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네카르 S반
Rhine-Neckar S-Bahn![]() | |
개요 | |
---|---|
네이티브 이름 | 에스반 라인네카르 |
운송종류 | 통근 철도 |
줄 수 | 9 |
측점수 | 113 |
데일리 라이더십 | 75,000 |
웹사이트 | 에스반 라인네카르 |
기술 | |
시스템 길이 | 437km(272mi)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표준 게이지 |
전기화 | 15 kV/16.7 Hz AC 오버헤드 |
라인-네카르 S-반(S-Bahn RheinNechar)은 만하임, 하이델베르크, 루드비히샤펜 등 라인네카르 지역의 도시 철도 교통망의 중추 역할을 한다.
S-Bahn은 Rineland-Palatinate와 Baden-Wüttemberg 주, 그리고 Saarland와 Hese의 작은 구간에서 437 km의 노선을 운행한다. S-Bahn 열차는 연간 약 750만 킬로미터를 운행하며, 113개의 역이 425 등급의 전기 복수 장치에 의해 운행된다.
네트워크
S-Bahn의 길이는 약 440km이며 독일에서 가장 큰 S-Bahn 네트워크 중 하나이다. 핵심 지역은 라인란트팔라틴 주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있다. 호메부르크(Saar)에서는 사알란드에 닿고, 헤세에는 네카르슈타인아흐와 허쉬혼 사이에 3개의 역이 있다. 7개 노선 중 4개 노선이 핵심인 쉬퍼스타트(Schifferstadt를 함께 달린다.루트비히샤펜-만하임-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구간. 이 본선을 넘어, S-Bahn은 홈버그, 오스터부르켄, 칼스루헤, 게르메스하임, 브루찰, 에핑겐, 아글라스터하우젠, 마인츠, 벤스하임 등 6개 라인에 걸쳐 종착역을 운행하고 있다.
서비스는 평일에 30분 또는 60분 간격으로 운영된다. 노선은 다른 승객과 화물 운송과 공유된다.
라인 번호를 붙이다 | 경로 | 길이 | 스테이션 | 철도 노선 |
---|---|---|---|---|
S 1 | 홈버그(사르) – 오스터버켄 홈버그(Saar) – 카이저슬라우테른 – 노이스타트(Weinstraße) – 쉬페르슈타트 – 루드비히샤펜(Rhein)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네카게므른트 – 에베르바흐 – 세카흐 | 202km | 54 | 만하임-사르브뤼켄, 라인밸리 철도, 네카르밸리 철도, 네카렐즈-오스터부르크켄 |
S 2 | 카이저슬라우테른 – Eberbach (– Mosbach (바덴)) 카이저슬라우테른 – Neustadt (Weinstraße) – Schifferstadt – Ludwigshafen (Rhein) – Mannheim – Heelberg – Nechargemünd – Eberbach (– Mosbach (Baden))를 경유함 | 133km | 39 | |
S 3 | 게르메스하임 – 칼스루헤 비아 게르메르스하임 – 슈페르슈타트 – 루드비히샤펜 (Rhein)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비슬로흐 발도르프 – 브룩살 – 카를스루헤 | 104km | 25 | 쉬페르슈타트-뷔르트, 만하임-사르브뤼켄, 라인 계곡 철도 |
S 33 | 브룩살 – 게르머스하임 Bruchsal – Graben-Neudorf – Philipsburg – Germersheim을 경유함 | 32km | 11 | 브루흐레인 철도 |
S 39 | Mannheim-Waldhof – Mannheim Hbf (– Karlsruhe Hbf) Mannheim-Luzenberg - Mannheim Hbf(-Hielberg Hbf - 비슬로흐-발도르프 - Bruchsal - Karlsruhe-Durlach)를 경유함) | 7km (79km) | 3 (20) | 라인밸리 철도 리드반 |
S 4 | 게르메스하임 – 브룩살 Speyer Hbf - Schifferstadt - Ludwigshafen (Rhein) Hbf - Ludwigshafen (Rhein) Mitte - Mannheim Hbf - Heelberg Hbf - Biesloch-Waldorf를 경유함 | 83km | 27 | 뷔르트-시페르슈타트, 만하임-사르브뤼켄, 라인 밸리 철도 |
루트비히샤펜(Rhein) BASF 노르드 – 루트비히샤펜(Rhein) Hbf Ludwigshafen (Rhein) BASF Mitte - Ludwigshafen (Rhein) BASF Süd를 경유함 | 5km | 4 | 바스프 철도공사 | |
S 5 | 하이델베르크 – 에핑겐 하이델베르크 – Neckargemünd – Meckesheim – 신스하임(Elsenz) – 에핑겐을 경유함 | 43km | 19 | 스틴스푸르트-에핑겐 엘센츠 계곡 철도 |
S 51 | (하이델베르크 –) 메케스하임 – 아글라스터하우젠 Necargemünd – Meckesheim – Waibstadt – Necarbischofsheim Nord를 경유함 | 39km | 14/16 | 네카르 계곡 철도, 엘센츠 계곡 철도, 메케스하임-네카렐즈 |
