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
German reunification1989년 혁명의 일부와 냉전 종식 | |
네이티브 네임 | 도이체비더베이닝궁다이 웬데 |
---|---|
날짜. | 1989년 11월 9일 ~ 1991년 3월 15일 ( | ~
위치 | 동독 서독 |
원인 | 1989년 혁명 |
결과 | 연방공화국 하에서 독일의 통일
|
독일 통일 (독일어: 독일은 1989년 11월 9일부터 1991년 3월 15일까지 독일의 완전한 주권 국가로 재집권하기 위한 과정이었습니다. 1990년 10월 3일 독일민주공화국을 해체하는 "통일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독일의 민주공화국(GDR; German: 독일어: 도이체 데모크라시 공화국, DDR 또는 동독은 최근에 재설립된 연방 국가들을 독일 연방 공화국(FRG; 독일어: 현재의 독일을 형성하기 위한 독일연방(Bundesrepublik Deutschland, BRD, 또는 서독)은 관습적인 독일 통일의 날(Tag der Deutschen Einheit)로 선택되었고, 그 후 1991년부터 매년 독일에서 국경일로 기념되고 있습니다.[1] 통일의 일환으로 두 나라의 동 베를린과 서 베를린도 사실상 하나의 도시로 통합되었고, 후에 이 나라의 수도가 되었습니다.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공산당)이 지배하던 동독 정부는 1989년 5월 2일 오스트리아와의 헝가리 국경장벽 철거로 철의 장막에 구멍이 뚫리면서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국경은 여전히 삼엄하게 지켜졌지만 범유럽 소풍과 동구권 통치자들의 우유부단한 반응은 돌이킬 수 없는 움직임을 일으켰습니다.[2][3] 그것은 헝가리를 거쳐 서독으로 도망치는 수천 명의 동독인들의 탈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평화 혁명은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1990년 3월 18일 GDR의 첫 자유 선거로 이어졌으며, 이후 통일 조약으로 마무리된 양국 간의 협상으로 이어졌습니다.[1] 두 독일과 독일의 4개 점령국 간의 다른 협상은 1991년 3월 15일 통일된 독일 국가에 완전한 주권을 부여하는 소위 "2+4 조약"을 만들었습니다. 1994년 8월 31일에야 러시아 점령군(러시아는 소련의 후계국)이 독일을 떠났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점령지로서의 지위에 따른 여러 가지 제한에 의해 두 부분이 이전에 구속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구 독일 제국은 폐지되었고 독일은 연합국 4개국에 의해 분단되었습니다. 평화협정은 없었습니다. 두 나라가 나타났습니다. 1949년 5월 23일, 미국, 영국, 프랑스 지역이 합쳐져서 서독 지역이 되었습니다. 동독은 1949년 10월에 수립되었습니다. 서독 국가는 1955년 나토에 가입했습니다. 1990년 통일 독일이 이를 위해 "독일 전체"[b]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지를 놓고 다양한 의견이 계속 유지되었습니다. 1990년 9월 12일, 4개 연합국과의 2+4 조약 하에서, 1989년 공산국가들에 대항한 성공적이고 국제적인 혁명의 맥락에서, 동독과 서독 모두 1990년 이전의 공동 경계가 독일 정부가 주장할 수 있는 전체 영토를 구성한다는 원칙에 따라 독일 전체가 차지하고 있는 이 경계 밖의 땅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1990년 10월 3일, 동독은 연방을 다시 설립했고,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이 하나의 도시로 통합되는 동시에 새로운 국가들이 FRG에 가입하면서 현대 독일이 형성되었습니다.
통일된 국가는 후계 국가가 아니라 1949-1990년 서독 국가의 확대된 지속입니다. 확대된 독일연방공화국은 유럽경제공동체(EC)(이후 유럽연합/EU)의 통치기구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엔을 포함한 국제기구에서 서독의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바르샤바 조약(WP)과 동독이 속해 있던 다른 국제기구의 회원국 자격을 포기하면서 말입니다.
