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 스트리트 역

Bay Street station
베이 스트리트
Bay Street Station - February 2015.jpg
2015년 2월 베이 스트리트 역.
위치글렌리지 가 43번지
몽클레어, 뉴저지 07042
좌표40°48′28″N 74°12′32″w/40.8079°N 74.2089°W/ 40.8079; -74.2089좌표: 40°48′28″N 74°12′32″W / 40.8079°N 74.2089°W / 40.8079; -74.2089
소유자:뉴저지 트랜짓
플랫폼2개의 고급 사이드 플랫폼
트랙스2
연결NJT Bus NJT 버스: 11, 28, 29
Commuter Bus 디캠프: 33
Jitney몽클레어 지트니
건설
주차248개 구역의 주차장
자전거 시설자전거 거치대
액세스 사용 안 함
다른 정보
운임존5
역사
열린1981년[1][2] 3월 2일
리빌드2002
전기화됨1981년[2] 3월 2일
승객
20171,396(평일 평균)[3][4]
서비스
선행역 NJT logo.svg NJ 트랜짓 다음 역
호두나무 거리
평일
해켓스타운 쪽으로
몽클레어번턴 선 글렌 리지
뉴욕이나 호보켄을 향해
이전 서비스
선행역 NJT logo.svg NJ 트랜짓 다음 역
터미네이터스 몽클레어 분기점 글렌 리지
호보켄을 향해

베이 스트리트(Bay Street)는 뉴저지 몽클레어의 블룸필드와 글렌리지 어벤투스 사이의 파인 스트리트에 있는 뉴저지 트랜짓 스테이션으로, 몽클레어-분톤 선을 따라 있다.이 역은 주말 열차를 모두 포함하여 노선의 모든 열차가 운행한다.베이 스트리트 몬트클레어에 있는 6번지의 첫 번째 역은 시내 구역을 서비스하는 최남단이다.이 역은 원래 1981년에 몽클레어 커넥션(Montclair Connection)을 조성하는 일환으로 1913년 그로브 스트리트 인근에 건설된 라카와나 터미널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981년 2월 27일 개관 당시 베이 스트리트는 하나의 쉼터가 있는 외딴 플랫폼이었다.2002년 몽클레어 커넥션의 일환으로 베이 스트리트는 2개의 고급 플랫폼과 선로를 횡단하는 교량의 새로운 엘리베이터를 포함하여 ADA 접근성 표준으로 완전히 재구축되었다.이 역은 또한 2010년 7월에 역 주변의 개발로 상을 받았고 그 결과 몬트클레어가 뉴저지 교통부에서 교통 마을 이니셔티브에 따라 교통 마을로 지정하게 된 것이다.

역사

지금은 쇼핑 센터인 옛 라카와나 역

오프닝

이 역은 1981년 현재의 역에서 서쪽으로 두 블록 떨어진 몽클레어의 이전 역인 라카와나 플라자를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라카와나 플라자(Lactawanna Terminal이라고도 한다)는 델라웨어, 라카와나, 웨스턴 철도(Western Trail)가 1913년에 몬트클레어 분점을 위해 개업한 터미널이다.[5]역의 용도는 3개의 플랫폼이 제공하는 6개 트랙에서 1개 트랙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강등되었고 지점은 2개 트랙에서 1개 트랙으로 내려갔다.이 역은 1981년 2월 26일에 마지막으로 여객 열차를 운행했고, 다음 날 당시 콘레일이 운행하던 [6]열차는 몽클레어 동쪽에 재편성되어 베이 스트리트라는 이름의 새로운 역이 운행되었다.당시 베이 스트리트는 원래 선로가 하나뿐이고 작은 쉼터만 있는 맨 플랫폼이었다.이번 재편성은 계획된 몽클레어 커넥션이 몽클레어 지선과 분톤선을 연결하는 첫 단계였다.이 역은 이제 몽클레어 지부의 종착역 역할을 했고, 그 결과 전기화의 종착역 역할을 하게 되었다.[7]

몽클레어 접속

Montclair Connection을 위해 새로 건설된 트랙, 베이 스트리트 역에서 바라본 새로운 트랙

라카와나 철도의 몽클레어 지사와 몽클레어의 다른 5개 역을 서비스했던 에리 철도의 뉴욕과 그린우드 레이크 철도 사이의 열차 운행의 연결은 1929년 지역 계획 협회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그러나 대공황은 그 선을 연결하려는 어떠한 계획도 보류했다.이 계획은 몇 년 동안 계속 수그러들었고, 1963년 뉴저지 웨인의 마운틴뷰에서 뉴욕과 그린우드 호수로 이전 분톤 지점이 재구성되면서 부활 계획이 되돌아왔다.그러나 1980년대 후반 뉴저지 트랜짓이 이 제안을 되살릴 때까지 연결은 조용한 주제였다.1998년 몬트클레어 마을과 거래가 이루어졌는데, 한 선로는 디젤 열차 세트에만 사용되었다.그러나, 이 제안은 오버헤드 전기 Catelene 전선과의 더블 트랙 연결로 변경되었다.몽클레어 연결 공사는 1년 후인 2002년 9월 30일에 완공되었다.[7]

