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섬어
Musom language무섬 | |
---|---|
미사틱 | |
지역 | 뉴기니 마크햄 계곡 |
원어민 | 200 (2000)[1] |
언어 코드 | |
ISO 639-3 | msu |
글로톨로지 | muso1238 |
ELP | 무섬 |
좌표:6°41′01″S 147°06′52″E/6.683574°S 147.11452°E좌표: 6°41′01″S 147°06′52″E / 6.683574°S 147.11452°E / |
무섬은 파푸아 뉴기니 주 모로베 주 라부타 농촌 LLG의 단일 마을 무섬(6°414101″S 147°06′52″E.68352°E / -6.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다.[2]무섬의 다른 이름은 미사틱인데, 이것이 조상들이 정착한 마을의 이름이었기 때문에 기성세대가 붙인 이름이다.[3]무섬은 모국어 사용자들이 다른 언어 사용자들과 계속 결혼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다.[3]무섬은 또한 2개 국어와 다국어로 인한 문법과 어휘의 변화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3]무섬마을에서는 무섬 화자들이 말할 수 있는 다른 언어는 아리브우앙과 듀엣이다.[3]과바딕 마을에서는 무섬 화자들이 말할 수 있는 다른 언어들로 인해 나박과 메셈이 있다.[3]
음운론
빌라비알 | 치조류 | 부착된 치조류 | 벨라르 | 글로탈 | 라비오벨라 | |
중지: 무성음 | p | t | ts | k | ' | kw |
유성 | b | d | dz | g | gw | |
혼수상태 | (nts) | |||||
무성음 | ||||||
유성 | mb | nd | NDZ | 응그 | ||
콧물 | m | n | ng | |||
프리카테우스 | s | h | ||||
액체 | r | |||||
세미보울 | w |
무섬에서는 무성음, 음성음, 혼전음성이 자음에 관한 한 정지된 유일한 연속이다.[3]무섬자음의 경우 혼전성 음성이 정지된 경우 그 뒤에 모음만 보이고 비음만 될 수 있다.[3]혼전음성은 혼전음성 연결음성 치경정지 /ndz/에 포함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내전적으로 발생하다가 마침내 [nts]가 발생한다.[3]
자음의 경우 /w, kw, gw/는 처음에, 중간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발생하지 않지만, 다른 모든 자음은 발생한다.[3]마지막으로 발생하지 않는 다른 자음은 /d, g, ndz/[3]이다.낱말이 받침이 있고 다음 낱말도 받침이 있으면 그 사이에 프로테틱한 a가 들어간다.[3]자음 /r/의 경우, 두 개의 알로폰[r]과 [l]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유변동만 있다.[3]
앞면 | 중앙 | 뒤로 | |
높은 | i | u | |
중앙의 | e | o | |
낮음 | a | ||
디프통: ai, u, au, oi, oai |
무섬을 야빔에 비유하면, 무섬이 7보우 체제를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론도 있다.[3]
음절 구조
무섬 언어는 (C) V (C) (V) (C)의 음절 구조를 가지고 있다.[3]
형태포네믹스
무섬어에서는 화자가 빨리 말한다면 /u/는 [i][3]로 들을 수 있었다.들을 수 있는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3]
- num > [님] 음료
- 안쪽에 있는 우친.
모음을 포함하는 주어 대명사 접두사가 모음(verb root) 내에 있는 루트 앞에 오면, 앞에 나온 것에 따라 동사 루트가 바뀐다.[3]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3]
- 음비디가 일어서다
a-mbidi 1인칭 주제 > u-mbudi 2인칭 주제
i-mbidi 3인칭 과목
- 불타는 mbitsi 요리사
a-mbitsi 1인칭 주제 > u-mbutsi 2인칭
i-imbitsi 3인칭 과목
여러 개의 음절을 포함하는 단어, 그 음절들은 삭제되거나 중앙집중화될 수 있다.[3]모음은 음절에서 슈와[wa]로 변한다.[3]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3]
- 'apun 완전입자 > ['apm] ~ ['appmm]
대명사
초점대명사는 동사의 주제와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3]전치사는 동사의 개체에서만 일어난다.[3]초점대명사는 소유욕구에서도 발견된다.[3]첫 번째 단수의 경우, 짧은 형태는 u 또는 ur를 위해 wir를 전환할 때만 발생한다.[3]
SG | DU | PL | |
1 excl. | wir/u/ur | 시킨 | tse |
1포함 | - | 숙취하다 | 티르 |
2 | 잉그시키다 | 솜시킨 | tsom |
3 | 에 | 이시킨 | 이다 |
의문 대명사는 누구와 무엇으로 볼 수 있다.[3]무섬에서는 누가 무엇으로 두 개의 다른 대명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가.[3]이 두 개의 다른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3]
- asa "who"
- 시라 "뭐"
이 두 대명사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3]
- 아사? 그가 누구지?