S 6 | 벤스하임 – 마인츠 헤펜하임(베르크스트) – 웨인하임(베르크스트) Hbf – Neu-Edingen/Friedrichfeld – Mannheim – Ludwigshafen(Rhein) – Frankental – Worms – Mainz | 108km | 31 | 메인-네카 철도, 라인 밸리 철도, 마인츠-루트비히샤펜 |
새 줄
2차 확장 단계의 일환으로, 현재도 지역반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으며, 라인-네카르 S-반에서 이미 운영하고 있는 다음의 3개 노선이 S-Bann 네트워크에 추가된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S-Bahn 네트워크는 총 길이가 550km에 이를 것이다. 총 158개 역이 운행된다.[1]
라인 번호 | 경로 | 언급 |
---|---|---|
S 7 | 만하임 – 벤스하임 만하임 – Neu-Edingen/Friedrichsfeld – Weinheim(베르크스트) – 헤펜하임(베르크스트) – Bensheim | 현재 RB 60 Mannheim-Bensheim 라인은 확장된 S6에 의해 사용되었다. 당초 2020년 12월부터 S-Bahn 네트워크에 S7을 통합할 계획이었다. |
S 8 | Mannheim – Schwetzingen – Karlsruhe Mannheim – Schwetzingen – Waghauel – Graben-Neudorf – Karlsruhe. | 지금 RB 2 S-Bahn 네트워크의 통합: 2020년 12월 |
S 9 | 만하임-비블리스-그로하임-로하임 만하임 – 람퍼테임 – 비블리스 – 그로브 로하임 | 이제 비블리스에서 그로하임까지 연장된 RB 2 S-Bahn 네트워크의 통합: 2020년 12월 |
2017년 12월부터 메인즈행 라인에 리빌드 클래스 425세트가 사용되고 있다.[2] 이 노선의 열차는 2018년 6월 10일부터 S6로 정식 운행되고 있다.[3]
작동 패턴
모든 노선은 60분 기본 주파수를 가진다. 핵심 영역 서비스에서 크게 겹치는 정렬의 결과로 30분 간격으로 실행된다. 쉬페르슈타트와 하이델베르크 사이의 핵심 노선에서 각각 시간 간격으로 4개 노선이 운행되지만 조정 문제로 인해 순수한 15분 간격 일정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루드비히샤펜-르잉외엔하임과 루드비히샤펜-문덴하임은 보통 S1과 S3 라인에 의해 서비스되지 않는다. S1호선은 보통 Mannheim Langierbahnhof와 Mannheim-Seckenheim을 서비스한다.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에는 하이델베르크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의 S2가 종착하고 S4는 게르메스하임과 만하임 사이를 운행한다.
노선은 05:00부터 01:30까지 운행되지만, 보통 정기적인 간격 연산은 약 08:00~21:00 사이에만 운행된다.
역사

2003년 12월 14일, 라인-네카 지역은 독일에서 S-Bahn 시스템을 가진 마지막 대규모 인구 밀집 지역이 되었다. 이 계획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고 바덴-뷔르템베르크, 헤세, 라인랜드-팔라티네이트 주의 협력과 관련이 있었다. 유럽 전역의 입찰자 광고에 이어 2002년부터[4] 2015년까지 12년간 운영한 것이 DB Regio에 돌아갔다.
개발1단계
2001년부터는 S-Bahn 운항을 위해 노선과 역이 준비되었다. 건설에는 1억 유로, 차량에는 1억 유로가 투자되었다. 용량 증대를 위해 긴급히 필요한 라인 강과 장거리 교통을 위한 쉬페르슈타트의 우회도로, 베를린에르 플라츠에 있는 루드비히샤펜-미트 S-반 역 사이에 여분의 다리가 건설되었다. 루드비히샤펜 하우프트반호프 근처에 새로운 S-Bahn 워크샵이 설립되었다.
역에서 많은 양의 균일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졌다. 승강장은 760mm까지 끌어올려 장애인들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그들은 대기실과 좌석과 같은 새로운 플랫폼 장비를 받았다.
트랙의 최종 구성이나 플랫폼의 향후 위치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만하임-세켄하임, 만하임-랭지에르반호프, 루드비히샤펜-먼덴하임, 루드비히샤펜-르힌혼하임의 플랫폼은 나무 판자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게르메스하임으로 확장
1단계는 2006년 말 홈버그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까지 연장, 만하임-스피어 노선은 게르메스하임까지 연장하여 완공되었다. 스피어 노선은 쉬페르슈타트 남쪽의 전기화와 3개 역의 개조가 필요했다. 스피어 수드에 새 역이 건설 중이지만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2011년 12월 게르메르스하임에서 그라벤누도르프, 브루찰스까지 추가 연장 개통, 2010년 12월 뷔르스암 레인에서 게르메스하임까지 카를스루헤 스타드반 S5노선 연장 개통.
