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 대 브레넌 사건

Farmer v. Brennan
농부 대 브레넌 사건
1994년 1월 12일 논쟁
1994년 6월 6일 결정
전체 케이스 이름디 파머, 청원자 대 에드워드 브레넌, 워든 등
문서 번호.92-7247
인용구 511 U.S.825(이상)
114 S. C. 1970; 128 L. Ed. 2d 811
주장구두변론
의견발표의견발표
사례 이력
이전11 F.3d 668 (제7차 Cir. 1992년); 인증서 부여, 510 U.S. 811 (1993년)
후속공석 및 리메이크, 28 F.3d 1216 (제7차 Cir. 1994), 리메이크 후 항소, 81 F.3d 1444 (제7차 Cir. 1996년)
홀딩
수감자에 대한 중대한 위해의 실질적인 위험에 대한 교도소 간부의 '고의적 무관심'은 수정헌법 8조를 위반한 것이다.
법원회원권
대법원장
윌리엄 렌퀴스트
준법률관
해리 블랙문 · 존 P. 스티븐스
산드라 데이 오코너 · 안토닌 스칼리아
앤서니 케네디 · 데이비드 소터
클라렌스 토머스 · 루스 바더 긴스부르크
사례의견
다수렌퀴스트, 블랙문, 스티븐스, 오코너, 스칼리아, 케네디, 긴즈버그 등이 합류한 소터
컨센서스흑문
컨센서스스티븐스
컨센서스토마스 (판단 중)
적용되는 법률
미국 콘스탄트수정. 8세

파머브레넌(1994)은 미국 대법원이 수감자에게 중대한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상당한 위험에 대한 교도관의 '고의적 무관심'이 수정헌법 8조잔인하고 특이한 처벌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한 사건이다.파머는 두 개의 이전 대법원의 판결에 근거하여, 에스텔 대 [1]갬블윌슨 시터.대법원이 교도소 내 성폭행 사건을 직접 심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2]

배경

디 파머

트랜스 여성인 디 파머는 1986년 신용카드 사기로 유죄판결을 받았고, 처음에는 남성들을 위한 중보안 연방 교도소인 옥스퍼드 연방 교정소에 수감되었다.[3]파머는 연방 교도소 지침으로 인해 일반 남성들과 함께 수감되었다. 연방 교도소 지침으로 인해 트랜스 포로를 의료 이행 상태에 따라 시설에 배치했다.[3]1989년, 파머는 "더 귀찮은 죄수들"을 수용한 더 높은 보안 시설인 인디애나주 테레 오뜨의 일반 남성 인구로 옮겨졌다.[4]교도소에 도착한 지 2주 만에 파머는 자신의 감방에서 다른 수감자로부터 구타와 성폭행을 당했고, 이로 인해 그녀가 에이즈 감염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

이후 파머는 그녀의 교도소와 연방교도소국 내의 다른 관리들의 보호자들이 그녀의 수정헌법 8조 권리를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변호사 없이 연방법원에 비벤스 소송을 제기했다.[5]개정된 자료에서, 그녀는 감옥행정이 그녀를 수감자 폭력 전력이 있는 일반 남성 교도소로 이송할 때, 그녀가 트랜스 여성으로서 특히 강간당하기 쉽다는 것을 알고 그녀의 안전에 의도적으로 무관심했다고 명시했다.[6]

절차이력

지방 법원

지방법원은 피고가 발견 요청에 응할 때까지 판결을 미루자는 파머의 청구를 부인하면서 피고의 즉결심판 청구를 허가했다.수감자 폭행을 막지 못한 것은 교도소 관계자들이 잠재적 위험에 대해 '실제적 지식'을 갖고 있을 경우에만 8차 개정안에 위배되며, 파머가 그들에게 안전상의 우려를 표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응답자들은 그러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결론지었다.[7]

상고법원

제7 순회상고법원은 짧은 비망록 의견으로 지방법원을 확정하면서 상고심에서 제기할 수 있는 사안은 '사실무근'이며, 당사자들은 법원이 검토할 만한 브리핑을 제출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했다.[8]

대법원의 배려

certiorari 청원서

대법원은 공무원들의 '고의적 무관심'을 평가하는 적절한 시험에 대한 상고법원 간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 제7회로 판결부터 농민의 certiari 청원을 허가했다.[9]

