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로시어
Arosi language아로시 | |
---|---|
지역 | 마키라, 솔로몬 제도 |
원어민 | 6,750 (1999)[1] |
언어 코드 | |
ISO 639-3 | aia |
글로톨로지 | aros1241 |
아로시는 마키라 섬에서 사용되는 남동 솔로몬어다.[2] 아로시는 주로 마키라(옛 산크리스토발 섬)의 왕고 강 서쪽에 사는 주민들이 사용한다. 마키라는 솔로몬 제도의 가장 동쪽에 있다. 마키라는 1588년 알바로 데 멘다냐 데 네이라가 방문하여 이름을 지었다. 마키라에 착륙하자마자 스페인 사람들은 아로시를 가장 먼저 녹음했지만, 처음에는 6단어밖에 녹음되지 않았다. 아로시는 멜라네시아에서 덜 알려진 언어 중 하나이다.[2]
음운론
아로시는 벨라 비음[ŋ]과 글로탈 스톱을 포함하여 5개의 모음과 14개의 자음을 구별한다. 다른 많은 오세아니아어와 달리 /b/, /d/, /g/는 비침이 없다. 아로시에는 [j] 소리가 있지만, 모음 /i/와 글로 구분하지 않는다. 아래 도표는 아로시의 자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우, 아로시에 있는 단어의 철자는 음소체적이다.[2]
라비알 | 치과의 | 벨라르 | 글로탈 | ||
---|---|---|---|---|---|
콧물 | m | n | ŋ | ||
멈추다 | 무성음의 | p | t | k | ʔ |
목소리 있는 | b | d | g | ||
프리커티브 | s | ||||
액체 | r | ||||
글라이드 | w | (j) |
모음은 /i e o u/로 표시된다.
음절 구조
음절은 결코 자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모든 음절은 V 또는 CV 구조를 가지고 있다.[2] 아래 표는 아로시의 다양한 음절 구조를 보여주는 예를 보여준다.
음절형 | 워드 인 아로시 | 음절 구분(아로시) | 잉글리시 |
---|---|---|---|
V | oani | [o.a.ni] | 'thus' |
CV | 타로하 | [ta.ro.ha] | '뉴스' |
VV | 아미아 | [aa.mi.a] | 'disturbed' |
단어 강세; 강세가 있는 음절
아로시어는 두 가지 종류의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다.
- 단어 강세; 강세가 있는 음절
- 구/송신 응력
워드 억양
영어와 다른 서유럽 언어에 비해 아로시의 억양은 꾸준히 증가하기보다는 높은 톤에서 낮은 톤으로 더 빨리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2]
모포신택스
아로시 문장은 두 가지 기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문장과 경미한 문장.[2]
주요 문장
주요 문장은 술어와 적어도 하나의 동사형식을 포함한다. 주요 문장 역시 단순, 복합, 복합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2] 주요 문장은 명사구(NP)와 동사구(VP)로 구성된다.[2] 문장의 주제는 종종 이 두 종류의 구절로 나눌 수 있다. 두 구(NP + VP)를 연결하면 복합 문장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문장은 문장의 주요 구절에 종속절과 함께 복합문장으로 만들어진다.[2]
주요 문장 구조 | 구조 |
---|---|
심플 | (NP + VP) |
화합물 | (NP +VP) + 및/또는 +(NP + VP) |
콤플렉스 | (NP +VP) + 및/또는 +(NP + VP) + 하위 절 |
명사-문장(NP)과 구어(VP)[2] 외에도, 문장(Location, T), 또는 이유(R)와 같이 문장에 추가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 이러한 복잡한 문장은 다음과 같이 도식화된다.
- S --> NP + VP ± L ± T
- +S + V + O ± L ± T ± R
다른 문장 유형의 예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문장 구조 유형 | 아로시 문장 |
---|---|
S --> NP + VP | e 노니 a boi '남자가 왔다.' |
S --> NP + VP ± L ± T | e 노니 테와 니 후루 a boi 베아우 아니다 ai 로도 '키 큰 후루 사람이 밤중에 내게 왔다.' |
S --> NP₁ + VP + NP₂ | e 노니 a 룽고아 i 아오하 na 마와 '한 남자가 바람소리를 들었다.' |
+S + V + O ± L ± T ± R | 음와니 노니 나이의 룽고아 i 아오하나 엄마. ra '아이 'a '이라라' i 도라 na 우히 마이 i 'ei '그 남자들은 그 소리를 들을 것이고, 그 소리가 어디서 났는지 모를 것이다.' |
아로시어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절이 있다.
