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 렌슐러

Carrie Rentschler
캐리 A. 렌츠클러
모교미네소타의 대학교, B.A.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 샴페인, M.A. 및 박사
직업교수, 학자, 작가

캐리 A. 렌츠클러는 캐나다 퀘벡몬트리올에 위치한 맥길 대학의 페미니스트 미디어학 학자 겸 부교수다.[1] 렌털러의 작품은 미디어가 어떻게 문화를 생산하고 그것이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강간 문화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녀는 폭력 범죄를 줄이기 위해 미디어 제작을 통한 반폭력을 옹호한다.

배경

캐리 A. Lentschler는 페미니스트 미디어학 분야의 윌리엄 도슨 학자다. 그녀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맥길대학교 성, 성, 페미니스트 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했다.[1][2][3] 이 연구소에서 렌치클러는 학부와 대학원 양쪽에서 과정을 가르친다. 이러한 과정에는 페미니스트 미디어학, 미디어학, 감정과 영향의 정치학, 뉴스의 문화학, 범죄/미디어/문화학, 페미니스트 이론과 방법 등이 포함된다.[1] 렌츠클러는 1994년 미네소타 대학에서 인문학을 전공했고 1998년과 2002년 일리노이 대학에서 각각 MA와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1]

연구이익

렌털러의 연구 관심사는 미디어 중심으로, 물리적 피해와 심리적 트라우마를 표현하는데 있어 문화 생산자로서 미디어와 관련된 것이며, 이러한 표현들이 전쟁, 테러리즘, 시민권, 범죄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을 어떻게 전달하는지에 관한 것이다.[1] 그녀는 이러한 문제들이 구체적으로 여성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특히 집중한다. Rentschler의 여러 예가 여성 주의 연구를 수행하고, 색상의 정의 system,[1]의 여성들의 불균형적 법률로 금하기와 노약자뿐만 아니라 한가지 도구, 여성들의 힘을 강화와 강간 문화의 가해자들을 노출시키는 노력의 일환으로 강간 문화의 영구를 중단하기에 알리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해 그녀의 연구를 포함한다..[4] 렌첼러는 또한 여성들이 자기 방어 전략에 참여함으로써 더 많은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1]

주목할 만한 작품

렌츠클러의 2014년 기사 '강간문화와 소셜미디어의 페미니스트 정치'는 젊은 세대의 페미니스트들이 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강간문화와 싸우는 방식을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이 운동은 거리 괴롭힘, 강간 농담,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경찰, 주류 언론, 학교 당국의 보도보다 더 많은 관심을 주었다.[5] 렌털러는 일부 여성들이 종종 휴대폰으로 찍히는 괴롭히는 사람들의 사진을 연대를 위해 게시하고 있으며 다른 여성들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계속해서 그러한 관행이 피해자와 무력감의 감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젊은 여성들이 후추 스프레이나 휘파람보다 개인 안전 장치로 휴대전화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발언으로 이어진다.[4]

렌츠클러는 2019년 자동차 노바스코샤 등기소를 지지하는 증언과 소유주 로른 그래버의 성이 적힌 번호판을 취소하기로 한 기존 결정을 내놓았다. 그녀는 "누군가가 이 번호판을 보면 이것이 이름인지 전혀 모를 것"이라며 "이 번호판의 승인이 성희롱에 도움이 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6][7]

렌츠클러의 첫 번째 책 "세컨드 상처: 미국의 '피해자의 권리와 언론'은 2011년 듀크대 출판사에서 발간한 책이다.[1] 세컨드 상처는 범죄 이야기를 피해자들에게 소외되는 방식으로 다루는 선정적인 보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예로는 가해자에게 부당한 홍보를 하는 이야기들이 있다.[8] 렌털러의 연구는 성폭행의 생존자들이 경찰과 법원 공무원들의 제도적 방치로 인해 트라우마가 악화될 수 있는 2차 피해의 맥락에서 이것을 탐구한다.[9] 그녀의 두 번째 책인 걸후드와 장소의 정치는 2016년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자격증으로 발매되었다.[10] 두 간행물 사이사이에 렌치클러는 1964년 키티 제노비즈 살해 사건을 방관자 효과에 관한 앞으로의 작업에 대한 주제로 토론했다.[1]