장점 요약 및 구두 변론

대법원이 certiorari를 허가한 후, ACLU 국립 교도소 프로젝트가 파머를 대표하기 위해 개입했다.[10]파머와 ACLU는 법원 앞 브리핑과 구두 변론에서 헌법상 권리 침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명백한 위험에 대한 고의적 공무 무관심이 원고가 8차 수정헌법 위반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경우 고의적 무관심이 객관적으로 정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1]이 기준은 민사소송에서 사용되는 무모한 기준과 유사하다.[12]연방정부는 법원이 범죄의 무모함과 더 유사한 시험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원고가 교도소 간부가 심각한 위해의 실질적인 위험을 실제로 알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13]

ACLU의 변호사 엘리자베스 알렉산더는 그녀의 브리핑과 구두 변론에서 파머의 적절한 대명사를 사용했고, 연방정부의 변호사들은 남성 대명사를 사용했다.[10]

아미쿠스 브리프

아미쿠스 브리핑은 몬태나 디펜더 프로젝트인 D.C.를 대신하여 제7회 회선을 뒤집는 것에 찬성하여 제출되었다.죄수들의 법률 서비스 프로젝트, 그리고 죄수들의 강간을 막아라.[14]메릴랜드주 법무장관은 제7 순회재판소 확정에 찬성하는 아미쿠스 브리핑을 제출했으며, 다른 모든 주 법무장관이 이에 동참했다.[14]

'교도소 강간 중지'가 제출한 브리핑에서는 교도소 강간이 "범행적이고 반복적이며 치명적이고 파괴적이며 예측 가능하고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지만 "수감자와 교도소 관계자들 모두 구속 문화에 배어 있기 때문에 거의 보고되지 않는다.[15]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약본은 법원이 파머 사건을 이용하여 교도소 관계자들에게 제도적인 교도소 개혁을 가져오도록 압력을 더하고, 감옥 강간 생존자들을 위해 법원에 더 많은 접근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했다.[15]

코트의 의견

미국 연방대법원은 9 대 0의 판결에서 수감자에게 상당한 위해를 가할 위험에 대한 '고의적 무관심'이 8차 수정헌법 제8조에 따라 교도소 관계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판결했다.[16]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다수의견을 썼고, 윌리엄 렌퀴스트 대법원장과 해리 블랙문, 존 스티븐스, 샌드라 데이 오코너, 안토닌 스칼리아, 앤서니 케네디, 루스 베이더 긴스버그 대법관이 함께 했다.[17]블랙문 대법관과 스티븐스 대법관도 각각 의견 일치를 봤다.[18][19]클라렌스 토마스 판사는 판결에 동의하는 의견을 썼지만 다수파의 논리에 동의하지 않았다.[20]

다수 의견

대법원은 교도소 간부가 수감자에게 중대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중대한 위험에 대해 "의도적으로 무관심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제8차 수정헌법 제8조에 따라 책임을 질 수 있다.재판부는 "개헌 8차 개정안은 교도소 관계자들에게 '적절한 식량·의복·쉼터·의료 제공'과 수감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합리적 조치'를 포함한 인도적 구금 조건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20]특히 교도소 간부는 다른 수감자들의 위해를 막을 의무가 있다.[21]그러나 헌법상 권리침해가 발생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1) 중대한 위해의 실질적인 위험성과 (2) 교도관이 수감자의 건강과 안전에 의도적으로 무관심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22]

이어 법원은 무엇이 '심의적 무관심'의 자격이 있는지를 명확히 했다.고의적인 무관심 기준에 따르면 교도소 공무원은 수감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과도한 위험을 실제로 알고 무시해야 한다.[23]법원은 이것이 주관적 기준으로서, 공무원은 중대한 위해의 실질적인 위험이 존재한다는 추론을 초래할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하며, 그 추론도 이끌어내야 한다고 설명했다.[23]

법원은 이 기준을 농민사건에 적용하면서, 지방법원이 피고의 즉결심판 청구를 허가함에 있어 파머가 폭행을 당할 위험을 간수들에게 알리지 않은 점에 착안했다고 지적했다.[24]고의적인 무관심 기준에서는 통지가 필요하지 않았고, 파머는 감옥에서 '대량의 성적 압박'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교도관들의 입학과 같은 실제 지식을 증명하기 위해 다른 정황 증거를 사용할 수 있었다.[25]결과적으로, 법원은 항소법원의 판결을 취소하고 지방법원에 사건을 재송부하여 추가 절차를 밟았다.[26]

동시성

저스티스 블랙문

블랙문 대법관의 의견 일치를 본 것은 교도소나 공무원의 주관적 심리 상태와는 무관하게 내부 여건에 대한 책임은 정부에 있다는 말로 더 나아갔다.

