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베어
Yabem language야밤 | |
---|---|
자베름 | |
네이티브: | 파푸아 뉴기니 |
지역 | 모로베 주 핀샤펜 구 |
원어민 | (2,100명 인용, 1978)[1] |
언어 코드 | |
ISO 639-3 | jae |
글로톨로지 | yabe1254 |
야밤(Yabem, 또는 자베엠)은 파푸아뉴기니의 오스트리아로네시아어다.
개요
야밤은 북부 해안에서 언어가 유래되었다는 역사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파푸아 뉴기니 주 모로베 성 후온 반도의 남쪽 끝에 있는 핀슈하펜에서 약 2,000명이 원주민으로 사용하는 멜라네시아어족의[2] 분단에 속한다.[3] 그러나 야밤은 1885년 야밤을 사용하는 마을 심방에 처음 도착한 독일 루터교 선교사들에 의해 복음주의 및 교육 목적으로 카테와[4] 함께 지역언어 프랑카로 채택되었다.[5] 야빔은 선교사들이 도착해서 처음 마주친 언어였기 때문에 문자 체계를 만든 최초의 언어였다. 그들은 야빔 공동체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 시스템까지 만들었다.
1939년까지 무려 15,000명의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10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이 책을 이해하게 되었다(Zahn 1940). 제2차 세계 대전 후 10년 동안, 선교사의 학교 네트워크는 야밤을 교육의 매개체로 삼아 3만 명의 학생들을 간신히 교육시켰다(Streicher 1982년). 비록 Yabem의 지역 공통어 관용 법을 톡 피진, 종교적 회의와 같은 교육과 정부처럼 더 공식적인 기관의 1950s,[4]Yabem는 여전히best-documented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의, extens에 사용되었던 비공식적 일상의 삶, 그리고 workplace,[6]와 영어에 사용된 것으로 교체되었다.ive 나는문법 및 사전뿐만 아니라 nstructional 및 소송 자료(독일어 또는 영어의 번역만이 아닌 많은 독창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정부는 서양 문화와 가치에 더 쉽게 동화되기를 원했고 그들의 우수한 교육 자원에 대한 접근을 원했다. 그래서 영어는 가장 효율적인 교육 언어였다.[7]
그래도 현지 출신 언어인 카테와 야빔의 사용에서 외국 출신 언어인 톡피신, 영어 등으로의 전환은 민족의 역동성과 언어와 교회를 바라보는 시각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야밤은 켈라어족과 부카와어족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3] 사실 부카와어를 하는 많은 사람들도 야밤을 사용한다.
에트놀로그는 그 언어의 상태를 "위협된"[8] 것으로 분류한다. 대체 명칭으로는 라울라부, 자밤, 자밤, 자빔, 야빔, 야밤 등이 있다.[9]
음운론
모음(정문)
야빔은 일곱 가지 모음의 특징을 구별한다.
