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 다이빙

Ice diving
Plongée sous glace VJ.JPG
아이스 다이빙 - 위에서 보기
얼음 아래 - 아래에서 보기
얼음 아래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얼음 잠수부를 감시하는 것.
얼음에 구멍을 뚫어 물 상태를 확인
얼음의 작은 구멍을 통해 물 상태 확인
전기톱으로 얼음구멍을 자르다

아이스 다이빙은 침투 다이빙의 한 종류로 [1][2]얼음 아래에서 다이빙을 한다.얼음 아래 다이빙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진입/출구 지점만 있는 오버헤드 환경에 다이버를 배치하기 때문에 특별한 절차와 장비가 필요합니다.아이스 다이빙은 레크리에이션, 과학 연구, 공공 안전(일반적으로 수색 및 구조/복구) 및 기타 전문적 또는 상업적 [3]목적으로 행해진다.

얼음 다이빙의 가장 명백한 위험은 빙하에서 길을 잃는 것, 저체온증, 동결로 인한 조절기 고장이다.스쿠버 다이버들은 일반적으로 안전을 위해 묶여 있다.즉, 다이버는 라인이 고정되는 하니스를 착용하고 라인의 다른 한쪽 끝은 수면 위로 고정되며 어텐던트에 의해 감시됩니다.표면공급장치는 본질적으로 테더를 제공하며, 표면팀에 의해 제1단 관리가 가능하여 호흡가스 공급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레귤레이터 1단 동결 위험을 감소시킨다.지표면 지원팀에게 위험 요소에는 동결 온도와 살얼음판을 통과하는 낙하 등이 포함됩니다.

절차들

4인 1조.얼음 다이빙을 위한 최소 인원.
(가) 현재 잠수 중인 팀 (1A. 선단 유도 다이버, 1B. 제2 다이버 및 라인 핸들러, 1C. 입찰, 1D. 통신, 오리엔테이션 및 구조용 제1 생명선, 50~100m)
(2) 구조 다이버(2A.완전 스탠바이 다이버, 2D.제2의 라이프 라인)
3. 얼음 덮개
4. 라인 끝을 고정하기 위한 얼음 나사
5. 얼음 덮개의 개구부에 접근합니다.
6명으로 이루어진 팀입니다.4인조보다 안전합니다.
(1) 현재 잠수 중인 팀 (1A. 선단 유도 다이버, 1B. 제2 다이버 및 라인 핸들러, 1C. 입찰, 1D. 통신, 오리엔테이션 및 구조용 제1 생명선, 50~100m)
(2) 구조대(2A.완전 대기대, 2B.완전 대기대, 2C.스탠바이텐더, 2D.세컨드라이프라인)
3. 얼음 덮개
4.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얼음 나사
5. 얼음 덮개의 개구부에 접근합니다.
얼음 속 다이빙을 위한 준비 장소
1. 눈 덮인 표면
(2) 얼음 밑에서의 항법 보조를 위해 눈을 치운 구멍의 반경선
3. 작업장에서 눈을 치운다.
4. 얼음에 삼각형의 입구가 뚫려 있다.
5. 다이버들을 지원할 준비가 된 첫 번째 생명줄.
6. 스탠바이 팀을 지원할 준비가 된 두 번째 라이프라인.
7. 로프 끝을 고정하기 위한 얼음 나사

아이스 다이빙이 본질적으로 기술 다이빙을 구성하는지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커뮤니티 내에서 논의되고 있다.전문 다이버에게는 추가적인 안전 조치가 필요한 고위험 환경입니다.

아이스 다이빙은 각 다이버의 생명줄에 줄타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팀 다이빙 활동입니다.이 사람은 다이버가 엉키지 않도록 비용을 지불하고 줄을 서고 다이버와의 로프 신호 통신을 담당합니다.프로팀들은 또한 대기 다이버와 다이빙 [4]감독관을 필요로 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이버들이 다이빙 종료 시 또는 비상 시 동굴 다이빙 또는 난파선 침투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멍으로 돌아가기 위한 참조로 라이프라인 대신 가이드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이 경우,[3] 다이버들은 지침에 따라 다이빙 절차에 유능해야 한다.