네이밍
'독일 통일'이라는 용어는 독일민주공화국이 독일연방공화국에 가입해 4개 연합국의 완전한 독일 주권을 가지고 프로이센 왕국이 주도하는 독일제국(독일제국)으로 통일되는 과정과 구분하기 위해 붙여졌습니다. 그 날은 1866년 8월 18일부터 1871년 1월 18일까지, 1990년 10월 3일은 독일이 다시 단일 민족국가가 된 날이었습니다. 그러나 서독 정치인들은 정치적, 외교적인 이유로 독일인들이 흔히 말하는 "Die Wende"(대략적으로 "전환점")라는 용어를 준비하는 동안 조심스럽게 "통일"이라는 용어를 피했습니다. 1990년 조약은 공식적인 용어를 도이체 아인헤이트("Germany unity")[1]로 정의하며, 이는 독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1990년 이후, die Wende라는 용어가 더 흔해졌습니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주로 동유럽에서) 실제 통일을 이끈 사건들을 가리키며, 느슨하게 번역하면 "전환점"입니다. 동독의 반공 운동가들은 이 용어가 SED 사무총장 에곤 크렌츠에 의해 소개되었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습니다.[4]
일부 사람들은 통일이 BRD에 의해 GDR의 합병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5][6][7][8][9][10][11] 에르푸르트 대학의 학자 네드 리차드슨-리틀은 합병이라는 용어가 정치적 스펙트럼의 배경에서 해석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12] 2015년에는 러시아가 합병으로 분류하는 제안을 했습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그것을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이름 지었습니다.[13][14] 2010년 Matthias Platzeck는 통일을 '안슐루스'라고 언급했습니다.[15]
통일의 전조
독일의 역사 |
---|
1945년 6월 5일, 베를린 선언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독일 제국의 패전이 확정되고 독일 제국은 법적으로 폐지되었으며, 독일은 승리한 연합국을 대표하는 4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 선언은 또한[16][17] 독일을 지배하는 이들 4개국의 연합통제이사회(ACC)를 구성하고 오스트리아를 갖기 전에 독일 국경을 확인했습니다. 1945년 8월 2일 포츠담 회담에서 주요 연합국 3개국이 유럽 축(미국, 영국, 소련)을 격파하면서 독일은 연합국에 의해 점령 지역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이 협정은 또한 독일의 국경을 수정시켰는데, 독일은 오데르-나이세 선의 동쪽 영토를 사실상 폴란드와 소련에게 빼앗겼습니다. (이전 폴란드의 동쪽 영토가 소련에 합병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폴란드의 경우) 독일의 국경 결정은 소련의 독재자 스탈린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전쟁 중과 후에,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영토를 포함하여, 전통적으로 중유럽과 동유럽의 독일 땅에 살고 있던 많은 독일계 민족들이 독일의 전후와 오스트리아의 영토로 도망쳐 쫓겨났습니다. 1947년 12월 17일 자를란트는 헌법이 발효되면서 독일로부터 분리되었습니다.[18]
동맹국들 중에서 소련과 서방 연합군 사이의 지정학적 긴장은 1948년 3월 20일 소련이 ACC에서 사실상 탈퇴하도록 이끌었고 (1971년 4개 점령국이 ACC의 법을 복원함), (6월 20일 서독에 새로운 통화가 도입된 후) 서베를린을 봉쇄했습니다. 1948년 6월 20일부터 1949년 5월 12일까지 서베를린에서 서방 연합국 3개국을 강제로 철수시키지는 못했지만, 그 결과 새로운 독일 국가의 설립은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독일연방공화국 또는 "서독"은 1949년 5월 23일 미국, 영국, 프랑스 지역에서 설립되었으며, 서독은 3개의 서방 연합국이 점령한 트라이존에서 사법부가 설립되었으며, 1948년 8월 1일 설립되었습니다. 1947년 1월 1일, 프랑스가 참여하기 전에 미국과 영국이 결성한 비조네(Bizone)가 그 전신이며,[19][20][21] 서베를린은 서독 국가의 실질적인 일부였지만, 서베를린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1949년 10월 7일 소련 지역에서 독일 제국의 후계자가 아니라고 선언한 계획적이고 공공적인 경제를 가진 공산주의 국가가 설립되었습니다. 비록 그 도시가 사실상의 수도였지만, 그들의 자치적인 동서 사회에서 독일 정치인들과 사회학자들 사이의 높은 이념적 갈등은 더 높은 외국 점령자들의 영향에 앞서서, 그것은 소련에 의해 점령된 동베를린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냉전이라는 국제적 긴장의 시기에 독일의 두 나라가 탄생하면서 비로소 공식화되었습니다. 서독의 수도는 본에 있었지만, 동독이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동부와 분단된 베를린이라는 서독의 목표로 인해 잠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을 뿐, 동독은 원래 서베를린을 획득하고 통일된 베를린을 수도로 만들기를 원했습니다. 1952년 서방연합과 서독은 소련의 중립적 통일 구상을 거부했고, 그 결과 두 독일 정부는 나란히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1952년과 1961년에 각각 동독이 물리적으로 요새화하고 엄격하게 통제했던 두 독일과 그 후 베를린 국경의 대부분. 두 독일 국가의 국기는 원래 같았지만 1959년 동독이 국기를 바꿨습니다.