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베카츄다마니
VivekachudamaniThe Vivekachudamani (Sanskrit: विवेकचूडामणि; IAST: Vivekacūḍāmaṇi) is an introductory treatise within the Advaita Vedanta tradition of Hinduism, traditionally attributed to Adi Shankara of the eighth century.[5] 샤둘라 비키디타 메트레에 있는 시의 형태로,[6] 수세기 동안 아드바이타의 프라카라화 그란타(강의 매뉴얼)로 기념되어 왔다.[5]
비베카츄다마니는 문자 그대로 "차별의 보석"을 의미한다.[7] 본문에서는 핵심 개념과 바이브카 또는 현실(춘치, 영원)과 비현실(변치, 시간적), 프라크리티와 아트만, 아트만과 브라만의 일체성, 그리고 영적 생명과 목샤를 위한 중심 업무로서의 자기지식을 논한다.[8][1][9] 학생과 영적 스승의 대화 형식의 많은 구절이 있는, 자기 지도 매뉴얼 형태로 Advaita Vedanta 철학을 설명한다.
수세기 동안 비베카츄다마니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많은 논평과 엑스포의 주제였다.
작가
인도에서 비베카츄다마니는 아디 샨카라(또는 아디 샨카라차랴)가 저술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인도학자 겸 Advaita 학자인 Paul Hacker는 Advaita 문헌의 저자 확인 방법론을 제시했고 그는 Vivekachudmani가 부분적으로 특이하지만 Adi Shankara에 의해 저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5][10] 해커는 비베카츄드마니에서 발견된 핵심 개념, 전제, 아이디어의 정의가 샹카라가 정립한 정통 작품과 일치한다고 밝혔다.[5] 또 다른 영향력 있는 인도학자 대니얼 H. H. 잉걸스 시르는 해커의 방법론을 받아들이고 본문의 일부 아이디어가 아디 샹카라의 아이디어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원고의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해커의 결론을 거부했다.[5][10]
비베카츄다마니를 번역한 것으로 유명한 힌두교·불교 교수 존 그라임스에 따르면, "현대 학자들은 아디 샹카라가 비베카츄다마니를 작곡한 것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고, 전통주의자들은 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하며, 그 저자에 대한 끝없는 '논쟁과 반론'이 있다고 한다.[2] 그라임스가 그의 작업은[2]은 "강력한 사례 상카라의의 Vivekacudamani은 진정하고, 그것은 다른 청중들에게 그리고 h. 자체에 대해 다루고, 특정 점에서 그의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아직 가능성은 Vivekacūḍāmaṇi의 Śaṅkara은 저자는,"그 사건을 강화하기도 하다고 한다로 다른 강조와 목적."[11][5]
비베카츄다마니의 저자는 거의 의심받지 않았다.[1][note 1]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학자인 마이클 코만스에 따르면 힌두교 전통은 아디 샹카라가 비베카츄다마니를 저술했다고 널리 믿지만, 이것은 "아마도 잘못되었을 것"이라고 한다.[12] 코만들은 그의 의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유를 제시한다: 비베카츄다마니의 매우 시적인 스타일은 아디 샹카라의 다른 진품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비베카츄다마니에 대한 광범위한 논평이 부족하다. 그의 다른 작품에 대한 폭넓은 논평들을 감안할 때, 그리고 샨카라의 다른 진품 작품과는 달리 나는 거의 없다.비베카츄다마니는 "니르비칼파 사마디"의 관행에 대해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한다.[12] 비베카츄다마니는 베단타에서 인기 있는 매뉴얼이지만, 코만스 주의 아디 샨카라가 아닌 후기 샹카라의 작품일 것이다.[12] 그러나 또 다른 이론인 Berger는 "단순히 [Adi] Sankara에 의해 쓰여졌거나 쓰여지지 않은 것이 아니라, 차별의 왕관 보석은 수정을 거친 기업에서 저작한 작품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5]
아드바이타 베단타 학자인 나탈리아 이사예바에 따르면 아디 샹카라가 비베카츄다마니를 저술한 것은 "가능성이 훨씬 낮다"고 한다.[13] 또 다른 인도철학학자 마에다 센가쿠(Mayeda)와 아드바이타 베단타(Advaita Vedanta)는 샨카라의 작품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비베카츄다마니는 그의 작품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14]
귀속과 상관없이 비베카츄드마니는 애드바이타의 중요한 작품이다. 베단타 교사 스와미 다야난다 사라스와티(Saraswati)에 따르면, "저자가 다양한 산카라 마타 중 한 사람의 다른 산카라차랴에 귀속되어도 우리는 아무것도 잃는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15]고 한다.
