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난(선박)

Kronan (ship)
A black and white drawing of a large sailing warship seen from behind and to the right
제이콥 헤그에 의한 재건, 1909년
역사
스웨덴
이름크로난
네임스케이크스웨덴 왕관
빌더프랜시스 셸던, 스톡홀름
눕다1665년 10월
시작됨1668년 7월 31일
커미셔닝됨1672
운명외랜드 전투에서 침몰, 1676년 6월 1일
일반적 특성
유형선박 오브 더 라인
변위2,300톤 (주)
길이53m(제곱 피트)
12.9m(42ft)
높이66m(217ft, 킬에서 마스트까지)
초안6.2–6.8m(20–22ft)
돛 계획선박 굴착기
군대군인 300명
보완선원 500명
무장을
  • 6파운드에서 36파운드까지 126발의 총기에 대해 계획됨
  • 실탄 105포

스토라 크로난(Stora Kronan)이라고도 불리는 크로난(Kronan)은 1670년대 발트해에서 스웨덴 해군주력함 역할을 했던 스웨덴 군함이었다.[1]건조되었을 때,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선박 중 하나였다.크로난의 건설은 1668년부터 1672년까지 지속되었고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선박 라이트인 프란시스 쉘든과 스웨덴 해군간의 갈등으로 지연되었다.4년간의 근무 후, 배는 1676년 6월 1일 외랜드 전투에서 험한 날씨로 침몰했다: 그녀는 너무 많은 돛 아래 급커브를 돌다가 전복되었고, 화약 잡지는 발화하여 의 대부분을 날려버렸다.크로난은 재빨리 가라앉아 약 800명의 남자들과 100개 이상의 총을 가지고 귀중한 군사 장비, 무기, 개인 물품, 그리고 많은 양의 은화와 금화를 가지고 갔다.

크로난의 손실은 스캔들 전쟁 중 스웨덴에 큰 타격이었다.스웨덴 해군에서 가장 크고 가장 중무장한 배가 된 것 외에도 그녀는 젊은 찰스 11세의 군주제를 상징하는 중요한 신분이었다.크로난과 함께 해군은 로렌츠 크로이츠 최고사령관 직무대행, 수많은 함대 고위 장교, 해군 의료진장 등 최고의 인력의 상당 부분을 잃었다.어떤 개인이라도 외랜드 전투에서의 패배와 전쟁 중 다른 주요 패배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크로난과 함께 침몰한 포의 대부분은 1680년대에 인양되었지만, 결국 난파선은 무명에 빠졌다.그것의 정확한 위치는 아마추어 연구자 안데르스 프란젠에 의해 1980년에 재발견되었는데, 그는 또한 1950년대에 17세기 군함 바사를 발견하였다.그 후 매년 잠수 작전이 난파 현장을 조사, 발굴하고 유물을 인양했으며, 크로난바사 다음으로 발트해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난파선이 되었다.3만여 점의 유물이 수습되었고, 많은 유물이 보존되어 칼마르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에 영구 공개 전시되었다.이 박물관은 해양 고고학 활동과 크로난에 대한 상설 전시회를 담당한다.

역사적 배경

A map showing 17th-century Sweden, including Finland, the Baltic States and holdings in Pomerania, Wismar and Bremen-Verden
스웨덴의 영토 이득과 손실의 지도 1560–1815.스웨덴은 크로난이 섬기는 세월에 발트 강국으로 절정에 달해 있었다.

1660년대 스웨덴은 유럽의 강대국으로 전성기를 맞았다.토르스텐슨 전쟁(1643–45)과 단오-스웨덴 전쟁(1657–58) 모두에서 발트해 패권 경쟁국 중 하나인 덴마크를 격파했다.브렘세브로 (1645년)와 로실데 (1658년) 조약에서 덴마크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모든 동부 영토인 고틀란트와 외셀 섬과 노르웨이의 일부를 양도할 수밖에 없었다.1658년부터 1660년까지 제3차 전쟁에서 스웨덴의 찰스 9세는 덴마크를 영원히 물리치려 했다.그 움직임은 재정-군사 국가인 전쟁에 맞게 이미 고도로 군사화된 사회에서 대담한 왕실의 야망이었다.[2]군대를 해산하려면 미지불된 임금을 지불해야 했으므로, 적대행위를 존속시키고 군대가 적의 땅과 약탈을 피해 살도록 하는 근본적인 동기가 있었다.덴마크에 대한 새로운 공격은 발트 해의 힘의 균형을 뒤엎음으로써 영국네덜란드 공화국의 주요 해양국들의 무역 이익을 위협했다.네덜란드는 1658년 덴마크를 분쇄하려는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함대를 파견하여 개입하였다.[3]영국도 같은 해 11월 스웨덴이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통제를 받지 못하도록 함대를 파견했다.영국 원정은 겨울 악천후와 보호국을 종식시킨 정치적 혼란의 결과로 실패했고, 결국 찰스의 계획은 좌절되었다.[4]

찰스 9세는 1660년 2월에 죽었다.3개월 후, 코펜하겐 조약은 전쟁을 끝냈다.찰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찰스 11세는 그의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겨우 다섯 살이었기 때문에, 여왕 어머니 헤드비그 엘레노라이끄는 섭정 위원회가 그가 성인이 될 때까지 권력을 장악했다고 추정했다.스웨덴은 발트해에서 무역을 통제하는 데 근접했지만, 전쟁으로 덴마크가 포함된 강력한 반스웨덴 동맹의 형성을 막을 필요성이 드러났다.외교 정책에서 몇 가지 성공이 있었는데, 특히 영국, 스웨덴, 네덜란드 공화국의 반프랑스 3국 동맹이 그것이다.1672년 초, 스웨덴은 프랑스와 동맹을 맺을 수 있을 정도로 관계를 개선했다.같은 해 루이 14세는 네덜란드 공화국을 공격했고, 1674년 스웨덴은 공화국의 북부 독일 동맹국들을 공격함으로써 전쟁에 참여하라는 압력을 받았다.프랑스는 스웨덴이 브란덴부르크에 대해 무력진압하는 조건으로 절실히 필요한 전쟁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칼 구스타프 브란겔 휘하의 2만2000명의 스웨덴군이 1674년 12월 브란덴부르크에 진격해 1675년 6월 페르벨린 전투에서 사소한 전술적 패배를 당했다.군사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지만, 이번 패배로 30년 전쟁 이후 스웨덴 군기가 누려왔던 거의 무적의 명성이 실추되었다.이것은 스웨덴의 적들을 대담하게 만들었고, 1675년 9월까지 덴마크, 네덜란드 공화국과 신성 로마 제국은 스웨덴, 프랑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5]

함대 상태

1675년까지 스웨덴 함대는 덴마크 함대보다 수적으로 우위에 있었으나(선 18척 16척 21척 11척) 스웨덴 함대는 덴마크 함대보다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고 품질이 좋지 않았다. 덴마크 함대는 자국 함정의 많은 부분을 더 현대적인 군함으로 대체했다.스웨덴 측도 일상적인 정비에 문제가 있었고, 고정장치와 돛 모두 전반적으로 상태가 좋지 않았다.스웨덴 선원들은 네덜란드 상선 해군에서 복무한 경험이 많은 덴마크와 노르웨이 선원들의 전문성 수준이 부족했고, 스웨덴 해군은 코르트 아델러, 닐스 주엘 등 베테랑들이 있는 반면 전문 장교들의 핵심이 부족했다.덴마크 함대는 필립알몬데코넬리스 트롬프 휘하의 네덜란드 부대로 보강되었고, 후자는 미치엘로이테르 휘하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장교였다.[6]

에릭 달버그와 윌렘 스웨드가 1693년에 인쇄한 수에키아 고대스톡홀름 판화 세부사항.스웨덴 수도를 북적거리는 항구로, 정면에는 스케프솔멘의 왕실 조선소 옆에 있는 카스텔홀멘의 봉우리가 보인다.