앞면 | 중앙 | 뒤로 | |
---|---|---|---|
높은 | i | u | |
상부 중간 | ê | ô | |
하단 중간 | e | o | |
낮음 | a |
자음(정문)
-c로 쓰인 글롯 스톱은 음절 끝에만 특색이 있다. 거기서 일어날 수 있는 다른 자음으로는 p, b, m, ŋ의 labial과 nasal이 있다. /l/ 액체는 플랩[ɾ] 또는 측면[l]으로 실현된다. 음절 구조 제약은 성단이 아닌 단위 음성으로 간주될 경우 가장 쉽게 설명된다. 그러나 뉴기니에서 독일 선교사 직교법에 큰 영향을 미친 오토 뎀프월프는 vs에서와 같이 근음핵과 음절핵 사이에 둥근 중간모음(-o- 또는 -o-)이 존재하여 근음 반올림을 하는 대신 근음 반올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ômôê '넌 올 거야' vs. ômeŋ 'he'll come' 또는 ômôa 'you'll live' vs. ômac 'you'll be a bitter (Dempwolff 1939) (시오와 카테의 맞춤법 비교)
라비알 | 코로날 | 도르살 | 글로탈 | ||
---|---|---|---|---|---|
콧물 | m / mo-/mo- | n | ŋ | ||
플로시브 | 무성음의 | p / po-/pô- | t | k/kw | -c |
목소리 있는 | b / bo-/bo- | d | g/gw | ||
태교의 | mb/mbo-/mbo- | nd | ŋg / ŋgw | ||
프리커티브 | s | ||||
근사치 | w | l | j |
톤
야빔은 하이톤 음절과 로우톤 음절을 구분하는 간단한 레지스터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표준 맞춤법에서 하이톤 음절은 표기가 없고, 로우톤 음절의 핵은 oc '태양' vs에서처럼 엄숙한 억양으로 표시된다. òc 'my foot' 또는 uc 'breadfuilt' vs. ùc '사냥 그물' 야밤의 음색 구분은 비교적 최근에 생긴 것으로 보이며(Bradshaw 1979), 여전히 대조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해꾼과 강하게 상관관계가 있다(그러나 가장 가까운 친척인 부카와에서는 그렇지 않다). 무성 난청(p, t, k)이 있는 음절에서는 고음만 발생하며, 유성 난청(b, d, g)이 있는 음절에서는 저음만 발생한다. 마찰음 /s/는 낮은 음절의 음절이지만 높은 음절의 음절에서는 음성이 들리지 않는다. 다른 음소들은 톤에 대해 중립적이기 때문에 하이톤 환경이나 로우톤 환경 모두에서 발생한다.
어휘 범주
야밤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 부사가 있다. 동사와 명사와 같은 일부 범주는 그들이 취할 수 있는 형태학의 종류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야밤 명사는 양도할 수 없는 소유 접미사, 구별하는 사람, 수, 포괄성/배타성을 가질 수 있다. 이국적인 소유욕은 겹친 소유욕의 단어로 표시된다. 명사는 또한 그것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인정적인" 접미사, 즉 동정, 애정 또는 조롱을 취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브래드쇼 & 크조보르(2005)의 예가 있다.
- ŋac
- '남자'
- ŋacè
- 맨디엠
- '사랑하는 작은 남자'
- 과드 에크
- 사촌-1SG주머니쥐
- '내 사촌'
- 과드-에크-슈고
- 사촌-1SG주머니쥐-리드
- '멍청한 사촌'
동사는 접두사로 구별할 수 있다. 이들은 형태학 섹션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 숫자 및 irrealis/realis 모드를 나타내기 위해 표준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
- 케포아
- 3SG 브레이크
- '파열되다'
어떤 단어들은 명사나 동사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명목이나 언어 형태학 중 하나를 택한다.
- 옻칠을 하다
- '항행'
- ŋoc lac
- 1SG.AXE-sail
- '나의 돛'
- ta-beating
- 1PL-실
- '우리는 항해한다'
이들 중 대부분은 동사에 의해 표현된 작용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는 원래 명사의 의미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 ta-flashmac
- 1PL-웃음
- '우리는 웃는다'
- ômac
- '웃음'
문법적 관계와 정렬
야빔은 항상 타동사 또는 자동사동사의 주어를 표시하는 동사에 나타나는 대명사 접두사에서 증명하듯이, 명목-accus의 정렬 체계를 가지고 있다. 공칭자체에 대한 사례표시는 없으며, 단어순서는 일반적으로 SVO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브래드쇼 & 크조보르(2005:10-34)의 예가 있다.[10]
- ga-sô tuŋ.
- 1SG타이 펜스
- '울타리를 묶었다'
- ga-gukgôŋ.
- 1SG-sit
- '나는 남는다'
또한 주어 접두사는 아래 예시와 같이 완전한 주어 대명사와 함께 발생할 수 있다. 대담한 형태소는 둘 다 1인칭 단수형을 가리킨다.
- ae ga-ma-mnmem biŋ 원자
- 1SG 1SG-hear 2SG.주머니쥐의 수다 NE
- '네 연설을 못 들었어.'
