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베아어

Mavea language
마베아
네이티브:바누아투
지역마베아 섬
원어민
34 (2008)[G-2008 1]
언어 코드
ISO 639-3mkv
글로톨로지mafe1237
ELP마베아
이 글에는 IPA 음성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를 볼 수 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마베아(Mav̈ea 또는 Mafea 또는 Mavia라고도 한다)는 에스피리투 산토 동쪽 해안 바누아투에 있는 마베아 섬에서 사용되는 오세아니아어다. 남대양북-중앙 바누아투 연계에 속한다. 섬의 총 인구는 약 172명으로, 2008년에 마베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34명에 불과하다고 보고되었다.[G-2008 1]

북바누아투 연계에는 마베아를 포함해 94개 언어가 있다. 마베아와 가장 가까운 언어인, 70%가 조금 넘는 인종을 공유하고 있는 것은 투투바다. 투투바에 이어 아오레, 남말록, 아라키, 탕고아가 다음으로 가까운 친척이다.[G-2011 1]

언어의 위험

마베아는 빈사상태의 언어로서 왜 이런지에 대한 많은 요소들이 있다.

한 가지 요인은 1839년 제7일 재림교도그리스도교 선교회의 도착과 기독교화일 것이다. 인구의 16%만이 마베아를 말할 수 있다. 이 마베아의 원어민들은 20-80세대의 1, 2, 3세대에[further explanation needed] 속한다.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4세대")은 유창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이 세대는 언어를 가르치지 않는다. 언어가 비활성화되고 새로운 도메인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G-2011 1]

마베아는 가정 밖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지 않는다; 특히 학교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젊은 화자들이 언어에 노출되는 것을 줄인다. 대부분의 연사들은 마베아 언어의 손실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G-2011 1]

바누아투의 국가 언어비슬라마는 더 자주 사용된다. 이 크레올은 이 도시에 사는 바누아투의 많은 사람들에게 첫 번째 언어다. 사업, 종교 성찬, 정치 등에 쓰이며, 사회에서 상향으로 나아가는 한 방편으로 보인다.[G-2011 1]

음운론

마베아는 15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G-2011 1]

자음[G-2008 2]
라비알 언어학 치과의 치조류 레트로플렉스 벨라르
콧물 m ⟨m⟩ ⟨m n ⟨n⟩ ŋ nn⟩
멈추다 p ⟨p⟩ ⟨p̈⟩ t ⟨⟩ ɖ dd k ⟨k⟩
프리커티브 V ⟨v⟩ ð̼̼⟨v S ⟨s⟩
트릴 r ⟩⟩
근사치 l ⟨⟩ w ⟨w⟩

마베아에 있는 플로시브는 흡인되지 않는다.[G-2008 3]

모음[G-2008 2]
i e a o u
높은 + +
뒤로 + + +
낮음 +
반올림 + +

맞춤법

언어 자음은 해당 부성음 위에 [t̼]; [ð]; [n̼][1]사용하여 표현된다. 역순[ɖ]은 맞춤법에서 d로 표현된다.

문법

대명사

자유 대명사와 바운드 대명사가 둘 다 있다. 자유 대명사는 많은 태평양 언어에서 흔하다. 이러한 자유대명사는 성별에 따라 변하지 않지만 단수, 복수, 이중, 또는 분수를 포함한 수적 차이를 보인다.[G-2011 1]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mo/ = 그/그/그것(3인칭 단수 과목)
  • 그는 토란을 먹는다. = /mo-an 피트/

고유명사

고유명사에는 개인 이름, 보컬, 관계 용어, 로케이트 등이 포함된다. 그들은 기사를 진행하지 않고 결정자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성별을 구분하기 위해 남성은 /mol-/라는 접두사를 사용한다. 여성의 경우 접두사 /vo-/ 또는 /va-/가 추가되었다.[G-2011 1]

공통명사

고유명사와 유사하게 바운드 공통명사와 자유 공통명사가 둘 다 있다. 둘 다 논쟁에서 사용될 수 있고, 표식기로 정량화할 수 있으며, 결정자로 수정될 수 있으며, 상대 절의 우두머리가 될 수 있으며, "누구" 또는 "무엇"으로 질문될 수 있다. 묶인 공통명사는 친족, 신체 부위, 신체 기능, 전 부분 관계의 명사로 구분된다. 또한 소유욕이 있다.[G-2011 1]

동사들

언어 술어는 주제어 동의 접두사로 표시된다. 자동사 동사, 타동사, 야심사, 직설사, 보조사 등이 있다.