극지 다이빙 경험은 부력 조절이 [2][clarification needed]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술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얼음 [2][5]아래에서 스쿠버 다이빙을 하는 일반적인 절차:

  • 눈삽은 그 지역의 눈과 얼음을 치우는 데 사용된다.
  • 얼음톱이나 전기톱은 얼음에 구멍을 뚫기 위해 사용된다.
  • 잠수부들이 옷을 입을 수 있도록 비바람을 막아주는 공간이 사용된다.
  • 수면의 다이버와 연도는 로프 라이프라인과 하네스로 연결됩니다.하네스는 일반적으로 드라이 슈트 위에 착용하지만 BC 또는 기타 부력 장치 아래에 착용하여 다이버가 에어 실린더 또는 부력 제어 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도 구속된 상태를 유지합니다.안전벨트는 어깨와 등 둘레에 딱 맞기 때문에 비상시에는 의식이 없는 다이버를 다시 구멍으로 끌어낼 수 있습니다.하네스는 신체와 일직선으로 당겨졌을 때 다이버의 몸통을 위아래로 미끄러뜨릴 수 없어야 합니다.
  • 로프 신호 또는 음성 통신 시스템을 사용해야 합니다.
  • 밧줄로 묶인 대기 다이버가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 한 명 또는 두 명의 잠수부들은 각각 자신의 밧줄을 가지고 같은 구멍에서 동시에 잠수할 수 있다.2개의 로프를 사용하면 서로 엉킬 위험은 거의 없지만 3개의 로프를 사용하면 이 [citation needed]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 레귤레이터가 자유롭게 흐르거나 동결되면 다이버는 레귤레이터를 닫고 백업으로 전환한 후 다이브를 종료해야 합니다.
  • 팩 아이스에서 다이빙할 때, 표면 팀은 출구가 [2]손상되지 않도록 얼음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 다이버는 출구 구역으로 가는 경로를 항상 긍정적으로 표시해야 합니다.일반적으로 표면 입찰에 대한 테더는 [2]통신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호되지만, 이것이 실용적이지 않을 경우 릴 및 거리 선이 대안이다.
  • 포식자와 공격적인 야생동물의 공격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북극곰, 바다코끼리, 표범 바다표범은 그들의 [3]범위 내에서 잠재적인 위험요소이다.
  • 오버헤드 환경에 대한 가스 관리가 적절합니다.
  • 밧줄로 묶인 스쿠버 다이버 한 명을 배치하는 것은 자유 수영 버디 팀 다이빙에 대한 상당히 안전한 대안이다.밧줄로 묶인 스쿠버 다이버는 음성 통신이 가능한 전면 마스크, 대용량 스쿠버 공기 공급, 독립적인 비상 공기 공급을 갖추고 있습니다.다이버 본체 하네스에는 통신케이블이 달린 라이프라인이 고정되며 다이버와 음성통신을 일정하게 하는 표면입찰기에 의해 처리된다.비슷한 장비를 갖춘 대기 다이버는 [5]수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비.

얼음 아래 다이빙은 추운 기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장비가 필요합니다.예비 장갑과 양말을 포함한 각 개인의 옷과 노출 방지 요구 사항 외에도, 기본적인 스쿠버 장비, 백업 스쿠버 장비, 얼음 구멍을 뚫기 위한 도구, 제설 도구, 안전 장비, 일종의 쉼터, 라인, 다과가 필요합니다.[3]

다이버는 웨이트 하니스, 통합 웨이트 부력 제어 장치 또는 두 개의 버클이 달린 웨이트 벨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가 실수로 풀리지 않고 빙상으로 [citation needed]도망갈 수 있습니다.

적절한 보온 속옷이 있는 드라이 슈트는 얼음 다이빙을 위한 표준 환경 보호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두꺼운 웨츠복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후드, 부츠, 장갑도 착용한다.전면 마스크는 잠수부들의 얼굴 피부를 더 보호할 수 있습니다.

노출복

수온(민물에서는 4°C ~ 0°C, 일반 염분 바닷물의 경우 약 -1.9°C) 때문에 노출복은 필수입니다.[6]

  • 잠수 전후의 열보호는 안전과 다이버 [2]기능에 매우 중요합니다.
  • 기능을 유지하고 냉해를 [2]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의 보온장치가 중요합니다.
  • 잠수부는 잠수하는 내내 따뜻하게 유지되어야 하지만, 잠수 직후에는 감압병의 위험에 대한 추위의 영향을 충분히 [2]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 가열과 격렬한 운동에 의한 적극적인 재난방을 피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드라이 슈트를 의무적으로 입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더 단단한 잠수부들에게는 두꺼운 웨츠잇이 충분할 수도 있다.웨츠잇은 수트에 따뜻한 물을 부어 예열할 수 있습니다.후드 및 장갑(손가락 세 개로 된 장갑 또는 링이 있는 마른 장갑 권장)이 필요하며, 드라이 슈트 다이버들은 머리와 손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후드와 장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어떤 사람들은 차가운 [citation needed]물과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해 전면 다이빙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잠수복 사용의 가장 큰 단점은 [citation needed]잠수복에서 물이 증발해 잠수부에 냉기를 주는 것이다.이는 온풍 대피소를 사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스쿠버 장비

냉수에 적합한 다이빙 레귤레이터를 사용한다.모든 규제 당국은 동결 및 자유 흐름의 위험이 있지만 일부 모델은 다른 [7]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합니다.환경 밀폐된 조절기는 부동액(예: 포세이돈)[1]에서 분리하거나 진동판 뒤에 이동 부품을 놓고 푸시 로드(예: Apeks)를 통해 압력을 전달함으로써 주변 물과 1단 이동 부품 사이의 접촉을 피한다.