- 환자 마커(SM)가 있어야 함,
- SM은 형태소로 구성된다.
- 동사는 측면 표지를 따른다.[2]
부문장
작은 문장은 술어를 포함하지 않는다. 부문장은 문장 간섭, 예-아니오 문장뿐 아니라 등분형, 서술형 문장이다.[2]
감탄사
거절은 대부분 동사나 명사들이다. 호칭의 역할을 할 때는 2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na의 추가에 관계없이). 그 밖에 흔히 쓰이는 간섭으로는 카이아 '나는 모른다'와 브와아 '이해할 수 없다'가 있다.[2]
예-아니오
다음 부전형 문장은 예스 노 문장이 있다. 아로시 io와 ai'a에서 각각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이다. 예스 노 문장의 예로는 '오 타우아로? 이오! '일해? 예스!'[2]
등차 및 설명
그는 세 번째 단문형인 Equival and Descriptional 문장으로, 주로 아로시에 코풀라(어떤 동사 "가 될 것")가 없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평등과 서술형 문장은 두 가지 다른 것 사이의 평등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2]
문장 구조 유형 | 아로시의 예 |
---|---|
간섭 | 아이! 안녕 카카레우, 몸조심하세요. 코코네 정의의 MWatage, 보라 와우라모루! 형제들! 안녕 그냥 봐. 형제자매 잘 지내세요. |
예-아니오. | 이아 그 아마우 아버지- a 너 하노? 갔다, '아이아, 아니요. ia 그 'ai'a 아닌 하노 가다 아버진 가셨어요? 아니 그는 가지 않았다. |
등차 및 설명 | e 무엇 타하 이다 나니? 이건? 바와 타로 이게 뭐야? 토란. |
대명사
아로시에는 세 가지 형태의 짧은 대명사가 있다. 단수, 이중, 복수 숫자가 구별된다. 아로시의 대명사는 어느 정도 다른 유럽 언어의 대명사와는 다르다. 아로시의 세 번째 사람에서는 성별이 구별되지 않는다. 변별력이 없는 3인칭 대명사 때문에 아로시에서는 '그'나 '그녀'에 해당하는 것은 없다.[2] 아로시에서는 대명사도 단수와 복수형뿐만 아니라 이중수를 가지고 있다. 1인칭에서 '포용적' 형식(우리=당신과 나)과 '포용적 형식[우리=그(또는 그들)과 나] 사이에 구별이 있다.
독립적 | 접미사가 붙은 | 분리된 | ||||
---|---|---|---|---|---|---|
사람 | N. 접미사 | V. 접미사 | 먹을 것과 마실 것, 음식물 | V:NF | V:F | |
1 | 이너우 | -gu | -au | 구아 | 나우 | 와이 |
1 + 2 | 이가라 | -가라 | -가라아 | 가가라 | 가라 | 가라이 |
1 + (2+) | 이가 나다 | -gaa | -gaau | 가가우 | 가 | gai |
1 + 3 | 아이미라이아 | -미리아 | -미리아 | 미미리아 | 미리 | 미리이 |
1 + (3+) | I'meu. | -마미 | -meu | 메메우 | 미우 | 미우 |
2 | 나는 OE | -mu | -' o' o | 무무아 | 'o | '오피' |
2 + 2 | 무루아 | -무루아 | -무루아 | 무루아 | 무루아 | 무두질하다 |
(2+) | 아모우 | -sness | -sness | 모모우 | mou | 모이 |
3 | 이아 | -na | -a | '아나' | a | ai |
3 + 3 | 우라루아 | -다루아 | -라루아 | 다다레아 | 라루 | 격앙된 |
(3+) | 아이라우 | -da | -ra, -' 나는 | adaau | 왁자지르다 | 라이 |
텐스
멜라네시아어는 행동의 시간을 언급할 때 정확하지 않다. 아로시에서는 「행동의 시간」과 「행동의 상태」[2]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아로시에는 세 가지 다른 시제들이 있다. 무기한, 과거, 미래.[2]
무기한 | 과거 | 현재. | |
---|---|---|---|
시간 | + | + | + |
측면 | + | + | - |
순서 | + | - | + |
차트의 "+" 기호는 존재감을 나타내고 "-" 기호는 주어진 형태의 "부족"을 의미한다.[2]
워드 분류
명사는 단순 명사와 구사로 나뉜다.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붙이는 단어의 대부분은 단순한 명사들이다. 이것은 사람들의 이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
