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찰머스
David Chalmers데이비드 찰머스 | |
---|---|
2008년 Charmers | |
태어난 | 데이비드 존 찰머스 ( 1966년 4월 |
모교 | 애들레이드 대학교 옥스퍼드 링컨 칼리지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PhD, 1993년) |
시대 | 현대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교 | 분석 |
논문 | 의식의 이론을 향해(1993) |
박사 어드바이저 | 더글러스 호프스타터 |
주요 관심사 | 심리 철학 의식 언어철학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의식의 어려운 문제, 확장된 정신, 2차원 의미론, 자연주의 이원론, 철학 좀비 |
웹 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데이비드 찰머스(David Chalmers,[1] 1966년 4월 20일 ~ )는 호주의 철학자이자 인지과학자이다.New York University 철학과 신경과학 교수이자 NYU의 정신, 뇌, 의식 센터(Ned [2][3]Block과 함께)의 공동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2006년, 그는 호주 [4]인문아카데미의 펠로우로 선출되었다.2013년에는 미국 예술 [5]과학 아카데미 펠로우로 선출되었습니다.
찰머스는 의식의 어려운 문제를 공식화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와 데이비드 부르제는 철학자들을 위한 저널 기사 데이터베이스인 필페이퍼를 공동 설립했습니다.
초기 생활과 교육
찰머스는 1966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에서 태어났고 이후 [6]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애들레이드에서 자랐으며 그곳에서 Unley High [7]School을 다녔다.그의 아버지는 알란 찰머스의 과학철학자이다.
어렸을 때 그는 공감각을 [6]경험했다.그는 10살 때 병원에서 [8]PDP-10으로 코딩과 컴퓨터 게임을 시작했다.그는 또한 수학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6]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찰머스는 13세 때 더글라스 호프스타터의 1979년 저서 괴델, 에셔, 바흐를 읽으며 [9]철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찰머스는 호주의 [10]애들레이드 대학에서 순수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졸업 후,[11] Chalmers는 6개월 동안 유럽을 히치하이킹하면서 철학 책을 읽었고,[10] 옥스퍼드 대학에서 공부를 계속했고, 그곳에서 로즈 [12]스콜라로 일했다.1993년, 찰머스는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 더글라스 호프스타터 [13]밑에서 철학 및 인지과학 박사학위를 받았고,[12] "의식이론을 향해"라는 박사 논문을 썼다.그는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워싱턴 대학의 Andy Clark가 감독한 철학-신경과학-심리학 프로그램에서 박사 후 펠로우였습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루이스.
직업
1994년 Chalmers는 의식의 과학을 향한 [13]첫 번째 회의에서 강연을 했다.고등교육 연대기의 기사에 따르면, "이 강의는 찰머스를 무시할 수 없는 사상가로서 확립했고 초기 분야를 더욱 [13]두드러지게 만들었다"고 한다.그는 몇 년 동안 스튜어트 해머로프와 함께 컨퍼런스를 조직했지만 주류 과학에서 [13]너무 멀어지자 자리를 떴다.Chalmers는 또한 의식에 대한 과학적 연구 협회의 창립 멤버이자 과거 회장 [14]중 한 명이다.
명성을 확립한 Chalmers는 1995년 8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UC Santa Cruz에서 첫 교수직을 받았습니다.1996년, 그곳에서 가르치는 동안, 그는 널리 인용된 책 "의식적인 마음"을 출판했습니다.Chalmers는 이후 철학 교수(1999–2004)로 임명되었고, 그 후 애리조나 대학의 의식 연구 센터 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그를 처음으로 유명하게 만든 콘퍼런스의 후원자가 되었습니다.2004년, 찰머스는 ARC Federation Fellowship의 권유로 호주로 돌아와, 호주 국립 대학의 [citation needed]철학 교수 겸 의식 센터의 소장이 되었습니다.Chalmers는 2009년 뉴욕대학교 철학과 시간제 교수직을 수락한 후 2014년에 [15]전임 교수직을 수락했습니다.