자동사 동사는 주체가 동작을 수신하는 직접적인 대상이 없을 때 사용된다.[G-2011 1]

부사

부사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표현형 부사와 보두형 부사가 있다. 센트레일 부사는 문장 전체를 차지하고 동사의 핵심 논거 뒤에나 앞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빈도를 보여주기 위해 /te pong/는 "때로는"라는 뜻을 가진 부사로 사용된다.

공간부사는 화자의 위치와 화자가 말하는 방향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코나로는 "여기, 스피커 위치에서"를 의미한다. 이것은 많은 태평양 언어에서 흔하다.[G-2011 1]

환원법

마베아는 문법에서 부분적 축소법을 보여준다. 환원제는 강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아는 "노를 젓는다"를 의미하고 수수는 "강력하게 노를 젓는다"를 의미한다. 때때로 환원법을 사용할 때 모음은 바뀔 수 있다. 보통 "a"는 "o" 또는 "e"[G-2011 1]로 바뀐다.

형용사

형용사명사 수식어로만 사용할 수 있다. 두 형용사 모두 독립 어휘 항목으로서 형용사와 또한 환원법을 사용하여 타동사로부터 끌어낸 형용사가 있다. 예를 들어 풀루아는 "도색"이고 "이마 펄펄루"는 "도색된 집"[G-2011 1]을 의미한다.

전치사

마베아에는 7개의 전치사가 있다.

로/에서 가치를 매기다
곧은 도도미
을 위해 라페를 치다
에게/을 위해 수리
주위에서 달.
와 함께 투안 시
안에/에 na

시위

대명사

마베아에는 아로, 넬(e), 마로, 남성 등 4개의 입증된 표현 대명사가 있다.[G-2011 2] 아로넬(e)은 또한 실증적 결정자로 기능할 수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이 아로는 대명사로 나타나는 경우가 드물다.[G-2011 2]

모오제

3SG-make

모팔

3SG-like

아로

여기에

[마]

COMP

모파일루]

3SG-sness

모-셰 모-팔 아로 [마-파일루]

3SG-3SG 유사 COMP 3SG-벤트

'그는 여기 구부러진 것을 이렇게 만든다.'[G-2011 2]

마로(' this one')는 스피커 근처의 무언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복수형 접미사 -re붙임으로써 형성된 복수형 마로어를 가지고 있다.[G-2011 2][G-2011 3]

아니면

아마도

FUT

그때

카바르

1SG.IRR-talk

sur

에 관하여

마로

이번의

엄마.

COMP

마투아=쿠

옳다1SGPOSS

모아디아

3SG-첫번째

아니면 내가 ro ka-var sur maro ma matua=ku mo-adia.

아마 FUT 그러면 1SG.이것에 대해 말해라. 1 COMP right=1SG.주머니쥐 3SG 우선

'아마 나는 내 오른쪽에 있는 이 문제에 대해 먼저 말할 것이다.'[G-2011 3]

엄마.

COMP

풀라이라

CLF-3PL

노를 젓다

이.ones.

i

LIG

atat.

4개

Ma Pula-ira maror I atat. 마 풀라-이라 마라.

COMP CLF-3PL these.one LIG 4

'(그들은) 이 네 놈들 것이다.'[G-2011 3]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반면에 남성('저것')은 말 그대로 화자와 거리가 먼 것을 말할 때 사용된다.[G-2011 2]

남성

저것.one

미자탄

COMP

FUT

ra-lsu

3PL-히트

짝=i=o

죽었다.TR2SG

남자 m̃atan me ra-lsu mate=i=o

그것. 컴프 퓨트 3PL 히트 데드=TR=2SG

'저것은 그들이 너를 죽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G-2011 4]

그리고 은유적으로, 화자와 참조자의 거리를 두기 위해,[G-2011 3] 에서처럼.

