of Doménicos Theotocópoulos". Festschrift In Honor Of Nikos Svoronos, Volume B. Crete University Pres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