2013년, Chalmers는 미국 예술 [5]과학 아카데미 펠로우로 선출되었습니다.그는 스탠포드 철학 [16]백과사전의 심리 철학에 관한 주제 편집자입니다.2018년 5월,[17] 그는 베르크그루엔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철학적인 일
심리 철학
찰머스는 1995년 논문 '의식의 문제를 직시하다'와 1996년 저서 '의식의 문제'에서 이른바 '의식의 어려운 문제'를 공식화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는 사물 식별이나 구두 보고 등 의식의 "쉬운" 문제와 감각 정보에 대한 인식을 수반하는 감정이 왜 존재할까라고 말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어려운 문제를 구분한다.쉬운 문제와 어려운 문제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전자가 적어도 이론적으로 심리 철학에서 지배적인 전략을 통해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리주의.찰머스는 목적에서 주관으로 가는 "해명적 간격"을 주장하고, 정신 경험에 대한 물리주의적 설명을 비판하여 그를 이원론자로 만든다.찰머스는 그의 관점을 "자연적인 이원론"으로 특징짓는다: 그는 정신 상태가 물리적 시스템(예: 뇌)에서 "자연적으로" 우월하다고 믿기 때문에 자연주의적이고, 정신 상태가 존재론적으로 구별되고 물리적 시스템과 환원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에 이원론적이다.그는 또한 재산 이원론과 같은 보다 전통적인 공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특징지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찰머스는 철학적인 [18]좀비의 논리적 가능성에 대한 헌신으로 유명하다.이 좀비들은 질적 경험만 결여된 인간의 완전한 신체 복제품이다.Chalmers는 그러한 좀비들은 우리에게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그것들은 논리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조건과 감각은 물리적인 특성만으로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들에 대한 사실은 더 많은 사실이다.대신에, 찰머스는 의식은 존재론적으로 어떤 알려진 (또는 심지어 가능한) 물리적 [19]성질에 대해 독립적인 근본적인 속성이며, 어떤 물리적 시스템이 어떤 종류의 조건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정신물리학적 법칙"이라고 그가 말하는 법과 같은 규칙들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그는 또한 모든 정보를 가진 시스템이 의식이 있을 수 있으며, 그로 하여금 의식적인 온도조절과 그가 범심리주의라고 부르는 자격 있는 범심리주의의 가능성을 즐기게 할 것이라고 추측한다.찰머스는 범심리주의의 생존성이 그를 동시대 대부분의 사람들과 대립하게 만든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불가지론을 고수하고 있다.찰머스에 따르면, 그의 주장은 라이프니츠의 1714년 "밀" 주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고방식과 유사하다; 철학적인 "좀비" 용어의 첫 실질적인 사용은 로버트 커크의 1974년 "좀비 대 좀비"일 것이다.물질주의자.[20]
찰머스의 획기적인 논문이 발표된 후, 20개 이상의 논문이 의식 연구 저널에 발표되었습니다.다니엘 데넷, 콜린 맥긴, 프란시스코 바렐라, 프란시스 크릭, 로저 펜로즈 등의 논문들이 수집되어 의식에 대한 설명이라는 책에 실렸다. 어려운 [21]문제John Searle은 The New York Review of [22][23]Books에서 Chalmers의 견해를 비평했다.
Chalmers는 Andy Clark와 함께 [24]마음의 경계에 관한 기사인 "The Extended Mind"를 썼다.