홈버그로 확장(사르)
만하임-카이저슬라우테른 노선을 홈버그로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은 2006년 FIFA 월드컵에 대비한 긴급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제때 끝내지 못했고 2006년 12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됐다. S1 라인만 홈버그까지 운행하며, S2는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계속 종착한다. 홈버그 시는 이 연장선상에 재정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5]
2단계 확장
가동 개시 직후 라인-네카르 S-반(Line-Necar S-Bahn)이 기존에 서비스되지 않았던 도시와 지역을 S-Bann 네트워크에 통합하기 위한 2단계 확장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2008~2010년 [6]호메부르크, 브루찰스, 칼스루헤, 에핑겐, 다르슈타트, 웜스로의 추가 확장을 가능하게 했던 리얼시어룽스프로그램(Rhein-Nechar-Takt) 2010(2010년 라인-Neckar 시계페이스 시간표 시행 프로그램)에 명시된 일정은 2006년에 다시 거부되었다. 그 이유는 이른바 '코흐-슈타인브뤼크 논문'에 따라 연방철도지역화법(지역화법)에 따라 가용한 자금의 감소와 더불어, 특히 프랑크푸르트-만하임 고스페르트의 수용력 증대에 필요한 인프라 대책의 재원 마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에이드 철도
하이델베르크-에핑겐/아글라스터하우젠
2000년 11월 베르케르스포르움 2000은 처음으로 에핑겐에 연장을 제안했다.[7] 2002년 8월, 아글라스터하우젠, 배드 프리드리히샬-자그스트펠트, 에핑겐 3개 노선 모두 전기화를 위한 「표준화 평가」가 3.7의 편익비율을 보였다. 라인-네카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행정관이자 전 국장인 스테판 달링거는 이렇게 좋은 결과를 가진 어떤 프로젝트도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7] ZRN 이사회는 2003년 12월에 현대화를 승인했다.[7] 2004년 5월 13일 계획협약을 체결하고, 2007년 9월 20일 건설 및 자금조달 계약을 체결하였다.[7]
이 프로젝트에는 8,150만 유로가 소요되며, 이 중 66.9 m 유로는 적격 건축비로 사용되며, 이 중 연방정부는 60%를 지불하고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는 시 교통재정법에 따라 20%를 지불했다(Geminderverkehrs financialzierungsgesetz).[8] 나머지 비용은 시·구가 부담했다.[8]
78킬로미터 선로의 현대화에는 110킬로미터의 선로가[7] 포함되었고 약 1180개의 머리 위 돛대 세트가 설치되었다.[9] 2009년 10월 10일, 오버헤드 라인이 켜졌다.[7]
2009년 12월부터 신스하임까지 하이델베르크 hbf(네카르밸리 철도), 엘센츠밸리 철도에서 신스하임까지, 또는 스틴스푸르트-에핑펜 철도로 매시간 운행하고 있다. 슈라이어바흐/지겔하우젠과 오르토페디의 두 하이델베르크 정류장은 2016년 12월까지, 그리고 그 후 몇 시간 동안만 열차를 정차시켰다. S 51호선은 2010년 6월에 개통되었으며, 메케스하임-네카렐즈 철도를 지나 메케스하임에서 분기하여 아글라스터하우젠까지 매시간 운행한다.
에핑겐에서는 카를스루에 스타드반과 헤이즐브론 스타드반(Halebronn Stadtban)의 S 4호선과 연결된다. 2014년 12월 이후 헤이즐브론 스타드반 북쪽 분기의 동부 엘센츠 계곡 철도가 통합되면서 신스하임의 헤이즐브론과도 연결고리가 생겼다.[10]
게르메스하임에서 브루찰까지 연장

2단계 확장에는 게르메스하임에서 그라벤-뉴도르프를 거쳐 브루찰스까지 브루흐레인 철도가 S-Bahn 네트워크로 통합되는 것도 포함됐다. 이 경로는 2011년 12월 11일 S-Bahn 네트워크에 추가되어 S 4의 연장에 의해 사용되지만 카를스루헤 스타드반 노선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S 33으로 지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그라벤-뉴도르프와 게르메스하임 사이에 상당한 현대화와 전기화가 필요했다. 그 외에도 게르메스하임 미트테/르힌, 브루찰 암 맨텔, 브루찰 스포르젠트럼의 3개 정류장이 새로 건설되었다. 이 노선의 업그레이드는 2010년 7월 초에 시작되어 17개월 동안 계속되었다. 인프라 작업 비용은 약 31.7 m에 달했다.[11][12] 모든 역은 장애인들을 위해 개조되었고 장벽이 없게 만들었다. 유일한 예외는 2012년 일부 동안 경사로와 승강기가 없었던 브루찰 암 맨텔의 정지였다.
