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5(단백질)

CD5 (protein)
CD5
Protein CD5 (PBB).jpg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직교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CD5, LEU1, T1, CD5 분자
외부 IDOMIM: 153340 MGI: 88340 HomoloGene: 7260 GeneCard: CD5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14207
NM_001346456

NM_007650

RefSeq(단백질)

NP_001333385
NP_055022

NP_031676

위치(UCSC)Chr 11: 61.1 – 61.13MbCr 19: 10.69 – 10.72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CD5[5] T세포의 표면(다양한 종)과 B-1a로 알려진 머린 B세포의 부분집합에서 발현된 분화의 군집이다.인간 B세포에서 이 수용체의 표현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였으며, 현재까지 인간 B세포의 표식으로서 이 수용체의 역할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B-1 세포는 효소 단자 디옥시뉴클레오티딜전달효소(TdT)가 없어 B세포 수용체의 다양성이 제한돼 있으며 잠재적으로 자가반응을 보인다.CD5는 B-1 세포가 정상 조직 단백질에 의해서가 아니라 매우 강한 자극(예: 박테리아 단백질)에 의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BCR로부터의 활성 신호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CD5는 CD3에 대한 단핵항체가 개발되기 전까지 T세포 마커로 사용되었다.

인간에서 이 유전자는 11번 염색체의 긴 팔에 위치한다.CD5에 대해 확인된 리간드는 없지만 C형 렉틴인 CD72가 리간드일 수도 있고 CD5가 동음이의어일 수도 있다는 증거가 있어 다른 세포의 표면에 CD5를 결합한다.[6]CD5는 스캐빈저 수용체 시스테인이 풍부한 단백질 영역을 포함한다.

T세포는 B세포보다 CD5의 높은 수준을 표현한다.CD5는 강력한 활성화 시 T세포에서 상향 조정된다.흉선에는 자기펩타이드에 대한 T세포의 상호작용의 강도와 CD5 표현과의 상관관계가 있다.

면역화학

CD5는 CD3만큼 민감하지는 않지만 T세포에 좋은 면역항체화학 표지로 T세포 신엽의 약 76%가 CD5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CD3를 표현하지 않는 만성 림프구 백혈병과 맨틀세포 림프종(둘 다 B세포 악성종)에서도 발견된다.피하 T세포 림프종에서 일반적으로 상실되며, 그 부재는 이 상태에서 악성종양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T세포 급성 림프성 백혈병에 CD5가 없는 것은 비교적 드물지만 예후가 좋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다.[7]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 110448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24669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Entrez Gene: CD5 CD5 molecule".
  6. ^ Brown MH, Lacey E (Nov 15, 2010). "A ligand for CD5 is CD5". Journal of Immunology. 185 (10): 6068–74. doi:10.4049/jimmunol.0903823. PMC 2996635. PMID 20952682.
  7. ^ Leong, Anthony S-Y; Cooper, Kumarason; Leong, F Joel W-M (2003). Manual of Diagnostic Cytology (2 ed.). Greenwich Medical Media, Ltd. pp. 67–68. ISBN 1-84110-100-1.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