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콘어

Lakon language
라콘
부레
네이티브:바누아투
지역고아
원어민
800 (2012)[1]
언어 코드
ISO 639-3lkn
글로톨로지lako1245
ELP라콘
이 글에는 IPA 음성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를 볼 수 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라콘어[lakɔn]바누아투고아 섬의 서쪽 해안에서 사용되는 오세아니아어다.

이름

언어명 라콘(Lakon)은 본래 가와 서쪽 해안에 해당하는 라코나 만(Lakona Bay)을 말한다. 대체 이름 라코나모타어로부터 왔다. 이 이름들은 알 수 없는 의미를 지닌 *laᵑgona 형태의 프로토토토레스 뱅크에서 유래되었다.

라콘은 4개의 방언으로, 카타레우(Qétérew), 부레(Vurē), 토글라타레우(Toglatareu), 토글라(Togla)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음운론

라콘은 16개의 음소모음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8개의 짧은 /i ɪ u u u/와 8개의 긴 모음 /iː ɪ u a a u u u u u/이 포함된다.[2]

라콘 모음
앞면 뒤로
근근접 i uː
클로즈미드 ɪɪː ʊʊː
오픈미드 ɛɛː ɔɔː
거의 열려 있음 ææː
개방하다

역사적으로 모음 길이의 음소 풍성화는 치경조/r/가 최종적으로 음절로 손실되었을 때 보상적으로 짧은 모음의 길이에 기인한다.[3]

문법

라콘의 개인 대명사 체계는 폐쇄성을 대조하며, 4개의 숫자(가수, 이중, 시행, 복수형)를 구별한다.[4]

라콘의 공간적 참조는 오세아니아 언어의 전형인 지리중심(절대) 방향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다.[5]

참조

  1. ^ 프랑수아(2012:88)
  2. ^ 프랑수아(2005:445), 프랑수아(2011:194)
  3. ^ 프랑수아(2005:461)
  4. ^ 프랑수아(2016년).
  5. ^ 프랑수아(2015년).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