락아누 시라?저거 뭐야?
아사 응잉 기잇 잉그?누가 당신을 때렸어요?(라이트. 어느 남자가 너를 때렸니?)
반사 대명사와 발현 대명사 둘 다 대명사+자신을 의미한다.[3]이 표는 반사 대명사와 강조 대명사를 보여준다.[3]
SG | DU | PL | |
1EXEC | (o)rong | ro(ng)geng. | ro(ng)geng. |
1INC | - | 왁자지르다 | 왁자지르다 |
2 | (i)rom | 로렘 | 로렘 |
3 | 론 | 왁자지르다 | 왁자지르다 |
소유
무섬의 제1유형은 양도할 수 없는 명사를 가지고 있다.[3]이러한 불가침 명사의 몇몇 예로는 친족 용어, 신체 부위, 이름, 이름, 친구 또는 교역 상대 등이 있다.[3]
SG | DU | PL | |
1EXEC | wir/ur a + N-ng(g) | sikin a + N-ng (g) | tse + N-ng(g) |
1INC | a + N-ng(g)에 석킹 | tsir a + N-ng(g) | |
2 | 잉그 a + N-m | 솜시킨 a + N-m | tsom a + N-m |
3 | + N-n으로 | 이시킨 a + N-n | + N-m이다. |
무섬의 두 번째 소유 유형은 '외계인 소유'이다.[3]제2유형은 제1유형에 없는 명사를 모두 보유한다.[3]소유구절은 명사나 대명사 소유, 그리고 protectic a를 포함할 수 있다.[3]그리고 그 명사를 소유하는 소유권 표지에 기인하지 않는 명사가 있다.[3]여기 몇 가지 예가 있다.[3]
- 내 집을 샅샅이 뒤지다.
너의 베텔넛을 조금 먹어라.
그의 연기 속에서.
그들의 개에 com/sump a가 있다.
문장 구조
조정
무섬어에서는 da 'and'와 ma 'or'와 같은 접속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3]da를 사용하는 한 예는 다음과 같다.[3]
- Tse g-a-k g-a-bitsi ung da g-a-hur
WEEX P-SPP1-go P-SPP1-빵과자와 P-SPP1-피시 요리
우리는 강에서 빵과일을 요리하고 고기를 잡았다
ma를 사용하는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3]
- 잉그응우악마당마잉그응우악
YouSG IR-SPP2-Go 마당 또는 YouSG IRR-SPP2-Go
마당으로 가든지 라무로 가든지.
조건부
조건문 사용 시 무섬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찾을 수 있다.[3]
da + 제목 1 + ng-SPP-V da + 제목 2 bo-ng-SPP-V
조건문을 사용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3]
- 다아믹 ng-i-ruk wir bo-ng-a-bum obmb.
그리고 비가 I FUT-IRR-SPP1-스테이마을로 내려라.
만약 비가 온다면 나는 마을에 머무를 것이다.
참조
- ^ Ethnologue의 뮤섬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가입 필요)
- ^ Holzknecht, Susanne (1989). The Markham Languages of Papua New Guinea. Pacific Linguistics. ISBN 0-85883-394-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Wurm, Stephen A. (1997). Materials on Languages in Danger of Disappearing in the Asia-Pacific Region No. 1. Australia: Pacific Linguistics. pp. 67–102. ISBN 0 85883 467 7.
- 움, S.A. 편집장.파푸아 뉴기니의 몇몇 멸종 위기 언어: 카키 에이, 무섬, 아리브와차.D-89, vi + 183페이지.1997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 태평양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