디자인

제1차 앵글로-더치 전쟁(1652–54)에서는 함선이 연속선을 형성하여 적에게 광폭사격을 가하는 전술인 전선의 발전을 보았다.이전에는 해군 전술이 경품 획득을 목적으로 단거리 화력과 승선하는 것을 선호했었다.17세기 중반 이후 개선된 포병술은 뛰어난 장거리 화력을 통해 근거리 싸움에서 상대를 무력화시키거나 침몰시키는 전술로 전환되었다.이는 1650년대 이후부터 유럽 해군의 교리, 조선, 전문성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전선은 적의 포화에 직면하여 전선을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중무장을 하고 건장한 대형 선박을 선호했다.17세기 후반에 신흥국 국가들에서 증가한 중앙집권화와 세력 집중은 군과 해군의 큰 확장을 가능하게 했고, 새로운 정부 조선소는 훨씬 더 큰 선박을 건조하기 시작했다.스웨덴은 1660년대 후반에 광범위한 조선 프로그램에 착수했다.[7]

크로난함은 그녀가 발사된 1672년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한 군함 중 하나였으며, 110발의 총을 가진 3층 전함이었다.그 배에는 활에서 후미까지 총이 달린 총 세 이 가득 들어 있었다.모두 일곱 개의 분리된 층이 있었고, 여섯 개의 갑판으로 나누어져 있었다.배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철조망 위쪽에 있는 것이 홀드였고, 그 바로 위에 있지만, 여전히 수선 아래에는 오르막이 놓여 있었다. 둘 다 주로 보관용으로 사용되었다.오르락 위에는 세 개의 총대가 있고, 그 중 두 개는 덮개가 씌워져 있었고, 가장 윗부분의 총각의 절반 정도는 배의 가운데, 즉 허리에 있는 원소에 열려 있었다.활에는 갑판이 하나 있어 예봉을 이루고 있었고, 선미에는 똥갑판 등 갑판이 두 개 있었다.[8]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의 모형을 바탕으로 크로난의 데크 구조도

17세기 전반에는 스웨덴 군함이 네덜란드식으로 건조되었는데, 바닥은 평평하고 직사각형이며 밑면은 작은 징발이었다.이러한 조선 양식은 네덜란드 얕은 해안에서 주로 소형 선박에 맞게 변형되어 빠른 시공을 할 수 있었지만, 이 덜 튼튼한 선박들은 일반적으로 군함으로 적합하지 않았고 거친 바다에서는 다소 불안정했다.크로난이 건설되었을 때, 건물에 대한 영국식 접근법이 우세하여 선체에 더 둥근 바닥과 더 큰 드래프트를 주었을 뿐만 아니라 더 튼튼한 뼈대와 안정감을 주었다.선미 부분은 수선 아래로 더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저항이 줄어들었다.[9]

크로난의 치수는 현대 해군 목록에 기록되었다.줄기 기둥에서 선미 기둥까지의 길이는 53m(174ft)로, 이는 보우스프릿부리머리를 포함했을 때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았다.너비는 12.9m(42ft)로 플랭킹을 제외한 프레임 사이의 가장 넓은 포인트로 정의됐다.초안은 그녀가 얼마나 무거운 짐을 실었는가에 따라 달랐지만, 전체 매장, 탄약, 군비만 있다면 약 6.2~6.8m(20~22ft)가 되었을 것이다.[10]킬에서 가장 높은 돛대에 이르는 배의 높이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은 최소 66m(217ft)로 추정했다.[11]

크로난 변위량 - 떠 있는 동안 얼마나 많은 물을 떠다녔는지에 따라 계산된 배의 무게는 정확한 치수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대략적인 측정을 기술하는 현대 문서를 사용함으로써, 그것은 약 2,300 톤으로 추정되었다.총의 수와 무게에 관한 그것의 변위에 의해, 크로난은 그 시대에 드문 일이 아니었지만, 과도하게 총에 맞았다.유럽의 배들은 1650년대 이전에는 대규모로 3층 선체를 건설하지 않았다; 1660년대까지 디자인은 여전히 꽤 실험적이었다.현대 기록을 보면 영어와 프랑스어 3단이 높은 곳에, 좁고, 포병이 너무 많아 다소 불안정한 경향을 보였다.일부 영국 선박은 만족스러운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수로에 설치된 플랭킹의 '기들'로 보강해야 했다.[12]거친 바다에서 이 배들은 가장 낮은 줄의 포항을 폐쇄하도록 강요될 수 있으며, 그들의 가장 무겁고 효과적인 포를 빼앗을 수 있다.이런 상황에서 그들은 사실상 단지 너무 비싼 2층짜리였다.크로난 건설은 본질적으로 결함이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 배는 1675년에 혹독한 기상 조건을 처리했고 또 다시 캡슐화되기 일주일 전에 처리했지만, 만약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그녀는 위험할 수 있다.이후 18세기 동안 같은 무게의 포를 가진 배들은 그들의 총을 지탱할 수 있는 톤수가 더 많았으며, 보통 3,000–5000 톤의 무게가 나가는 것이 더 안정적이 되었다.크로난호가 건조되었을 때, 그녀는 세계에서 3, 4번째로 큰 배였지만, 유행이 더 큰 배 쪽으로 이동하면서, 그녀는 다른 대형 군함에 의해 추월되었다.크로난이 침몰했을 때, 그녀는 7위로 떨어졌다.[13]

무장을

Photograph of an exhibition hall with several types of bronze cannons on naval gun carriages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에 전시된 크로난의 다양한 종류의 대포 살바인

공식적인 군비계획에 따르면 크로난은 124–126의 총기를 장착하기로 되어 있었다; 각 포대에 34–36의 총기와 전망대와 선미성 갑판 사이에 18개의 총기를 추가로 장착했다.총은 3파운드에서 36파운드(1.3~15.3 kg)의 무게로 분류되었다.총 자체의 무게는 수백 kg(400–500 lbs)에서 최대 4톤(4.4t)까지 나갔으며, 가장 무거운 조각은 맨 아래 포대 중앙에 놓였고, 위 갑판에는 계속해서 가벼운 포대였다.크로난 가장 치명적인 무기는 거의 다른 군함의 무장을 능가하는 사정거리와 화력을 가진 가장 낮은 포대의 30파운드와 36파운드였다.18파운드보다 가벼운 포는 주로 선체보다는 적의 선원과 고정에 피해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14]

현대 연구에 따르면, 총의 수는 공식적인 군비 계획보다 상당히 적었다.당시 군비계획은 정기적으로 총기의 수를 과대 계상했다.실제로, 그것들은 시험할 때 비실용적이거나 또는 서류가 부족하기 때문에 실제 조건을 거의 반영하지 않는 이상적인 추정치였다.30파운드와 36파운드의 무거운 총은 특히 충분한 숫자로 찾기 어려웠고 대신 가벼운 총이 자주 사용되었다.1680년대에 크로난에서 건져 올린 총의 수를 보면("난파선의 역사" 참조), 1980년대에 발굴하는 동안 총 합계는 105–110이다.위 수치는 난파선의 잔해에 대한 총기류 수의 계산과 실질적으로 총 갑판에 들어갈 수 있는 총수의 계산과 일치한다.낮은 수치는 1980년대 발굴에서 발견된 총기의 수와 1680년대 인양 작업 중 꺼낸 총기의 목록을 합친 것이다.아래 표에는 1671년 공식적인 군비계획과 해군사학자 얀 골트의 계산을 비교한 총기의 수가 나열되어 있다.[14]

총포배포병
1671 군비계획 실무장
하부 총 갑판 36파운드짜리 12개
30파운드 16개
24파운드 4개
18파운드짜리 2개
36파운드 8개
30파운드 8개
24파운드 10파운드
24파운드의 긴 차저 4개
미들건데크 36 24파운드 24파운드의 무거운 4개
가벼운 24파운드 16파운드 16개
12파운드의 육중력
12파운드의 긴 선미 차저 4개
8파운드짜리 2개
상부포갑판 36 가벼운 12파운드짜리 12파운드 무게의 10파운드
가벼운 12파운드짜리 10개
10파운드짜리 2개
8파운드짜리 2개
무거운 6파운드짜리 2개
포렌틀과 선미캐슬 6파운드 20파운드 6파운드 16개
3파운드 6개
Photograph of preserved musket stocks and other remains of firearms in a display case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에 전시된 머스크렛 등 총기류