그렇지만

바타바타

여자

le

DET

모펠멜

3SG-like.이것.

파잉거,

고집이 센

남성

저것.one

FUT

I-l-l-l-ṽe

3SG.-IRRIMPF만들기

토미

토미

펠멜로

이렇게.

나 바타바타 르 모펠멜 파잉구르, 남자 미 아이-엘-레 토미 펠멜

하지만 여자 DET 3SG 같은 느낌이야이 고집스러운. 하나의 FUT 3SG.토미를 좋아하게 만들었어

'하지만 이 여자는 이렇게 고집불통이야, 저 여자는 토미를 똑같이 만들 거야.'[G-2011 3] 알 수 없는 광택 약어(s) (도움말);

말레(Malere)는 남성의 복수형이며,[G-2011 2] 마로(Maror)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복수형을 붙여서 형성된다.[G-2011 3]

말레르

이.ones.

da-sops-varvara

1PL.-INCLNEG말하다.

니라

3PL

말레 다-소프-바르바라 니라

these.ones 1PL.포함-NEG-토크 3PL

'이것들은, 우리는 그들과 이야기하지 않는다.'[G-2011 3]

마로수컷은 모두 보완제 ma-와 위치 부사, 전자는 아로,[G-2011 3] 후자는 에일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결정자

마베아에는 지시대명사 외에 세 가지 지시대명사(nele), (a)ro, no(o)가 있는데,[G-2011 5] 이들 중 오직 그 또는 (o)만이 지시대명사로서의 역할 외에 대명사로 증명되지는 않는다.[G-2011 2]

시연 결정자[G-2011 5]
단수형 복수형
넬(e) 네일러(e)
여기 이 (a)ro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다
지금 여기에 or(o) 노어

해양언어에[2] 공통적인 3방향 실증시스템은 마베안 실증결정자에는 존재하지 않으며,[G-2011 5] 대신 그 언어의 위치부사에서는 발생한다.[G-2011 6] 마베아의 시험 결정자는 다음과 같이 화자에 대한 공간적 및 시간적 근접성을 모두 나타낸다.[G-2011 5]

키르미자

1PL.-EXCLDL이리 오십시오.

아로

여기

마셰아.

마셰아

키르미아 아로 마에아.

1PL.EXCL-DL-Come this.이곳 마셰아

'우린 여기 왔어, 마셰아로.'[G-2011 7]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또는 담화에서와 같이.

라우=n

나뭇잎=3SGPOSS

모사

3SG-Go.up

모아브타이

3SG-sness

아닌

여기서.지금

물루

위에

라우=n mo-sa mo-avtai nou.

나뭇잎=3SG.SOUSE 3SG-go.up 3SG-apposed here.지금 위

'그들의 잎은 위로 올라가서 여기 꼭대기에 나타난다.'[G-2011 7]

복수형은 복수형 단어 re[G-2011 7] 축소형일 가능성이 있는 것을 붙임으로써 neler(e), rornororor를 형성한다.

Nele은 그것의 복수형 형태 Neler(e)와 함께 부분적으로 특정 확정 조항 le에 의해 형성된다.[G-2011 7]

nor(o)와 그 복수형 nororor는 실제로 세 번째 시험 결정자인 (a)ro의 절단된 형태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성되지만 nele은 그렇지 않다.[G-2011 7] 흥미롭게도, nor(o)(a)ro 자체를 포함하는 두 개의 시험 결정자는 또한 넬(e)(re)에 할당되지 않은 함수인 위치 부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G-2011 2] 시험 대명사로서 이중 의무를 수행하는 두 개의 시험 결정자이기도 하다.[G-2011 7]

또한, 다른 표현 대명사 중 하나인 마로 역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아로를 가지고 있다.[G-2011 3]

실증적 결정자는 시공간 모두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지만 공간적 위치는 다음과 같은 예에서처럼 화자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담화적 관련인 경우가 많다.[G-2011 7] 여기서 아로는 본문에서 이전에 언급된 당사자(아나나)에 대해 양극적으로 언급하는 데 사용된다.