언어철학
Chalmers는 단어들이 어떻게 그들의 참조를 확보하는지와 관련된 "참조 이론"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그는 프랭크 잭슨과 같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울 크립케에 반대하는 이차원주의라고 불리는 이론을 제안한다.1970년 크립케가 '이름짓기와 필요성'이라는 유명한 강연 시리즈를 발표하기 전에는 고틀롭 프레지와 버트런드 러셀이 주장하는 서술주의가 정설이었다.기술주의는 이름이 실제로 특성의 집합인 설명의 줄임말이거나 나중에 존 설에 의해 수정된 특성의 분리임을 시사한다.이 이름은 속성 적합 프로세스에 의해 참조가 보호됩니다. 즉, 설명에 가장 적합한 개체가 이름에 대한 참조입니다.따라서 서술은 함축된 의미, 즉 프레게이어로 이름의 의미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의미에 의해 이름의 표기가 결정된다.
그러나 Kripke가 Naming and Nequency에서 주장했듯이, 이름은 설명 적합의 어떤 과정을 통해서도 참조를 보장하지 않습니다.오히려 이름은 이름 지정 프로세스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력-원인 링크 트레이스를 통해 참조를 결정합니다.따라서 Kripke는 이름에는 의미가 없거나 적어도 참조 결정 역할을 할 만큼 풍부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게다가 크립케가 보기에 이름은 모든 가능한 세계에서 같은 물체를 가리키는 단단한 지정자입니다.이러한 사고방식에 따라 크립케는 "물은 HO2"와 같은 과학적 정체성 진술도 필요한 진술이며, 즉 모든 가능한 세계에서 사실이라고 제안합니다.크립케는 이것이 기술론자가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힐러리 퍼트남과 크립케가 직접 제안한 바와 같이, 이름에 대한 크립케의 관점은 자연 종류의 용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Kripke와 Putnam이 주창하는 참조 이론은 직접 참조 이론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Chalmers는 Kripke와 모든 직접 참조 이론가들의 일반적인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그는 자연어에는 두 가지 종류의 억양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현재 2차원주의라고 불린다.예를 들면, 그 단어들은
- "물은 HO2"
흔히 1차 인텐션과 2차 인텐션이라고 불리는 두 가지 명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25] 두 가지 명제는 함께 의미를 구성합니다.
단어 또는 문장의 주요 의미는 그 의미이다. 즉, 우리가 그것을 참조하는 아이디어 또는 방법이다."water"의 주요 의미는 물 같은 묘사일 수 있습니다."물"의 주된 억양에 의해 선택되는 것은 다른 것일 수 있다.예를 들어, 주민들이 "물"을 물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지만, 물 같은 물질의 화학적 구성이 HO가 아닌2 다른 세계에서는 물이 HO인 경우가2 아니다.
"물"의 두 번째 의미는 "물"이 이 세상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든, 그 세상이 어떻게 되든 간에 말입니다.그래서 우리가 "water"를 "water"의 1차적인 의미인 "water"의 2차적인 의미인 "water"는 HO입니다2. 왜냐하면2 HO는 이 세상에서 물이기 때문입니다.우리 세계에서 "물"의 2차적 의미는2 HO이고, 물과는 달리 HO가 HO가 되는2 것은2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세계에서 HO이다2.물의 2차적 의미에 따라 고려할 때 물은 모든 세계에서2 HO를 의미합니다.Chalmers는 이 2차 인텐션을 통해 동일성 스테이트먼트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참조를 결정할 때 인텐션/센스의 역할을 보존하는 방법을 동시에 제안한다.
언쟁의 철학
Chalmers는 최근 몇 가지 작품에서 언어 [26]분쟁에 집중했다.그는 분쟁이 (i) 분쟁 당사자들이 (ii) T의 의미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고 (ii) 이 의견 불일치 때문에 분쟁이 발생하는 용어 T를 포함하는 문장 S와 관련된 경우에 "언어적"으로 가장 잘 특징지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같은 작품에서 Chalmers는 구두 분쟁 해결을 위한 특정한 절차를 제안한다.그 중 하나는 "제거 방법"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논란이 되는 용어를 제거하고 분쟁이 남아 있는지 관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테크놀로지와 가상현실
Chalmers는 2022년 저서 Reality+에서 가상세계와 비가상세계의 문제를 다루었습니다.Chalmers는 가상현실이 비가상현실과 같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가상현실을 환상이라기보다는 그 [27]자체로 진정한 현실이라고 생각한다.Chalmers는 가상 현실을 비가상 현실과 [28]같이 의미 있는 삶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우리는 [29]이미 시뮬레이션의 거주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Chalmers는 컴퓨터가 "외피질"의 형태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서 인간의 인식의 일부가 애플이나 [30]구글과 같은 기업에 '외주'되고 있다고 제안합니다.
