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시마니카야
Majjhima Nikāya마지시마니카야 |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불교 |
---|
![]() |
팔리 캐논 |
---|
![]() |
1.비나야피자카 |
1. 수타비바가2. 칸다하카3. 파리아 |
2. 수타 피아카 |
1. 대하 니카야2.마지마지마니카야3. 사유타 니카야4. 아구타라 니카야5. 후다카 니카야 |
3. 아비담마 피아카 |
1.담마사가슈가슈2. 비바이가3. 도투카타4. 푸갈라파냐티5. 카타바투6. 야마카7. 파샤나 |
마지마 니카야(-니카야; "중간 담론집")는 불교 경전으로, 5개의 니카야 중 두 번째, 즉 수타 피타카에 수록된 것으로, 불교 경전으로, 테라바다 불교의 팔리 티피타카(불. "세 바구니")를 구성하는 '세 바구니' 중 하나이다.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 사이에 작곡되었다.[1] 이 니카야는 부처와 그의 제자들에게 기인된 152개의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2]
마즈히마 니카야는 산스크리트어 초기 불교학교의 수트라 피티카스에서 발견된 마디야마 아가마에 해당하며, 산스크리트어 및 티베트어 번역에서 그 파편이 살아남는다. 사르바스티바딘(Sarva stivadin) 후퇴에서 온 중국어의 완전한 번역본이 중국 불교 캐논에 나타나는데, 여기서 Zhang Ahanjung(中國 經經)으로 알려져 있다. 사르바스티바다 학파의 마디야마 아가마는 222개의 츄트라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팔리마지마지마히시마 니카야에 있는 152개의 수타와는 대조적이다.[3]
구조 및 내용
그의 번역 서론에서 비크쿠 보디는 이 컬렉션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팔리 캐논의 다른 책들과 구별하기 위해 마지마 니카야를 하나의 문구로 특징지어야 한다면, 이것은 문맥적 설정의 다양성과 가장 깊고 종합적인 가르침 구분을 결합한 모음집이라고 설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4]
152개의 담론은 각각 3개 부분으로 나뉘며 5개 부문으로 나뉜다. 모든 부서가 펜ultimate를 구하는데 10개의 담론을 가지고 있다.
번역
전체 번역
- Bhikhu Nanamoli와 Bhikkhu Bodhi (trans.), 부처의 중편 담론: 마지마지마 니카야의 번역, 1995년, Somerville: 지혜 출판물 ISBN0-86171-072-X.
- 마하판디트 라훌 산크리티타얀은 프라크리트에서 힌디로 니카야 마지마히마를 번역했다.[5]
- 샬머스 경 (1898–1926), 불상의 추가 대화, 1926–7, vol.1, 2권, 런던: 팔리 문자 협회 재인쇄: 앤아버: 미시간 대학의 주문형 책들.
- I.B. 호너 (trans.), The Book of Middle Length Sayings, 1954–9, 3권, Bristol: Pali Text Society.
- 데이비드 W. 에반스(트랜스), 고타마 부처 담론: 미들 콜렉션, 1991년, 야누스 펍스. "축소된 형태로 번역하는 것... 호너 번역의 약 3분의 1 크기지만, 중요한 내용의 90%를 훨씬 넘는 것"
- 《비크쿠 스자토》(trans.), 《미들 담론》(the Middles, 2018)이 수타중앙에서 온라인에 게재되어 공개되었다.
선택 사항
- 부처님 말씀의 재무성, tr Nanamoli, 방콕 칸티팔로 수정; 나중에 MLDB를 상술하기 위해 수정 및 확대.
- 랑군, 1986년 버마 피타카 협회 물라판나사에서 온 25개의 수타?; 델리, 스리 사투루 재판
- 1987년 랑군, 미얀마 피타카 협회 마지시마판나사 25수트, 델리 스리 사투루 재판
- 1988년 랑군 우파리-판나사, 미얀마 피타카 협회 25수타?; 델리, 스리 사투루 재판
참고 항목
참조
- ^ Singh, Upinder.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p. 25.
- ^ Pali 원본 버전은
- ^ [오피니언] 옥스퍼드 대학 출판사 데미안 키운의 불교 사전: 2004
- ^ Bodhi, Bhikkhu (1995).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āya. Kandy, Sri Lank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first published by Wisdom Publications. pp. 5–11, 20. ISBN 0-86171-072-X.
- ^ Sharma, R. S. (2009). Rethinking India's Past.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69787-2.
외부 링크
![]() | 위키호테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마지마지마 니카야 |
- 영어의 마지마 니카야(&30개 이상의 다른 언어)와 마히야마 아가마(Madhyama Agama)와 봉합할 때 유사하다.그물을 치다
- Metta.lk에서 영어로 된 마지마 니카야.
- accesstoinsight.org에서 영어로 된 마지마 니카야.
- 비크쿠 보디가 가르친 마지마 니카야 강의
- 마즈히마 니카야 3세, 2세 3.5세마간디야수타.m, III. 2. 5.Bahudhaatukasutta.m-, (iii) budsas.org의 많은 요소에 대한 담론
- 불교 디지털 사전 buddhism-dict.net에[permanent dead link] 등록
- 니카야 마즈히마 수타 선정, 번역, 지혜출판사 Bhikhu Bodhi 편찬
- 기원전 6세기 인도의 일곱 가지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