워드 오더(SVO)는 명목/축적 시스템의 또 다른 표식이다. 아래에서, 1인칭 단수 자유 대명사는 그것이 자동사 동사의 대상인지 또는 전이 동사의 대리인인지 첫 번째 사람 앞에 나타난다.
- ae 가잼
- 1SG 1SG-make.고마워요.
- '고맙다'
- ge-no mo.
- 1SG 1SG 조리 토란
- '나는 토란을 요리한다.'
음성 및 발성
이 지역의 다른 많은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오셔니와 파푸안 둘 다 소극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인과관계를 형성하는 형태론적 방법도 없다. 디트랜시티브는 아래와 같이 근거리 반사/회수 구문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로는 브래드쇼(1999:289-91)가 있다.[11]
- 마셰키빙싱뎅
- 및 3PL 바인딩 단어 3PL 조인 자체
- '그리고 그들은 함께 계획했다' ('그들은 말을 묶고 서로 합세했다')
- 시브마 시브마
- 3PL-콜자체 3PL-say Sib sibma
- '그리고 그들은 스스로를 '시브마'라고 불렀다'
형태학적 유형학
야밤은 형태학적 융합과 응집성의 원소를 보여주지만 어느 측면에서도 그리 높지 않다. 융접/접착 정도를 결정하는 1차 요인은 어휘 범주다. 예를 들어, 동사는 제목 접두사를 사용하는데, 이 접두사는 사람, 숫자, 포괄성(1인칭 복수형의 경우), 현실성/비현실성 및 하이톤이며 낮은 톤의 변형을 가지고 있다. 명사는 또한 낮은 수준의 흡착을 보여주며, 때로는 소유적 접미사를 취하기도 한다. 언어적 파생은 비록 명목화가 그렇게 하지만 형태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명목화를 위한 일부 파생 형태학은 아래에 대리 접미사를 통한 명사 구축에서 볼 수 있다. 두 번째 예에서는 동사의 환자(이 경우 -아워와가 '여자')를 에이전트(여기서 ŋac '남자')와 결합하여 대리적인 명목화된 형태를 구성한다. 예로는 브래드쇼&크조보르(2005:30)가 있다.
- ge-job-waga
- 3SG 경비대-AGEN
- 'guardian'
- ŋac-gebe-ênam-àwêwàga
- 남자-3SG.Wants-he.takes-woman
- '그루밍'
상대조항
상대적 조항은 지시 대명사/거부자의 사용에 의해 만들어지며, 그 자체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 시리즈 | 음치 | onec | 티크 | 네크 |
제2계 전동차 | 토나우 | 오나우/오나우나우 | 조롱하다 | 순진한 |
제3계 전동차 | 음을 맞추다 | ô네 | 테 | 네 |
위의 세 시리즈는 시위에서 3도의 근접도를 나타낸다. 첫 번째 시리즈는 첫 번째 사람(스피커)과 가장 가깝거나 가장 관련이 있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두 번째 시리즈는 두 번째 사람(어드바이저)과 일치하고, 세 번째 시리즈는 세 번째 사람(언어금지법 참가자)과 가장 가깝거나 가장 관련이 있는 것에 해당한다. t-로 시작하는 양식은 (참조자에 관한) 구체적이거나 정확한 증빙 정도를 제공하는 양식이다. 이 정도의 정밀도의 예는 아래에서 볼 수 있다.[10]
- ŋac tonec
- 남자 프록시
- '이 사람(내 곁에, 내가 아는 사람)'
- moc onec.
- 조류 프록시
- '이 새(들었지만 지금은 지적할 수 없는 새)'
- S-moa onaŋ.
- 3PL-스테이 DIST
- '그들은 거기에 머문다(당신 가까이에 있지만 보이지 않는다)'
위 표의 굵은 형태는 이러한 시위운동의 짧은 형태다. 그것들은 음운학적으로 축소되어 있지만 긴 형태와 의미상 차이가 없다. 상대적 조항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이 바로 이 짧은 시위다. 이러한 형식을 상대 대명사로 사용할 때 근접도 3도, 증거 정밀도 2도 등이 여전히 작용한다.