마인츠-웜스-프랑켄탈-루드비히샤펜 암 레인-만하임
더 마인츠-루드비히샤펜 철도는 2018년 6월 10일 경미한 시간표 변경에서 새로운 S 6호선의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Mainz-the Mainz–에서 적응 등급 425의 스톡을 이용한 S-Bann 열차의 조기 운행이 시행되었다.웜스-프랑켄탈-루드비히샤펜은 2006년 초부터 레닌-만하임(–Weinheim-Bensheim) 지역반 노선이다. Line S 6은 이전의 Regionalban RB 44 서비스를 대체했다.
기존 역이 S-Bahn 운영과 호환되도록 전환한 것 외에, 2015년 6월 14일 시간표 변경으로 디엔하임과 프랑켄탈 쉬드에 새로운 역이 개설되었다. 2012년과 2013년 마인츠 뢰미셰스 극장, 루드비히샤펜-오거스하임, 메텐하임, 보덴하임 등 10개 역에서 공사가 시작됐으며 2016년 6월까지 또 다른 10개 역에서 작업이 완료됐다.[13] 메텐하임 역은 2013년 9월 완공됐다. 록스하임과 웜스 쉬드에[14] 계획된 방송국 설립은 책임 있는 자치체들이 자금 지원을 꺼려하면서 포기되었다.
루드비히샤펜-루드비히샤펜 BASF 노르드
루드비히샤펜의 바스프 SE와 그 3개 정류장인 바스프 노르드, 바스프 미트, 바스프 쉬드는 2018년 12월부터 S-Bahn이 서비스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라인을 업그레이드하고 전기화해야 했다. 이후 S4호선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Mannheim Hauptbahnhof – 플랫폼 F
만하임 하우프트반호프에서 용량을 늘리고, 플랫폼 7, 9, 10의 동일 플랫폼 트랙의 양 끝에서 2대의 열차가 동시에 정차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2014년 9월부터 11번과 12번 트랙을 마주보고 있는 신형 플랫폼 F를 구축했다. 이것은 지역 교통만을 위해 지어졌다. 향후 S-Bahn 라인 S 8(만하임-슈웨칭겐-와그하엘-칼스루헤)이 사용한다. 또한 RE 1 (Koblenz–)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Trier-Saarbruken-Mannheim)과 RE 14(Mainz-Mannheim)이다.[15] 준비 과정에서 화물열차 선로는 먼저 B 36에 가까워져야 했다.
2016년 말 이미 12번 트랙이 가동됐고, 2017년 8월 11번 트랙이 완공됐다. 승강장 북쪽 끝의 승객 언더패스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12번 선로가 운행 중이었기 때문에 2017년 7월까지 임시 해결책이 마련돼야 했다. 따라서 12번 선로에 대한 접근은 10a번 선로를 경유하여 다리를 통해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되었다. 하지만, 10a번 트랙은 기차 교통을 위해 막아야만 했다. 트랙 10b는 계속 사용되었지만, 남쪽에서만 사용되었다.
2016년부터 운영 계약
DB Regio는 2013년 12월 입찰자 호출을 받은 데 이어 2016년 12월부터 2033년 12월까지 연간[16] 약 800만 킬로미터를 기록하며 1번지(S1, S2, S3, S4, S33)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17] 입찰 지연으로 인한 중간 연도는 과도기적인 양보에 의해 다루어졌다.[17] 트래픽은 목적을 위해 등급 425 복수 장치를 업그레이드한 상태로 계속 운영된다. 좌석을 늘리기 위해 하노버에서 인수한 425.3세트 6대를 추가해 롤링 스톡 선단을 40대에서 77대로 확대, 당분간 2018년 64대에 이르고 있다.[16] 이 패키지에는 2017년 12월부터 바스프까지 운행하는 푸시풀 열차와 2019년부터 홈버그까지 개선된 서비스도 포함돼 있다.[18] 기차의 4분의 1은 열차 승무원이 차지하게 될 것이다; 라인랜드 팔라티네이트에서는 오후 7시 이후와 반 전 모든 기차에 적용된다.[16]
나베르케흐르셀샤프트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emberg 현지 운송회사, NVBW)는 몇 차례 지연된 끝에 2015년 9월 말 유럽 전역의 입찰로 2호점 네트워크 6b를 광고했다. 당초 입찰은 2014년 초로 예정됐다.[19] 그것은 마인츠행 노선의 운행을 포함하며 연간 600만 킬로미터를 운행한다. 15년 임기의 이관은 2020년[20] 말에 이루어지며 마인츠로 가는 노선은 2021년 말에 뒤따를 것이다. 슈투트가르트 RE 네트워크의 운영 입찰과 마찬가지로, 본 계약은 바덴뷔르템베르크의 철도 운영 제공 계약 등에 관한 2015년 초 법률에 근거한 것이었다.[21] 2016년 12월, 계약 당국은 철도 운항의 이전을 2020년 12월까지 연기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이미 계약 협상 종료 이전이라도 필요한 신주(新主)[22]가 제 시간에 제공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7년 6월 20일, 낙찰자 중 누구도 심사 청원을 하지 않자 DB레지오가 계약서를 받았다.[23] 포함된 라인(S5, S6, S8, S9)은 새로운 지멘스 미레오 롤링 스톡에 의해 운영될 것이다. 2017년 8월 DB Regio AG와 Siemens 간에 57개의 3부 세트에 대한 해당 계약이 체결되었다.[24]
추가계획
2단계 공사에는 2017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했어야 할 추가 사업들이 포함돼 있다.[25]
라인밸리 철도의 개발
브루찰스-라인의 라인밸리 노선의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하이델베르크 구간은 승강장을 140m에서 210m까지 연장해 더 긴 열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지역여객과 장거리여객, 화물열차의 라인밸리철도의 공동이용으로 인하여 노선의 용량을 늘릴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하다.[26]