여러 종류의 탄약을 사용할 수 있었는데, 각각 다른 용도로 쓰일 수 있었는데, 그것은 배 선체에 대한 둥근 총탄(캔논볼), 돛대와 고리에 대한 체인 총탄, 그리고 빽빽하게 채워진 남성 집단에게 파괴적인 영향을 끼친 캐니스터 총탄이었다.탑승 행위를 위해 크로난은 130개의 머스크펫과 80개의 성냥개비 또는 부싯돌 권총이 장착되어 있었다.근접전을 위해 250개의 피크와 200개의 탑승도끼, 180개의 검이 있었다.[15]발굴 과정에서 실랑이와 비슷한 하케보소르(hakebössor)라는 대구경 화기가 발견되었는데, 이 화기는 전하의 반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난간에 걸 수 있는 작은 캐치를 통 밑에 설치했다.하케보사 한 곳에는 여전히 탑승 전 적 갑판을 치우는 데 사용되었을 20개의 납덩이가 들어 있는 작은 통이 실려 있었다.[16]

장식

Painting of an ornamented ship's stern seen from the starboard side. The ship has balconies and two stories of quarter galleries with heavy, intricate baroque ornamentation in gold on a blue background. The gold ornaments are a mix of various sculptures, floral shapes and fleurs-de-lis.
프랑스 솔레일 로얄의 스턴, 비슷한 디자인의 크로난의 현대판이다.조각상 디테일은 모티브가 달랐지만 두 배 모두 같은 스타일과 패션에 따라 꾸몄다.

값비싸고 정교한 장식은 17세기 초부터 단순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660년대 배 모양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다.이러한 장식은 절대군주의 권위를 높이고, 그 배를 무술과 왕권력의 상징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믿어졌다.크로난의 장식을 보여주는 현대적인 삽화는 없지만, 일반적인 관례에 따르면 그것은 뒤쪽을 향한 평평한 표면인 트랜섬에서 가장 사치스러웠다.두 명의 덴마크 예술가가 선미에서 보여준 크로난의 모습은 두 가지다.두 작품 모두 침몰 후 여러 해 동안 덴마크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의뢰되었다.1686년부터 프레드릭스보그 궁전에서 그린 클로스 뫼니첸의 그림은 거대한 왕관을 들고 횡행하는 두 마리의 사자가 지배하는 트랜섬을 보여준다.배경은 파란색 바탕에 금색 조각과 장식품이 있다.1628년 스톡홀름에서 처녀항해를 시작한 지 불과 20분 에 침몰한 구스타부스 아돌푸스 해군의 위신선 바사의 조각품을 이전에 연구한 스웨덴 미술사학자 한스 솝은 뫼니첸이 덴마크의 승리를 높이기 위해 배의 크기를 의도적으로 과장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로젠보그 성의 태피스트리는 뫼니첸의 그림보다 더 큰 왕관을 모티브로 한 2층짜리 크로난을 보여준다.[17]

고고학자들은 이 장식의 세밀한 재구성을 위해 크로난 조각품들을 충분히 회수하지 못했다.2007년 현재 인양된 마스카론(건축학 페이스마스크)과 퍼티(어린이 이미지)는 상당한 예술성을 보여준다고 Supp은 전했다.1987년에 전사의 큰 조각상이 발견되었고, 고급의 솜씨를 보여주는 예로서 아마도 찰스 왕의 상징적인 초상화일 것이다.주변 장식과 조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결론은 추측성적인 것으로 남아 있다.[17]

건설

1660년대 초에는 선단을 확충하고 노후 자본선을 대체하는 건축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1632년부터 옛 크로난(Kronan)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플래그십이 필요했다.[18]새 제독의 배에 필요한 대량의 목재의 함몰은 1664-65년 겨울에 이미 시작되었다.[19]스웨덴 역사학자 커트 룬드그렌은 선체에 7-10헥타르(17~25에이커)의 오크 숲이 필요했고 돛대와 보우스프릿에는 키가 크고 튼튼한 소나무 몇 개가 필요했다고 추정했다.[20]

크로난 공사는 1665년 10월에 시작되었고, 선체는 1668년 7월 31일에 발사되었다.크로난호의 배인 프란시스 쉘든은 이 프로젝트를 둘러싸고 해군과 자주 충돌했다.해군 관리들은 그가 지나치게 프로젝트를 지연시키고 있으며 자신의 개인 사업 사업에 너무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고 불평했다.가장 악화되는 논쟁은 쉘든이 수익성이 좋은 돛대 목재를 영국으로 수출하는데 시간을 보낸 것이다.쉘든은 차례로 해군측의 끊임없는 지연과 이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자금 부족에 대해 불평했다.[21]배가 출항했을 슬립웨이가 너무 작아 진수 과정에서 킬 뒷부분이 끊긴 것으로 드러났다.해군관은 해명을 요구했지만 쉘든의 대답은 손상이 쉽게 수선되었고, 문제는 재목을 너무 오래 말리는 데 있다는 것이었다.[22]해군과 쉘든의 갈등은 몇 년을 질질 끌며 끊임없는 지연을 초래했다.이 조각품들은 1669년에 완성되었지만, 고정, 태클, 그리고 무장은 1672년까지 3년 더 끌어냈다.이 배가 처음 출항한 것은 1672년 12월 찰스 11세가 군주로 즉위한 기념행사 때였다.[23]

크루

Photograph of a reconstructed ship's deck with large cannons with hammocks slung overhead
칼마르카운티 박물관에서 열리는 전시회의 일환으로 크로난의 총포장 중 한 구획을 실물 크기의 실물 모형화

그녀가 살던 시대의 가장 큰 배들 중 하나로서 크로난은 상당한 수의 선원을 거느리고 있었다.그녀가 침몰했을 때, 선원 500명과 군인 350명 등 850명이 타고 있었다.난파지 발굴 작업을 하는 역사학자들은 이 배를 17세기 후반의 스웨덴 중형 마을과 비교하면서 "소형 사회"라고 표현했다.하층계급과 상류계급의 남성 대표들이 탑승하고 있었다.(여성은 스톡홀름 군도의 한계 내에서만 해군 함정에 탑승할 수 있었다. 공해상에 도달하기 전에, 그들은 하선해야만 했다.)공동체를 표방하면서, 크로난은 17세기에 엄격하게 분리되지 않은 두 개의 영역인 군과 민간 생활의 현대 사회 기준을 미러링했다.[24]

승무원 전원이 민간인 복장을 하고 있었고 일반적인 해군복은 없었다.스웨덴군은 최근에야 대부분의 유럽에서는 여전히 흔치 않은 표준화된 유니폼을 도입했다.의복은 사회적 지위에 따라 차별화되었는데, 귀족 출신의 장교들은 우아하고 값비싼 복장을 하고 일반 승무원들은 노동자 복장을 하고 있었다.[24]유일한 예외는 1670년대까지 최초의 '캐롤링겐'[25] 제복을 청백으로 장비한 베스테르보텐 보병 연대의 병사들뿐이었다.승무원들에게는 때로 일반 대중들의 평상복과는 다른 "사일러 가운"(bttmansklédning)을 준비할 옷이나 천이 할당되기도 했다.장교들은 기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많은 양의 고급 의류를 보관하고 있었지만, 그것이 일상 업무에서 사용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그들은 바다에서 더 실용적인, 더 단순하고, 더 튼튼하고, 더 편안한 옷감으로 만들어진 옷 세트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26]

모집은 소위 할당제의 초기 형태의 일부로서 강제 정원에 의해 이루어졌다.선원들과 포병들은 해군의 임무를 위해 선단에 성인 남성 1명을 공급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연안 지역의 소규모 행정부대인 Båtsmanshll(문학적으로 "sailor house")에 의해 공급되었다.탑승한 군인들은 내륙지방에서 온 군대 동급 군인, 괴짜 또는 로텔에서 모집되었다("Soldier" 또는 "ward household".장교는 주로 귀족이나 중상류층 출신이며, 그 목적으로 지정된 영지로부터의 소득이나 할당제를 통해 급여를 받았다.[27]고위 장교들은 아마도 개인 하인들을 데리고 탑승했을 것이다.배에서 익사한 사람 중 한 명이 입었던 밝은 붉은 천의 값진 빨간 재킷은 이런 망토 중 하나에 속할 수 있었을 것이다.[28]