- ae tec 가모아 아마카 nec ka-tmm ŋac-gé-jam-saki-waha.
- 1SG teC 1SG-stay 2SG 3SG.주머니쥐-중간 NEC 1SG-수피체 남자-3SG-do-service-agen
- '너희 가운데에 사는 나 역시 섬기는 사람이다.'
- ô-sm bi-w-ề-a-aa-ê-ê-ê-ê-ê-ê-à-à-à-à-à mal-ng ng-ng ng-ng ng-ng mal- mal mal mal.
- 2★★★★★★★★★★★★★★★★★★★★★★★★★★★★★★★★★★★★★★★★★★★★
- '마을에 앉아있는 여자에게 토란순살 이야기를 한다.'
- aaaec a-pi wa wa ta ta debu-c.
- 1플플 1플레 카누 타오 할아버지-1sg.포유
- '우리는 카누를 탈 것이다'
- ke-to aa-lésiŋ naŋ.
- 3★★★★3★.소유 사이드보드 naŋ
- 할아버지가 그렸다.'
t-대명사가 n-형식보다 앞설 수도 있고, n-/n-형식이 두 개 공존할 수도 있지만 n-형식은 t-형식보다 결코 앞설 수 없다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taŋ...naŋ과 naŋ...naŋ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na…...ta not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렬 동사 구성
야빔은 풍부한 직렬 동사 구조 시스템(SVC)을 갖추고 있다. 그것은 서로 다른 주제(스위치-대상) SVC와 동일한 주제 SVC를 통합한다. SVC 시스템은 대칭이다. SVC의 두 동사는 모드(realis/irrealis)에서 일치해야 하며, 전이성인 경우 동일한 대상을 가져야 한다. 의미론적 사용법에는 방향성, 결과론, 인과관계, 코믹스 및 부사 수식어가 포함된다.
- 쎄잔다 모크 쎄모아 그웨크
- 3플랫폼새 3플스테이 at.sea
- '바다에서 새를 사냥했다'
- 시-시-시-나-그와크
- 3플렉스 3플고 at.sea
- '그들은 바다로 항해할 것이다'
- 타쉐와 opop ên ên mal mal malùŋ
- 1plp.1902-180.out betel.1903.1906-lie village.1906.201
- '마을 광장에 베텔 석회를 쏟아붓겠다'
- 카-시-아이-가-위-티-아크
- 1인칭 물고기 1인칭 물고기 1인칭 형1인칭.
- '형들과 함께 물고기를 잡았다.'
형태학
대명사 및 인물 표시기
자유 대명사
1인칭 복수형 및 배타형은 자유대명사에서는 구별되지 않지만 주제 접두사 및 양성에서는 구별된다.
사람 | 단수형 | 복수형 | 이중 |
---|---|---|---|
1인 포함 | aaac. | 아야제크 | |
1인 배타적 | aei | aaac. | 아야제크 |
2인칭 | aôm | amac | 아마게크 |
3인칭 | eŋ | 에셰크 | 에셰아제크 |
일반 대명사
짧고 분화가 덜 된 일반적 형태는 앞에 자유 대명사를 붙임으로써 종종 모호하게 된다.