새 스ettfeld-Wayher 역은 Ubstadt-Weiher 시의 Stettfeld 구역 44.185번 노선에 건설되고 있다. 2019년 12월 15일부터 S-Bann 라인 S3와 S4가 서비스한다.[27]
만하임-슈베칭겐-그라벤-뉴도르프-칼스루헤
만하임-슈웨칭겐- 라인 강 동쪽까지 이어지는 노선호켄하임-호켄하임-새로운 S 8 노선으로 2020년 12월부터 라인 네카르와 카를스루헤 S-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와하셀-그라벤-뉴도르프-칼스루헤 노선이 운행된다. 새로운 S-Bahn 정류장은 허샤커와 슈웨칭겐 노르드(2021년 개통 예정)에 건설될 예정이며, 제안된 Graben-Neudorf Süd 역은 현재 실현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있다.
그라벤뉴도르프와 칼스루헤 사이의 남쪽 구간의 역들은 2011년과 2014년부터 각각 업그레이드 되었다. 노선의 북부에서는 네울루하임과 호켄하임 역이 이미 필요한 승강장 길이와 높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승강기만 개조하면 되었다. 호켄하임과 슈웨칭겐에서의 작업은 2018년 3월과 7월에 각각 완료되었다. 비세탈, 와그하엘, 오베르스하임에서는 플랫폼이 재건되어 경미한 작업만 남았다. 그러나 네울루헤임에서 승강기와 계단 지붕의 완공이 2019년 12월까지 지연되고 있다.[28] 역의 특별한 입지와 건설로 인해 역 전체를 봉쇄해야만 대규모 공사를 할 수 있었다.
만하임-르헤이나우와 만하임-네카라우에 2개의 소형 스테이션을 건설할 예정이어서 RNV의 트램과 버스로 빠르고 장벽이 없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 작업은 경미한 잔업 작업을 [29]제외하고 2018년 4월 말 만하임-르헤이나우에서 마무리됐으며, 2019년 7월 12일 '컴팩트 스테이션'이 정식 개통됐다.[30] 이와는 대조적으로, 네카라우 역의 건설의 경우는 "전 노선의 비용과 편익 면에서 검토"될 것이기 때문에,[31] 사실상 건설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사업단은 2021년/2022년 완공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32]
만하임의 우회로가 만하임-세켄하임 근처에 새로운 ICE 역이 있는 프랑크푸르트-만하임 고속철도에 통합된다면, 이 선의 인근 구간은 S-Bahn 교통과 ICE 역간의 교체를 위해 재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만하임-비블리스-그로하임-로하임
헤시안 쪽에서는 만하임과 그로프-로하임 사이의 리드반(Redban)이 라인네카르 S-반(S 9호선)의 네트워크로 통합된다. 이 노선은 당초 비블리스까지만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버그스트라슈(구역)는 베르케흐스베르분트 라힌-네카르(VRN)와 레힌-메인-베르케스베르분트(RMV) 사이의 요금 경계선으로 연장할 수 있었다.[33]
헤세주는 2016년 1월 말, 헤세주가 람페르테임, 뷔르슈타트, 밥슈타트, 비블리스, 그로르하임 등 5개 헤시안 방송국의 업그레이드에 500만 유로를 투자하고자 하는 DB Station&Service와 이행 및 재정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영향을 받는 자치단체는 Zweckverband Verkehrsverbund Rhein-Necar를 통해 참여하여 8.2 m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방정부는 11 m를 제공하고 있다. 2016년 7월 7일 비블리스 역에서 기공식을 갖고 공사가 시작됐다.[34] 당초 2017년 말까지 완공할 계획이었지만,[35] 지금은 2019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만하임-웨인하임-벤스하임
만하임-만하임도 사정은 비슷하다.웨인하임-벤스하임 간 철도 노선. 웨인하임-설즈바흐에 새로운 역이 계획되어 있다. Phungstadt Süd에도 새로운 방송국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베인하임 수드와 벤하임 수드에 제안된 역들은 노선 정체로 당분간 건설할 수 없다. 향후 라인네카르 S반(Line Necar S-Bahn)의 S7 라인으로 통합된다.[36] 웨인하임(버그스트라제) 하우프트반호프는 2016년 6월까지 S-Bahn 표준으로 재구축했어야 했다. 그러나 리프트 샤프트 인근 지표면 아래의 지반 상태와 운행 문제(시간표대로 운행하기 위한 여객 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새로운 정보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었다. 맨하임-더 맨하임-웨인하임-벤스하임 노선은 2018년 12월부터 연장 S6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계획운영개념
리드반, 메인 네카 철도, 만하임-하이델베르크 노선은 장거리 여객과 지역 여객, 화물 운송이 많아 수용 한계에 도달했다. 따라서 S-Bahn의 연결과 주기 시간은 노선에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열차 경로에 기초해야 하며, 특히 계획된 프랑크푸르트-만하임 고속 철도에 의해 제공되기를 갈망하던 구호가 미래로 후퇴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입찰자들에 따르면 당초 계획했던 만하임의 비블리스와 벤스하임과의 '코너 모퉁이를 돌다' 연결은 물론 마인츠에서 만하임을 거쳐 에핑겐과 아글라스터하우젠까지 연결이 거부됐다. 기존에는 만하임 하우프트반호프와 하이델베르크 하우프트반호프 사이에서 이 서비스를 중간에 정차하지 않고 급행회선으로 운용하는 것에 대한 고려는 이미 거부된 바 있다.