없기도 했지만은 사회적 통념 수준은 적어도 한가지 agency[8]두 부동 규제 당국 다음과 같이 정리:초등 1기의 1차 2단계, BCD인플레이션 호스, 그리고 수중 압력 게이지(SPG), 2차 2단계(문어), 건식 잠수복을 인플레이션 호스, SPG, alth과 2차 첫 단계부터 사용을 권고한다.ough 단일 실린더 또는 다지관 쌍둥이에 필요한 SPG는 1개뿐입니다.

1단계 동결 프리 플로우는 밸브가 해동될 때까지 실린더에서 공기 공급을 차단해야만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2단계는 독립적으로 닫히는 밸브에 장착됩니다.두 번째 조절기는 첫 번째 조절기가 꺼질 때 남은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있습니다.디맨드 밸브의 유동을 [2]관리하기 위한 빠른 방법으로서 제1단 과압 릴리프 밸브와 함께 사용하는 제2단 격리 밸브가 효과적일 수 있다.

  • 자유 표면에서 [2]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용하기 전에 저온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스쿠버 장치는 극지방 조건 하에서 자유 유동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얼음 아래에서 다이빙을 하려면 최소 두 개의 독립된 조절 장치가 권장됩니다. 다이버는 자유 유동을 하는 [2]장비의 작동을 포함한 전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잠수하기 전에 조절기를 따뜻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고, 물에 담그기 전에 조절기의 호흡을 제한하면 조절기가 얼 위험이 줄어듭니다.퍼지 또는 기타 높은 유량의 원인은 동결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키므로 절대 [2]최소로 유지해야 합니다.

중복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본 조절기와 대체 조절기가 있는 이중 실린더로 구성됩니다.각 2단에는 각각 독자적인 1단이 공급되며, 유량 등의 비상 시에 실린더 밸브에서 셧다운될 수 있습니다.잠수부의 부력 보상기는 드라이 슈트와 다른 첫 번째 단계에 있으므로, 잠수부가 부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일부 다이버들은 7피트 호스에 1차 조절기를 사용하고 목걸이에는 2차 조절기를 사용합니다. 이는 다이버들이 한 줄로 수영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프라이머리가 긴 호스에 있는 이유는 기증된 조절기가 작동 [8]중인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부력과 무게

  • 잠수부가 [2]부력 보상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부력 보상기로 더 큰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 한 드라이수트는 얼음 다이빙을 위해 부력 보상기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 독립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배치된 테더링 다이버는 가급적 전면 마스크, 수면과의 음성 통신 및 다중 공기 공급을 갖추어야 합니다.이것은 전문 [2]다이버에게 의무적인 경우가 많다.
  • 대부분의 다이버들은 대부분의 오버헤드 [citation needed][clarification needed]환경보다 얼음 다이빙에 더 부정적인 것을 선호하며, BCD나 드라이슈트의 저압 인플레이터를 분리하는 능력은 중요한 [citation needed]기술이다.

테더 및 가이드라인

얼음 속에서 다이빙을 하면 방향감각을 잃기 쉬우므로 입퇴출구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중요한 안전 기능입니다.표면 입찰에 의해 제어되는 테더(라이프라인)와 얼음 아래에서 다이버에 의해 전개되는 릴 라인 중 어느 쪽을 사용할지는 다양한 [3]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이버와 연결되고 표면 입찰에 의해 제어되는 테더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얼음 아래에서 다이빙할 때 가장 안전한 옵션이며, 유의한 전류가 존재할 때 유일하게 합리적인 선택이다.이 테더는 잠수부가 전류에 휩쓸리는 것을 방지하며, 일반적으로 잠수부가 걸리지 않는 한 잠수부를 다시 구멍으로 끌어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합니다.그것은 스쿠버에 종사하는 전문 다이버들에게 규정이나 관행 강령에 의해 허용된 유일한 선택일 수 있다.레크리에이션 다이버들은 법률이나 관행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경험이 많은 얼음 다이버들이 그들에게 붙어있지 않고 그들이 다이빙하는 동안 통제하는 연속적인 가이드라인을 사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많은 상황들이 있다.이 방법은 얽힘과 라인 파울링이 더 큰 위험이 되는 긴 투과 거리에 대해 더 선호된다.얼음 환경을 처음 접하는 다이버나 시야가 매우 양호하지 않거나 현재, 움직이는 얼음이 없으며 항로를 [3]따라 가이드라인을 묶을 수 있는 장소가 없는 조건에는 권장하지 않는다.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은 경우 [3]테더에 비해 이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잠수부들은 모두 상당한 침투력과 얼음 다이빙 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
    • 환경은 안정적이고, 얼음은 빠르고, 유의한 조류나 다른 물의 움직임이 없다.
    • 다이빙은 깊이(40m(130ft) 이하) 또는 긴 테더를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는 진입 지점으로부터 총 수중 거리 66m(217ft) 이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또는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테더를 사용할 경우 얽힐 위험이 상당히 있습니다.