사람 | 단수형 | 복수형 |
---|---|---|
1인 포함 | 녜ê) ŋ) neŋ. | |
1인 배타적 | (ae) ŋoc | 엄마 |
2인칭 | (aôm) nem | 넴 |
3인칭 | (eŋ) ne | (에셰아크) 네에 |
동사의 제목 접두사
동사는 과목의 인원과 수를 나타내기 위해 접두사로 되어 있다. (1인칭 복수 배타적 접두사와 2인칭 복수 접두사는 동음이의어지만 주체 위치에서 자유 대명사를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단수 접두사 또한 Realis와 Irrealis 무드를 구별한다(보통 Nonfuture 대 Irrealis 무드로 번역된다). 미래 시제. 또한 각 접두사에는 하이톤(H)과 로우톤(L) 알로모프(L)가 있어 5개 결합 등급 각각의 톤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12]
사람 | 단수 리얼리스(H/L) | 단수 이레알리스(H/L) | 복수 리얼리스=이레알리스 (H/L) |
---|---|---|---|
1인 포함 | ta-/da- | ||
1인 배타적 | 가-/가- | 쟈/자아 | a/a-a- |
2인칭 | kô-/gô- | ô-/ô`- | a/a-a- |
3인칭 | 케/게 | ê-/ê`- | 쎄/쎄- |
보유명사
양도불능 vs 양도불능 보유
전칭 대명사는 ŋoc oc두 '나의 집', nem i '너의 물고기', néjac '그의 처남(아내의 형제)'에서처럼 인간이 외계인 소유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양도할 수 없는 소유는 소유를 나타내는 명사에 직접 접미사로 표시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친족관계와 신체 부위다. 구분되지 않은 접미사는 접미사가 붙은 명사 앞에 자유 대명사를 붙임으로써 종종 모호하게 된다. 친족 용어의 마지막 -i는 명사가 참조하는 클래스의 일부지만 전부는 아닌 분포 표식이다.[10]: 21–29
'십자형' | 단수형 | 복수형 |
---|---|---|
1인 포함 | 과다이 | |
1인 배타적 | 과데크 | 과다이 |
2인칭 | 과뎀 | 과데미 |
3인칭 | 과데 | 과다이 |
'몸' | 단수형 | 복수형 |
---|---|---|
1인 포함 | 율리우스 | |
1인 배타적 | ôlic | 율리우스 |
2인칭 | ô림 | ô림 |
3인칭 | 실리 | 율리우스 |
고유소지분
인간 이외의 다른 사람에 대한 유전적 관계는 유전적 대명사(외계물의 경우) 또는 유전적 접미사(비양성체의 경우)로 표시되지 않는다. 그 대신, 명사의 고유 소유는 (ka) ŋalaka '(나무)가지', (lmm) auatau '(남자의 집) 주인', (talc) ŋalatu '(헨의) 병아리'와 같이 접두사 ŋa-로 표시된다. ŋadani 'thick, density'(<다니 'thick')나 ŋalemoŋ 'muddy, soft'(< lemomo 'mud')에서처럼 명사에서 파생될 때 형용사(다른 실체의 특징)도 마찬가지다.[10]: 26–31
기타 일반 구조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는 단수와 -neŋ에 -ne의 일반적 접미사를 사용한다.[10]
아피엠타우네인테나
그의 영주권을 얻다길이로
'주군의 길'
접미사의 복수 버전은 의미가 복수인 복수명사나 단수명사에 적용된다.
라-네흐 쿰
인민장
'인민 들판'
화합물
복합명사는 흔히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그 중 첫 번째 부분은 두 번째 부분의 gentic이다.[10]
자다우.
방화용의
'불난 곳'
때때로 화합물은 그 의미에 있어서 은유적이다.
부마타
물눈이
'봄(물)'
일부 화합물은 화합물의 첫 번째 원소에 소유성 접미사를 포함한다.
므카이-c-라우
머리-1.포주.
'내 머리털' = '내 머리털'
Lussu-m-sùŋ
코-2.포대 구멍
'당신의 코구멍' = '당신의 콧구멍'
이러한 신체 부위 화합물의 일부 원소는 화합물 안에만 존재한다.
보크다기
?-1s.s.cause.
'내 가슴'
바-앤-다기
?-2s.포유포유.
'당신의 가슴'
땡땡이 치다
벨리-3.포유?
'그의 배'
땡땡이 치다
벨리-2s.포유?
'당신의 배'
덜 흔한 것은 소유욕을 표현하지 않는 화합물들이지만, 결합과 같은 다른 종류의 유전적 관계들이다.