원고
비베카쿠다마니의 많은 역사적인 필사본들이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여러 수도원에서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약간의 변형이 있고, 이것들의 비판판은 아직 출판되지 않았다.[4] 비베카쿠다마니의 최초의 산스크리트어 원고는 1910년 T.K. 발라수브라마니아 이이어가 시랑암(타밀나두)에서 간행한 것이다.[4] 이 판은 20, 21세기 장학금을 상당 부분 유치했으며, 1910년부터 연구를 반영하기 위해 일부 수정·재조정 작업을 거쳐 1983년 다시 출간됐다. 다른 판본들은 몇 편의 인도 번역의 기본이 되어 왔다. 아드바이타 장학금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5개의 원고는 사마타(첸나이), 아드바이타 아슈라마(콜카타), 스리 라마크리슈나 수학(첸나이), 바라티야 비드야 바반(음바이), 친마야난다 아슈라마(음바이)가 출간했다.[4]
내용물
비베카츄다마니는 산스크리트어로 580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힌두교의 Advaita Vedanta 전통에 따라 다양한 영적 주제와 그 해답을 다룬다.
단면 | 시 | 주제[16] |
1 | 1-31 | 인간의 삶과 탐구, 영적, 해방: 기본적 측면 |
2 | 32-71 | 교사의 필요성, 좋은 교사의 특성, 좋은 학생의 특성 |
3 | 72-110 | 육체적, 육체적: 세 가지 본질에 대한 차별 |
4 | 111-135 | 자연과 효과: 피복 5개, 건아 3개 |
5 | 136-146 | 영성의 목표, 속박의 본질, 혼란의 본성, 슬픔의 본성. |
6 | 147-153 | 아트마와 아나트마: 차별, 자기 지식, 행복 |
7 | 154-225 | 자기 지식으로 가는 길 |
154-164 | 안나마야 코샤와 그 부정 | |
165-166 | 프라나마야 코샤와 그 부정 | |
167-183 | 마노마야 코샤와 그 부정 | |
184-188 | Vijnamaya kosha와 그 부정 | |
189-206 | 자유로운 영혼, 무엇이 자유와 해방인가, 왜 자기 지식이 필요한가. | |
207-210 | 안나마야 코샤와 그 부정 | |
211-225 | 애트먼, 그게 뭔데? 그게 뭔데? | |
8 | 226-240 | 절대 브라만, 앳맨, 온성, 베딕 계율 |
9 | 240-249 | 그 예술: 바로 너야! |
10 | 250-266 | 명상, 그 목적, 방법, 숙고하고 반성해야 할 질문들 |
11 | 267-338 | 방법 |
267-276 | 바사나를 이해하고 종료(인상, 관성, 암기된 신념 및 행동) | |
277-292 | Svadhyasa 이해 및 종료(중복된 자아 감각) | |
293-309 | 아한카라를 이해하고 끝을 맺는다(가짜 자존심) | |
310-319 | 자기 중심적 작업, 갈망 및 감지 대상 포기 | |
320-329 | 최고의 자아에 충실하라. 망상에 대해 경계하라. | |
330-338 | 소중히 여기는 온건함, 이중성도 없고, 다원성도 없다; 비현실적인 것이 아니라 실재 속에 머물러 있다. | |
12 | 339-383 | 영적 성장과 열비갈파 사마디, 우주 전체가 너, 그대는 만물의 자아다. |
13 | 384-406 | 자신의 본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
14 | 407-425 | 아탐비차르: 자조 |
15 | 426-445 | 실현된 선어의 징후: 지반묵타 |
16 | 446-471 | 다원성이 없는 성자. |
17 | 472-520 | 지식의 제자와 자아의 경험 |
18 | 521-575 | 선생님의 마지막 조언 |
576-580 | 에필로그: 해방된 제자와 베단타의 가장 깊은 본질 |