잠수부들은 또한 다이빙의 주요 부분에 대한 지침을 사용하고 감압을 위해 테더에 클립을 끼우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보통 [3]수면 근처에서 전류가 가장 강하기 때문이다.

서피스 팀

  • 입찰자 및 대기 [2]다이버에게 적절한 열 보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따뜻한 방수화.
  • 추운 날씨에 대비해 따뜻한 아노락.
  • 귀를 덮는 따뜻한 모자.
  • 맑은 날 눈을 보호하는 자외선 필터가 달린 선글라스.
  • 손과 얼굴을 추위와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립케어 스틱과 크림.
  • 아이젠과 같은 얼음 위에서 트랙션을 돕는 장치입니다.특히 구멍을 자르거나 운반용 기어를 운반할 때

위험 요소

얼음 다이빙의 위험에는 침투 다이빙특정 다이빙 환경 위험, 특히 출구 영역을 찾지 못할 위험 및 낮은 [3]온도에 더 특정한 위험이 포함된다.

  • 낮은 환경온도는 다음과 같은 원인이 됩니다.
  • 움직이는 [3]얼음에 의한 끼임:
  • 얼음 위에서 미끄러짐: 다이빙 장비는 물 밖에서 무겁고, 잠수부의 노출복에 있는 물은 빠르게 얼어서 이동성과 트랙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상어나 북극곰 [3]같은 야생동물:

조절기 동결

조절기 동결은 다이빙 조절기의 오작동으로, 한쪽 또는 양쪽 단계에서 얼음이 형성되어 조절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1단계 또는 2단계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더 자주 완전히 열리는 위치에 걸림으로써 다이빙 실린더를 몇 분 안에 비울 수 있는 자유 유량을 생성할 수 있고, 배기 밸브 개구부에 얼음이 형성되어 마우스피스로 물이 누출되는 등의 여러 유형의 오작동이 가능합니다.흡입 공기로 흡입하여 후두 [11]경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레귤레이터의 감압 중에 공기가 팽창하면 온도가 떨어지고 [12]주변으로부터 열이 흡수됩니다.10°C(50°F)보다 낮은 물에서는 조절기를 사용하여 리프트 백을 팽창시키거나 수초 동안만 물속에서 조절기를 퍼지하면 많은 조절기의 자유로운 흐름이 시작되고 조절기로의 공기 공급이 중단될 때까지 중단되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일부 냉수 스쿠버 다이버들은 2단 조절기마다 셔틀식 차단밸브를 설치해 2단이 얼면 저압 공기가 동결된 2단으로 차단돼 대체 2단으로 전환해 [11]다이빙을 중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 동결의 가장 익숙한 효과는 흡입 후 밸브가 닫히지 않도록 하는 흡기 밸브 메커니즘 주변의 얼음 형성에 의해 2단계 요구 밸브가 자유롭게 흐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제2단 결빙으로부터의 자유 흐름의 문제 외에, 덜 알려진 문제는 제2단 내부에서 얼음이 형성되고 쌓이지만 조절기가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지 않는 자유 얼음 형성이며, 다이버는 얼음이 그곳에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할 수 있다.2단계 내부의 이 자유 얼음 축적은 슬라이버나 덩어리의 형태로 느슨해질 수 있으며, 심각한 질식 위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얼음이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후두 경련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는 테프론 코팅된 얼음 체딩 내부 표면을 가진 조절기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내부 표면에서 얼음을 분리할 수 있고 얼음을 제거하여 조절기가 자유롭게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이것은 디맨드 밸브 메커니즘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얼음은 여전히 조절기에 형성되어 있고,[11] 얼음이 풀리면 어딘가로 가야 합니다.