라오싱
사람들 간의 싸움
불이 켜졌다. '검의 사람들' = '검의 사람들'
명구의
흙솥의
'냄비를 찾아라'
숫자
전통적인 셈법은 한 손의 숫자로 시작해서 다른 한 손의 숫자로 계속되었고, 그 다음 발은 '한 사람'으로 번역되는 '20'에 도달한다. 높은 숫자는 '한 사람'의 배다. 요즘, '5' 이상의 계산은 대부분 Tok Pisin에서 이루어진다. 다른 휴온 걸프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숫자 '1' (teŋ)의 대체 형태는 무기한 조항으로 기능한다. 숫자 '2'는 '커플, 소수, 일부'를 나타내는 무기한 복수형으로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숫자 루트 ta '1'은 부사적 표식어인 -geŋ은 '하나, 하나만'을 렌더링하고, 숫자 '2'는 유사하게 접미사(luaugec-geŋ)가 '몇 개만'을 렌더링한다. 환원된 숫자의 분포: tageŋ-tageŋ '하나씩', telleaec-telliac 'three' 등.[10]: 52–54
숫자 | 용어 | 광택 |
---|---|---|
1 | ta(-geŋ)/teŋ | '1-ADV' / 'a(n)' |
2 | 루아제크 | '투' |
3 | 틀레아크 | '3' |
4 | 아클레이 | '4' |
5 | leme-te-te. | '핸드원' |
6 | leme-teŋ ŋanô ta | '한 손의 열매 원' |
7 | leme-teŋ ŋanô luaugec. | '핸드원 과일 2' |
8 | leme-teŋ ŋanô telaec. | '핸드원 과일 3' |
9 | leme-teŋ ŋanô arclé. | '핸드원 과일 4' |
10 | 레메루루 ~ 레멜루 | 'hands-2' |
11 | leme-lu ŋanô ta | '과일2개 1개' |
15 | 르메-루 ŋa-leme-teŋ | '2개, 2개, 1개' |
20 | ŋac teŋ | '남자 원' |
어휘
야빔 언어의 자음과 모음의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발음이 중요하다. 어떤 경우에는 단순히 편지의 억양을 바꾸면 단어의 의미가 완전히 바뀔 수 있다.[4]
숫자 | 단어의 의미 | IPA |
---|---|---|
1 | '남자' | ŋɑʔ |
2 | '어머니의 동생' | sa-m <사- '어머니의 동생' + -m '당신의(당신의)> |
3 | '그/그녀가 먹었다' | g자형 < g (ɛ) - '3인칭 단수 과목, realis'; -2인칭 '먹다' |
4 | '포유' | 모야스 |
5 | '당신의 어머니' | 10a미터의 |
6 | '말했다.' | ka-thew. |
7 | '걸었어' | 카셀레오 |
8 | '그가 짊어질 것이다' | e-toloe. |
9 | 'valuables' | AWA |
10 | '(그/그) 입' | AWAH |
11 | 'outside' | AWE |
12 | '여자' | AWE |
13 | '몸' | 올리 |
14 | 'wages | 올레 |
15 | 'prohibition' | 야오 |
16 | 'enmity' | 야제 |
17 | 'mango' | WA |
18 | 'crocodile' | WAH |
19 | 'hammer(verb)' | -사슈 |
20 | 위에 얹다 | -사히 |
21 | 'careless' | 팔리우스 |
22 | '멀리' | 발리의 |
23 | '껍질' | 피아제 |
24 | 'speech' | 생물학 |
25 | '일시에' | 티프 |
26 | 'thud' | Dìp |
27 | '서비스' | 사키슈 |
28 | '집 칸막이' | 사기 |
29 | '내가 부르짖었다.' | 카쿠오 |
30 | '스펠링(뭔가)을 했다. | 가-가-가 ŋ |
31 | '내가 말썽을 일으켰다.' | ka-KAI |
32 | '내가 (s.t.) | 카겔로 |
33 | '나는 드워트' | ga-m"AH |
*말콤 D가 북후온 걸프 체인 토노제니스에서 가져온 표 로스
참조
- ^ Ethnologue의 Yabem (2015년 18차 개정판) (가입 필요)
- ^ "Yabem language language". Retrieved 2016-09-16.