본문은 고빈다에 대한 경례로 시작되는데, 이는 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그의 구루 스리 고빈다 바가바트파다에 대한 경례로 해석될 수 있다.[7] 그리고 나서 그것은 자아실현의 중요성, 그것에 도달하는 방법, 그리고 구루의 특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신체에 대한 애착을 비판하고 아나트만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레라스, 코사스, 구나스, 센스, 프라나스를 설명하러 간다.[17] 제자에게 자기 실현을 위한 방법, 명상 방법(디야나), 애트맨의 자기 성찰 등을 가르치는 것이다. 비베카츄다마니는 바하바드 기타의 선에 깨달은 인간(지반무크타)[18]과 꾸준한 지혜가 있는 사람(스티히타프라자나)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19]
의의
비베카추드마니는 수세기 동안 Advaita Vedanta에 대한 명쾌한 입문서로 기념되어 왔다.[5] 버거 주(州)는 "철학적이거나 극악무도한" 글이 아니라 그것은 "철학을 위한 철학"이라기 보다는 애드바이틴의 해방을 향한 영적 여정에 대한 보조책으로서, 주로 교육학 서론이다. 그것은 Advaita 전통에 있는 "정신적 유지"의 본문 중 하나이다.[20]
비베카츄드마니는 Advaita 전통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몇 가지 역사적인 교육 설명서 중 하나이다. Other texts that illustrate Advaita ideas in a manner broadly similar to Vivekachudmani but are neither as comprehensive nor same, include Ekasloki, Svatmaprakasika, Manisapancaka, Nirvanamanjari, Tattvopadesa, Prasnottararatnamalika, Svatmanirupana, Prabodhasudhakara and Jivanmuktanandalahari.[21] 이 글들은 아디 샨카라 탓이 아니다. 또 다른 Advaita 교수 매뉴얼인 Upadesasahasri는 Adi Shankara의 것으로 여겨진다.[22][23]
주석 및 번역
이 작품에 대한 두 개의 산스크리트어 논평이 있다. 스링게리의 교황인 스리 사키다난다 시바비히나바 누시마 바라티(Sri Sacchidananda Shivabhinava Nrusimha Bharati)는 이 작품의 첫 7절에 비베코다야(차별의 종)라는 제목의 논평을 썼다. 그의 제자인 스리 찬드라세카하라 바라티(Sri Chandrasekhara Bharathi)는 이 작품의 첫 515구절에 대해 비야키야(Vyakhya)나 해설을 썼다.
이 작품은 여러 언어로 반복적으로 번역되어 같은 언어로 해설을 곁들였다. 영어 번역과 해설에는 스와미 프라바반다와 크리스토퍼 이셔우드, 스와미 마드하바난다, 스와미 투리아난다, 스와미 친마야난다 등이 있다. 타밀 번역과 논평에는 라마나 마하르시가 쓴 번역과 논평이 포함되어 있다. 스와미 요티스와루파난다는 비베카츄다마니를 마라티어로 번역했다.[24]
힌두교와 불교학 교수인 존 그라임스가 2004년에 이 본문을 학술적으로 번역한 것이 출판되었다. 그의 번역은 더글러스 버거에 의해 검토되었는데, 그는 "비베카쿠드마니 번역본 자체는 그라임스가 산스크리트어를 능가하는 기술과 베단틱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산스크리트 슬로카에 대한 특이하게 명쾌한 프레젠테이션은 정확성과 웅변적인 명료함으로 영어로 표현된다. 주요 용어의 우파니사치 상호 참조와 산스크리트어-영어 어휘는 독자, 학생, 학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25]
여러 언어로 된 수백 개의 코멘트가 블로그 기사, 동영상 등의 형태로 인터넷에서 이용 가능하다.