미디어
Chalmers는 2012년 더그 월렌스의 다큐멘터리 영화 The Singularity에 출연했는데, 이 영화는 테크노 퓨처리스트 Ray Kurzweil이 제안한 "컴퓨터 지능이 인간의 [31][32]지능을 능가하는 시점"의 이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그는 GPT-3에 관한 데일리 누스 시리즈의 주요 철학자로 "지금까지 생산된 [33]AI 시스템 중 가장 흥미롭고 중요한 것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
사생활
Chalmers는 [34]2012년 뉴욕에서 열린 음악 축제 Qualia Fest에서 공연한 좀비 블루스 밴드의 리드 보컬이다.Chalmers는 [35]리우데자네이루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Claudia Passos Ferreira와 사귀고 있다.종교에 대해 찰머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종교관도 없고, 경직된 인문주의적이고 영적인 관점 외에는 영적인 관점도 없다.그리고 의식은 삶의 사실일 뿐이다.그것은 [35]삶의 자연스러운 사실이다.
참고 문헌
- 의식적 정신: 기본 이론을 찾아서 (1996년)옥스퍼드 대학 출판부하드커버: ISBN0-19-511789-1, 페이퍼백:ISBN0-19-510553-2
- 의식의 과학 III: 제3회 투싼 토론과 토론(1999년).스튜어트 R.Hameroff, Alfred W. Kaszniak 및 David J. Chalmers(편집자)입니다.MIT 프레스ISBN 0-262-58181-7
- 마음의 철학: 고전과 현대 독서(2002).(편집자).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0-19-514581-X 또는 ISBN 0-19-514580-1
- 의식의 특성(2010).옥스퍼드 대학 출판부하드커버: ISBN 0-19-531110-8, 페이퍼백:ISBN 0-19-53116
- Constructing The World (2012).옥스퍼드 대학 출판부하드커버: ISBN 978-0-19-960857-7, 페이퍼백:ISBN 978-0199608584
- 리얼리티+: 가상세계와 철학의 문제(2022).W. W. Norton & Company.하드커버: ISBN 978-0-393-63580-5
메모들
- ^ "생각하는 원숭이: 인간 의식의 수수께끼' 유튜브를 통해
- ^ "David Chalmers". philosophy.fas.nyu.edu. Department of Philosophy, New York University.
- ^ "People". wp.nyu.edu. Center for Mind, Brain and Consciousness, New York University. Retrieved 11 December 2016.
- ^ "Professor David Chalmers". humanities.org.au. Australian Academy of the Humanities. Retrieved 19 January 2022.
- ^ a b "David Chalmers receives top Chancellor's Awar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7 January 2014. Retrieved 2 October 2018.
- ^ a b c Keane, Daniel (6 July 2017). "Philosopher David Chalmers on consciousness, the hard problem and the nature of reality". ABC News (Australia). Retrieved 28 September 2018.
- ^ "Is consciousness humanity's greatest unsolved riddle?". ABC News. 7 July 2017. Retrieved 3 May 2022.
- ^ Chalmers, David (2022). Reality+: Virtual Worlds and the Problems of Philosoph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SBN 9780393635805.
- ^ "What Is It Like to Be a Philosopher?". What Is It Like to Be a Philosopher?. Retrieved 3 May 2022.
- ^ a b Lovett, Christopher (2003). "Column: Interview with David Chalmers" (PDF). Cognitive Science Online. 1 (1). Retrieved 9 October 2018.