[22] 서독 정부는 처음에는 새로운 사실상의 독일-폴란드 국경이나 동독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후 1972년 (1970년[23][24][25] 바르샤바 조약으로), 1973년 (1972년 기본[26] 조약으로) 동독은 동구 공산권 국가들과 화해하기 위한 공동 정책을 적용하면서 국경을 인정했습니다. 동독 정부는 "평화 공존"이라는 소련의 정책의 영향으로 처음에는 서독 국가의 존재를 부정한 후 두 국가의 지위를 장려하기도 했습니다. 두 독일의 상호 인정은 양국이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c] 두 독일은 1973년 두 개의 별개 국가로 유엔에 가입했고 동독은 이듬해 헌법 개정을 통해 서방 동포와의 통일이라는 목표를 포기했습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5년부터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나라를 이끌었으며, 소련은 경제적, 정치적 침체기를 겪었고, 그에 따라 동구권 정치에 대한 개입이 감소했습니다. 1987년,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브란덴부르크문에서 유명한 연설을 했는데,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에게 베를린의 이동의 자유를 막는 "이 벽을 허물어라"고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이 벽은 처칠이 "철의 장막"이라고 언급했던 동서양의 정치적, 경제적 분열의 아이콘으로 서 있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1988년 소련이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포기하고 동유럽 국가들이 자유롭게 내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27] 1989년 초, 유리노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경제 구조조정)라는 새로운 소비에트 정책 시대 하에서 고르바초프에 의해 더 나아가 폴란드에서 연대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용감한 저항의 다른 이미지에 더 영감을 받아, 그 해 동구권 전역에 혁명의 물결이 휩쓸었습니다. 1989년 5월 헝가리는 국경 울타리를 철거했습니다. 그러나 옛 헝가리 국경 시설의 해체는 국경을 개방하지도 않았고 이전의 엄격한 통제도 제거되지 않았으며 철의 장막에 의한 고립은 전체 길이에 걸쳐 여전히 손상되지 않았습니다. 1989년 8월 19일 범유럽 피크닉에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사이의 국경 문이 열리면서 평화적인 연쇄 반응이 시작되었고, 그 끝에 더 이상 GDR이 없고 동구권이 붕괴되었습니다.[3][28] 헝가리의 GDR 여행객들 사이에서 이 계획된 소풍에 대한 광범위한 광고가 포스터와 전단지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카를 폰 합스부르크가 이끌었던 파네우로페 연합의 오스트리아 지부는 그들을 소프론 국경 근처의 소풍에 초대하는 수천 권의 책자를 배포했습니다. 1961년 베를린 장벽이 세워진 이래 동독 탈출 운동 중 가장 큰 규모였습니다. 칼의 아버지 오토 폰 합스부르크가 국경 개방에 대한 소련과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반응을 시험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소풍 후, 수만 명의 언론 정보를 가진 동독인들이 헝가리로 출발했습니다.[29] 1989년 8월 19일자 데일리 미러에 실린 에리히 호네커의 언론 반응은 동서양의 대중들에게 동유럽 공산주의 통치자들이 자신들의 권력 영역에서 권력을 잃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들은 더 이상 이 일의 설계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합스부르크는 폴란드에 전단을 멀리 배포했고, 동독의 휴가를 보내는 사람들을 소풍에 초대한 것입니다. 야유회에 오면 선물과 음식, 도이치 마크를 받고 설득을 해서 서방으로 오게 된 겁니다." 특히 합스부르크와 임레 포즈가이 헝가리 국무장관은 러시아가 헝가리에 주둔한 소련군에 개입할 지휘권을 부여할지 검토했습니다.[30] 그러나 범유럽 소풍의 대규모 탈출과 함께 동독 사회주의통일당의 주저하는 행동과 소련의 개입이 댐을 무너뜨렸습니다. 그리하여 동구권의 반열이 무너졌습니다.[31]
언론에 정통한 수만 명의 동독인들은 이제 헝가리로 향했습니다. 헝가리는 국경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국경 부대에 무력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1989년 9월 말까지, 동독 시민 3만명 이상이 헝가리 여행을 거부하기 전에 서독으로 탈출했고,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독인들이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이웃 국가가 되었습니다.[32][33]
그때에도 독일 안팎의 많은 사람들은 두 나라의 진정한 통일이 가까운 미래에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34] 1989년 11월 9일 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동서독은 40년 이상 전에 독일인들에게 부과되었던 분단을 없애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면서, Die Wende라고 불리는 독일의 전환점은 "평화 혁명"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
통일과정
협력.