군경력

Oil painting of a middle-aged white man with long hair and a thin moustache, dressed in a cuirass with an undergarment with large, puffy sleeves. His body is turned slightly to the right, his face with a slight smile turned towards the viewer.
스웨덴 포메라니아에 대한 증원 지원 실패에 대해 샤를르 12세로부터 개인적 책임을 지고 있던 구스타프 오토 스텐보크 왕국 제독의 초상화

1675년 탐험

1675년 6월 페르벨린 전투에서 스웨덴이 패한 후, 이 함대는 스웨덴 포메라니아를 강화하기 위한 병력 수송을 지원할 예정이었다.그것은 1,800톤의 스베르데트("검"), 1,400톤의 에플렛("궤도")과 나이켈렌("키"), 그리고 거대한 크로난("왕관")[29] 등 몇 척의 크고 잘 무장된 배들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었다.모두 합쳐 28척의 크고 중간 크기의 군함과 거의 같은 수의 작은 군함이 있었다.공급 조직은 부족했다.경험이 많은 고위 장교는 거의 없었고 내부 협조는 형편없었다. 덴마크의 동시대인들은 스웨덴 해군 대원들이 "염수에 담근 농장 일꾼"이라고 경멸했다.[30]

크로난을 기함으로 1675년 10월 영국군 제독(릭사미랄) 구스타프 오토 스텐복(Gustaf Otto Stenbock) 휘하의 함대는 바다로 나갔으나 고틀란트 앞바다에서 스토라 칼소(Stora Karlsö)보다 더 멀리 가지 못했다.날씨는 유달리 춥고 폭풍우가 몰아쳐서 배들을 데울 수가 없었다.승무원들은 옷을 제대로 입지 못했고, 곧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병에 걸렸다.물자는 줄어들었고, 크로난이 해상에서 2주도 채 되지 않아 활로 닻을 잃은 후 스텐박은 스톡홀름 남동쪽 달라뢰 닻을 되돌리기로 결정했다.북독 지방의 증원으로는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찰스 왕은 분노로 반응했고, 실패한 탐험에 대해 스텐박에게 개인적으로 책임을 물게 하여, 자신의 주머니에서 10만 마리 이상의 달팽이를 지불하도록 강요했다.[31]이후 찰스 왕은 노르웨이에서 육군으로 임명하여 스텐보크를 갱생시켰으나, 1676년 초에는 재무부의 저명한 관리인 로렌츠 크로이츠로 교체하였다.해군 역사학자 얀 골테는 이를 크레우츠의 행정능력과 재무연계 때문에 "위기의 시기에 필요한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크레우츠는 해군 지휘관으로서의 경험이 없어 나중에 중요하게 판명될 만한 것이었다.[32]

실패한 겨울 탐험

1675-76년 겨울 동안 포메라니아에 있는 스웨덴군의 상황이 악화되자, 크로난을 기함으로 한 함대는 곤경에 처한 스웨덴 육군을 구제하기 위한 필사적인 시도로 다시 출항 명령을 받았다.날씨는 유달리 추웠고 발트 해의 많은 지역이 얼었다.현재 노련한 해상 장교 클라즈 우글라의 지휘를 받고 있는 이 함대는 1월 23일 달라뢰에 도달했을 때 얼음으로 막혔다.추밀원 에릭 린드슐트(Eric Lindschöld)는 왕으로부터 탐험을 보조하도록 배속되어 있었는데, 그는 외해로 가기 위해 얼음 속에서 함대를 잘라내는 생각을 해냈다.수백 명의 지역 농민들은 20km(12mi) 이상 떨어진 엘브스나벤 정박지까지 톱과 곡괭이로 얼음을 통해 좁은 통로를 열라는 명령을 받았다.3주 뒤인 2월 14일 해군기지에 도착하자 내부 스키리 밖 바다도 대부분 얼어붙은 것으로 드러났다.빽빽이 들어찬 배들을 덮친 폭풍과 뒤이은 얼음의 움직임으로 보급선 레오파르덴의 선체가 짓눌려 침몰했다.덴마크의 한 병력이 더 멀리 떨어진 공해상에 가까스로 도달했고 멀리서 움직이지 않는 스웨덴 선박을 관찰했다.기온이 더 떨어지자 이 프로젝트는 희망이 없다고 선언되었고 린드슐드는 이 시도를 포기했다.[33]

1676

Oil painting of a middle aged white man with long dark hair and full mustache, wearing a voluminous black robe with a white blouse with frilled neck tie and long, puffy sleeves. His body is turned slightly to the right, his face with stern expression turned towards the viewer.
로렌츠 크로이츠 현대화 (1615–76)

1676년 3월 초, 닐스 주엘 제독 휘하의 20척의 덴마크 함대가 코펜하겐을 떠났다.4월 29일 그것은 곧 항복한 고틀란드에 군대를 상륙시켰다.스웨덴 함대는 5월 4일 퇴역 명령을 받았으나 역풍을 겪으며 5월 19일까지 연기됐다.쥬엘은 그때까지 이미 수비대와 함께 고틀란드의 주요 항구인 비스비를 떠나 있었다.그는 어떤 스웨덴의 해저 보강이 포메라니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스칼니아와 뤼겐 섬 사이를 순항하는 데 덴마크-뒤치 소형 비행단과 합류하기 위해 본홀름으로 향했다.[34]5월 25-26일 두 함대는 본홀름 전투에서 서로 만났다.배, 남자, 총에서 스웨덴이 상당한 우위를 점했음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에 어떠한 손실도 가할 수 없었고, 화선과 2척의 군함도 잃었다.이 전투는 스웨덴 계급 내의 일관성과 조직성의 결여를 드러냈는데, 이 싸움은 크로이츠와 그의 장교들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켰다.[35]

실패한 행동 이후 스웨덴 함대는 고틀랜드를 탈환하라는 새로운 명령과 함께 찰스 왕이 기다리고 있던 트레일보르그에 정박했다.함대는 적어도 우방국과의 전투를 피해서 우호적인 바다에서 싸울 수 있는 외랜드의 북쪽 끝에 도착할 때까지였다.스웨덴 함대가 5월 30일 트레일보그를 떠나자 그들은 곧 연합 함대에 의해 요격당했고, 그 후 추적에 들어갔다.이때까지 아군은 또 다른 소함대에 의해 강화되어 총 42척의 함정을 거느리게 되었는데, 그 함선은 25척의 크고 중간이었다.증원군은 당시 가장 유명한 해군 전술가 중 한 명이었던 네덜란드 제독 코넬리스 트롬프를 새 사령관으로 데려왔다.두 척의 함대는 북쪽으로 항해했고 6월 1일 강한 강풍에 외랜드의 북쪽 끝을 통과했다.스웨덴 선박은 거친 바람 속에서 돛대와 첨탑을 잃고 항해에 실패했다.스웨덴 장교들은 큰 어려움만 안고 함께 버티는 전투선을 구성했다.동맹국과 해안을 오가며 기상궤도를 얻기 위해 트롬프의 배보다 앞서서 유리한 전술적 위치를 차지하려고 했다.연합 함대의 네덜란드 함대는 나머지 병력보다 더 빨리 근접해 항해할 수 있었고 스웨덴과 해안 사이를 미끄러져 결정적인 기상 지표를 차지했다.그날 아침 늦게 두 함대는 서로 접근하여 곧 사격장 안에 들어갔다.[36]

싱킹

A black and white engraving showing three stages of a naval battle in horizontally arranged panels
전투를 세 단계로 나누는 현대적 묘사: (1) 외랜드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하는 두 함대, (2) 크로난이 폭발하고 스베르데트가 포위하는 것, (3) 연합 함정에 쫓기며 무질서하게 도망치는 스웨덴 함대.1676년 로메인후게의 구리 판화.