대부분의 2단계 스쿠버 조절기에서, 얼음은 내부 구성 요소에 형성되고 형성되며, 밸브 레버와 지점 지점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고 결국 형성되는 얼음의 축적으로 채워져 호기 중에 흡입구가 완전히 닫히는 것을 막습니다. 일단 밸브가 누출되기 시작하면, 2단계 구성 요소는 더 차가워집니다.o 연속 흐름의 냉각 효과로 더 많은 얼음과 더 큰 자유 흐름이 생성됩니다.일부 레귤레이터의 경우 냉각 효과가 너무 커서 배기 밸브 주변의 물이 얼고, 배기 흐름이 감소하며, 호기력이 증가하고 밸브 본체에 양압이 생성되어 레귤레이터를 통해 숨을 내쉬기가 어렵습니다.이로 인해 다이버가 마우스 피스를 잡고 있는 힘이 느슨해지고 마우스 [11]피스 주변에서 숨을 내쉬게 될 수 있습니다.

일부 조절기에서는 일단 조절기가 자유로운 흐름을 시작하면 흐름이 완전한 자유 흐름으로 증가하여 짧은 시간 내에 입 조직이 얼 정도로 차가운 온도에서 다이버에게 공기를 공급하여 동상을 유발합니다.깊이와 함께 효과가 증가하며, 잠수부가 깊어질수록 호흡 가스의 손실 속도가 빨라집니다.일부 냉수 사망자에서는 잠수부의 시신이 수습될 때까지 실린더에 가스가 남아 있지 않고, 조절기가 얼음을 데워 녹여 증거를 파괴하고,[11] 가스가 떨어져 익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빙 메커니즘

고압가스가 1단 레귤레이터를 통과할 때 실린더 압력에서 단간 압력으로 압력이 떨어지면 가스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떨어집니다.실린더 압력이 높을수록 압력 강하가 커지고 가스가 2단계까지 저압 호스에서 냉각됩니다.흐름의 증가는 주변의 물로부터의 열 전달이 제한되기 때문에 손실되는 열의 양을 증가시키고 가스는 더 차가워집니다.호흡 속도가 낮으면(15~30lpm) 얼음이 형성될 위험이 줄어듭니다.[11]

얼음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1]

  • 실린더 압력: - 온도 강하는 압력 강하에 비례합니다.일반적인 가스 방정식을 참조하십시오.
  • 호흡 또는 유량: - 열 손실은 가스의 질량 흐름에 비례합니다.
  • 깊이: - 질량 흐름은 주어진 체적 흐름의 다운스트림 압력에 비례합니다.
  • 수온 : 팽창가스와 조절기구의 재가열은 수온과 가스와 물의 온도차에 따라 달라집니다.
  • 흐름 지속 시간:- 유량이 많은 동안에는 열 손실이 재가열보다 빠르며 가스 온도가 떨어집니다.
  • 레귤레이터 설계 및 재료: - 레귤레이터 내의 재료, 부품 배치 및 가스 흐름은 얼음의 재가열 및 증착에 영향을 미칩니다.레귤레이터 컴포넌트의 열전도율은 열전달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 호흡 가스 조성: - 온도 상승에 필요한 열의 양은 가스의 특정 열 용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온이 3.3°C(37.9°F) 미만으로 떨어지면 1단계부터 차가운 가스에 의해 냉각되는 2단계 구성 요소를 다시 데울 수 있는 충분한 열이 없으며, 대부분의 2단계는 [11]얼음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차가운 단간 공기는 2단계로 진입하여 외부 압력으로 감소하여 더욱 냉각되므로 2단 흡기 밸브 구성 요소가 동결 이하로 냉각되고 다이버가 숨을 내쉬면 내쉬는 호흡의 수분이 차가운 구성 요소에 응축되어 얼게 됩니다.주변 물의 열은 2단계 조절기 구성 요소를 얼음이 쌓이지 않도록 충분히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다이버가 29~32°C(84~90°F)에서 내쉬는 호흡은 수온이 4°C(39°F) 미만으로 떨어지면 팽창하는 유입 공기의 냉각 효과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열이 없으며, 수온이 4°C(39°F) 미만으로 떨어지면 조절기 구성 요소를 빠르게 다시 데울 수 있는 충분한 열이 없습니다.잠수부가 숨을 거칠게 쉴 경우 호흡하는 잠수부의 습기가 얼지 않도록 한다.그렇기 때문에 CE 냉수 한계는 4°C(39°F)이며, 이는 많은 스쿠버 규제 기관이 [11]유빙을 유지하기 시작하는 지점입니다.