PL

미자시

새의 물고기

니레브

모두

라-라-라-라-라-라

3PL-go

na

LOC

아난아

먹다-NMZ

아로

여기에

레 미자시 니레프 라-아나-아나-아로.

PL새.모두 낚시를 3PL-go LOC 먹자-NMZ 여기.

'새들은 모두 이 파티에 갔다.'[G-2011 8]

이 용도는 때때로 "추적용"이라고 불린다.[G-2011 7] Ror, nor(o)(r)nelere도 모두 다음의 예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음수론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명사구구는 각각 이전에 언급된 적이 있다.[G-2011 8]

그때

FUT

그때

타믈라즈

옛날의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다

여기PL

i

LIG

루아…

두 개

Ro me ro tamlese ror i rua…

그리고 여기는 FUT, 그리고 늙었다.PL LIG 2

'그럼, 여기 이 두 남자가...' 알 수 없는 글로싱 약어(도움말);

라란

3PL--먹다IMPF

더 좋지 않은

물건.PL

네레르

이것들PL

라-란 이넬러 넬레르

3PL-IMPF-먹기.이것들을 PL하십시오.PL

'그들은 여기서 이런 것들을 먹고 있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이노르

물건.PL

아닌

여기서.지금

FUT

아이투엔

3SG.-IRR도움말

no

2SG

Inor no no or me i-tuen nno

물건.PL 여기.Now FUT 3SG.IRR-Help 2SG

'여기 있는 이런 것들이 너에게 도움이 될 거야.'

마베아의 실증적 결정자들은 해양 언어에서 표준이 되는 패턴인 아미노산을 사용했을 때 머리 명사를 따르게 되는데,[2] 비록 보편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타마엔

아버지-CSTR

나바이스세아

어린아이의

아로

여기

모-모-모-모-마타

3SG-죽음

타마-엔 나바이스세사 아로 모-모-모-모-모-마타타

아버지-CSTR 아일 이거야.여기서 3SG 사망

'여기 이 아이의 아버지가 죽었다.'[G-2011 7]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라란

3PL--먹다IMPF

더 좋지 않은

물건.PL

느릿느릿

이것들PL

라-아-안 이넬러 닐레르.

3PL-IMPF-먹기.이것들을 PL하십시오.PL

'그들은 여기서 이런 것들을 먹고 있다.'[G-2011 8]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스페이스 릭틱스

위치부사

위치부사는 전체 문장을 수정하는 전위부사의 한 부류로서, 다음과 같이 동사의 핵심 논거에 뒤이어 발생한다.[G-2011 9]

라쿠로

3PL-떠나다

코네인

저기에

'아이

ai

사르의

사르

그때

라사

3PL-Go.up

코닌

저기에

'판판.'

부채질하다

라쿠로 코네인 '아이 사르' 로 라사 코네인 '판판' 로.

3PL - 거기 두고 3PL-Go. 위로 이동

'그들은 그곳을 떠나, '아이 사르'하고, 그리고 그 위로 올라가서, '판판판'하고.'[G-2011 6]

또는 다음과 같이 동사의 핵심 논거 이전에 보다 드물게.

지시오엔

고기=3SGPOSS

마로

이번의

모안

3SG-먹다

nna.

3SG

지시오엔마루 모안나.

고기=3SG이거 주머니쥐. 3SG 하나 먹고 3SG.

'그의 살, 이것이 그것을 먹었다.'[G-2011 10]

Maṽea에는 두 세트의 위치부사가 있는데,[G-2011 9] 이들 부사는 모두 공간적 독재의 역할을 한다. 모든 멤버가 [a]로 시작한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진 A셋이 있고, 각 멤버가 [ko]로 시작한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진 K셋트가 있다. 그들은 착용자와 가까이 있고, 스피커와 상대 방향(위, 아래 또는 건너)[G-2011 9]을 기준으로 6방향 체계를 형성한다.