1989년 11월 28일, 헬무트 콜 서독 총리는 베를린 장벽 붕괴 2주 후, 두 독일이 궁극적인 통일을 목표로 협력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는 10개 항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35]
처음에는 시간표가 제안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사건들은 1990년 초에 빠르게 정점에 이르렀습니다. 첫째, 지난 3월 동독 최초의 자유선거에서 독일의 옛 사회주의통일당인 민주사회당이 크게 패배했습니다. 콜의 기독민주연합 동독지부의 지도자 로타르 드 마이지에르(Lothar de Maizière)가 이끄는 대연정이 빠른 통일의 강령 위에서 형성되었습니다. 둘째, 동독의 경제와 인프라는 거의 완전한 붕괴를 겪었습니다. 비록 동독은 오랫동안 소련권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력을 가진 국가로 여겨졌지만, 공산주의 패권의 제거는 그 체제의 근본을 드러냈습니다. 동독 마르크화는 1989-1990년의 사건이 있기 전까지 한동안 동독 밖에서는 거의 가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동독 경제의 붕괴는 문제를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경제병합
독일 경제의 긴급 합병에 대한 논의가 즉시 시작되었습니다. 1990년 5월 18일, 두 독일 국가는 통화, 경제, 사회 통합에 합의하는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이 조약은 Vertragüber die Schaffung einer Währungs-, Wirtschafts- und Sozial union zwische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der Bundesrepublik Democratischen "통화 설정 조약"이라고 불립니다. 독일 민주 공화국과 독일 연방 공화국의 경제 사회 연합()[36]은 1990년 7월 1일에 서독의 도이치 마르크가 동독의 공식 통화로 대체되면서 발효되었습니다. 도이치 마크는 동독인들 사이에서 매우 높은 명성을 얻었고, 안정적이라고 여겨졌습니다.[37] GDR이 서독에 금융정책 주권을 이양하는 동안 서방은 GDR 예산과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38] 동시에, 많은 서독 법률들이 GDR에서 시행되었습니다. 이것은 기존의 두 정치, 사회, 경제 체제 사이의 큰 격차를 줄임으로써 정치적 연합을 위한 적합한 틀을 만들었습니다.[38]
독일 통일 조약
1990년 8월 23일 동독 의회인 폴크스카머는 독일민주공화국의 독일연방공화국 가입(Beitritt)을 선언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그리고 1990년 10월 3일 발효된 서독 기본법 제23조에 의해 허용된 동독의 영토에 대한 연방공화국 기본법의 적용 분야의 확장.[39][40][41] 이 가입 선언(Beitrittserklärung)은 1990년 8월 25일자 서한을 통해 독일 연방의회 의장인 사빈 베르그만폴이 공식적으로 서독 연방의회 의장인 리타 쉬스무트에게 제출했습니다.[41] 그리하여 형식적으로는 동독의 서독 가입에 의한 통일 절차와 서독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동독의 기본법 수용 절차가 동독의 일방적이고 주권적인 결정으로 개시된 것이고, 당시 존재했던 서독 기본법 제23조의 규정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이 가입 결의에 따라 1990년 7월 2일부터 독일 양국 간에 협상이 진행되어 온 '독일 통일 조약'([42][43][44]통일 조약)은 1990년 8월 31일 양국 정부 대표들에 의해 서명되었습니다. 이 조약은 독일연방공화국과 독일민주공화국의 공식 명칭인 독일연방공화국(Vertrag zwisch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s under Deutschen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über die Herstellung der Einheit Deutschlands)에 의해 제정된 조약으로, 1990년 9월 20일, 서독 연방에서 442–47, 동독 폴크스카머에서 299–80으로 양국 의회의 다수결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45] 이 조약은 1990년 9월 21일 서독 연방 참사원을 통과했습니다. 통일 조약에서 예견되거나 그 이행에 필요한 연방 공화국 기본법 개정안은 1990년 9월 23일 독일 연방 공화국법의 일부로 조약의 편입을 제정한 연방 법령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조약 및 의정서의 전문을 부속서로 포함하는 이 연방 법령은 1990년 9월 28일 연방 법률 발간을 위한 공식 저널(Bundesgesetzblatt)에 게재되었습니다.[46] 독일 민주 공화국에서도 1990년 9월 28일 조약에 효력을 부여하는 헌법 법률(Verfassungsgesetz)이 발표되었습니다.[41] 헌법의 일부로 조약이 채택되면서 동독은 독자적인 폐지를 별도의 국가로 입법화했습니다.
