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페미니즘
Postfeminism시리즈의 일부(on) |
페미니즘 |
---|
![]() |
![]() |
포스트 페미니즘(post-feminism)이라는 용어는 페미니즘의 모순과 부재에 대한 반응, 특히 제2의 물결 페미니즘과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4파 페미니즘이나 제노 페미니즘과 같은 후속 페미니즘과 혼동되기도 합니다.
포스트 페미니즘의 이념은 기존의 페미니즘과 대조적으로 인식됩니다.어떤 형태의 포스트 페미니즘은 성 관련 진보의 다음 단계를 향해 노력하며, 이는 종종 경직된 성 역할과 [citation needed]표현에 의해 더 이상 정의되지 않는 사회를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포스트페미니스트([citation needed]post feminist)는 1970년대의 페미니즘에서 비롯된 다양한 이념들을 믿거나, 장려하거나, 또는 구현하는 사람입니다.
포스트 페미니즘은 페미니즘과 대중문화, 여성성 사이의 변화된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은 또한 제2의 페미니즘 또는 제3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들의 이중적 사고와 본질주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비전, 여성성과 페미니즘의 관계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의문을 제기합니다.그것은 또한 절대적인 성 평등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거나 현실적으로 달성 [citation needed]가능하다는 생각을 복잡하게 하거나 심지어 완전히 부정할 수도 있습니다.
기명이력
1919년에는 '여성 문학 급진주의자들'이 "우리는 지금 남성과 여성이 아닌 사람들에게 관심이 있다", "도덕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기준이 '성과 관련이 없어야 한다', "반남성적이지 않은 친여성적"", "그들의 입장은 [포스트 페미니즘][1]이라고 불린다"는 저널이 창간되었습니다[which?].
이 용어는 1980년대에 제2의 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은 이제 이전의 페미니즘 담론에 비판적 접근을 하고 제2의 [2]물결의 사상에 대한 도전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론의 꼬리표가 되었습니다.다른 포스트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이 더 이상 오늘날의 [3][4]사회와 관련이 없다고 말합니다.아멜리아 존스(Amelia Jones)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등장한 포스트 페미니즘 텍스트가 제2의 물결의 페미니즘을 단일한 실체로 묘사했으며 그들의 [5]비판에서 지나치게 일반화했다고 썼습니다.
1990년대에는 학계는 물론 언론계에서도 이 용어가 대중화되었습니다.그것은 칭찬과 경멸의 용어로 여겨졌습니다.듀크 대학교의 토릴 모이(Toril Moi) 교수는 원래 1985년 성/텍스트 정치에서 "자유주의적" 페미니즘과 차이 기반 또는 급진적 페미니즘 사이의 이항을 해체하는 페미니즘을 옹호하기 위해 이 용어를 만들었습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의 맥락에서 포스트의 의도된 의미를 둘러싼 혼란이 존재합니다.이러한 혼란은 1990년대부터 "포스트 페미니즘"의 의미를 괴롭혀 왔습니다.이 용어는 한편으로는 페미니즘의 종식을 알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자체가 [6]페미니즘 정치의 현장이 되었습니다.
포스트 페미니즘에서 포스트가 역사적 단절로서 갖는 의미는 문제가 있습니다.포스트는 이 역사의 종말을 선언함으로써 페미니즘을 역사 속에 위치시킬 것을 제안합니다.그리고는 여성주의 역사를 과거의 일로 확인합니다.그러나 현재의 세계를 포스트 인종주의, 포스트 계급주의, 포스트 성차별주의 [6]사회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페미니즘이 생각할 수 없는 상황에서 '포스트'에 동조할 수 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현대적으로, 학문적 페미니즘과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뉴스 미디어에서 행해지는 팝 페미니즘 사이에는 구분이 있습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은 페미니스트 전통에서 다양하고 종종 모순적인 생각을 사용하는 개인의 이념적, 사회적 결정을 설명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며, 이는 그들이 실제로 페미니스트 이론에 의해 알려지는 결정을 내리지 않으면서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묘사할 수 있도록 합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은 역사적으로 여성주의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여겨져 온 가치들에 대해 사과하기 위해 표면적으로 페미니즘 이론을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독실한 가톨릭, 결혼 제도, 부르카 착용.
특성.
1980년대 초반은 언론이 10대 여성과 20대 여성을 '포스트 페미니즘 세대'로 규정하기 시작한 시기입니다.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포스트페미니스트라는 용어는 젊은 여성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고용과 교육에 대한 접근의 확대와 새로운 가족 구성을 통해 여성 운동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동시에 더 이상의 정치적 변화를 추진하지는 않는다"고 파멜라 아론슨 사회학 교수는 주장합니다.포스트 페미니즘은 페미니즘이 "죽었다"는 의미와 "그들이 상정하는 평등이 대부분 [7]신화이기 때문에" 매우 논쟁적인 주제입니다.
