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린탄
Prolintane![]() | |
![]() | |
임상자료 | |
---|---|
경로: 행정 | 구강, 인트라나, 직장의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켐벨 | |
ECHA InfoCard | 100.007.077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15H23N |
어금질량 | 217.1987 g·messages−1 |
3D 모델(JSmol) | |
녹는점 | 133°C(271°F) |
비등점 | 153°C(307°F) |
| |
| |
![]() ![]() |
프롤린탄(Catovit, Katovit, Promil, Villescon)은 1950년대에 개발된 흥분제[1] 및 노레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다.[2]암페타민과 파생상품의 회원이다.화로발레론, 민주당V, 프로필헥세드린 등 다른 약물과 화학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작용기전이 유사하다.[3]프로린탄 남용 사례가 다수 보고됐다.[4]
'카토빗'이라는 상표명으로 프로린탄은 스페인 제약회사인 FHER에 의해 상용화되었다.카토비트는 2001년까지 판매되었으며, 학생들과 노동자들이 에너지를 공급하고, 경각심과 집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극제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참고 항목
- α-PVP(β-케톤-프로린탄, 프로린탄)
- 메틸렌디오옥시피로발레론(DPV)
- 피로발레론(센트로톤, 티머릭스)
- 페닐프로필라미노펜탄
참조
- ^ Hollister LE, Gillespie HK (March–April 1970). "A new stimulant, prolintane hydrochloride, compared with dextroamphetamine in fatigued volunteers".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 Journal of New Drugs. 10 (2): 103–9. doi:10.1177/009127007001000205. PMID 4392006.
- ^ GB 특허 807835
- ^ Nicholson AN, Stone BM, Jones MM (November 1980). "Wakefullness and reduced rapid eye movement sleep: studies with prolintane and pemolin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10 (5): 465–72. doi:10.1111/j.1365-2125.1980.tb01790.x. PMC 1430138. PMID 7437258.
- ^ Kyle PB, Daley WP (September 2007). "Domestic abuse of the European rave drug prolintane". Journal of Analytical Toxicology. 31 (7): 415–8. doi:10.1093/jat/31.7.415. PMID 17725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