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오코스 7세

Antiochus VII Sidetes
안티오코스 7세 에우제네스
안티오코스 7세
Coin of Antiochus VII Euergetes.jpg
셀레우코스 제국의 바실레오스
(시리아의 왕)
통치.기원전 138년 7월/8월~129년
전임자디오도투스 트리폰
후계자알렉산더 2세 자비나스 (불효자)
데메트리오스 2세 니케토르(형)
태어난c.164/기원전 160
죽은기원전 129년(약 30세)
에크바타나 전투이란, 에크바타나
컨소시엄클레오파트라 테아
쟁점.안티오코스 9세
알렉산더 2세 자비나스 (청구)
다이너스티셀레우코스 왕조
아버지.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어머니.라오디케 5세일 가능성이 있다.

안티오코스 7세 에우에제테스(그리스어: ἀχχχχ χχςς c c c c c c, 기원전 164년/160년경[1]–129년), 시데테스(그리스어: σes ( ( ( ( ( ( ()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2]경건한 안티오코스라고도 알려진 헬레니즘지배자였다.그는 셀레우코스 최후의 왕이었다.안티오코스가 전사한 후 셀레우코스 왕국은 시리아로 제한되었다.

전기

초기 생애와 초기 통치

그는 디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의 아들 중 하나이며, 디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의 형제이며, 그의 어머니는 라오디케 5세였을 것이다.안티오코스는 데메트리우스가 파르티아인들에게 함락된 후 즉위했다.그는 데메트리우스의 아내였던 클레오파트라 테아와 결혼했다.그들의 자손은 안티오코스 9세로 셀레우코스 5세와 안티오코스 8세의 이복형제이자 사촌이 되었다.

그의 9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안티오코스는 최근 수십 년 동안의 막대한 영토와 권위의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약간의 노력을 기울였다.안티오코스는 기원전 134년 도라에서[4] 찬탈자 디오도투스 트리폰을 물리치고 예루살렘을 포위했다.공성전 기간 동안 그는 유대인들이 종교 축제를 축하하기 위해 7일간의 휴전을 허락하여 유대 [5]지도부를 감동시켰다.하스모네의 지도자 요세푸스따르면[6], 존 히라카누스는 다윗 의 무덤을 열고 3천 달란트를 없앴다. 그리고 나서 그는 안티오코스에게 도시를 구하기 위해 돈을 지불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티오코스 왕은 유대인에 대한 존경과 그들의 종교에 대한 존중을 얻었고, 그들에게 감사를 표했고 에우제테스라는 이름을 추가했다.당시 유대인의 자료(마카베스의 서기는 그의 시대보다 몇 년 전에 끝난다)가 없기 때문에 예루살렘 포위전이 셀레우시스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는지 아니면 단순히 평화 조약으로 끝났는지 불분명하다.게다가, 유대인 군대는 나중에 안티오쿠스의 전쟁에서 그를 도왔고, 그가 죽은 후 거의 20년 동안, 존 히라카누스는 셀레우코스 지배하에 있는 지역을 공격하는 것을 자제했다.

이후의 영토 분쟁과 패배

안티오쿠스 시데테스에 의해 예루살렘이 포위되었다.

안티오코스는 "위대한 왕"인 미트리다테스 1세가 이끄는 파르티아인들에게 점령당한 잃어버린 동쪽 영토를 되찾기 위해 인생의 말년을 보냈다.동쪽으로 행군하면서, 마지막 셀레우코스 왕군(요한 히라카누스 휘하의 유대군 부대 포함)과 함께, 그는 두 번의 전투에서 미트리다테스를 물리쳤다.그는 군대를 겨울 별장으로 분산시키기 전에 메소포타미아, 바빌로니아, 메디아를 셀레우코스 제국에 복원했다.

셀레우코스 왕과 군대는 겨울 동안 잔치, 사냥, 그리고 술을 마시며 보냈다.어느 때처럼 군대가 인구에 집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현지인들과 시리아군 사이에 긴장은 곧 커졌다.

새로운 파르티아의 통치자 프라아테스 2세는 게으르지 않았다.그는 셀레우시드가 점령한 메디아에서 반란을 일으키면서 새로운 군대를 일으켰다.프라아테스는 적들 사이에 불화의 씨앗을 더 뿌리고 싶어 오랫동안 붙잡혀 있던 안티오코스의 형인 데메트리우스 2세도 석방했는데, 그는 왕위를 되찾기 위해 시리아로 돌아왔다.

그 겨울 (기원전 130–129년)에, 몇몇 메디아 마을들이 반란을 일으켜 셀레우코스 요새를 공격했다.안티오코스는 소수의 병력(아마도 왕실 근위병들)만으로 고립된 수비대를 지원하기 위해 행군했다.메마른 계곡에서, 그는 에크바타나 전투에서 프라아테스 2세와 발각되지 않고 들어온 파르티아인 대군에 의해 매복당해 전사했다.전투 후 파르티아인들은 안티오코스가 두려움 때문에 자살했다고 주장했다.대부분의 그리스-로마 역사학자들은 그가 전투에서 죽었다고 말한다.그러나 아피안은 [7]자살했다고 진술하고 있다.

승계

안티오코스의 확정된 후계자는 안티오코스 9세 키지케누스였다.그러나 아테나이오스가 쓴 데이프노소피스타에 남아 있는 포세이도니우스의 "역사" 16권에는 셀레우코스라는 왕이 언급되어 있는데, 셀레우코스라는 왕은 아르사케스 왕에 의해 메디아에 잡혀 왕족처럼 취급되었다.이 셀레우코스의 신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셀레우코스가 아버지가 죽은 후 붙잡힌 안티오코스 7세의 아들일 가능성은 펠릭스 야코비와 이안 G.[8] 키드에 의해 제안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안티오코스의 출생 연도는 신플라톤 철학자 포르피리우스의 역사적 저작을 자료로 언급한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스의 연대기에 나오는 진술에서 추론할 수 있다.그것은 왕이 죽었을 때 35세였다고 말한다.
  2. ^ 요세푸스, 고물 13.8.2;(13.236)
  3. ^ "Antiochus VII Sidetes". Livius.org.
  4. ^ 요셉푸스, 유대인 전쟁 (1:52)
  5. ^ 요세푸스 유서 제13권, 제8권
  6. ^ 요세푸스 더 유대인 전쟁 (1:60)
  7. ^ 아피안
  8. ^ Katherine Clarke (1999). Between Geography and History: Hellenistic Constructions of the Roman World. Clarendon Press, Oxford. pp. 357, 358. ISBN 0-19-924003-5.

외부 링크

안티오코스 7세
출생: 기원전 164년/160년사망: 기원전 129년
선행 셀레우코스 왕
(시리아의 왕)

기원전 138~129년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