헐터스타드에서 북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정오 무렵, 스웨덴 함대는 군사 역사학자 잉그바르 쇠블럼이 "전반적으로 논의된 작전"이라고 표현한 것을 만들었다.스웨덴 함대는 오해와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신호 때문에 전투 전에 합의한 외랜드 북쪽 끝을 항해하기 전에 연합 함대를 돌려 교전을 시도했다.험한 날씨에 급회전하는 것은 특히 안정성 약점이 있는 선박의 경우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었다.크로난은 좌현(왼쪽)으로 돌아섰으나 돛이 너무 많이 달린 채, 너무 휘청거려서 열린 포구를 통해 그녀가 범람하기 시작했다.선원들은 불균형을 시정할 수 없었고 배는 물과 평행한 돛대와 완전히 엎드렸다.곧이어 크로난 앞부분의 화약고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점화되어 메인마스트 앞쪽 우현 쪽의 큰 부분을 찢으며 폭발했다.나머지 구간은 선미가 공중에서 위를 향하고 끊어진 앞부분이 아래쪽을 향하면서 일어났다.그 후 그녀는 좌현 쪽을 아래로 한 채 빠르게 가라앉았다.난파선이 해저에 부딪혔을 때 선체는 옆구리를 따라 큰 골절상을 입었고, 이로 인해 구조물이 더욱 손상되었다.[37]

A colorful oil painting showing a large group of sailing warships engaged in battle. In the foreground to the left, a very large ship flying a Swedish flag is listing heavily and a huge explosion is shattering her structure and throwing men and equipment upwards in together with flames and black smoke
1686년의 덴마크 화가가 그린 그림으로, 크로난이 발견하는 동안 폭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오른쪽에는 연합군 장성들이 양측에 교전하고 있다.현실적으로 두 사건은 시공간적으로 분리돼 있었다.

이 급속한 침몰 동안, 골격 유적에 대한 골학적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승무원의 상당수는 심각한 외상을 입었다.많은 유골들은 두개골, 척추, 갈비뼈, 그리고 다른 팔다리에 열상을 입었고 열상을 입지 않았다.[38]부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있다.골격학자 에바 뒤링은 침몰하는 동안 규율과 사회적 응집력이 붕괴되었다고 제안했다.선원들은 배에서 탈출하기 위해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했을 것인데,[39] 역사학자 잉그바르 쇠블럼이 이를 반증하는 해석이다.[40]반면 의학사학자 카타리나 빌너는 이번 부상들이 침몰 자체로 인한 갑작스럽고 폭력적인 혼란에 의한 것이라고 제안했는데, 이 혼란은 남자, 중장비, 대포 등을 주변에 던졌을 것이다.[41]

제독의 기함 소실로 스웨덴군은 혼란에 빠졌고, 곧 함대 기함으로서 다음 줄에 서 있는 스베르데트는 연합군 해군에 포위되어 포격전이 연장된 후 네덜란드군의 화력에 불타올랐다.650여 명의 승무원 중 50명만이 총격전과 인페르노를 탈출했고, 사망자 중에는 클라스 우글라 대장이 있었다.스웨덴 함대는 최고위급 지휘관 2명과 최대 함선 2척을 잃은 뒤 어수선하게 달아났다.솔렌은 나중에 좌초되었다. 야른브v겐넵투누스와 세 척의 작은 배가 포획되었다.에플렛은 나중에 달라뢰에서 계류장을 부수고 가라앉았다.[42]

여파

포병 장교 안데르스 질렌스팍에 의하면 자신을 포함한 40명만이 침몰에서 살아남았다고 한다.요한 클라크 소령, 트럼펫 주자 2명, 선원 14명, 군인 22명 등 800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뜻이다.그 중에는 해군과 육군 장교 6명은 물론 해군과 육군 제독대 주치의가 있었다.크로난스배르데를 잃었을 때 모두 1,400여 명의 병사가 죽었고, 전투 후 며칠 동안 외랜드의 동쪽 해안에서 수백 구의 시체가 씻겨 올라왔다.랑글뢰트 교구의 대리인에 따르면 183명의 남자들이 해변에서 끌려나와 헐터스타드와 스텐자 묘지에 묻혔다.[43]로렌츠 크로이츠의 시신은 신원이 확인되어 핀란드 로비사 마을 근처에 있는 그의 소유지 사르블락스로 보내져 그곳에 묻혔다.[44]크로난이 주력 기종이었고 함대에서 최고의 선원과 포병들을 유인했기 때문에 그 손실은 더욱 심했다.[45]크로난스배르데가 함락되었을 때, 그들은 해군의 30파운드와 36파운드짜리 총 재고 전부를 가지고 갔다.[46]모두 합쳐서 300톤이 넘는 청동총이 25만척에 가까운 은달리들이 배와 함께 떨어졌는데, 이는 배 자체의 가치보다 약간 높은 금액이었다.[47]

일주일도 안 되어 본홀름에서의 실패와 외랜드에서의 재난 소식이 찰스 왕에게 전해졌고, 찰스 왕은 즉시 그 대실패를 조사할 위원회를 설치하라고 명령했다.찰스는 베르와 다른 장교들이 비겁한 짓인지, 아니면 무능한 짓인지 알고 싶었다.6월 13일, 왕은 "우리 해관들 중 몇몇이 비겁하고 부주의한 행동을 보여서 왕국의 안전, 복지, 방어를 큰 위험에 빠뜨렸다"면서 "이런 큰 범죄는 엄히 처벌되어야 한다"[48]고 썼다.의문사위는 1676년 6월 7일 업무를 시작해 1677년 10월 선고를 내리지 않고 마무리했다.에플렛과 함께 좌초한 니켈른의 요한 베르 제독과 크리스터 보이제 중장은 다시는 해군 사령부를 받지 못했다.피고 중 한 명인 솔렌의 한스 클레르크는 위원회가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전에 국왕에 의해 제독으로 진급되었다.[42]

침몰원인

험한 날씨에 부적절한 처리는 크로난 침몰한 가장 확실한 원인이었다.바사와 달리 크로난 항해 특성은 본질적으로 결함이 없었고 배는 거친 바다에서 몇 년 동안 항해를 해왔다.위원회 작업 중 포병 장교 안데르스 질렌스팍은 바사와 직접 비교하기도 했다.그는 크로난 밸러스트가 선거운동 초반 달라뢰에서 가벼워졌고, 음료 공급을 보충하지 않았으므로 배는 얕은 초안을 가지고 있었으며, 비록 이것을 크로이츠 탓으로 돌리지는 않았지만, 풀스토어보다 다소 안정감이 떨어졌을 것이라고 증언했다.[49]

스웨덴 함대가 왜 외랜드 북쪽의 본국 해역에서 연합군을 참가시키겠다는 당초 계획에서 이탈했는지는 결코 만족스럽게 설명되지 않았다.크로난에 있는 로젠버그와 질렌스팍에 따르면, 우글라가 돌아다니는 신호를 보냈기 때문에 크로이츠가 방향을 틀었다고 한다.로젠버그도 1함대의 제독 니켈른의 베르가 먼저 방향을 틀었고, 우글라는 함대를 함께 유지하기 위해 이 계획되지 않은 작전을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믿었다.[50]스베르데트에서 살아남은 장교 안데르스 홈먼과 올로프 노먼은 크레우츠가 함대장으로서만 그런 결정을 내릴 수 있었고 우글라는 크로난 지휘를 따를 뿐이라고 주장했다.[51]위원회에 앞서 증언한 목격자들은 장교들 사이의 갈등이 크로난이 일어나기 전에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라고 주장했다.로젠버그는 아르비드 비외르람 중장과 클라스 앙카르프잘 소령이 얼마만큼의 돛을 세워야 하는지, 배가 얼마나 육지에 가깝게 항해해야 하는지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을 달리했다고 증언했다.[52]질렌스팍에 따르면, 수석 조종사 Per Gabrielsson은 험한 날씨 속에서 돌아가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지만, 아무도 그의 충고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53]

몇몇 학자들과 저자들은 크레우츠가 자신의 배를 잃어버린 것에 대해 비난해 왔고, 그는 해군 경험 부족으로 침몰을 초래한 무능한 선원과 장교라는 비난을 받아왔다.[54]역사학자 군나르 그란딘은 이 기동의 의도는 흩어진 연합 함대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크로난의 많은 장교들은 이에 반대했다. 크레우츠와 비외르넬람은 이 배가 전술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빨리 선회할 것을 촉구했고 앙카르예엘과 가브리엘손은 시군의 즉각적인 안전을 우려했다.p. 그란딘은 또한 크로이츠가 본홀름에서의 실패와 장교들과의 공개적인 분쟁으로 인해 정신 쇠약을 겪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해 왔으며, 이는 경솔하고 궁극적으로는 치명적인 결정으로 이어졌다.[55]