- ^ a b Edmondson, Jerold A. (1993-01-01). Tonality in Austronesian Languag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15301.
- ^ a b c Paris, Hannah (2012-03-22). "Sociolinguistic effects of church languages in Morobe Province, Papua New Guinea".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2012 (214). doi:10.1515/ijsl-2012-0020. ISSN 1613-3668. S2CID 145404838.
- ^ Bradshaw, Joel (2016). Changing Language Choices in Melanesia.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LING 150: Languages of the Pacific Islands. Honolulu, HI: Curriculum Research & Development Group.
- ^ S.J, John W. M. Verhaar (1990-01-01). Melanesian Pidgin and Tok Pis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idgins and Creoles in Melanesia. John Benjamins Publishing. ISBN 9789027282071.
- ^ S.J, John W. M. Verhaar (1990-01-01). Melanesian Pidgin and Tok Pis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idgins and Creoles in Melanesia. John Benjamins Publishing. ISBN 9789027282071.
- ^ "Yabem". Retrieved 2016-09-12.
- ^ "Yabem - MultiTree". multitree.org. Retrieved 2016-09-20.
- ^ a b c d e f g h Bradshaw, Joel; Czobor, Francisc (2005). Otto Dempwolff's "Grammar of the Jabêm Language in New Guine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2932-8.
- ^ Bradshaw, Joel (1999-12-01). "Null Subjects, Switch-Reference, and Serialization in Jabem and Numbami". Oceanic Linguistics. 38 (2): 270–296. doi:10.1353/ol.1999.0003. ISSN 1527-9421. S2CID 145711574.
- ^ Bradshaw, Joel (2001), "The elusive shape of the realis/irrealis distinction in Jabêm", in Bradshaw, Joel; Rehg, Kenneth (eds.), Issues in Austronesian morphology: A focusschrift for Byron W. Bender, Pacific Linguistics 519,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75–85, doi:10.15144/PL-519.75, ISBN 0-85883-485-5
- ^ Ross, Malcolm D. (1993-01-01). "Tonogenesis in the North Huon Gulf Chain".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s (24): 133–153. JSTOR 20006753.
- 비상, 월터(1986) "다이 동사-세리알리시에룽 임자베." 링구아 70:131–162.
- 브래드쇼, 조엘(1979년). "자베엠의 완벽한 조화와 토네제시스." 링구아 49:189–205.
- 브래드쇼, 조엘(1983) "뎀프월프의 야빔에 동사 연재에 대한 묘사." Amram Halim, Lois Carrington, S. A. Wurm, eds에서, 제3회 오스트리아로네시아 언어학 국제회의의 논문, 제4권, 주제 편차, 177–198. 시리즈 C-77. 캔버라: 태평양 언어학.
- 브래드쇼, 조엘(1993) "라자미와 자베름의 직렬 동사 구성 내에서의 대상 관계." 해양언어학 32:133–161.
- 브래드쇼, 조엘(1998) "스퀴브: 자베름의 벨라르 수용과 토노제네시스(tonogenesis)를 또 한 번 보십시오." 해양언어학 37:178-181.
- 브래드쇼, 조엘(1999) "자베엠과 저바미에서 대상자 Null, switch-reference, serialization." 해양언어학 38:270–296.
- 브래드쇼, 조엘(2001) "자베엠에서 실체/비실체 구별의 알기 어려운 모양." 조엘 브래드쇼와 케네스 L. 레그, eds에서, 오스트리아로네시아 형태학의 이슈: 바이런 W.벤더 75-85의 포커스리프트. 태평양 언어학 519. 캔버라: 태평양 언어학. ISBN 0-85883-485-5
- 브래드쇼, 조엘, 프랑시스 크조보르(2005년). 오토 뎀프월프의 뉴기니 자베름어 문법. 해양언어학 특별출판 제32호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 출판부. ISBN 0-8248-2932-8
- 뎀프월프, 오토(1939년). 그람마티크 데르 자베엠-스프샤프 네우기네아 압핸들룽겐 아우스 데어 아우슬란드쿤데, 제50권. 함부르크: 프리데리히센 데 그루터.