조약 제45조에 [47]따라 1990년 9월 29일 동독과 서독에서 조약 채택을 위한 각각의 내부 구성 요건의 완료에 관한 통지를 교환하면서 국제법에 따라 발효되었습니다. 그 마지막 단계로, 그리고 조약 제1조에 따라, 그리고 연방 공화국에 제출된 동독의 가입 선언에 따라, 독일은 1990년 10월 3일 0:00 CEST에서 공식적으로 재결합되었습니다. 동독은 브란덴부르크, 메클렌부르크-서포메라니아, 작센, 작센-안할트, 튀링겐의 5개 란데르 주로서 연방 공화국에 가입했습니다. 이 주들은 동독의 다섯 개의 원래 주들이었지만 1952년에 중앙집권제를 찬성하기 위해 폐지되었습니다. 5월 18일 조약의 일환으로 8월 23일 동독의 5개 주가 재건되었습니다. 동독의 수도 동베를린은 서독의 실질적인 일부였던 서베를린과 재결합하여 브레멘과 함부르크에 이어 세 번째 도시국가로 연방공화국에 합류한 베를린의 도시를 형성했습니다. 베를린은 공식적으로 연합국의 점령 하에 있었으나, 1990년 10월 3일부터 베를린의 수도로서 행정적 합병과 확대된 연방 공화국으로의 편입은 4개 연합국에 의해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그리고 1990년 10월 2일 연합군 통제 위원회의 최종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습니다. 1990년 10월 3일 자정을 기해 독일 통일의 순간을 알리는 서독의 흑적색-금기가 브란덴부르크 문 위에 게양되었습니다.
헌법합치
선택된 과정은 1949년 서독 헌법(Grundgesetz 또는 기본법)에서 궁극적인 통일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된 두 가지 옵션 중 하나였습니다. 기본법은 독일 국민 전체가 영구 헌법을 채택할 수 있을 때까지 임시로 사용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명시했습니다. 그 문서의 (당시 존재했던) 제23조를 통해, 새로운 예비 렌더는 단순 다수결로 기본법을 준수할 수 있었습니다. 1949년의 초기 11개 가입국은 트리존을 구성했습니다. 서베를린은 12번째 주로 제안되었지만 베를린 전체가 법적으로 4분의 1로 점령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연합군의 반대로 법적으로 금지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베를린의 정치적 소속은 서독에 있었고, 많은 분야에서 서독의 구성 국가처럼 사실상 기능했습니다. 1957년 1월 1일, 재통일 전, Saarland의 영토. 프랑스의 보호령 (1947–1956)은 서독 (재가입된 독일)과 연방 공화국의 12번째 주로서 통일되었습니다. 그러나 사르 보호령 자체는 소련에 의해 반대되어 분쟁 지역 중 하나에 불과했지만 이것은 "작은 통일"이라고 불렸습니다.