가스가 높은 속도로 팽창할수록 차가운 가스가 더 많이 생성되며, 주어진 재가열 속도만큼 조절기 구성 요소가 더 차가워집니다.높은 유속을 가능한 한 짧게 유지하면 얼음 [11]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얼음 위의 공기 온도는 얼음 아래의 물보다 상당히 차가울 수 있고 공기의 비열은 물의 온도보다 훨씬 더 낮다.그 결과, 물 밖에서 레귤레이터 본체와 단간 가스의 난기가 적어, 한층 더 냉각할 수 있다.이는 2단계 결빙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팽창 가스가 고압 호흡 가스에 지정된 -50°C(-58°F) 이슬점 아래로 냉각되어 1단계 내부 결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1단계 팽창 중에 잔류 수분 응결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실린더 내의 가스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이는 차가운 공기 속에서 세트에서의 호흡을 [3]최소한으로 제한함으로써 피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발생합니다.이미 1단계에서 팽창 및 냉각된 공기는 다시 팽창하여 2단계 디맨드 밸브에서 더욱 냉각됩니다.그러면 2단 구성 요소가 냉각되고 접촉한 물이 얼 수 있습니다.밸브 메커니즘의 가동 부품 주위에 있는 금속 구성 요소는 [7]주변의 약간 따뜻한 물 및 주변보다 상당히 따뜻한 다이버로부터 내쉬는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2단계 동결은 내쉬는 호흡의 습기로부터 빠르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잠수부의 내쉬는 호흡이 차가운 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이는 조절 장치는 보통 중요한 부품에 얼음을 적게 쌓습니다.재료의 열전달 품질은 얼음 형성 및 동결 위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배기 밸브가 잘 밀봉되지 않는 조절기는 주변 물이 케이스 안으로 누출됨에 따라 빠르게 얼음을 형성합니다.모든 2단계는 흡입 가스 온도가 평균 -4°C(25°F) 미만일 때 얼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수온이 최대 10°C(50°F)에 이를 수 있습니다.얼음이 형성되면 자유 흐름이 발생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조절기 케이스 내부의 얼음은 흡입 [11]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도 2단계 동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자유류가 발생하여 즉시 정지하지 않으면 1단계 동결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제1단계가 동결되기 전에 동결된 제2단계의 흐름을 정지할 수 있으면 프로세스를 정지할 수 있다.이는 2단계에 차단 밸브가 장착된 경우 가능할 수 있지만, 이 작업을 수행할 경우 1단계에 과압 밸브를 장착해야 합니다. 2단계로의 공급을 닫으면 과압 [7]밸브로서의 2차 기능이 비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냉수 기능 시험은 주로 미 해군 실험 잠수부의 무인 냉수 시험 절차(1994년)와 1993년 유럽 CE 개방 회로 표준 EN 250 등 다양한 기준과 냉수 조절기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시험에는 고장 모드와 영향 분석 및 제조, 품질 보증 및 [11]문서화와 관련된 기타 문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영국의 ANSTI Test Systems Ltd가 완전한 컴퓨터화된 호흡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도입하여 현재 [11]관행인 모든 실제 수온에서 정확한 호흡 시뮬레이터 테스트를 가능하게 했다.

지표면 공급 호흡 장비

대부분의 경우 표면 공급 헬멧과 전면 마스크 요구 밸브는 탯줄이 열 교환기 역할을 하며 [11]수온까지 공기를 따뜻하게 하기 때문에 얼음을 발생시킬 만큼 충분히 차가워지지 않습니다.만약 표면에서 공급된 다이버가 스쿠버 비상 가스 공급으로 폭발한다면, 문제는 스쿠버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2단계 이전의 금속 가스 블록과 구부러진 튜브 가스 통로는 스쿠버 세트가 보통 제공하는 것 이상의 단계 간 가스 난방을 제공할 것입니다.

표면 공기 온도가 동결보다 훨씬 낮은 경우(-4°C(25°F) 미만) 체적 탱크의 과도한 수분이 얼음 과립으로 얼 수 있으며, 얼음 과립은 탯줄을 타고 내려가 헬멧 흡입구로 흘러 들어가 요구 밸브로 가는 공기를 차단하여 과립이 축적되어 형성될 경우 공기 흐름을 줄이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습니다.플러그. 표면 공급 시스템의 얼음 형성은 효과적인 수분 분리 시스템과 응축수의 정기적인 배출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건조 필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HP 압축기는 이슬점을 -40°C(-40°F)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충분히 건조시키는 필터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표면 공급에 HP 가스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탯줄의 표면 부분을 찬 공기에 최대한 짧게 노출시키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물에 있는 부분은 보통 문제가 [11]될 정도로 차갑지 않다.