대신 입찰에서 규정한 운영개념은 메인즈에서 웜스와 만하임을 거쳐 본선을 벤스하임으로 연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에 그로스-로하임에서 온 리드반 라인은 만하임 하우프트반호프에서 끝나곤 했다.
롤링 스톡
클래스 425 "Rine-Necar S-Bahn" 세트
2002년 라인-네카르 S-반 2시리즈 425를 기반으로 한 롤링 스톡이 라인-네카르 S-반 시초부터 사용되었다. 이 세트는 423 세트에 비해 화장실이 있고 출입문이 적다. 그들은 바닥 높이가 780mm이다. 그들의 접이식 계단은 플랫폼에서 수평으로 건널 수 있다.
회선의 네트워크가 커지면서, 추가적인 롤링 스톡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2015년 10월부터 라인-네카르 지역의 지역 서비스에 주로 사용되던 40대의 S-Ban 열차(425.2) 외에 라인-네카르 S-Bann 1호선에 37대의 차량이 추가로 증차되었다. 그러나 압류주는 하노버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에서도 취득되었다. 총 77대(11x425.0, 40x425.2, 6x425.3, 20x425.4)가 1단계에서 전환되었다.[37] 2018년 4월까지 2단계로 14대의 차량이 추가로 전환되어 S 6호선에서 마인츠로 처음 사용되었다.[38]
원래 영구적으로 설치되었던 차량들은 재건축의 일환으로 접이식 계단을 받았다. 2등석 좌석은 가죽 머리 받침대가 달린 새로운 장식품을 받았다. 1번 차종 12석으로 구성된 1등석에서는 좌석이 진짜 가죽으로 완전히 가려져 있다. 폴은 다목적 구역의 창문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밖에도 승객정보시스템이 새로 설치됐으며, 차량에는 19인치 스크린이 설치돼 최신 여행정보와 연결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모든 차량에 감시 카메라와 USB 충전 지점이 설치됐다. 모든 매표기가 차량에서 제거되었다.
463급 – 지멘스 미레오
2호기의 경우 2017년 8월 지멘스 미레오 3부 세트 57개가 발주됐다. 이것들은 2020년 12월부터 새로운 S-Bahn 라인에 사용될 것이다.[39]
길이 70m의 이 세트에는 200석 규모의 좌석과 26대의 자전거 주차 공간, 무료 와이파이가 마련되어 있다. 간극을 메우기 위한 통합 시스템은 이동성이 저하된 사람들이 보조 없이 76cm 높이의 플랫폼으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세트의 외부 마감은 도이체 반 레드가 아닌 연한 회색으로 도어 부분에 짙은 회색 부분과 큰 S-Bahn 로고가 될 것이다. 노란색 문은 어두운 회색 배경에서 눈에 띄어야 한다.[40]
전차의 이름 목록
다음 전기 복수 유닛에는 도시 후원이 있다.
EMU | 이름 | 이후 이름 지정됨 | 참고 |
---|---|---|---|
425 201-1 | 모스바흐 | 2006년 11월 27일 | |
425 202-9 | 누스타드 안데르 바인스트라예 | 2007년 3월 21일 | |
425 203-7 | 비슬로흐발도르프 | 2007년 6월 24일 | |
425 204-5 | 하로치 | 2008년 6월 7일 | |
425 205-2 | 게르머스하임 | 2008년 8월 27일 | |
425 206-0 | 만하임 | 2008년 12월 13일 | |
425 207-8 | 루드비히샤펜 암 라인 | 2008년 12월 13일 | |
425 208-6 | 에베르바흐 암 네카르 | 2009년 10월 18일 | |
425 209-4 | 스피어 | 2010년 3월 27일 | |
425 210-2 | 하이델베르크 | 2010년 5월 12일 | |
425 211-0 | 브룩살 | 2010년 10월 16일 | |
425 212-8 | 카이저슬라우테른 | 2011년 3월 19일 | |
425 213-6 | 신스하임 (엘센츠) | 2011년 10월 9일 | [41] |
425 214-4 | 세카흐 | 2012년 7월 21일 | |
425 215-1 | 오스터버켄 | 2013년 10월 13일 | |
425 216-9 | 메케스하임 | 2013년 11월 30일 | |
425 217-7 | 쉬페르슈타트 | 2016년 11월 14일 | |
425 218-5 | 홈버그 (사르) | 2016년 11월 3일 | |
425 219-2 | 배드 쇤본 | 2016년 12월 1일 | |
425 220-1 | 카를스루헤 | 2017년 3월 13일 | [42][43] |
참조
메모들
- ^ "Zielzustand" (in German). ausbau-rheinneckar.de. Retrieved 3 October 2019.