보다 최근의 견해는 책임에 대한 문제를 더욱 미묘한 복잡성으로 제시하며 이는 크루츠가 이번 재난에 대한 유일한 책임자로 지목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역사학자 잉그바르 쇠블럼과 라르스 에릭슨 울케는 제독으로서 크로이츠의 지위가 최고 책임자의 지위에 버금가는 수준이었다고 지적해 왔다.그는 주로 실무적인 세부 사항에 대한 친밀한 지식이 필요하지 않은 행정가였을 것이다; 험한 날씨에 배를 돌리는 것은 부하들의 책임이었을 것이다.쇠블롬은 안카르프잘 소령과 비예르넬람 중장이 돛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빠른 결정이 중요한 상황에서 귀중한 시간을 낭비했다고 강조해 왔다.[56]크로이츠 역시 군사적인 문제에 대한 경험이 없어 해군 최고사령관으로서는 독보적인 존재였다.17세기 후반의 스웨덴 해군 장교 군단은 육군 지휘관의 위신이 부족했고, 노련한 장교들과 심지어 해군 경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군 지휘관들에 의해서도 순위에 오를 수 있었다.[57]해양 고고학자 Lars Einarsson은 Creutz의 "철학적이고 의도적인 기질"이 아마도 한몫을 했을 것이라고 제안했지만, 훈련되지 않고 경험이 없는 선원과 장교들 사이의 공공연한 불화 탓도 똑같이 될 수 있다.[58]쇠블롬에 따르면, 역사학자들에게는 전반적인 책임을 지고 크로난에 지정된 선박 사령관이 있었는지 여부가 여전히 불분명하다고 한다.[40]

난파선으로서의 역사

A photograph of a bell-shaped metal chamber with a metal platform suspended from its edges. The chamber is turned with the open end down. Inside stands a mannequin extending a long ship's hook as if searching for something to hook on to.
카를스크로나 마린뮤지엄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17세기 후반 바사크로난에서 대포의 인양에 사용된 형태의 다이빙벨을 복원한 것이다.

크로난의 총비용은 현대 화폐로 환산하면 32만6000개의 은달래기로 추산되었으며, 비용의 절반가량인 16만6000달래는 군비에 놓여 있었다.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대포를 인양하는 것은 스웨덴 해군의 이익이었다.1660년대 초에는 바사의 거의 모든 총이 크게 향상된 기술을 통해 조달되었다.럼프 사령관과 한스 워크마이스터 제독은 크로난의 대포의 인양을 담당하게 되었다.다이빙벨의 도움으로, 그들은 여름에 67,000달러에 달하는 60개의 대포들을 올릴 수 있었다.1679-86년 8월), 덴마크와의 전쟁이 끝나자마자 시작되었다.1960년대에 다이빙 전문가 보 카셀은 17세기 사양에 따라 만들어진 다이빙벨로 바사에 성공적으로 내려왔다.1986년에는 크로난에 대한 추가 실험이 이루어졌다.그 테스트는 성공적이었고 결론은 17세기 작전은 상당한 경험과 기술 그리고 유리한 기상 조건을 요구했을 것이라는 것이었다.[59]외랜드 앞바다의 상황은 냉수와 예측할 수 없는 날씨로 어려운 경우가 많았으며, 많은 승무원이 필요했지만, 원정대는 매우 수익성이 좋았다.역사학자 비외른 악셀 요한슨은 8번의 다이빙 시즌 동안 전체 승무원의 총 비용이 크로난의 36파운더 포 중 하나 값인 2,000달러 이하라고 계산했다.[60]

재발견

해양 기술자 겸 아마추어 역사학자 안데르스 프란젠은 1940년대 이후 발트해에서 스웨덴의 옛 난파선을 찾아다녔으며 1956년 바사를 찾은 후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크로난은 그가 편집한 잠재적 난파선의 목록에 있는 몇몇 유명한 난파선들 중 한 명이었다.프란젠과 다른 사람들은 거의 30년 동안 외랜드의 동쪽 해안에서 보관소를 샅샅이 뒤지고 해저면을 탐사했다.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이 팀은 헐터스타드를 질질 끌며 수색했고, 이후 수중 음파탐지기를 추적했다.1971년 크로난의 것으로 추정되는 널빤지가 위치했지만 당시에는 리드를 제대로 따라올 수 없었다.이후 1970년대에는 사이드캔 음파 탐지기와 철의 존재를 감지하는 기구인 자력계로 수색 지역이 좁혀졌다.이 두 개의 악기로, 그 팀은 가능한 위치를 고정시켰고, 1980년 8월 초에 수중 카메라를 내려보내 크로난의 첫 사진을 공개했다.[61]

고고학

Photograph of a modern motor ship with a black hull and white superstructure
칼마레 나이켈(MS Calmare Nyckel)은 1991년부터 크로난 발굴을 위한 다이빙 플랫폼으로 사용돼 왔으며, 지금까지 사용해온 여러 선박 중 하나이다.[62]

크로난의 유적은 외랜드의 동쪽 해안인 헐터스타드에서 동쪽으로 6km 떨어진 26m(85ft) 깊이에 있다.1980년 재발견 이후 6월부터 8월까지 매년 난파선 현장에 대한 다이빙 탐험이 있었다.발트해 기준으로 볼 때, 그 조건은 수중 고고학 작업에 좋다; 난파된 지점은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고, 일반 항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육지의 오염이나 해양 식물의 과도한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특히 초여름에는 가시거리가 좋아 최대 20m까지 갈 수 있다.해저는 대부분 불임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의 햇빛을 많이 반사해 수중 카메라로 현장을 조사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지금까지 약 85%의 난파지가 도표로 작성되었고 크로난은 발트해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잘 알려진 해양 고고학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되었다.[63]

찾는다

최대 4톤의 청동 대포부터 작은 달걀 껍질 조각에 이르기까지 3만 점 이상의 크로난의 유물이 인양되고 목록화되었다.[63]상당히 중요한 발견이 몇 차례 있었고, 독특한 역사적, 고고학적 가치도 몇 가지 있었다.첫 번째 발견물 중 하나는 항해 도구, 파이프 청소 도구, 절삭기, 필기구 등이 들어 있는 9개의 서랍이 있는 작은 탁자 캐비닛이었는데, 이 서랍은 경찰관들 중 한 사람의 것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64]대표적으로 크로난은 거액의 현금을 은화 형태로 들고 다녔다.승무원의 임금 외에, 예상하지 못한 많은 비용에 대해 전쟁 상금이 필요했다.1982년에는 255개의 금화 수집품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이 두캣이었다.카이로, 레발(현대식 탈린), 세빌 등의 위치에 따라 개별 동전의 기원은 상당히 다양했다.또 다른 46마리의 두캣이 2000년에 발견되었다.[65]이 동전 수집은 아마도 스웨덴 땅에서 마주친 가장 큰 금 보물일 것이다, 비록 많은 비용을 충당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지만, 이것은 그들이 로렌츠 크로이츠 제독의 개인 재산이라는 가정으로 이어졌다.[66]1989년, 스웨덴에서 발견된 가장 큰 규모의 은화 수집품인 오롯이 잔해에서 900개 이상의 은화가 발견되었다.2005년에, 거의 6,200개의 동전의 훨씬 더 큰 캐쉬가 발견되었고 2006년에는 7,000개 이상의 동전이 있는 또 다른 캐쉬가 발견되었다.[67]2005년의 은보물은 1675년에 채굴된 거의 4개의 외레코인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그 해의 전체 4개의 외레코인 생산량의 1% 이상을 차지한다.[68]

Photograph of a display case with drumsticks suspended in the air as though poised over a drum along with the top and bottom covers of a violin with a violin bow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에 전시된 바이올린 한 개와 드럼스틱 두 개의 잔해

트럼펫, 바이올린 3개, 비올라감바 등 여러 악기가 발견되었는데, 장교나 트럼펫 연주자의 것이었을 것으로 보이는 값비싼 물건들이다.탑승한 트럼펫 연주자 중 한 명은 제독의 음악 앙상블의 멤버였으며, 특히 훌륭한 독일제 악기 중 하나가 제독의 것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97년에 또 다른 장교 개인 상점의 잔해가 발견되었는데, 담배로 가득 찬 직조 바구니와 생강, 자두, 포도, 계피 퀼을 포함한 값비싼 수입 식료품과 향신료들로 구성되어 있다.[69]

약 7퍼센트의 발견은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특히 장교와 그들의 개인 하인의 옷의 대부분은 잘 보존되어 있고, 17세기 후반에 의류 제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는데, 이것은 달리 묘사에만 근거하여 연구하기 어려운 것이었다.[70]

참고 항목

  • 1982년 인양된 영국 16세기 카랙로 메리 로즈.
  • 1997년 인양된 프랑스 상선의 난파선
  • 1628년 침몰한 스웨덴 군함 바사는 1956년 재발견돼 이후 수복됐다.
  • 1564년 침몰해 2011년 재발견된 스웨덴 군함 화성.