교수의 말에 의하면. D. Diane Davis, 포스트 페미니즘은 제1, 2파 페미니즘이 원하는 [8]것의 연속일 뿐입니다.
2000년대에 켄트 주립 대학교에서 수행된 연구는 포스트 페미니즘을 네 가지 주요 주장으로 좁혔습니다: 페미니즘에 대한 지지가 감소했습니다; 여성들은 페미니즘과 페미니즘을 증오하기 시작했습니다; 사회는 이미 사회적 평등을 달성했고, 페미니즘을 구식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페미니스트"라는 꼬리표는 부정적인 [9][10]오명으로 인해 싫어졌습니다.
포스트 페미니즘 작업의 예
그녀의 1994년 저서 누가 페미니즘을 훔쳤을까요? 여성이 여성을 배신한 이유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즈는 현대 학문적 여성주의 이론과 여성주의 운동의 많은 부분을 동성애 중심적이라고 생각합니다.그녀는 이를 "젠더 페미니즘"이라 부르고 완전한 시민적 평등과 법적 평등을 지향하는 이념인 "평등 페미니즘"을 제안합니다.그녀는 자신이 성별 페미니스트로 지정한 페미니스트들이 특혜를 옹호하고 여성을 피해자로 묘사하는 반면, 형평성 페미니즘은 실행 가능한 대안적 형태의 [11]페미니즘을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이러한 묘사와 그녀의 다른 작품들은 호프 소머를 다른 [12][self-published source][13]페미니스트들에 의해 반페미니스트로 묘사하게 만들었습니다.
Katha Pollitt나 Nadine Strosen과 같은 일부 현대 여성주의자들은 페미니즘을 단순히 "여성은 사람이다"라고 주장합니다.이 작가들은 [14][15]남녀를 하나로 묶기보다는 분리하는 관점을 페미니즘이라기보다는 성차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멜리아 존스(Amelia Jones)는 1980년대/1990년대에 등장한 포스트 페미니즘 텍스트를 저술하고 제2의 물결 페미니즘을 단일한 존재로 묘사하고 일반화를 사용하여 비판했습니다.
이 용어의 가장 초기 현대적인 사용법 중 하나는 뉴욕 타임즈 매거진에 게재된 수잔 볼로틴의 1982년 기사 "포스트 페미니즘 세대의 목소리"에서입니다.이 글은 페미니즘의 목표에 대체로 동의하면서도 [16]페미니스트로 정체성을 밝히지 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수잔 팔루디, 1991년 저서 백래시: 미국 여성에 대한 미선언 전쟁은 1980년대 제2의 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이 용어를 통해 성공적으로 페미니즘을 재정의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녀는 그것이 1980년대 후반에 여성들을 괴롭히는 것으로 주장되는 많은 문제들의 원인으로서 여성 해방 운동을 구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녀는 또한 이러한 많은 문제들이 신뢰할만한 증거 없이 언론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그녀에 따르면, 이러한 반발은 여성들이 동등한 [17]권리를 얻기 위한 노력에서 상당한 이익을 얻었던 것처럼 보였을 때 반복되는 역사적인 경향이라고 합니다.
안젤라 맥로비(Angela McRobbie)는 페미니즘에 포스트라는 접두사를 추가하는 것은 여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의 평등을 달성하는 데 있어 페미니즘이 이룬 진보를 훼손한다고 주장했습니다.맥로비의 의견에 따르면, 포스트 페미니즘은 평등이 이루어졌고 페미니스트들은 이제 완전히 다른 것에 집중할 수 있다는 인상을 주었습니다.맥로비는 포스트 페미니즘이 브리짓 존스의 일기, 섹스 앤 더 시티, 앨리 맥빌과 같은 소위 페미니스트 미디어 제품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인다고 믿었습니다.브리짓 존스나 캐리 브래드쇼 같은 여성 캐릭터들은 해방을 자처하며 자신들의 섹슈얼리티를 분명히 즐겼지만, 그들이 끊임없이 찾고 있던 것은 모든 [18]것을 가치 있게 만들어 줄 한 남자였습니다.