유명한 구절
- 브라흐마 사티아 자갓 미티야, 지보 브라흐마이바 나파라
번역: 브라만이 유일한 진실이고, 세계는 환상적이며, 궁극적으로는 브라만과 개인의 자아에[26] 차이가 없다.이 구절은 비베카쿠다마니에게 자주 귀속되지만, 사실 브라흐마 자나나 발리 말라의 20절에서 유래한다.
- अर्थस्य निश्चयो दृष्टो विचारेण हितोक्तितः न स्नानेन न दानेन प्राणायमशतेन वा १३ (arthasya niścayo dṛṣṭo vicāreṇa hitoktitaḥ na snānena na dānena prāṇāyamaśatena vā 13 )
번역: 교사들의 성찰과 추리, 지시로 진실을 알 수 있다. 목욕탕이나 기부를 하거나 수백 번의 호흡조절 운동을 함으로써 진실을 알 수 있다.[27]
메모들
- ^ 레자 샤-카제미에 따르면, 샨카라의 저자는 "산카라의 정신적 유산에 너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그의 관점에 대한 분석이 불완전할 것"이라고 한다.[3][3] 또한 arshabodha.org, 스리 산카라의 비베카츄다마니, 페이지 3-4, 비베카츄다마니의 저자 문제를 참조하십시오.
참조
- ^ Jump up to: a b c 그라임스 2004.
- ^ Jump up to: a b c 그라임스 2004, 23페이지.
- ^ Jump up to: a b c 샤카제미 2006, 페이지 4.
- ^ Jump up to: a b c d 그래임스 2004, 페이지 274–278.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Berger, Douglas L. (2005). "The Vivekacudamani of Sankaracarya Bhagavatpada: An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review)". Philosophy East and West. 55 (4): 616–619. doi:10.1353/pew.2005.0032. S2CID 144412379.
- ^ 우샤 1990
- ^ Jump up to: a b 마드하바난다 1921, 페이지 1
- ^ 스리 산카라의 비베카츄다마니, 아치야랴 프라니파타 차이타냐(트랜슬레이터), 사틴더 디만, 티루청고데 친마야 미션, 타밀나두(2011년)
- ^ 에스핀 & 제임스 B. 니콜로프 2007년 페이지 1471
- ^ Jump up to: a b Govind Chandra Pande (1994). Life and Thought of Śaṅkarācārya. Motilal Banarsidass. pp. 117–119. ISBN 978-81-208-1104-1.
- ^ 그라임스 2004, 페이지 13.
- ^ Jump up to: a b c Toṭakācārya; Michael Comans (translator) (1996). Extracting the Essence of the Sruti. Motilal Banarsidass. pp. xv–xvi. ISBN 978-81-208-1410-3.
- ^ Natalia Isayeva (1993). Shankara and Indian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98. ISBN 978-1-4384-0762-3.
- ^ Sengaku Mayeda (2006). A Thousand Teachings: The Upadesasahasri of Sankara. Motilal Banarsidass. pp. 10 footnote 33. ISBN 978-81-208-2771-4.
- ^ 스리 산카라의 비베카츄다마니, 아치야랴 프라니파타 차이타냐, 사틴더 디만, 페이지 4
- ^ Grimes 2004, 페이지 56-273 (변형 판독치는 274-278페이지 참조).
- ^ Sri Chandrashe hara Bharati of Sringeri (1973). Sri Samkara's Vivekacudamani. Mumbai: Bharatiya Vidya Bhavan. p. xxi.