메모들

  1. ^ 이름은 각각 "왕관"과 "위대한 왕관"을 의미한다.명칭의 현대적 표준화에 대한 내용은 요한슨(1985), 페이지 9, 룬드그렌(1997), 페이지 8의 안데르스 프란젠을 참조한다.
  2. ^ 재정-군사 국가, 1500–1600으로 얀 골트(2002) 전쟁과 초기 현대 유럽의 주: 스페인, 네덜란드 공화국스웨덴을 참조하라.런던, 루틀리지. ISBN0-415-22645-7.
  3. ^ 괴란 라이스타드(2005년), 페이지 17–19의 "Sknska Kriget och Kampen om 헤게모니인 아이 노든"
  4. ^ 로저(2004), 페이지 29~30
  5. ^ 괴란 라이스타드(2005년), 페이지 20-21의 "Sknska Kriget och Kampen om 헤게모니인 아이 노든"
  6. ^ 핀 아스카르드, 라이스타드의 "Kampen to sjöss"(2005) 페이지 172
  7. ^ 게르트(1993), 페이지 174-77.
  8. ^ 요한슨의 안데르스 닐슨(1985), 페이지 52-53.
  9. ^ 요한슨의 안데르스 닐슨(1985), 페이지 38~39.
  10. ^ 골트(1999), 페이지 17
  11. ^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 공식 크로넌 웹사이트.2014년 4월 19일 검색됨
  12. ^ 고트(1999), 페이지 23; 현대 군함의 불안정성에 대한 추가 예는 로저(2004) 페이지 218–219를 참조한다.
  13. ^ 게르트(1999년)
  14. ^ a b 게르테(2002)
  15. ^ 안데르스 샌드스트룀, 요한슨(1985), 페이지 122-23의 "클라르 뫼르 스트리트".
  16. ^ 군나르 그란딘, 요한슨(2005년)의 "슬래게트 덴 26 마제" 127페이지.
  17. ^ a b Supp(2007), 페이지 136–38.
  18. ^ 룬드그렌(1997), 페이지 9–18
  19. ^ 산업화 이전 벌목은 눈 덮인 땅에서 썰매를 타고 큰 목재를 운반하는 것이 더 쉬웠기 때문에 겨울 점령이었다.
  20. ^ 룬드그렌(1997), 페이지 10
  21. ^ 룬드그렌(1997), 페이지 19~39
  22. ^ 룬드그렌(1997), 페이지 9–10; 안데르스 프란젠, 요한슨(1985), 페이지 48–49의 "크로난 게르 아브 스타펠른 1668".
  23. ^ 룬드그렌(1997), 페이지 19.
  24. ^ a b 크로난프로젝트(2008), 페이지 7–9.
  25. ^ 샤를르 12세샤를 1254–1718의 통치는 스웨덴 역사 저술에서 흔히 "카롤링거 시대"(카롤린스카 티덴)로 언급된다.
  26. ^ 푸제트(2009), 페이지 107.
  27. ^ 푸제트(2009), 페이지 107(제터스텐, 세 에벤 아케르, 허 리케트 스타일즈)
  28. ^ 푸제트(2009), 페이지 111-12.
  29. ^ 4척 모두 레갈스퀘프(일반적으로 "왕실선"으로 번역됨)로 함대에서 가장 크며, 보통 스웨덴의 레갈리아 일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0. ^ 원문: 군나르 그란딘의 "본드르앵가 도파드 i saltvatten", 요한슨(1985)의 "플로탄스 니켈롤"(1985) 페이지 101.
  31. ^ 군나르 그란딘(1985) 페이지 108-09의 "스텐보크 베탈라르 ötgetget"; 요한슨(1985), 페이지 110–11, an블럼(2003), 페이지 223의 커트 룬드그렌 "플로탄 sågas genom isen".
  32. ^ 골트 (2010), 페이지 302, 305
  33. ^ Kurt Lundgren, 요한슨(1985), 페이지 110–11의 "플로탄 sågas genom isen".
  34. ^ Gunnar Grandin "Gotland invanderas", 요한슨(1985), 페이지 114–15, 118–19의 "Flottan löper ut".
  35. ^ Sjöblom(2003), 페이지 225–26.
  36. ^ Sjöblom(2003), 페이지 226.
  37. ^ 크로난프로젝트(2007), 페이지 4
  38. ^ 전체 상팔뼈(허머러스)의 10% 내외와 대퇴골(페무르)의 20% 가까이가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폭력 징후를 보이고 있으며, 같은 부위를 겨냥한 주먹질이 반복되는 경우도 많다.
  39. ^ (1997) 페이지 594 동안
  40. ^ a b 쇠블럼(2003), 페이지 227
  41. ^ 빌너(2012), 페이지 38-39
  42. ^ a b 쇠블럼(2003), 페이지 228
  43. ^ 에이나르손(2005) "리크플런딩 이 훌터스타드" 56페이지.
  44. ^ 비욘 악셀 요한슨, 요한슨 (1985년) 페이지 165에서 "아이 크로이츠 피카"
  45. ^ 골트 (2010), 페이지 190
  46. ^ 골트 (2010), 페이지 563
  47. ^ 골트 (2010), 페이지 566
  48. ^ Original quote: "en del av våra sjöofficerare sig så lachement förhållit [att de] riksens säkerhet, välfärd och försvar ... ställt uti den högsta hazard"; "ett så stort crimen strängeligen bör straffas"; Lundgren (2001), pp. 5–6.
  49. ^ 룬드그렌(2001년), 페이지 72.
  50. ^ 에이나르손(2001), 페이지 9-12
  51. ^ 룬드그렌(1997), 페이지 107–11
  52. ^ 룬드그렌(2001년), 페이지 51.
  53. ^ 룬드그렌(2001년), 235페이지.
  54. ^ 아케르(2005), 페이지 29, 비외를린(1885); 질렌그라나트(1840), 이삭슨(2000), 페이지 11–12; 웅거(1909), 페이지 234; 제터스텐(1903), 페이지 478을 참조한다.
  55. ^ 군나르 그란딘, 요한슨(1985), 페이지 144–145의 "네르브크리스 엘러 샹싱".
  56. ^ 에릭슨 울케(2009년), 페이지 115; 쇠블럼(2003년), 페이지 227
  57. ^ 질문자(2005), 페이지 29~30
  58. ^ 에이나르손(2001), 페이지 13
  59. ^ 요한슨(1993년), 페이지 129-133
  60. ^ 요한슨(1993년), 페이지 156-158
  61. ^ 요한슨(1985년), 페이지 192–205에 있는 알베르크, 뵈르제손, 프란젠 & 그리셀, "크로난 히타스"
  62. ^ 크로난프로젝테트(1992)
  63. ^ a b 크로난프로젝테(2008)
  64. ^ 에이나르손(2001), 페이지 30
  65. ^ Einarsson(2001), 페이지 33–34
  66. ^ 1804년 스톡홀름 구시가지에 있는 스토르토르겟의 주택 공사 중에 금화 수백 개가 들어 있는 금화가 발견되었지만, 동전 한 개를 제외한 모든 것이 매각되었기 때문에, 그것이 크로나 사재기 보다 더 큰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골라비프스키 란비(1985) 페이지 6–8, 11.
  67. ^ 게인스포드 & 존슨(2008)
  68. ^ Einarsson(2005) "Aennu en silverskatt påtréffad", 페이지 15
  69. ^ Einarsson(2001), 페이지 31, 36
  70. ^ 푸제트(2009)

