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라어

Vera'a language
베라
바트라타
발음[ffraaa]
네이티브:바누아투
지역바누아 용암
원어민
500 (2012)[1]
언어 코드
ISO 639-3vra
글로톨로지vera1241
ELP베라

베라아[fɛraʔa]는 이전에 모타 이름 바트라타로 알려져 있었으며 바누아 용암 섬의 서쪽 해안에서 사용되는 오셔날 언어로서 바누아 북부의 뱅크스 제도(Banks Islands of Banua Rambar Island)에서 사용되고 있다.

베라는 언어학자 스테판 슈넬에 의해 2011년에 묘사되었다.[2]

이름

베라라는 언어는 그것이 사용되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마을은 외국인들이 베라[fɛraʔa]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현지에서는 베라[fɛraʔa]로 알려져 있다.이 모든 이름들은 궁극적으로 프로토토토레스 뱅크의 원형 *βaturata를 반영하는데, 문자 그대로 "플랫스톤" (*βatu "stone" ) < POc *patu + *rata "flat"이다.

최근 역사

최근 기록된 구강역사에 따르면, 바누아 용암은 1945년 북서부 해안의 정원과 햄릿을 황폐화시킨 대지진과 산사태로 인해 베라아 공동체가 이전의 정착지를 버리고 현재의 거주 중심지인 베라아 마을(바트라타)으로 다시 정착했다.베라아는 바누아 용암에서 가장 큰 정착지인 베투보소 마을에서 약 4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인 부러스의 연사들이 거주하고 있다.

베라의 연사와 함께 지금은 빈사상태인 레메릭의 연사들이 베라의 마을로 자리를 옮겼다.레메릭은 베라의 많은 주민들에 의해 기억되지만, 더 이상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사용되지 않는다.현재 사실상의 르메릭어 손실도 자연재해와 그에 따른 정착운동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음운론

베라'a에는 7개의 음소모음이 있는데, 모두 짧은 단음모음이다.[3]

앞면 뒤로
가까운. i 우우우우시
근근접 ɪ ⟨ē⟩ ʊ ⟨ō⟩
오픈미드 ɛe ɔ o⟩
개방하다 a⟩.

소유

베라'a에는 직접 소유 구조와 간접 소유 구조 두 가지 유형이 기록되어 있다.[2]: 119 다른 오세아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베라아에서 직간접적으로 소유하는 명사의 구별은 일반적으로 양도할 수 없는 소유와 이국적인 소유 사이의 의미적 구분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접적 및 간접적 소유구축에서는 소유자의 표현에 기초한 추가적인 세 가지 건설 하위 유형이 있다.보유자 시공의 세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소유권자는 소유권 접미사로 표현되는 대명사로서 소유권자.
  2. 개인 NP로서 소유주.
  3. 보통명사로서의 보유자.

소유자를 대명사로 표현하기 위해 소유성 접미사를 사용한다.Stefan Schnell은 그들이 "개인 대명사와 같은 범주에 대해 구체적이고 확실한 참조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평칭으로 간주된다"[2]: 121 고 보고한다.

베라의 소유지향 접미사
단수형 이중 시험 복수형
1인칭 배타적 -k -마두(o) -mam'ol -sness
포함성의 -du(o) -de
2인칭 -m -mru(o) -몰 -mi
3인칭 -gi -ru(o) -롤 -re

다이렉트 소지

베라'a에서 직접 소유는 주로 양도할 수 없거나 본질적으로 주어진 관계를 표현한다.[2]: 121

이러한 유형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다.[2]: 57–58

  • 친족 관계
  • 신체 부위
  • 기타 유형의 부품/부품 관계(식물의 다양한 부분)
  • 다른 개념(실체의 이름)과 연관되어만 발생하는 특정 개념
  • 공간적 관계(공간적 관계와 유사하게 표현되는 시간적 관계)

직접 소유 건설

직접 소유구조는 소유권과 소유자로 구성된다.이 구조는 소유권자 질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소유권은 바운드 명사로 표현되는 반면 소유자는 다음 중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2]: 121

  1. 대명사(소유성 접미사로 표시)
  2. 연결 접미사 -n에 의해 소유권에 연결된 개인 NP
  3. 소유명사를 보조적으로 따르는 공통명사로서.

바운드 명사 보유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보유자 구성 중 하나를 취한다.[2]: 119

(1) 표준 소유자와 직접 소유 구조
(a)

n

ART

구누엠

배우자-2SG

n gunu-m.

ART 배우자-2SG

'아내/남편'

(b)

n

ART

쾰른의

뒤쪽으로1SG

n kolo-k.

아트 백-1SG

'나의 등'

(2) 개인 NP 보유자와 직접 소유 시공
(c)

n

ART

보노앤

본국의LK

e

ART

코'

person.name

n vono-n e Qo’

아트 홈-LK 아트 person.name

'Qo의 집'

(d)

e

ART

구누엔

배우자-LK

e

ART

노린

person.name

노를렌

아트 배우자-LK 아트 person.name

'노린의 남편'

(3) 공통 NP 보유자와 직접 소유 시공
(e)

ē

ART

넬로-

목소리-

'anansara'

사람

넬슨-'아니오'

ART 음성-인

'사람의 목소리, 즉 사람의 목소리'

(f)

ē

ART

델네초-

귀를 기울이다

'아마'

악마의

ēn deln̄o- ’ama’