몽클레어 커넥션의 결과로 베이 스트리트 역은 완전히 재건되었다.외로운 단일 플랫폼은 제거되었고, 두 개의 높은 플랫폼과 큰 교차 브리지로 재건되었다.대피소가 철거되고 양방향으로 상시 서비스가 확대됐다.열차의 터미널이라기보다는 승객들이 다른 열차로 갈아탈 수 있는 몽클레어 하이츠까지 열차는 북쪽으로 계속 이어졌다.[8]

트랜짓 빌리지

2010년 7월 11일, 뉴저지 교통부로부터 몽클레어가 소머빌과 함께 교통 마을로 지정되었다는 발표가 있었다.이 환승마을은 주민들과 사람들에게 새로운 주거지와 상점을 포함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되었다.몽클레어는 새 주차데크, 파인 스트리트를 따라 7개 주거단지로 이루어진 단지 등 베이 스트리트 역에서 한 작업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이 환승 마을들은 또한 역의 개발을 계속하기 위해 10만 달러의 기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몬트클레어의 환승마을은 대부분 베이 스트리트에 지어졌지만, 이 마을에는 5개의 다른 역이 있는데, 모두 주거지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9]

스테이션 레이아웃 및 서비스

글렌리지 가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베이 스트리트 역 플랫폼

베이 스트리트 역은 몽클레어 읍내 6개 역 중 첫 번째 역이며, 블룸필드 애비뉴(카운티 루트 506번지)와 글렌리지 애비뉴 사이의 파인 스트리트에 위치하고 있다.

이 역에는 두 개의 선로에 승객들을 태울 수 있는 두 개의 높은 측면 승강장이 있다.승강장 자체는 엘리베이터와 교차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승차권 자동판매기가 있다.그 역에는 248칸의 주차장이 있고, 한 블록 거리에 더 작은 부지가 있다.이 중 8곳은 몬트클레어 주차관리청이 접근 및 관리하는 장애인이다.

역과 주차 데크에 대한 정비 문제가 지속되고 있으며, NJ 트랜짓이나 지자체는 역 건물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10]

베이 스트리트 역은 몽클레어-분톤 선의 주요 정차역이다. 몽클레어를 운행하는 모든 열차가 여기에 정차하기 때문이다.이곳은 호팟콩 역으로 가는 몇몇 특별한 휴일 열차를 제외한 모든 주말 운행의 터미널이다.[11]

M 고가도로 플랫폼과 주차장 사이의 산책로
접지/
플랫폼 레벨
측면 플랫폼, 오른쪽에서 문이 열림
아웃바운드 몽클레어-분톤 평일 몽클레어 대학 또는 해켓스타운행 (월넛거리)
몽클레어-분톤종착선로
인바운드 호보켄 또는 뉴욕 방향 몽클레어-번턴 선(글렌 리지)
측면 플랫폼, 오른쪽에서 문이 열림
거리 수준 매표기 및 주차

참조

  1. ^ Grodt, Rod (February 26, 1981). "Bay St. Station Opens Monday". The Montclair Times. pp. 1, [https://www.newspapers.com/clip/27765972/bay_street_to_open_february_26_1981/ 12. Retrieved January 14, 2020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2. ^ a b "Bay Street Railroad Station Opens". The Montclair Times. March 5, 1981. p. 1, 9. Retrieved January 28, 2019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3. ^ "QUARTERLY RIDERSHIP TRENDS ANALYSIS" (PDF). New Jersey Trans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December 27, 2012. Retrieved January 4, 2013.
  4. ^ "How Many Riders Use NJ Transit's Hoboken Train Station?". Hoboken Patch. Retrieved July 18, 2018.
  5. ^ Yanosey, Robert J. (2007). Lackawanna Railroad Facilities (In Color). Vol. 1: Hoboken to Dover. Scotch Plains, New Jersey: Morning Sun Books Inc. p. 104. ISBN 978-1-58248-214-9.
  6. ^ Jaeger, Phillip Edward (1998). Montclair: A Guide to Its Past. Mount Pleasant, South Carolina: Arcadia Publishing. pp. 14. ISBN 0-7385-3475-7.
  7. ^ a b The Montclair-Boonton Line (PDF). Newark, New Jersey: New Jersey Transit Rail Operations. 2002. p. 14. Retrieved July 11, 2010.
  8. ^ "NJ Transit Board Advances Rail Station at Montclair State University" (Press release). New Jersey Transit Rail Operations. September 21, 2001. Retrieved July 12, 2010.
  9. ^ Corbett, Nic (July 11, 2010). "Montclair wins recognition from state for Bay Street train station". The Star-Ledger. New Jersey: Gannett Newspap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3, 2010. Retrieved July 12, 2010.
  10. ^ kiefer, Eric (February 14, 2014). "Bay Street Station blues in Montclair". Montclair Times. Retrieved February 14, 2014.
  11. ^ "Montclair-Boonton Line Timetables" (PDF). Newark, New Jersey: New Jersey Transit Rail Operations. May 23, 2010. pp. 1–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July 28, 2010. Retrieved July 12, 201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