- ^ "Rheinland-Pfalz: S-Bahn Mainz – Mannheim startet im Dezember 2017". Metropolnews (in German). 5 July 2016. Retrieved 3 October 2019.
- ^ "Frankenthal: Ab 10. Juni fährt die S-Bahn" (in German). 3 May 2018. Retrieved 3 October 2019.
- ^ "S-Bahn Rhein-Neckar nimmt Betrieb auf". Eisenbahn-Revue International (in German) (12): 586 f. 2003. ISSN 1421-2811.
- ^ Schäfer, Ralph (4 November 2016). "Homburg jetzt auch auf Schienen: Ein Zug der S-Bahn RheinNeckar trägt seit gestern den Namen "Homburg (Saar)"". Saarbrücker Zeitung (in German). Retrieved 3 October 2019.
- ^ "Keine ruhige Minute" (PDF). Hinundweg – das Kundenmagazin des Verkehrsverbundes Rhein-Neckar (in German). VRN GmbH, URN GmbH (2009 Jubilee booklet). 20 Ma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9 May 2012. Retrieved 3 October 2019.
- ^ a b c d e f Heß, Jürgen; Hoffmann, Herbert; Luksch, Siegbert (20 November 2013). "No. 5: Rückblick auf 150 Jahre Bahnstandort Meckesheim: 11: Chronologie" (PDF) (in German). Retrieved 3 October 2019.
- ^ a b "Elektrifizierung und Ausbau der Nahverkehrsinfrastruktur im Elsenz- und Schwarzbachtal – Unterzeichnung des Bau- und Finanzierungsvertrages" (Press release) (in German). VRN GmbH. 1 Octo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November 2007. Retrieved 3 October 2019.
- ^ "Elektrifiziertes Netz in Baden-Württemberg legt kräftig zu" (PDF). NetzNachrichten (in German). DB Netz AG (3): 6. Sept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March 2017. Retrieved 3 October 2019.
- ^ "AVG fährt nach Mosbach und Sinsheim" (in German). AVG. 15 December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ne 2016. Retrieved 3 October 2019.
- ^ "S-Bahn Rhein-Neckar – Netz wird weiter ausgebaut" (in German). VR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10. Retrieved 16 January 2011.
- ^ "S-Bahn Rhein-Neckar: Ausbau zwischen Bruchsal und Germersheim" (in German). Eurailpress. 14 Januar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anuary 2010. Retrieved 16 January 2011.
- ^ "S-Bahn Rhein-Neckar: Infrastrukturminister Lewentz besucht die S-Bahn-Baustelle in Mettenheim" (in German). newstix. 2 July 2013. Retrieved 5 October 2019.
- ^ "Zu teuer: Haltepunkte für S-Bahn und Regionalbahn in Worms werden nicht gebaut". Wormser Zeitung (in German). 22 Octo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October 2013. Retrieved 5 October 2019.
- ^ "Hauptbahnhof Mannheim – Neubau Bahnsteig F" (PDF) (in German). DB Netz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6 August 2017. Retrieved 5 October 2019.
- ^ a b c "Die modernisierte S-Bahn RheinNeckar verkehrt ab 11. Dezember gemäß neuem S-Bahn-Vertrag" (Press release) (in German). Deutsche Bahn AG. 9 Decem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16. Retrieved 5 October 2019.
- ^ a b Löwe, Michael (February 2015). "Zukunft der S-Bahn Rhein-Neckar" (PDF). ProBahn Hessen Fahrgastzeitung (in German) (107): 31–32. Retrieved 5 October 2019.
- ^ "eisenbahn-magazin". Eisenbahn Magazin. Modellbahn Magazin (in German) (3): 19. 2015. ISSN 0342-1902.
- ^ "Ausschreibungsverfahren für die S-Bahn Rhein-Neckar gestartet" (Press release) (in German). Verkehrsverbund Rhein-Neckar GmbH. 12 Dec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13. Retrieved 5 October 2019.
- ^ "Inbetriebnahme der S-Bahn Rhein Neckar Los 2 um ein Jahr verschoben" (Press release) (in German). Retrieved 5 October 2019.