포스트 페미니즘의 표상은 대중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포스트페미니즘은 대중문화를 거부하는 대신 수용하는 페미니즘의 한 형태로 미디어에서 보여졌고, 제2의 물결 [19]페미니스트들의 전형적인 모습이었습니다.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많은 인기 있는 쇼들은 다른 여성들의 대중적인 문화적 표현에 의해 힘을 얻은 여성들에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포스트 페미니즘 작품으로 여겨집니다.이 때문에 포스트페미니스트들은 그러한 미디어가 과거의 미디어에서의 여성에 대한 표현보다 더 접근하기 쉽고 포괄적이라고 주장했지만,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포스트페미니스트 작품이 백인 중산층 [19]여성에 너무 많이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생각합니다.그러한 쇼들과 영화들은 The Devil Wears Prada, Xena: Warrior Princess, The Princess Diaries, 그리고 Buffy the Vampire Slayer를 포함합니다.또 다른 예로는 섹스 앤 더 시티가 있습니다.섹스 앤 더 시티의 캐리 브래드쇼(Carrie Bradshaw)는 포스트 페미니즘 시대를 살아가는 인물의 예입니다.그녀의 캐릭터가 성적으로 자유로운 생활방식을 시도하는 동안, 브래드쇼는 한 남자의 사랑과 인정을 끊임없이 추구하며 갇혀있습니다.성공한 칼럼니스트로서의 브래드쇼의 독립적 삶과 남편을 찾고자 하는 욕망 사이의 균형은 포스트 [20]페미니즘의 긴장감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이러한 작업들 중 많은 부분은 다이어트, 운동, 혹은 가장 일반적으로 화장 [21]장면과 같은 자기 관리의 한 형태로서 자신의 외모를 감시하는 여성들을 포함합니다.여성주의자들은 여성주의 문학, 일명 병아리 빛이라고도 하는데, 이와 유사한 주제와 개념으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습니다.하지만, 이 장르는 또한 여성주의적인 주제를 불러오고, 여성을 중심으로 하며,[22] 소설의 기준을 재창조하면서, 자신감 있고, 재치 있고, 복잡하다는 것으로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예들은 예쁜 거짓말쟁이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소설들은 포스트페미니즘과 맥을 같이 하는 양성평등을 전제로 하는 사회에서 소녀기의 복잡성을 탐구합니다.시리즈 주인공들의 끊임없는 감시와 자기 통제는 소녀들에게 강요되는 이성애, 초여성성, 비판적 시선의 연기를 묘사합니다.프리티 리틀 라이어스의 소녀들의 물질주의와 퍼포먼스는 사회가 완전한 성평등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을 비판하고 따라서 포스트 페미니즘에 [23]대한 비판을 제공합니다.
싱가포르의 프린트 주얼리 광고에 대한 기사에서 미셸 라자는 '포스트 페미니즘' 여성성의 구축이 어떻게 신자유주의 혼성체 "발음된 자아 감각 또는 'I-dentity'를 낳았는지 분석합니다.그녀는 여성 임금 근로자의 증가로 인해 광고주들이 그들의 여성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게 되었지만 "이 혼합된 포스트 페미니즘 I-치과를 통해 광고주들은 [24]현 상태와 공존하는 새로운 규범성을 재설치할 방법을 찾았습니다."라고 말합니다.포스트 페미니즘 광고와 패션은 [25]해방으로 베일에 가려진 상품으로 여성성을 이용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참고 항목
- Angela McRobbie 런던대학교 Goldsmiths의 커뮤니케이션 교수
- 성별연구
- 청소년 문화(영국)
- 런던 킹스칼리지 사회문화분석학 교수 로잘린드 길
- 트라베스티(성 정체성)
- 우먼리즘
참고문헌
- ^ Cott, Nancy F., 현대 페미니즘의 기초 (뉴헤이븐: 예일 대학교)프레스, [2d 프린팅?] pbk 1987 ( ISBN0-300-04228-0)(행주 ISBN0-300-03892-5), p. 282(저자교수)미국학 & 역사, 예일대학교.) (책은 주로 1910-1920년대의 미국 페미니즘에 관한 것이다.) (n. 23 (끝) 생략) (n. 23 (전문): "23. 주디 1:1 (1919년 6월); 2:3 (1919년), n.p., SL." ("SL"은 작은 대문자로 & "The Arthur and Elizabeth Schulesinger Library on Women History in America, Radcliffe College, 캠브리지,매사추세츠 주, perid., p. 285 (Notes (Libraries))에서 사용되는 약어들.
- ^ Wright, Elizabeth, Lacan and Post feminism (아이콘 북스, 2000), ISBN 978-1-84046-182-4
- ^ Abbott, Pamela; Tyler, Melissa; Wallace, Claire (2005).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Feminist Perspectives (3rd ed.). Routledge. p. xi. ISBN 978-1-134-38245-3.
- ^ Mateo–Gomez, Tatiana (2009). "Feminist Criticism". In Richter, William L. (ed.). Approaches to Political Thought. Rowman & Littlefield. p. 279. ISBN 978-1-4616-3656-4.
- ^ 존스, 아멜리아."포스트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쾌락, 그리고 구현된 예술 이론", 새로운 페미니스트 비평:예술, 정체성, 액션, 편집.요아나 프루, 카산드라 L 랭거, 알린 레이븐.뉴욕: 하퍼 콜린스, 1994.16–41, 20.