참조

  • 아스카르, 비외른(2005) 비외른 아케르(편집자) 스토마크텐 s막트: 마리나 빌더 프롤린스크 편지의 "Sjöss och to lands."히스토리스카 매체, 룬드.ISBN 91-85057-43-6; 페이지 29–32(스웨덴어)
  • 비외를린, 구스타프, (1885) 크리게트 모트 단마크 1675–1679: 레스닝 퓌르오흐 가말.노르스테트, 스톡홀름(스웨덴어)
  • [Düring] 동안, Ebba, (1997) "스웨덴 17세기 전쟁, 크로난에서 인간 골격 잔해에서 관찰된 특정 골격 부상" 제7권; 페이지 591–594.
  • 에이나르손, 라르스(2001) 크로난.칼마르 박물관의 칼마르 렌스 박물관.ISBN 91-85926-48-5(스웨덴어)
  • 에이나르손, 라르스 (2005) 칼마르 의 "Lickplundring I Hulterstad år 1676" (Kalmar lén: Meddelande från Kalmar léns hembygdsförbund och Stiftelsen Kalmar lans 박물관.ISSN 0451-2715; 페이지 52-58 (스웨덴어)
  • Einarsson, Lars (2005) Myntstudier, vol. 2005:3의 "Aennu en silverskatt påtreffad i vraket av regalskeppet Kron".ISSN 1652-2303; 페이지 14-16(스웨덴어)
  • 에릭슨 울케, 라르스 (2009) "Ericson Wolke & H 1600rdedt, Svenska Sjöslag, "Ericson Wolke & Hårdedt에 1600-talets sista trtionde 이하 sjökrigen".스톡홀름의 메드스트룀스 ö라그.ISBN 978-91-7329-030-2(스웨덴어)
  • Gainsford, Sara & Jonsson, Kenneth(2008) "Myntstudier vol. "2005년 skatt från regalskeppet Kron". 2008:3.ISSN 1652-2303, 페이지 3-17(스웨덴어)
  • Gret, Jan(1993) Navies and Nations: 유럽과 미국의 군함, 해군 및 주 청사, 1500–1680, 제1권.알크비스트 & 위키셀 인터내셔널 스톡홀름.ISBN 91-22-01565-5
  • 고레트, 얀(1999년) "허스토어 바 크로난?N forumgot om stora örlogsskepp i Europa 1600-talets senare halft" in Forum Navale 55.스톡홀름, Sjöhistoriska samfundet; 페이지 17–25 (스웨덴어)
  • Gret, 2002년 1월 (2002년) "크로난스 아르틸레리. Kort genomgång av arciv material och data om bérgade kanoner", 스톡홀름 대학교 미발표 논문.
  • Gret, Jan(2010) 스웨덴 해군 관리, 1521–1721: 자원 흐름조직 능력.브릴, 레이든.ISBN 978-90-04-17916-5
  • 골라비에프스키 란비, 모니카 (1988) 칼마르 카운티 박물관에 있는 왕실크로난에서 나온 골드트레져.칼머스, 칼마르ISBN 91-85926-09-4
  • 질렌그라나트, 칼 아우구스트 (1840) 스베리게스 ö크리그스-역사학 I 삼만드라그.칼스크로나, 아민(스웨덴어)
  • 이삭슨, 글래스-괴란(2000) 스킨스카 크라이게트 1675–1679, 히스토리스카 매체 룬드.ISBN 91-88930-87-4(스웨덴어)
  • 요한슨, 비외른 악셀 (편집자, 1985년) 레갈스케펫 크로난.스톡홀름 트레비ISBN 91-7160-740-4(스웨덴어)
  • 요한슨, 비외른 악셀(1993) 토르스텐(편집자) 라이데의 "메드 디카르크록카 på 레갈스켓 크로난"-se över relelingens 랜드!" 안데르스 프란젠까지 페스트스크립트.ISBN 91-7054-711-4; pp, 124–158(스웨덴어)
  • Kronanprojektet(1992) Relocent över 1991 rs marinarkeologiska unders ökingar vid vrakplatsen efter regalskeppet Kron.칼마르 박물관의 칼마르 렌스 박물관.(스웨덴어)
  • Kronanprojektet(2007) Relocent över 2006 rsrs marinarkeologiska unders ökingar vid vrakplatsen efter regalskeppet Kron.칼마르 박물관의 칼마르 렌스 박물관.(스웨덴어)
  • Kronanprojektet(2008) Relocity över 2007 rsrs marinarkeologiska unders ökingar vid vrakplatsen efter regalskeppet Kron.칼마르 박물관의 칼마르 렌스 박물관.(스웨덴어)
  • 룬드그렌, 쿠르트 (1997) 스토라 크로난: 비간데트 슬라게트 플룬딩엔 아브 외랜드 엔게놈아브 역사학 아브 겔 물질.Lenstad Bok & Bild, Kristianstad. Lenstad Bok & Bild, KristISBN 91-973261-5-1(스웨덴어)
  • 룬드그렌, 쿠르트(2001) ö슬라게트 vid ö란트. Vittnesmål – 도큐먼트 1676–1677.링스타드 복 & 빌드, 칼마르ISBN 91-631-1292-2(스웨덴어)
  • 푸제트, 메리(2009) 카타리나(편집자) 슈어너에 있는 "클래드 옴보르드" 스카르그드 오흐 ch로그: 나들락 아이 스톡홀름스 스키르그드르드 디디가 역사학.쿵글. 비테르헤츠 히스토리 오치 안티크비테츠 아카데미엔, 콘퍼런스서 71.스톡홀름ISBN 978-91-7402-388-6(스웨덴어)
  • 로저, 니콜라스 A. M. (2004) 대양 사령부. 영국 해군사 1649–1815.런던 앨런 레인.ISBN 0-7139-9411-8
  • 라이스타드, 괴란 (편집자, 2005년) 캄펜스킨.히스토리스카 매체, 룬드.ISBN 91-85057-05-3(스웨덴어)
  • Sjöblom, Olof(2003) "Slaget vid Oland 1676: Kronan går under" in Ericson [Wolke], Hådedt, Iko, Sjeblom & Eselius, Svenska slagfelt.스톡홀름의 Wahlstöm & Widstrand.ISBN 91-46-20225-0(스웨덴어)
  • Supp, Hans (2007) Flytande alats: utsmyckning av eldre svenska örlogsfartyg.스톡홀름의 시그넘.ISBN 978-91-87896-83-5(스웨덴어)
  • 웅거, 군나르 (1909) 일러스트레라드 스벤스크 쉬크릭시스테리아 옴파탄데는 1680년까지 정리한다.스톡홀름의 보니에(스웨덴어로)
  • 빌너, 카타리나(2012) 언더데크: 메리 로즈 바사 크로난.스톡홀름의 메드스트룀ISBN 978-91-7329-108(스웨덴어)
  • 제터스텐, 액셀(1903) 스벤스카 플로탄스 역사 å렌 1635–1680.노르텔제 편곡 복트티커리, 노르텔제.(스웨덴어)

추가 읽기

  • 에이나르손, 라르스(1994) "스웨덴의 현재 해양고고학: 크로난의 사례"(편집자), 화성과 수성의 핑딩: 황금시대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정치, 경제, 문화적 연계: 1993년 11월 19일 암스테르담 크로난 심포지엄 논문.헤이그 스웨덴 대사관의 NIVE; 페이지 41-47
  • 에이나르손, 라르스 & 모저-브루인스, W.F.J. (2003) 국제해적고고학저널 v. 32; 페이지 53–60에 실린 크로난호 난파선의 교차점"
  • 프란젠, 안데르스 (1981) HMS 크로난 : 위대한 17세기 스웨덴 군함을 위한 탐색스톡홀름의 왕립 기술 도서관[테키스카 ö스콜란스 비블리오텍]
  • Franzén, Anders (April 1989). "Kronan — Remnants of a Mighty Warship". National Geographic. Vol. 175, no. 4. pp. 438–464. ISSN 0027-9358. OCLC 643483454.

외부 링크

좌표:56°26′58″N 16°40′20″e/56.444°N 16.67222°E/ 56.44944; 16.67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