규제자 동결 위험 증가 요인

  • 부적합한 규제기관 설계 및 시공
  • 레귤레이터를 통한 높은 유량
    • 소거
    • 버디 호흡
    • 옥토 호흡
    • 호흡[1] 조절기에서 리프트 백 또는 DSMB 채우기
    • 같은 조절기에서 호흡하는 동안 드라이슈트 인플레이션 또는 BC 인플레이션의 긴 폭발.
    • 노력으로 인한 높은 호흡수
  • 저수온
    • 얼음 바로 밑에 있는 물은 담수에 있는 깊은 물보다 더 차가울 수 있다.
  • 영하 온도에서 얼음 위의 조절기를 통해 호흡

조절기 동결 위험을 줄이기 위한 주의사항

  • 물에[13] 들어가기 전 2단계 내부를 완전히 건조하게 유지
    • 물속에 잠길 때까지 조절기에서 숨을 쉬지 않는다.다이빙 전에 조절기를 테스트할 때는 흡입만 하고 호흡 중의 수분이 요구 [13]밸브에서 얼기 때문에 조절기를 통해 숨을 내쉬지 마십시오.
  • 2단[13] 챔버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 다이빙 전이나 다이빙 도중 퍼지 버튼을 5초 이내로 누르고, 가능한 한 이[13]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 호흡[13] 주기마다 밸브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과 호흡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무거운 작업 부하를 피할 수 있습니다.
  • 스쿠버 공기의 습기[13] 제거
  • 가능한 [13]경우 다이빙 전에 조절기를 따뜻한 환경에 보관하십시오.

경감

Kirby Morgan은 -2.2°C(28.0°F)[11] 이하의 매우 차가운 물에서 다이빙할 때 2단계 스쿠버 조절기가 얼 위험을 줄이기 위해 1단계 조절기의 가스를 데우는 스테인리스강 튜브 열 교환기("Thermo Exchanger")를 개발했습니다.튜브의 길이와 비교적 양호한 열전도율과 블록의 열량은 물에서 충분한 열을 방출하여 주변 [11]물의 1~2도 이내로 공기를 따뜻하게 합니다.

규제 동결 관리 절차

  • 다이버는 냉동 레귤레이터를 공급하는 실린더 밸브를 닫고 대기 레귤레이터에서 호흡으로 전환합니다.이렇게 하면 가스가 절약되고 냉동 조절기가 성에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테더링되어 있는 경우, 다이버는 자유 유량 조절기로 호흡하는 동안 이전에 합의된 비상 신호(보통 로프에서 5개 이상의 예인)로 라인 텐더에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대체 가스 공급이 없는 경우 사용됨).일반적으로 5번의 당김은 표면 연성이 잠수부를 수면으로 끌어당겨야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얼음 구멍입니다.
  • 테더 없이 다이빙할 경우, 다이버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구멍으로 돌아와 점프 라인을 사용할 수 없거나 얼음 구멍이 보이지 않는 한 라인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 얼음 구멍 바로 아래 눈에 보이는 범위에 있는 경우 비상 상승.(물에 빠지는 것 외에는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옵션)

조절기 동결 프로토콜에는 [13]종종 다이빙 중단이 포함됩니다.

저압 인플레이터 동결

드라이 슈트 또는 부력 보상기 팽창 밸브는 조절기 동결과 유사한 이유로 팽창 중에 동결될 수 있습니다.이 경우 즉시 대처하지 않으면 폭주 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가능하면 저압 인플레이터 호스가 밸브에 얼기 전에 분리해야 하며, 공기를 덤핑하여 부력을 제어해야 합니다.과도한 공기 덤핑은 다이버를 너무 음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드라이슈트 및 BCD와 같은 제어 가능한 최소 2개의 부력 시스템을 다른 첫 번째 단계에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드라이 슈트 팽창 밸브가 얼어서 열리면 분리한 후 슈트로 물이 새어 들어갈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다이빙이 중단됩니다.

대부분의 인플레이터 문제는 다이빙 전에 기어를 유지하고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며, 팽창을 위해 낮은 유속을 사용하고 긴 버스트를 방지하며, 다이빙 장소의 온수를 해동 기어로 함으로써 피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외기 온도가 보통 빙점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이빙 전에 BCD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바람의 냉기

얼음 위의 온도는 물의 빙점에 의해 제한되는 수온보다 상당히 낮을 수 있으며, 바람의 냉기로 인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부적절한 단열과 보호막을 갖춘 경우 이는 표면 팀의 내구성에 제한적인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잠수부가 습식 노출복을 [2]: 117, 126 입고 물 밖으로 나가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훈련과 인정

훈련에는 얼음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안전하지 않은 얼음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다이빙 장소 준비, 장비 요구 사항 및 안전 훈련에 대한 학습이 포함됩니다.