단순 명사
아로시의 명사는 성별에 따라 분류되지 않는다. 다양한 유형의 단순 명사가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2]
물건들 | 사람 | 개인 이름 |
---|---|---|
거만한 '돌' | noni 'man' | 우우리 (m) |
시나 '태양' | 우라오 '여자' | 로타 (f) |
I'a 'fish' | '어린애'를 낳다 | 이안마누 (m) |
라라키 'thorn' | 새 '인간' | 수아리 (f) |
프라살 명사
단순한 명사와는 달리, 표현명사는 두 개의 참조 어휘를 가지고 있다. 보통 어휘 구성요소는 영어 'of'로 번역할 수 있는 전치사 i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때때로 noni person이라는 단어 또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노니 타우아로 '일꾼'(조명. "인간의 일")이나 화이 루무 '오일 플라스크'에서처럼 말들이 대신 'i'로 결합된다.[2]
파생 명사
말라이타 언어에 비해 아로시는 파생 명사가 거의 없다. 아로시에 사용되는 기본 접두사는 하이 앤 하이-이다.[2] 사용 중인 이러한 접두사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접두사 | 베이스 | 파생 추상명사 |
---|---|---|
하이- | 토토리- '희망대로' | 아이토토리 '희망(명사로서)' |
하이에- | 아메- '아버지' | '아빠와 아들' |
아로시 또한 접미사를 사용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접미사는 -ha로, 공칭 접미사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2]
접미사 | 베이스 | 파생 추상명사 |
---|---|---|
-ha | 토란 '말하라' | 타로하 '뉴스' |
-ha | 고로 '좋다' | 고로하 '좋은 상태' |
질문
다음은 질문 단어의 목록이다.[2]
질문어 | 예 |
---|---|
tei 'who' | |
타하 '뭐' | 에 타하 나시? '그게 뭔데? 그게 무슨 일인가?' |
ia tei 'who' | 나는 tei na boi no? "누가 왔니?" |
Ira tei 'who'라는 이름의 아이라 티이 | Ira tei rau boi no? "누가 왔니?" |
나헤이 '어느 것' | 나헤이 하' 아토라 나 라하 '어느 계명이 위대한가?' (마 22:36) |
숫자
아래 표에는 아로시어로 다른 숫자의 번역이 있다. 아로시가 염기 10수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당신은 10을 넘어서 숫자를 셀 때 공통적인 패턴을 알아차리기 시작할 것이다. 숫자를 셀 때, 숫자 뒤에 마력, 또는 ma의 의미, 그리고 넘어야 한다는 뜻의 동사 adara가 따라붙는다.[2]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이타 아이 탕아루와 이타 아이 사이에 마력이나 마력이 첨가되어 10과 1을 합하여 11을 만든다. 100부터 999까지 숫자를 셀 때 동일한 개념이 적용된다. 아로시어로 1000을 뜻하는 단어는 메루다. 메루는 아로시에서 가장 높은 숫자 용어다. 아로시는 또한 특정 항목과 특정 항목을 계산하는 뚜렷한 방법을 가지고 있다.[2]
아로시의 철자법 | 영어 등가 |
---|---|
e ta (카운트 중 | 하나 |
e 루아 | 두 개 |
e 오루 | 셋 |
e hai | 4개 |
이 리마 | 다섯 |
이오노 | 여섯 |
e biu | 일곱 |
e 와루 | 여덟 |
e siwa | 아홉 |
탕아후루 | 열 |
e ta' ai tangahur mana e ta' ai | 열한 개 |
에 루아 탕아후루 | 스무살 |
오루타나후루 | 서른 |
e hai tangarau e rua tangahur mana biu | 사백일십칠 |
메루 | 천수만 |
참조
참고 문헌 목록
- E rine nau maea; mana hiaauhi inia, ma tarai rihunai ini haagohi (Anglican Holy Community manual with for daily use and 찬송가, 1955)
외부 링크
![]() | 카테고리 조회:무료 사전인 위키트리노에 나오는 아로시 레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