공간부사[G-2011 6]
아로 ~ 곤(a)로 '여기, 스피커 위치에서'
aine ~ 코닌(e)/코네인 '거기, 착용자의 위치에서'
에일 ~ 코날레 '거기, 양쪽의 대화자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만, 말하는 사람보다 듣는 사람에 더 가깝다.'
아투 ~ 코나투 '저기, 두 사람 모두에게서 떨어져'
atisi(vo) ~ 코나티스(vo) '저기 아래, 양쪽의 인터커뮤니케이션에서 멀리 떨어져'
아티사 ~ 코나티사 '위쪽, 양쪽의 인터커뮤니케이션에서 멀리 떨어져'
아티샤 ~ 코나티샤 '저 건너편, 양쪽의 인터커뮤니케이션에서 멀리 떨어져'

아티시(vo), 아티사(atisa), 아티사(ativoa) 및 아티사(atiaa)와 이들의 K-set 등가물인 코나티사(vo), 코나티사(konatu)는 si(vo), sa(' go up') 또는 ṽa('go')[G-2011 6]와 같은 동작 동사를 혼합한 형태에서 파생될 가능성이 높다.

엔노

2SG

코투

2SG-stay

아로

여기에

나오

1SG

카온

1SG.IRR-look

카셰아

1SG.IRR-go

코나티샤

저쪽에

카발

1SG.-IRR통과

킬로

보라

ṽa

가다

na

LOC

보보노

레드부시

코나투

저쪽에

노코-토-아로-나오-카-온-카-카-카-카-카-코나티차 Ka-val kil ṽa na vovono konatu.

2SG 2SG-여기 1SG 1SG.IRR-Look 1SG.IRR-Go over.거기 1SG.IRR-pass look go LOC REDbush over.저기에

'너 여기 있어, 내가 저기를 구경하러 갈게. 나는 저쪽의 덤불 쪽으로 지나갈 것이다.'

라쿠로

3PL-떠나다

코네인

저기에

'아이

ai

사르의

사르

그때

라사

3PL-Go.up

코닌

저기에

'판판.'

부채질하다

라쿠로 코네인 '아이 사르' 로 라사 코네인 '판판' 로.

3PL - 거기 두고 3PL-Go. 위로 이동

'그들은 그곳을 떠나, '아이 사르'하고, 그리고 그 위로 올라가서, '판판판'하고.'

'여기서 무엇인가가 다리에 닿는 것을 느낀 직후.'

스피커는 아티시(vo), 아티사(atisa), 아티사(atiṽa), 아티사(atiṽa) 형식과 Konatisa(vo), 코나티사(konatisa) 형식에서 거리를 긴 [t]로 제작하여 강조할 수 있다. [a.t:i.si][G-2011 6]

A-set과 K-set 사이에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의미적 차이가 없지만, A-set의 일부 구성원은 다음과 같이 시연자 역할도 할 수 있다.[G-2011 11]

모오제

3SG-make

모팔

3SG-like

아로

여기에

[마]

COMP

모파일루]

3SG-sness

모-셰 모-팔 아로 [마-파일루]

3SG-3SG 유사 COMP 3SG-벤트

'그는 여기 구부러진 것을 (이것처럼) 만든다.'

K-set의 어떤 멤버에서도 증명되지 않은.

공간적·시간적 부사 아로, aine, con(a)ro는 물론, 실증적 결정자 또는 (o)로 명사와 대칭하여 부사의 술어를 형성할 수 있다.[G-2011 4]

그때

아보나의

종말의CONS

울두니아

이야기

아로

여기.이것

로, 아보나-엔 울두니아 아로

여기서 최종 컨센서스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그럼 이야기의 끝은 여기야.' 또는 '그렇다면 이것으로 이야기는 끝이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3SG

FOC

aine의

저기에

나 네 아인.

3SG FOC 거기

'거기 있다.'

'세 번째(이)는 여기, 네 번째(이)는 여기.'