  • 얼음 다이버는 드라이 수트 사용, 단열재 선택, 부력 제어 및 무게 부여에 능숙해야 하며,[2] 사용할 특정 장비에 대한 숙련도 및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 라이프라인을 사용하는 경우 다이버와 입찰자 모두 라이프라인을 [2]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얼음 다이버에게 요구되는 다른 기술은 다음과 같다.[citation needed]

  • 어떤 이유로든 다이버의 무게 벨트가 떨어져 나가고 다이버가 통제 불능으로 빠르게 상승할 경우 해빙의 하부에 충격을 주는 방법.
  • 다중 백업 시스템을 사용하여 냉동 공기 공급 시스템에 대처하는 방법
  • 다이버가 라인 또는 라인 텐더와 접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 다이버에게 주어진 신호에 반응하여 다이버로부터 피드백을 받지 못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가.

몇몇 기관은 레크리에이션 얼음 [14][15][16][17][18]다이빙에 대한 인증을 제공한다.

레퍼런스

  1. ^ a b c Lang, M.A.; Stewart, J.R., eds. (1992). AAUS Polar Diving Workshop Proceedings (PDF). United States: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La Jolla, CA. p. 100.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Lang, Michael A.; Sayer, M.D.J., eds. (2007). Consensus recommendations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Polar Diving Workshop, Svalbard.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p. 211–213.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Smith, R. Todd; Dituri, Joseph (August 2008). "26: Expeditions ~ Arctic Ice Diving". In Mount, Tom; Dituri, Joseph (eds.). Exploration and Mixed Gas Diving Encyclopedia (1st ed.). Miami Shores, Florid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itrox Divers. pp. 297–304. ISBN 978-0-915539-10-9.
  4. ^ NOAA Diving Program (U.S.) (December 1979). Miller, James W. (ed.). NOAA Diving Manual, Diving for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Silver Spring, Maryland: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Office of Ocean Engineering.
  5. ^ a b Somers, Lee H. (1987). Lang, Michael A.; Mitchell, Charles T. (eds.). Training scientific divers for work in cold water and polar environments. 1987 AAUS - Cold Water Diving Workshop. Costa Mesa, California: American Academy of Underwater sciences. Retrieved 21 December 2016.
  6. ^ Lang, M.A.; Mitchell, C.T., eds. (1987). AAUS Proceedings of Special Session on Coldwater Diving (PDF). United State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p. 122.
  7. ^ a b c Clarke, John (2015). "Authorized for cold-water service: What Divers Should Know About Extreme Cold". ECO Magazine: 20–25. Retrieved 2015-03-07.
  8. ^ a b Jablonski, Jarrod (2006). Doing it Right: The Fundamentals of Better Diving. Global Underwater Explorers. p. 92. ISBN 0971326703. To provide additional redundancy when using two first stages, the inflator hose should always be run from the right post. This requirement is illustrated in the case of a diver’s left post rolling off or breaking. If the inflator is run from the left post, the diver will simultaneously lose not only the use of the backup regulator around the neck but also the ability to inflate the BC. These two problems together could be inordinately compounded by an out-of-air situation in which a diver would not only be without the means of controlling his/her buoyancy but would also be deprived of the use of a third regulator
  9. ^ Mueller, Peter H.J. (2007). Lang, Michael A.; Sayer, M.D.J. (eds.). Cold Stress and decompression sickness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Polar Diving Workshop, Svalbard.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p. 63–72.
  10. ^ Stinton, Robert T. (2007). Lang, Michael A.; Sayer, M.D.J. (eds.). A review of diver passive thermal protection strategies for polar diving: Present and future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Polar Diving Workshop, Svalbard.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p. 13–34.
  1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Ward, Mike (9 April 2014). Scuba Regulator Freezing: Chilling Facts & Risks Associated with Cold Water Diving (Report). Panama Beach, Fl.: Dive Lab, Inc.
  12. ^ Salzman, WR. "Joule Expansion". Department of Chemistry, University of Arizo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6-13. Retrieved 2012-05-27.
  13. ^ a b c d e f g h Somers, Lee H. (1987). Lang, Michael A.; Mitchell, Charles T. (eds.). The under ice dive. 1987 AAUS - Cold Water Diving Workshop. Costa Mesa, California: American Academy of Underwater sciences. Retrieved 21 December 2016.
  14. ^ "Specialty Course Ice Diver". www.padi.com. Retrieved 29 April 2020.
  15. ^ "Ice Diving". www.divessi.com. Retrieved 29 April 2020.
  16. ^ Ice Diving Standards Version 2009/01. CMAS. 2009.
  17. ^ "Ice Diving". www.bsac.com. Retrieved 29 April 2020.
  18. ^ "Overhead Environments: Technical Ice Diver". www.naui.org. Retrieved 29 April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