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랏어

Olrat language
올랏
발음[ [lrat]
네이티브:바누아투
지역고아
원어민
3 (2012)[1]
언어 코드
ISO 639-3olr
글로톨로지olra1234
ELP올랏

올랏 [ʊlrat]바누아투고아 섬에서 사용되는 빈사운트 오세아니아어다.

이름

Olrat이라는 이름은 내명이다. 로버트 코드링턴은 모타라는 이름으로 라콘 마을 남쪽의 한 장소를 언급하고 있다.[2] 십 년 후, 시드니 레이는 1926년에 같은 모타라는 이름으로 이 언어를 간단히 언급하지만 언어적인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3] 이 두 가지 형태는 프로토토토레스 은행 형태 *ul(i,u)rata에서 파생될 수 있다.

언어

A. 프랑수아 올랏의 마지막 이야기꾼 †마텐 워말 (Gaua, Banuatu, 2003)

2003년에는 가와 중서해안에 살았던 올랏의 연사 3명만이 남았다.[4] 그들의 공동체는 20세기 전반기에 그들의 내륙의 올랏 햄릿을 떠나 라콘이 지배적인 더 큰 마을인 조랩 마을로 병합되었다.[1]

알렉상드르 프랑수아는 올라트를 음운론적, 문법적,[5][6] 어휘적[7] 근거에 따라 바로 이웃한 라콘과 구별되는 언어로 파악한다.

음운론

올랏은 14개의 음소모음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7개의 짧은 /i ɪ u u/와 7개의 긴 모음 /iː u a a u u u u u/가 포함된다.[8]

올랏모음
앞면 뒤로
근근접 i uː
클로즈미드 ɪɪː ʊʊː
오픈미드 ɛɛː ɔɔː
개방하다

역사적으로 모음 길이의 음운역화는 유성 벨라 마찰음 /음절/음절단절을 마지막으로 잃어버렸을 때 짧은 모음의 보상적 길이에 기인한다.[9]

문법

올랏의 개인 대명사 체계는 폐쇄성을 대조하며, 네 개의 숫자(가수, 이중, 시행, 복수형)를 구별한다.[10]

올랏의 공간적 참조는 오세아니아 언어의 전형인 지리중심(절대) 방향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다.[11]

참조

  1. ^ a b 프랑수아(2012)
  2. ^ 다음 중 378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Codrington, R. H. (1885). The Melanesian Languages. Vol. 47. Oxford: Clarendon Press. pp. 25–60.
  3. ^ Sidney Ray(1926), Melanesian Island Language의 비교 연구, CUP, 428페이지.
  4. ^ 뱅크스언어 목록
  5. ^ 프랑수아 (2005)
  6. ^ 프랑수아 (2007)
  7. ^ 프랑수아 (2011년)
  8. ^ 프랑수아(2005:445) 오류: 없음:(), 프랑수아(2011:194) 오류: 없음: (
  9. ^ 프랑수아(2005:461) 대상 CITREFFrancis
  10. ^ 프랑수아(2016년).
  11. ^ 프랑수아(2015년).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