개인 보기

렌털러는 범죄를 줄이는 데 있어서 범죄 통제 모델보다는 반폭력을 옹호한다. 이는 사람들이 특정한 사회 문제의 근원과 예방에 필요한 사회적 조치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애초에 범죄가 일어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한 예로 가정폭력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개입을 들 수 있다; 텔레비전 광고와 같은 매체와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대학 캠퍼스의 포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은 도움을 요청하고 그 문제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전체 발생률을 줄이는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일이 될 수 있다.[9]

출판된 작품

책들

  • 소녀시대의 연구와 장소의 정치: 현대 연구의 패러다임 버건 출판사에서 계약 하에, 클라우디아 미첼(2016년) 공동편집자와 함께.
  • 두 번째 상처: 미국 더럼주 : 듀크 대학 출판부의 2011년 피해자들의 권리와 언론.

기사들

  • "강간 문화와 소셜 미디어의 페미니스트 정치"는 소녀시대의 연구로 출판되었다. 국제 저널(International Journal, 특별호 6(2)(2013))
  • "분산적 적극주의: '팩스 시대의 가정폭력 및 페미니스트 미디어 인프라'는 8:2(2014년)에 게재될 수 있도록 승인했다.
  • "센 클라이세, 라 로이 스페셜에 대하여: 그렇지 않은 음악 축제" Wi: Journal of Mobile Media, (2012) 초청된 기고문, 1500단어. Http://wi.mobilities.ca/onsen-[permanent 죽은 링크]calisse-la-loi-special-the-music-festival-that-wasn't/" 챙겨 드럼 우리와 같이:또 다른 것 없이 같은 몬트리올의 거리 음악 축제"66월 2012년rabble.ca:에http://rabble.ca/news/2012/06/grab-yourdrum-[permanent 죽은 링크]and-join-us-montreals-street-music-festival-no-other Republ Republished.Ished 7월 1일 2012년nomorepotlucks.org:. http://nomorepotlucks.org/site/on-sen-calisse-la-loi-speciale-the-music-festivalthat-[permanent dead link]은 그렇지 않았다.
  • "1964년 키티 제노브 살인사건의 도시적 관상학," 스페이스 & 컬처 14:3(2011), 310–329.
  • 관상 턴(The Physognographic Turn), 국제 커뮤니케이션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4(2010) : 1–6. "트라우마 트레이닝과 저널리즘의 재생 작업" 문화 연구 24:4 (2010): 447–477.
  • "사라 페일린, 성적 이상과 역사적 유사성" 한계값: 성과연구 저널 4:3 (2008년 11월), 1863 단어. http://liminalities.net/4-3/palin.html에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무서운 과제: 적대적 환경 보고에서 '보안'을 섹스하는 것." 페미니스트 미디어 연구 7:3(2007), 257–279.
  • "피해자들의 권리와 언론에서의 범죄에 대한 투쟁" 캐나다 통신 저널, 32:2(2007), 239–259.
  • "리뷰 에세이: 전쟁과 가정에서 군국화된 미디어." 통신 검토 9:1(2006), 143–154, 승인되지 않음.
  • "소개: 불안정과 공포의 정치" (Carol A와 공동 저술) Stabile) 미국여성학협회 저널 17:3 (2005), viixxv.
  • "목격자: 미국 시민권과 고통의 대리 경험" 미디어, 문화, 사회 26:2(2004), 296–304. "디자인 공포: 여성에 대한 환경 안전과 폭력" 문화 연구: A Research Yearly 5(2000), 281–307.
  • "여성자위대: "일상을 위한 체육" 여성학 분기 26:1(1999년), 152–161.