형태학

Mavea의 개인 대명사는 대소문자나 성별을 따지지 않고 표시 숫자(가수, 이중, 파우칼, 복수형)를 선택한다. 1인칭 비노래자는 포괄적/독점적 구분이 있다. 독립적 개인 대명사는 의무적인 것이 아니라 강조, 대비 또는 초점에 사용된다.[G-2008 4]

단수형 이중 파우칼 복수형
1인칭 포함성의 na(o) 다루아/다루아 데이톨 (n)ida
배타적 카미사루아/오 카미사톨 카미삼
2인칭 no 캄루오/a 캄톨 카미심
3인칭 nna. 라루아/오 라톨 니라

FUT

그때

no

2SG

FUT

ko

2SG

-l

-IMPF

-suruv

-수면

아타노,

땅을 갈다

na

그렇지만

나오

1SG

FUT

그때

ka

1SG.IRR

잉여의

-수면

aul

위에

페레

가지를 치다

-n

-CONS

부에

나무

me ro no me ko -l -suruv atano, nao me ro ka suruv aul pere -nvuae

FUT는 2SG FUT 2SG -IMPF -수면장, 1SG FUT는 1SG.IRR - 분기 위로 절전 -CONS 트리

"너, 너는 땅바닥에서 자겠지만 나, 나는 나무에서 잘 거야" 알 수 없는 글로싱 약어(s) (도움말);

바운드 대명사

바운드 대명사는 술어구의 첫머리에서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오직 1SG와 3SG만이 분위기를 띄운다.[G-2008 5]

주체 계약 표식기[G-2008 6]
단수형 이중 파우칼 복수형
리얼리스 이레알리스
1인칭 포함성의 na- 카- 다아- 데이톨- 다-
배타적 키르- 키톨- 기-
2인칭 코- 코- 키르- 키톨- 기-
3인칭 모- i- 노를 젓다 라톨 라-
개체 엔클로저[G-2008 6]
단수형 복수형
1인칭 포함성의 -ao (i)da
배타적
2인칭 -o
3인칭 -a (i)ra

바루아

no

2SG

코콜라이=ao

2SG-lie=1SG

바루아 엔노 코콜라이=ao

새 2SG 2SG-lie=1SG

"카디날, 넌 내게 거짓말을 했어"[G-2008 6]

카운팅 시스템

마베아 카운트 시스템은 다른 프로토 오셔닉 언어와 매우 유사하며, 특히 숫자 1부터 5까지, 그리고 10까지가 매우 유사하다.[G-2011 1]

  1. 홍차
  2. 루아
  3. 톨(u)
  4. vat(i)
  5. 리마
  6. 마라바
  7. 왁자지르다
  8. 랫톨(u)
  9. 래팻(i)
  10. 아나불(u)

소유

마베아는 직접 소유와 간접 소유를 구별한다. 직접 소유구축 명사는 한정된 소유구축 명사를 취한다. 반면에, 간접적인 소유권은 소유권 성향이 혼합된 분류자의 존재에 의해 표현된다.[G-2011 12]

직접소유

직접 소유는 소유자가 명사구(NP)로 표현되지 않을 때 명사에 부착된 소유권 정족에 의해 표현된다. 또는 보유자의 개인과 수에 대한 접미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명사 뒤에 독립 대명사를 붙인다.[G-2011 12]

직접 소유구조에 참여하는 명사의 의미계급은 신체부위 및 신체기능, 친족 용어, 의복 및 생활용품 등을 포함한다.[G-2011 12]

소유 클리틱스 표
단수형 이중 파우칼/재판 복수형
1인칭 포함성의 -ku 다루아/오 데이톨 -(i)da
배타적 -mamrua/o -mamtol -sness
2인칭 -m -mrua/o -mtol -sness
3인칭 -n(a) -rarua/o 라톨 -(i)ra

직접 소유되는 명사는 소유자의 특징과 일치하는 소유권 클라이트를 취한다.[G-2011 13]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가데오

1SG.-IRRcalescate

모아디아

3SG-첫번째

그때

FUT

코온

2SG-보기

태=쿠

배설물=POSSSG

Ka-deo mo-adia 로 나를 ko-on tae=ku.

1SG.IRR-defeffefate 3SG-first, FUT 2SG-look 배설물=lSG.주머니쥐

'내가 먼저 배변을 하고, 그러면 너는 내 배설물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na]로 발음되는 이 3인칭 단수 소유성 클라이트는 '살리바'를 뜻하는 명사 '랄로아'와 접미사가 된다.

랄라오=나

침=3SGPOSS

모시의

3SG-go.down

모바의

3SG-go

랄라오=na mo-si mo-va.