- 로스, 말콤(1993) "북후온 걸프 체인의 토노제시스." 제럴드 A에서. 에드먼슨과 케네스 그렉슨, 에드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톤리티, 133–153. 해양언어학 특별출판 제24호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 출판부.
- 스트레이셔, J. F.(1982) 자밤-영어사전. C-68 시리즈 캔버라: 태평양 언어학. (1917년 하인리히 잔에 의해 처음 편찬되었다가 나중에 J. F. 스트레이셔에 의해 번역되고 개정되었다.
- 잔, 하인리히(1940). 레르부흐 데르 야베임스프라체(Deutsch-Neuguinea). Zeitschrift Für Eingeboren-Sprache, Beiheft 21. 베를린: 리머
외부 링크
-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의 야밤 워드리스트
- 파라다이스c에는 아서 카펠의 자료집(AC1, AC2)이 2개 소장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야빔 언어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 파라다이스크의 말콤 로스 컬렉션에는 야빔 언어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 파라다이스c의 마인래드 셸러의 현장녹음집에는 야빔 언어자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 문헌 목록
- 비상, 월터(1986) "다이 동사-세리알리시에룽 임자베." 링구아 70:131–162.
- 브래드쇼, 조엘(1979년). "자베엠의 완벽한 조화와 토네제시스." 링구아 49:189–205.
- 브래드쇼, 조엘(1983) "뎀프월프의 야빔에 동사 연재에 대한 묘사." Amram Halim, Lois Carrington, S. A. Wurm, eds에서, 제3회 오스트리아로네시아 언어학 국제회의의 논문, 제4권, 주제 편차, 177–198. 시리즈 C-77. 캔버라: 태평양 언어학.
- 브래드쇼, 조엘(1993) "라자미와 자베름의 직렬 동사 구성 내에서의 대상 관계." 해양언어학 32:133–161.
- 브래드쇼, 조엘(1998) "스퀴브: 자베름의 벨라르 수용과 토노제네시스(tonogenesis)를 또 한 번 보십시오." 해양언어학 37:178-181.
- 브래드쇼, 조엘(1999) "자베엠과 저바미에서 대상자 Null, switch-reference, serialization." 해양언어학 38:270–296.
- 브래드쇼, 조엘(2001) "자베엠에서 실체/비실체 구별의 알기 어려운 모양." 조엘 브래드쇼와 케네스 L. 레그, eds에서, 오스트리아로네시아 형태학의 이슈: 바이런 W.벤더 75-85의 포커스리프트. 태평양 언어학 519. 캔버라: 태평양 언어학. ISBN 0-85883-485-5
- 브래드쇼, 조엘, 프랑시스 크조보르(2005년). 오토 뎀프월프의 뉴기니 자베름어 문법. 해양언어학 특별출판 제32호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 출판부. ISBN 0-8248-2932-8
- 뎀프월프, 오토(1939년). 그람마티크 데르 자베엠-스프샤프 네우기네아 압핸들룽겐 아우스 데어 아우슬란드쿤데, 제50권. 함부르크: 프리데리히센 데 그루터.
- 로스, 말콤(1993) "북후온 걸프 체인의 토노제시스." 제럴드 A에서. 에드먼슨과 케네스 그렉슨, 에드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톤리티, 133–153. 해양언어학 특별출판 제24호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 출판부.
- 스트레이셔, J. F.(1982) 자밤-영어사전. C-68 시리즈 캔버라: 태평양 언어학. (1917년 하인리히 잔에 의해 처음 편찬되었다가 나중에 J. F. 스트레이셔에 의해 번역되고 개정되었다.
- 잔, 하인리히(1940). 레르부흐 데르 야베임스프라체(Deutsch-Neuguinea). Zeitschrift Für Eingeboren-Sprache, Beiheft 21. 베를린: 리머
외부 링크
-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의 야밤 워드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