북 챕터

  • "변태의 기술: 방관자처럼 보이는 것을 배우는 것"은 문화, 통신 및 미디어 연구에서의 Capture Inquiry에 게재되었다. ed. 바비 젤라이저. 루트리지(2013년 10월 3일).
  • "위험에서 트라우마로: 감정적인 노동과 저널리즘적인 목격담" 미디어 목격 사례: 매스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증언, 에드. 폴 프로시
  • "이윤 확보" 집단 행동에서: 나쁜 주제들 안토리학, 에드. 조엘 샬릿과 메건 쇼 프롤링거. 런던: 명왕성 출판부 (2004), 페이지 198-205.
  • "Designing Fear: 어떻게 환경보안이 사람들의 희생을 감수하면서 재산을 보호하는가." Foucault, 문화 연구와 정부성, eds. 잭 브라티치, 제레미 패커, 카메론 매카시. 알바니: SUNY 프레스(2003), 페이지 243–272.
  • "미디어 활동주의의 정의 확대" 블랙웰의 미디어 연구 동반자, 에드. 앙가라드 발디비아 MA: 블랙웰 출판사 (2003), 페이지 529–547.

편집된 저널

  • "페미니즘을 행하라: 이벤트, 아카이브, 테크네." 공동편집자는 페미니스트 이론 특별호인 사만다 레프트와 함께 17:1(2016년 4월 예정)이다.
  • "문화학과 위기 소녀시대의 재설명" 공동편집자, 클라우디아 미첼과 함께 걸후드 스터디 특별호의 공동편집자: 학제간 저널. 6:2 (2013년 10월 예정)
  • NWSA 저널 17장 3절(2005년) 특별호 캐롤 스타빌과 공동편집자 "불안정과 공포의 젠더드 정치"

리뷰

  • 제니퍼 피터슨의 살인, 언론, 그리고 공공 감정의 정치 평론.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7(2013): 1514–1517.
  • 신시아 엔로이의 니모 전쟁, 엠마의 전쟁: 페미니스트의 이라크전쟁을 이해시키는 것에 대한 "위도, 어머니, 전쟁 어린이들"의 평론. London Times High Education 부록, 2010년 8월 26일.

기타 출판물

재인쇄물

  • "내 주먹을 받아라! 일상생활의 체육으로서의 여성자위주의," 비와 천둥: 행동주의와 토론의 급진적 페미니스트 저널 (2003년 겨울), 6–8.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Carrie Rentschler". McGill University. Retrieved 12 October 2015.
  2. ^ "Media Scholar Dr. Carrie Rentschler to Speak at VCU" (Press release).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College of Humanities & Sciences. n.d. Retrieved November 25, 2018.
  3. ^ "IGSF Annual Newsletter" (PDF). McGill University. 2016. Retrieved 2019-04-24.
  4. ^ a b Rentschler, Carrie (2014). "Rape Culture and the Feminist Politics of Social Media". Girlhood Studies. 7 (1): 65–82. doi:10.3167/ghs.2014.070106.
  5. ^ Rentschler, Carrie (2014). "Rape Culture and the Feminist Politics of Social Media". Girlhood Studies. 7 (1): 65–82. doi:10.3167/ghs.2014.070106.
  6. ^ McDonald, Michael (2019-04-25). "How a court battle over 'Grabher' license plate reflects wider societal debate". CBC. Retrieved 2019-04-29.
  7. ^ Guillena, Carmen (2019-04-26). "Grabher case: Feminist media studies prof says plate 'threatening' to women and girls". Chronicle Herald. Retrieved 2019-04-29.
  8. ^ "Second Wounds". Duke Press. Duke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November 2018. Retrieved 12 October 2015.
  9. ^ a b Lynch, Lisa. "Crime reporting in the age of victim's rights: interview with Carrie Rentschler". The Canadian Journalism Project. Retrieved 12 October 2015.
  10. ^ "Girlhood and the Politics of Place". Berghahn Books. 2016. Retrieved 2019-04-2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