침=3SG.SOUSE 3SG-go.down 3SG-go

'그녀의 침은 늘어져 있었다.'

비구조적 보유자

완전한 NP가 소유자를 표현하는 경우, 이 구성 접미사는 소유성 정족(-n)의 동음이의어이고 분포는 다음과 같은 예와 다르지만, 포세이저는 구성 접미사 –n 또는 [na]로 발음할 수 있다.[G-2011 13]

Full NP의 경우, 보유자가 보유자보다 우선한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라타우

3PL-put

ese-n

이름-CONS

피리아.

야생의

라타우 에세앙 피리아.

3PL 입력 이름-COS 와일드.야무지게

'피리아' 알 수 없는 글로싱 약어(도움말);

그리고

나투엔

어린아이의CONS

토하다

비둘기

모사

3SG-Go.up

모헤럴드

3SG-앉다

na

LOC

팥죽을 하다

선두에CONS 서다

코우

새를

나투엔이 모사 모사켈 나 파투앤코우

Child-CONS 비둘기 3SG-go.up 3SG-sit LOC 머리-CONS 새

'도브의 아이가 올라가서 파울의 머리 위에 앉았다.[G-2011 14]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소유는 재귀적이며, 다음 예에서 '바나투'라는 명사가 소유하는 명사 '불루'는 존이 소유하고 있으므로, 두 명사 모두 -[n]과 접미사가 된다.

벌루앤

머리털의CONS

바나투엔

딸-CONS

.

헤어-콘스 딸-콘스 존

'존의 딸 머리' 알 수 없는 글로싱 약어(도움말)

간접소지분

간접 소유 구조에서 명사는 소유성 정족(또는 구성 접미사)이 부착된 분류자를 필요로 한다.[G-2011 13]

마베아에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개의 분류자가 있다.

  1. a- '먹힐 것'
  2. ma-'취할 것'
  3. '일반적인 소지, 귀중품' 없음
  4. 풀라- '동물 키우기, 채소 심기'
  5. sa- '주택과 토지'
  6. 마두우에- '죽은 자의 소유'

분류자 "a-" inflused는 품목을 먹는 것을 의미한다.

모비르

3sG 투척

로코

랩랩을 하다

a=na

CLF.eat=3SG.POSS

모비르 로코 a=na.

3sG-던지기 랩랩 CLF.eat=3SG.주머니쥐

'그녀는 그의 랩랩을 던졌다.'

보유자가 완전한 NP인 경우, 분류자는 구성 -n을 가진 시장이다.

니라

3pl

래브

3PL-make

이난의

음식

바이세아

작다

a-n

CLF.eat-CONS

PL

가족의

가족

니라 라-브 이안 바이세사 아-엔 패밀리

3PL 3PL 제조 식품 소형 CLF.Eat-CONS PL 제품군

'가족을 위해 작은 파티를 만든다(먹기 위해)' 알 수 없는 글로싱 약어()

요약

소유 유형 양전자 보유자
직접 N -n

N CLF -n

개인 명사

개인 명사

간접적
직접 N -n

N CLF -n

특정

특정

간접적
직접 N (+인간) -n

N(-인간)-i

비특정
간접적 N CLF -n 비특정

[G-2011 17]

문의사항

억양은 예-아니오 질문을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통사적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마지막에 음의 tag /te modere/를 사용하는 태그 질문도 있다. 영어에서 /te modere/는 "or not"[G-2011 1]을 의미한다.

일부 단독 내용 질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유인원 = where
  • 인게이지 = when
  • 이세=누구
  • ivisa = 얼마나/많이
  • 마타이=무슨 이유로
  • 마탄 = 왜
  • sa = 무엇
  • 사바 = 어떤/어떤 종류?
  • se = which
  • sur sa = 무엇 때문에/무엇 때문에?

부정

Sentential 부정은 바운드 접두사 /sopo/로 표현되며 주제 계약 접두사 바로 뒤에 나타난다.[G-2011 1] 순서는 제목 -> 부정 --> 동사.

3SG

-sopo-

NEG

롱고

보다

=

=

a

3SG

mo -sopo-룽고 = a

3SG NEG 참조 = 3SG

그는 그를 보지 못했다.