입법부가 적절한 교도소 자금 지원을 거부하는 경우, 그 결과로 야기되는 야만적인 상황은 단지 교도소 공무원이 잘못 행동했다는 이유만으로 헌법적 감시의 면책되어서는 안 된다.어떤 감옥에서든 최소의 조건에 대한 책임은 입법부에 의해 불가피하게 분산되고 일부분이라도 부담된다.그러나 어떤 국가 행위자나 기관이 그 위해를 끼쳤는지, 어떤 의도를 가지고 했는지는 상관없이 수감자의 경험은 같다.처벌은 의도치 않게 잔인하거나 흔하지 않다.이러한 명백한 사실을 볼 때, 수정헌법 8조를 채택할 때, 프레이머들이 의도적으로 가해진 경우에만 잔인하고 특이한 처벌을 금지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믿을 이유가 없다.[18]

스티븐스 저스티스

스티븐스 판사는 블랙문 판사와 합의했다는 점에 주목해 짧은 의견 일치를 보였지만, 소터 판사의 다수 의견에 동참한 것은 법원의 선례를 더 잘 따랐기 때문이다.[19]

토마스 저스티스 토머스

토머스 판사는 판결에만 동의하면서 형량의 일부로 부과되지 않는 한 구속조건이 수정헌법 8조를 위반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20]파머의 경우, 그 공격이 "그의[a] 형벌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수정헌법 8조에 따라 '징벌'에 해당하지 않았다.[20]다만 '심의적 무관심' 기준이 교도소 공무상 책임을 다스려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해 법원의 판결에 동조했다.[27]

후속 개발

농부가 외출을 하고 있다.

지방법원은 다시 파머에게 재심 청구에 대한 즉결 판결을 내렸다.이 두 번째 요약 판결은 농부에게 그녀의 사건에서 발견을 시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주지 않은 것에 대해 항소법원에 의해 뒤집혔다.[28]이어진 재판은 이틀밖에 진행되지 않았고,[29] 배심원들은 1시간 동안 심사숙고 끝에 피고인들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29]배심원단은 파머의 성폭행이 일어났다는 것을 증명할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발견했다.[29]

후속사례

하급심 수만 건이 파머스 사건과 그것이 확립한 법적 기준을 인용했다.[30]농부 또한 감옥의 변호사들에게 계속해서 영향을 끼친다.헌법 위반을 옥죄는 법, '주관적 무모함'과 같은 복잡한 법률 용어 정의, 성공적인 주장을 구체화함으로써 소터 대법관의 다수 의견은 8차 수정 감옥 조건 소송의 로드맵 역할을 한다.[31]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레넌에서 법원이 채택한 표준의 "실제 지식"의 초점은 종종 극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원고들에게 높은 기준을 제시한다.[32]이러한 주장은 대법원의 애슈크로프트 대 아이크발 판결 이후 더욱 추진하기가 어려워졌고, 엄격한 신뢰성 애원 기준을 확립했으며, 수감자 원고들은 실질적인 위해의 위험에 대한 교도소 관계자들의 실제적 증거 없이는 해임건의에서 살아남기 어렵게 되었다.[33]

레거시

스톱 포리터 레이디는 이번 결정이 "범인에 대한 광범위하고 제도화된 강간 관행을 종식시키기 위한 노력의 "역사적인 돌파구"[34]라고 칭송했다.파머가 교도소에서 성폭행을 당하게 된 것은 특히 트랜스 수감자들을 위한 관심도 정책 변화에 박차를 가하는 데 일조했다.[30]2003년에 의회는 PREA(교도소 강간 제거법)를 통과시켰고, 하원과 상원에서 이 법안에 대한 원내 논쟁은 파머를 인용했다.[35]2012년, 법무부는 Farmer를 언급하는 트랜스젠더들에 대한 구체적인 보호를 포함한 PREA를 시행하는 규정을 발표했다.[36]DOJ에 의해 시행된 최종 규칙은 트랜스 수용자에 대한 배치 결정은 사례별로 이루어져야 하며, 수용자의 안전에 관한 수용자 자신의 견해를 진지하게 고려하여 수용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려를 수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37]