- ^ Thornhill, John (11 February 2022). "David Chalmers: 'We are the gods of the virtual worlds we create'". Financial Times. Retrieved 3 May 2022.
- ^ a b "David Chalmers". National Portrait Gallery. Retrieved 9 October 2018.
- ^ a b c d Bartlett, Tom (6 June 2018). "Is This the World's Most Bizarre Scholarly Meeting?".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Retrieved 19 June 2018.
- ^ "David Chalmers". Edge.org. Retrieved 30 September 2018.
- ^ Jackson, Sarah (27 March 2017). "Are We Living in the Matrix?". Washington Square News. Retrieved 9 October 2018.
- ^ "Editorial Boar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plato.stanford.edu. Retrieved 10 December 2016.
- ^ "The Berggruen Prize Philosophy & Culture Berggruen". philosophyandculture.berggruen.org. Retrieved 1 June 2018.
- ^ Burkeman, Oliver (21 January 2015). "Why can't the world's greatest minds solve the mystery of consciousness?". The Guardian. Retrieved 7 January 2017.
- ^ Chalmers, D. J. (1 March 1995). "Facing up to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2 (3): 200–219. Retrieved 10 October 2018.
In physics, it occasionally happens that an entity has to be taken as fundamental. Fundamental entities are not explained in terms of anything simpler. Instead, one takes them as basic, and gives a theory of how they relate to everything else in the world.
- ^ David Chalmers. "Zombies on the web". consc.net. Retrieved 7 January 2017.
As far as I know, the first paper in the philosophical literature to talk at length about zombies under that name was Robert Kirk's "Zombies vs. Materialists" in Mind in 1974, although Keith Campbell's 1970 book Body and Mind talks about an "imitation-man" which is much the same thing, and the idea arguably goes back to Leibniz's "mill" argument.
- ^ Shear, John, ed. (June 1996). Explaining Consciousness: The Hard Problem. MIT Press. ISBN 978-0-262-69221-2.
- ^ Searle, John (6 March 1997). "Consciousness & the Philosopher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Retrieved 11 December 2019.
- ^ Chalmers, David; Searle, John (15 May 1997). "'Consciousness & the Philosophers': An Exchange".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Retrieved 11 December 2019.
- ^ consc.net 분석 58:10-23, 1998.1998년 철학자 연차지에 전재되었습니다.
- ^ 자세한 설명은 Chalmers, David를 참조하십시오.의식적인 정신.옥스퍼드 UP: 1996.제2장 제4절
- ^ consc.net 철학적 리뷰, 120:4, 2011.
- ^ Wilson, Kit. "Reality+ by David J Chalmers review — is our universe just a computer simulation?". ISSN 0140-0460. Retrieved 4 May 2022.
- ^ Marchese, David (13 December 2021). "Can We Have a Meaningful Life in a Virtual World?".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4 May 2022.
- ^ "Reality+ by David J Chalmers review – are we living in a simulation?". the Guardian. 19 January 2022. Retrieved 4 May 2022.
- ^ Thornhill, John (11 February 2022). "David Chalmers: 'We are the gods of the virtual worlds we create'". Financial Times. Retrieved 4 May 2022.
- ^ "The Singularity Film". Retrieved 31 July 2020.
- ^ Pevere, Geoff (6 June 2013). "What happens when our machines get smarter than we are? (No, don't ask Siri)". The Globe and Mail. Retrieved 31 July 2020.
- ^ Weinberg, Justin, ed. (30 July 2020). "GPT-3 and General Intelligence". Daily Nous. Philosophers On GPT-3 (updated with replies by GPT-3). Retrieved 31 July 2020.
- ^ Kaminer, Ariel (9 December 2012). "Where Theory and Research Meet to Jam About the Mind". New York Times. Retrieved 2 October 2018.
- ^ a b "Freethought of th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