때때로 /sopo/는 /po/로 단축될 수 있다.

na

1SG

-po-

NEG

사사

일을 하다

na -po-sasa

1SG NEG 작업

나는 일하지 않는다.

주제 동의 마커가 없을 때 맨 부정 마커가 앞쪽으로 점프한다.

소포

NEG

te

약간의

타-마베아...

마베아 출신

소포테타마베아...

NEG from-마베아

마베아 남자는 한 명도 없어...

"아직"이라는 양면적인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lo/를 부정 마커 /sopo/에 추가한다. 아직 일어나지 않았지만 앞으로 일어날 것 같은 사건을 말한다. 부정의 형태 끝에 /pa/가 더해져 "아직" 또는 "아직"을 의미한다.

nno ko

2SG

소포

NEG

-l-

IMPF

에 관하여

보라

디우

게의

아빠?

아직이요?

{nno ko} sopo -l- on diu pa?

2SG NEG IMPF 아직 게처럼 보여?

너 아직 코코넛 크랩 못 봤어?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me/와 결합하면 부정은 "더 이상, 더 이상"으로 바뀐다.

모우소

3SG-NEG

-

-

IT

-

-

l

IMPF

-

-

잉여의

잠을 자다

mo-survo - me - l - surv

3SG-NEG - IT - IMF - 수면

그녀는 더 이상 잠을 자지 않는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동일한 조항은 3인칭 단수 /mo-/에 대한 음성 마커 /sopo/를 실험 마커에 추가함으로써 나타난다. 모소포(Mosopo)는 "그렇다/있었다/없다"라는 뜻이다.

코브

2SG-말하다

모우소

3SG-NEG

no

2SG

코-브 모-소포 nno.

2SG-say 3SG-NEG 2SG

네가 아니라고 했잖아.

음의 위치 술어는 동일 조항 /모소포/에 위치 표식기 /na/를 추가하여 동일 조항과 유사하다.

모소포

3SG-NEG

na

LOC

오노의

모래를 묻히다

모소포나오노죠

3SG-NEG LOC 모래.

그것은 모래 위에 있지 않다.

메모들

  • 참조 위치
  • 게린, 발레리(2008년). 마베아 발견: 문법, 텍스트, 어휘. 하와이 대학의 언어학 박사.
  1. ^ a b 게린 2008 페이지 2
  2. ^ a b 게린 2008: 페이지 30
  3. ^ 게린 2008: 페이지 12
  4. ^ 게린 2008: 페이지 76.
  5. ^ 게린 2008: 페이지 77
  6. ^ a b c 게린 2008: 페이지 78
  • Guérin, Valérie (2011). A Grammar of Mavea: An Oceanic Language of Vanuatu (PDF).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s, No. 39.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424. ISBN 978-0-8248-3639-9. Retrieved 12 April 2021.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Cf. 게린 2011.
  2. ^ a b c d e f g h 게린 2011, 페이지 66.
  3. ^ a b c d e f g h i 게린 2011, 페이지 67.
  4. ^ a b 게린 2011, 페이지 285.
  5. ^ a b c d 게린 2011, 페이지 152.
  6. ^ a b c d e 게린 2011, 페이지 84.
  7. ^ a b c d e f g h i 게린 2011, 페이지 153.
  8. ^ a b c 게린 2011, 페이지 154.
  9. ^ a b c 게린 2011, 페이지 83.
  10. ^ 게린 2011, 페이지 382.
  11. ^ 게린 2011, 페이지 85.
  12. ^ a b c d 게린 2011, 페이지 168.
  13. ^ a b c d 게린 2011, 페이지 170.
  14. ^ a b 게린 2011, 페이지 169.
  15. ^ 게린 2011, 페이지 171.
  16. ^ a b 게린 2011, 페이지 172.
  17. ^ 게린 2011, 페이지 176.
  • 기타 출처
  1. ^ 웨이백 머신Mavea Archived 2012-04-25의 프레젠테이션.
  2. ^ a b Gunter, Senft (2004). Deixis and demonstratives in Oceanic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p. 179. ISBN 0-85883-551-7. OCLC 9023619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