참고 항목

참조

  1. ^ "Dee Farmer Won a Landmark Supreme Court Case on Inmate Rights. But that's Not the Half of It". Village Voice. 29 January 2014. Retrieved 2020-05-29.{{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 ^ "대법원 판결 만세" (언론발표)죄수 강간을 막아라 (이제 Just Reserging International.1994-06-07.2010년 11월 25일 원본에서 보관.2008년 12월 30일 발견
  3. ^ a b 농부 대 브레넌, 511 U.S. 825, 829-30 (1994년)
  4. ^ Stacy L. Cozad, 잔인하지만 그렇게 특이하지는 않다:농부 대 브레넌 사건 그리고 품위손상 기준 23 Pepp. L. 175차 개정판(1996)
  5. ^ a b 농부, 511 U.S. 830
  6. ^ 농부, 831년 511 미국
  7. ^ 농부, 831년 511 미국
  8. ^ 농부 대 브레넌 사건, 11 F.3d 668 (제7회 Cir. 1992년)
  9. ^ 농부, 511 U.S. 832
  10. ^ a b "Dee Farmer Won a Landmark Supreme Court Case on Inmate Rights. But that's Not the Half of It". Village Voice. 29 January 2014. Retrieved 2020-05-29.{{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1. ^ 10-11, Farmer 대 Brennan, 511 U.S. 825 (1994) (92-7247)
  12. ^ 농부, 511 U.S. 837
  13. ^ 7-11, Farmer Brennan, 511 U.S. 825 (1994) (제92-7247호)
  14. ^ a b 농부, 511 U.S 828
  15. ^ a b "SPR 파일 Briennan 파머 사건" (보도자료)죄수 강간을 막아라 (이제 Just Reserging International.1994-01-11.2010년 11월 25일 원본에서 보관.2008년 12월 30일 발견
  16. ^ 농부 대 브레넌, 511 U.S. 825, 829-30 (1994년)
  17. ^ 농부, 511 U.S. 829
  18. ^ a b 농민, 851번지 미국 511번지 (흑문, J, 동의)
  19. ^ a b 농부, 858로 미국 511명(스테븐스, J, 동의)
  20. ^ a b c d 농부, 859로 미국 511명(토마스, J, 동의)
  21. ^ 농부, 511 U.S. 833
  22. ^ 농부, 834년 511 U.
  23. ^ a b 농부, 511 U.S. 837
  24. ^ 농부, 848-49로 미국 511번지
  25. ^ 농부, 848년 미국 511명
  26. ^ 농민, 851년 미국서 511명
  27. ^ 농부, 미국 511번지 861번지 (토마스, J, 동의)
  28. ^ 농부 대 브레넌 사건, 81 F.3d 1444 (제7회 Cir. 1996년)
  29. ^ a b c "Farmer Loses at Jury Trial". Prison Legal News. Retrieved 2020-05-29.{{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30. ^ a b "Dee's Triumph: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ns Victories You Never Heard Of".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Retrieved 2020-05-29.
  31. ^ "Dee Farmer Won a Landmark Supreme Court Case on Inmate Rights. But that's Not the Half of It". Village Voice. 29 January 2014. Retrieved 2020-05-29.{{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32. ^ "No Escape: Male Rape in U.S. Prisons - Legal Context". Human Rights Watch. Retrieved 2020-05-3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33. ^ 사실을 직시하는 모린 브로코: PLRA, Iqbal, PREA, 16 J. 젠더 레이스 & Just. 917, 921(2013)의 관점에서 잔인하고 특이한 처벌에 대한 보장
  34. ^ "대법원 판결 만세" (언론발표)죄수 강간을 막아라 (이제 Just Reserging International.1994-06-07.2010년 11월 25일 원본에서 보관.2008년 12월 30일 발견
  35. ^ 149 의회 기록 S9659, H7764-66 (2003)
  36. ^ 77 연방관보 37106호
  37. ^ 28 연방 규정 115.42

메모들

  1. ^ 토머스 판사는 파머의 의견이 일치되는 동안 내내 파머를 오인한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