아트 이어 데빌

'악마의 눈/악마의 귀'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시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직접 소유 구조
보유자형 구조
(1) 대명사 [소유 NP-소유 접미사]
(2) 개인 NP [소유 NP-n] + [개인 NP]
(3) 공통 NP [소유 NP] + [공통 NP]

간접소지분

간접 소유구조는 주로 외계인 소유를 표현하는데, 그것은 더 쉽게 종료되는 소유물이다.소유자는 소유명사에 직접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소유권자가 소유권 분류자에 표현된다.이 구조는 소유자와 소유자가 형태적으로 서로 덜 의존하게 된다.결과적으로, 이 구조는 소유자가 구문론적으로 다른 위치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소유자가 소유 NP가 언어에서 누락된 상태에서 독립형 NP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2]: 133

간접 소유 건설은 더 나아가 간접 소유 건설 유형 1과 유형 2로 구분된다.두 가지 유형 외에 간접 소유구조는 여러 가지 다른 기능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들은 분류기(원래 NP), 부명 수령자 구조 및 수령자/수혜자 건설이다.[2]: 133 간접 소유구조의 다양한 기능은 스테판 슈넬의 "베라의 문법: 북바누아투의 오세아니아어" 6장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2]: 136–138

간접소유구조

간접 소유권 구성에서 소유권은 자유명사이고 소유자는 소유권과 소유권자 사이의 통사적 관계를 매개하는 소유권 분류자에 의해 주최된다.[2]: 134 각각 각자의 기능을 표현하는 소유 분류자와 간접 소유구조가 표현하는 관계의 유형이 8개 있다.

소유권 분류자[2]: 120
소유권 분류기 함수
고- 's.th. 먹기'
모- 's.th. to drink'
코- 's.th. 선박으로 사용할 것'
뫼오- 's.th. house로 사용'
볼로- '관습적 가치의 s.th'
노- 's.th. 개인 소유'
qo- 's.th. 잠들곤 했다, 휴식'
뮤- 's.th. 소유' / 기타
간접소유공법 제1종

간접 소유권 건설 유형 1에서 소유권 분류기는 바운드 형태소로 표현되며 소유자는 다음 중 하나로 표현된다.[2]: 134

  1. 분류기에 부착된 소유권 접미사
  2. -n 접미사가 있는 소유권 분류기에 연결된 개인 NP
  3. 소유 분류자를 보조적으로 따르는 일반 명사로서.

소유권 분류기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소유권 구조 중 하나를 취한다.[2]: 120–121

(1) 토지소유자가 있는 간접 소유 건설 유형 1
(g)

n

ART

땅을 갈다

고루

POSS.CLF-3D

첸고루

예술은 주머니쥐를 갈았다.CLF-3D

'먹기 위해 갈아놓은 것'

(h)

n

ART

나크

카누를 타다

코크

POSS.CLF-1SG

나크코크

아트 카누 주머니쥐.CLF-1SG

'내 칼'

(2) 개인 NP 보유자가 있는 간접 소유 건설 유형 1
(i)

n

ART

나크

카누를 타다

mu-앤

POSS>CLF-LK

e

ART

코'

person.name

nak mu-n e Qo'

아트 카누 주머니쥐>CLF-LK 아트 person.name

'쿠오의 카누'

(j)

ē

ART

기에

카바

모앤

POSS.CLF-LK

e

ART

'uvusm̄l'

최고 책임자의

ēn gie mo-n e 'uvusm̄l'

아트 카바 주머니쥐.CLF-LK 아트 하이.chief

'고추장(술)의 카바'

(3) 공통 NP 보유자가 있는 간접 소유 건설 유형 1
(k)

n

ART

기에

카바

POSS.CLF

'uvusm̄l'

최고 책임자의

n gie mo'uvusm̄l.

아트 카바 주머니쥐.CLF high.chief

'고위 족장의 카바(술에 쓰는 것)'

(l)

n

ART

락락

춤을 추다

POSS.CLF

'아마'

악마의

n laklak mu ’ama’

예술은 주머니쥐 춤을 춘다.CLF 데블

'귀신의 춤/귀신의 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간접소유공법(타입 1)
보유자형 구조
(1) 대명사 [소유 NP] + [보유 분류기-소유 접미사]
(2) 개인 NP [소유 NP] + [소유 분류자-n] + [개인 NP]
(3) 공통 NP [소유 NP] + [보유 분류기] + [공통 NP]
간접소유공법 제2종

제2종 간접소유구축에서는 보유분류기가 보유명사보다 선행한다.그 결과 소유 분류자와 소유권이 복합 NP를 형성하게 된다.소유자는 독점적으로 원시적 소유권 접미사로 표현된다.[2]: 135–136

간접소유공법 제2종
(m)

마라나가

으뜸의

고드름 피우다

POSS.CLF-1PL.INCL

=n

=ART

kl-

수렁에 빠진

'meat'

로위스

down.at.the.sea

마라나가 고-도-=n kēl-빅 로우 ē

수석 주머니쥐CLF-1PL.EXPLENCE =ART bog- 'pair' down.at.the.sea

'과장님, 우리(먹어야 할)의 큰 '고기'가 바다에 가라앉았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간접소유공법(타입 2)
보유자형 구조
(1) 대명사 [소유 분류자-소유 접미사] + [소유자 NP]

참조

참고 문헌 목록

주참조

  • Schnell, Stefan (2011). A grammar of Vera'a. Kiel: Kiel University. Retrieved 3 Nov 2018.

기타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