- ^ "Deutschland-Stuttgart: Öffentlicher Schienentransport/öffentliche Schienenbeförderung: document 2015/S 189-343041". Tenders Electronic Daily (in German). 30 September 2015. Retrieved 6 October 2019.
- ^ "Inbetriebnahme der S-Bahn Rhein Neckar Los 2 um ein Jahr verschoben" (Press release) (in German). Ministerium für Verkehr Baden-Württemberg. 21 December 2016. Retrieved 6 October 2019.
- ^ "DB Regio AG erbringt künftig die Verkehrsleistungen der S-Bahn Rhein-Neckar, Los 2" (Press release) (in German). 20 June 2017. Retrieved 6 October 2019.
- ^ "S-Bahn RheinNeckar erhält neue Fahrzeuge" (Press release) (in German). DMM Der Mobilitätsmanager. 8 August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7. Retrieved 6 October 2019.
- ^ "Neuer Bauzeitenplan für zweite Baustufe der S-Bahn RheinNeckar vorgestellt" (Press release) (in German). VRN. 22 March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y 2012. Retrieved 7 October 2019.
- ^ "Der "Renner" S-Bahn sorgt für Kontroversen" (in German). Rhein-Neckar-Zeitung im Web. 26 Sept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09. Retrieved 7 October 2019.
- ^ "Streckenkarte Heidelberg–Bruchsal". Ausbau der S-Bahn Rhein-Neckar (in German). DB Station&Service AG. Retrieved 7 October 2019.
- ^ "Bahn vertröstet um weitere zwölf Monate". Schwetzinger Zeitung / Hockenheimer Zeitung (in German). Retrieved 7 October 2019.
- ^ "Barrierefreie Haltestelle nach neun Monaten eröffnet". Mannheimer Morgen (in German). 25 April 2018. Retrieved 7 October 2019.
- ^ "Einweihung Kompaktbahnhof Rheinau" (in German). ausbau-rheinneckar.de. Retrieved 7 October 2019.
- ^ "S-Bahn-Ausbau "hakt" an zwei Stellen". Mannheimer Morgen (in German). Retrieved 7 October 2019.
- ^ "Das Projektteam wünscht Ihnen ein gutes neues Jahr – ausbau-rheinneckar.de" (in German). Retrieved 7 October 2019.
- ^ "S-Bahn fährt bis Groß-Rohrheim". Echo online (in German). 20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13. Retrieved 7 October 2019.
- ^ "RB Mitte: S-Bahn-Ausbau auf der Riedbahn gestartet – Spatenstich am Bahnhof Biblis" (PDF). StationsAnzeiger (in German) (17): 15. August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September 2016. Retrieved 7 October 2019.
- ^ "Finanzierungsvertrag für fünf südhessische S-Bahn Stationen" (Press release) (in German). Deutsche Bahn AG. 26 Jan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6. Retrieved 7 October 2019.
- ^ "S-Bahn fährt an Sulzbach vorbei". Weinheimer Nachrichten (in German). 18 Nov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11. Retrieved 7 October 2019.
- ^ "S-Bahn RheinNeckar Los 1 ab Dezember 2016" (PDF) (in German). DB Regio Südwest. Retrieved 8 October 2019.
- ^ "Drehscheibe Online Foren :: 02 - Allgemeines Forum :: Re: Anzahl der umgebauten 425 bei S-Bahn RheinNeckar?" (in Ger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18. Retrieved 8 October 2019.
- ^ "S-Bahn Rhein-Neckar (Netz 6b) soll an die DB Regio AG vergeben werden" (Press release) (in German). Ministerium für Verkehr Baden-Württemberg. 6 February 2017. Retrieved 8 October 2019.
- ^ "Neues Design für das neue S-Bahnfahrzeug Siemens Mireo ab Dezember 2020" (Press release) (in German). Verkehrsverbund Rhein Neckar. Retrieved 8 October 2019.
- ^ Garrelt Rippelmeier, Sinsheim (Elsenz) Hbf, Bahnhöfe A – Z: Das große Archiv der deutschen Bahnhöfe 5 Erich Preuß (in German), GeraMond Verlag GmbH
- ^ "S-Bahn-Zug auf den Namen "Karlsruhe" getauft" (in German). Deutsche Bahn AG. 2017-03-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3-20. Retrieved 2017-03-19.
- ^ https://presse.karlsruhe.de/db/stadtzeitung/jahr2017/woche11/s_bahn_karlsruhe_modernisiert_getauft.html
원천
- 베르너 슈라이너: ... 에인엠 스트링. 루트비히샤펜 암 레인 2004, ISBN 3-934845-17-7(독일어)
외부 링크
- "Rhine-Neckar S-Bahn website" (in German). Deutsche Bahn. Retrieved 16 January 2011.
- "Verkehrsverbunds Rhein-Neckar website" (in German). Retrieved 16 January 2011.
- "Line map of Rhine-Neckar S-Bahn" (PDF, about 150 kB) (in German). Retrieved 9 Octo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