- ^ a b Kavka, Misha (2002). "Feminism, Ethics, and History, or What is the "Post" in Postfeminism?". Tulsa Studies in Women's Literature. 21 (1): 29–44. doi:10.2307/4149214. JSTOR 4149214.
- ^ Aronson, Pamela (2003). "Feminists or "Postfeminists"?: Young Women's Attitudes toward Feminism and Gender Relations". Gender and Society. 17 (6): 903–22. doi:10.1177/0891243203257145. S2CID 146792123.
- ^ Davis, Debra Diane, 헤어짐 [at] 전체성: 웃음의 수사학 (Carbondale: Carbondale:서던 일.Univ. Press, 2000 (ISBN 0-8093-2228-5)), p. 141 n. 8 (제목에 괄호가 있어서 원본) (저자 as st. prof.수사학 (Iowa University of Iowa.
- ^ Hall, Elaine J.; Rodriguez, Marnie Salupo (2003). "The Myth of Postfeminism". Gender and Society. 17 (6): 878–902. doi:10.1177/0891243203257639. JSTOR 3594675. S2CID 145741088.
- ^ Abbott, Pamela; Tyler, Melissa; Wallace, Claire (2006).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Feminist Perspectives. Routledge. p. 52. ISBN 9781134382453.
- ^ 호프 소머스, 크리스티나, 누가 페미니즘을 훔쳤나요?여성이 여성을 배신한 방법 (터치스톤/사이먼 & 슈스터, 1995)
- ^ 홍수, 마이클 (2004년 7월 7일)."백래쉬: 분노한 남자들의 운동", 스테이시 엘린 로시, ed.:더 배틀 앤 백래시 레이지 온. 엑스리브리스, 273ISBN 1-4134-5934-X
- ^ "Uncovering the Right—Female Anti-Feminism for Fame and Prof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2-15. Retrieved 2007-12-21.
- ^ Pollitt, Katha, 합리적인 생물: 여성과 페미니즘에 대한 에세이 (Vintage, 1995) ISBN 978-0-679-76278-2
- ^ Strosen, Nadine, Defending Pornography: 자유로운 표현, 섹스, 그리고 여성의 권리를 위한 싸움 (Prentice Hall & IBD, 1995), ISBN 978-0-684-19749-4
- ^ 로젠, 루스.세계 분열: 현대 여성 운동이 미국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뉴욕: 바이킹, 2000, 275, 337
- ^ 팔루디, 수잔, 백래시: 미국 여성에 대한 선전포고 없는 전쟁 (Three River Press, 2006)
- ^ McRobbie, Angela (2004). "Post‐feminism and popular culture". Feminist Media Studies. 4 (3): 255–264. doi:10.1080/1468077042000309937. S2CID 56017452.
- ^ a b Feasey, Rebecca (7 August 2010). "Charmed: Why Teen Television Appeals to Women". Journal of Popular Film and Television. 34:1: 2–9. doi:10.3200/JPFT.34.1.2-9. S2CID 194032693.
- ^ Gerhard, Jane (August 2006). "Sex and the City, Feminist Media Studies". Feminist Media Studies. 5: 37–49. doi:10.1080/14680770500058173. S2CID 147350827.
- ^ "Post feminism in popular culture: A potential for critical resistance?". Politics and Culture. 2009-11-09. Retrieved 2018-04-17.
- ^ "What is chick-lit? Electronic Book Review". www.electronicbookreview.com. Retrieved 2018-04-17.
- ^ Whitney, Sarah (11 November 2017). "Kisses, Bitches: Pretty Little Liars Frames Postfeminism's Adolescent Girl". Tulsa Studies in Women's Literature. 36 (2): 353–377. doi:10.1353/tsw.2017.0026. ISSN 1936-1645. S2CID 148901816.
- ^ Lazar, Michelle (2014). "Recuperating feminism, reclaiming femininity: Hybrid postfeminist I-dentity in consumer advertisements". Gender and Language. 8 (2): 205–224. doi:10.1558/genl.v8i2.205.
- ^ "AMERICANA: "A Critique of Post-feminism" by Zsófia Kulcsár". americanaejournal.hu. Retrieved 2018-04-17.
- 페미니즘, 윤리, 역사 혹은 포스트 페미니즘의 '포스트'란?Misha Kavka Tulsa 여성문학 연구 Vol. 21, No. 1 (Spring, 2002), pp. 29-44
추가열람
- Gill, Rosalind (May 2007). "Postfeminist media culture. Elements of a sensibility".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10 (2): 147–166. doi:10.1177/1367549407075898. S2CID 145620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