- ^ "Man of wisdom". The Hindu. 29 June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y 2006. Retrieved 22 May 2009.
- ^ "State of liberation". The Hindu. 18 Febr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09. Retrieved 22 May 2009.
- ^ Berger, Douglas L. (2005). "The Vivekacudamani of Sankaracarya Bhagavatpada: An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review)". Philosophy East and West. 55 (4): 618–619. doi:10.1353/pew.2005.0032. S2CID 144412379.
- ^ Govind Chandra Pande (1994). Life and Thought of Śaṅkarācārya. Motilal Banarsidass. pp. 117–121. ISBN 978-81-208-1104-1.
- ^ Śaṅkarācārya; Sengaku Mayeda (Translator) (1979). A Thousand Teachings: The Upadeśasāhasrī of Śaṅka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5–16. ISBN 978-0-7914-0944-2.
- ^ N. V. Isaeva (1993). Shankara and Indian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220–221. ISBN 978-0-7914-1281-7.
- ^ 인도의 Nagpur: Ramakrishna 수학; 2009
- ^ Berger, Douglas L. (2005). "The Vivekacudamani of Sankaracarya Bhagavatpada: An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review)". Philosophy East and West. 55 (4): 619. doi:10.1353/pew.2005.0032. S2CID 144412379.
- ^ Rosen, Steven (2007). Krishna's Song.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70. ISBN 978-0-313-34553-1.
- ^ 참조:
- D. D. Datta (1888), Moksha 또는 Vedánic Release, Journal of the Royal Asian Society of Britain and Iland, New Series, Vol. 20, No. 4 (1888년 10월), 페이지 513-539.
- 마드하바난다의 비베카츄다마니 번역 1921년 히말라야 시리즈 43편
원천
- Grimes, John (2004), "Introduction", The Vivekacudamani of Sankaracarya Bhagavatpada: An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ISBN 978-0754633952
- Usha, Brahmacharini (1990). A Brief Dictionary of Hinduism. Vedanta Press. ISBN 978-0-87481-048-6.
- Espín, Orlando O.; James B. Nickoloff (2007).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ISBN 978-0-8146-5856-7.
- Madhavananda, Swami (1921). Vivekachudamani of Sri Sankaracharya. Advaita Ashrama.
- Prabhavananda, Swami; Christopher Isherwood (1970). Shankara's Crest Jewel of Discrimination. Vedanta Press. ISBN 978-0-87481-038-7.
- Ranganathananda, Swami (2008). The Message of Vivekachudamani. Advaita Ashrama. p. 624. ISBN 978-81-7505-308-3.
- Shah-Kazemi, Reza (2006), Paths to Transcendence: According to Shankara, Ibn Arabi & Meister Eckhart, World Wisdom
- Sri Chandrashekara Bharati; P.Sankaranarayanan (1999). Vivekachudamani (4 ed.). Bharatiya Vidya Bhavan.
추가 읽기
- Prabhavananda; Christopher Isherwood (1978). Shankara's crest-jewel of discrimination (3 ed.). Vedanta Press. ISBN 978-0-87481-038-7.
- Chatterji, Mohini M. (2004). Viveka Chudamani Or Crest Jewel of Wisdom of Sri Sankaracharya. Kessinger Publishing. p. 212. ISBN 978-1-4179-8207-3.
- Mishra, Dr. Suryamani (2016). Viveka Chudamani Hindi Translated. Chintan Prakashan. p. 126. ISBN 978-93-85804-10-6.
외부 링크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 Vivekachudamani – 다중 번역(Johnston, Chatterji, Madhavananda)
- eng 의미 있는 오디오 완성 - 1부
- 2부
- 3부
- 4부
- 추가 노트가 포함된 Vivekachudamani 온라인 전자책 Swami Madhavananda가 번역함
- 지혜의 장신구: 비베카츄다마니, 산카라차리아, 찰스 존스턴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