다른 선택지는 통일 독일의 영구 헌법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146조였습니다. 이 경로는 두 독일 국가 사이에 공식적인 연합을 수반했을 것이고, 그 때 무엇보다도 새로 설립된 국가를 위해 새로운 헌법을 만들어야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1990년 봄이 되자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해서는 서독의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랜 협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지 않아도 1990년 초 동독은 경제적, 정치적으로 붕괴된 상태였습니다. 이에 반해 23조에 따른 통일은 6개월 안에 이루어질 수 있었습니다. 결국 통화·경제·사회적 결합에 관한 조약이 체결되면 23조의 보다 빠른 절차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동독은 스스로를 해산하고 서독에 가입하기로 의결했고, 기본법이 시행된 영역은 단순히 이들을 포함하는 범위로 확장되었습니다.[48] 따라서, 법적으로 동독 전체가 연방 공화국에 가입한 반면, 동독의 구성 지역들은 5개의 새로운 주로서 연방 공화국에 들어갔고, 1990년 10월 14일에 첫 선거를 치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폴크스카머의 연방공화국 가입선언이 통일의 과정을 시작하기는 하였지만, 통일이라는 행위 자체는 (그 많은 구체적인 조건과 조건, 자격을 갖추고, 그 중 일부는 기본법 자체에 대한 개정을 요구함)는 1990년 8월 31일 통일 조약에 의해 헌법적으로 달성되었습니다. 즉, 구 GDR과 연방 공화국 간의 구속력 있는 협정을 통해 이제 국제법에서 서로를 별개의 주권 국가로 인정합니다.[49] 그 후 이 조약은 헌법적으로 2/3의 과반수를 필요로 하는 헌법에 의해 폴크스카머와 연방의회 모두에 의해 발효되었고, 한편으로는 GDR의 소멸, 다른 한편으로는 합의된 연방 공화국 기본법 개정안에 의해 발효되었습니다. 따라서 GDR은 기본법 제23조에 따라 연방공화국에 가입을 선언했지만, 이는 기본법을 그대로 수용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통일조약에 따라 개정된 기본법을 수용한다는 의미였습니다.
법적으로, 통일은 이 둘 중에서 제3의 국가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서독은 동독을 사실상 흡수했습니다. 이에 따라 1990년 10월 3일 통일의 날, 독일민주공화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이전 영토에 있던 5개의 새로운 연방 국가들이 독일연방공화국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은 확대된 연방 공화국의 세 번째 본격적인 연합 도시 국가로 재결합했습니다. 통일된 도시는 확대된 연방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습니다. 이 모델 아래 구 GDR의 5개 주와 통일 베를린으로 확대된 독일 연방 공화국은 1949년 5월에 설립된 것과 같은 법인격 아래 계속 존재했습니다.
기본법이 개정되기는 했지만, 그러한 헌법으로 대체되기는커녕, 앞으로도 언젠가는 독일 국민이 정식 헌법을 채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베를린 통일
도시 계획의 맥락에서, 풍부한 새로운 기회와 두 개의 이전 독립 국가들이 다시 합류한다는 상징성 외에도, 베를린의 통일은 수많은 도전들을 제시했습니다. 그 도시는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을 포함하는 대규모 재개발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도시의 중심부를 직접 관통하는 장벽이 남긴 "흉터"는 계획이 여전히 해결해야 할 도시 환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50]
베를린의 통일은 도시 환경에 대한 법적, 정치적, 기술적 문제를 제시했습니다.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도시의 정치적 분열과 물리적 분리는 동양과 서양이 그들만의 독특한 도시 형태를 발전시키는 것을 보았고, 이러한 많은 차이점들은 오늘날까지 여전히 볼 수 있습니다.[51] 독일의 도시계획은 시 정부의 책임이기 [52]때문에, 동서 베를린의 통합은 장벽의 붕괴와 함께 기존의 계획 틀이 쓸모없게 되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복잡했습니다.[53] 도시가 통일되기 전인 1988년의 토지이용계획과 1980년의 일반개발계획은 각각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의 공간계획 기준을 규정했습니다.[53] 이것들은 1994년에 새로운 통일된 토지 이용 계획으로 대체되었습니다.[53] "비판적 재건"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정책은 베를린의 전쟁 전 미학을 되살리는 것을 목표로 했고,[54] 그것은 "내부 도시 계획 프레임워크"라는 제목의 베를린 시내를 위한 전략적 계획 문서에 의해 보완되었습니다.[54]
1990년 10월 3일 GDR이 해체된 후 사회주의 전체주의 체제하의 모든 계획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습니다.[55] 동베를린의 공터, 공터, 빈 들판은 이전에 장벽과 관련 완충 지대가 차지했던 공간 외에도 재개발 대상이었습니다.[52] 이러한 장소들 중 많은 것들이 통일 도시의 중심적이고 전략적인 위치에 위치해 있었습니다.[53]
독일 통일의 날
1990년 구 동독과 서독의 공식적인 통일을 기념하기 위해, 10월 3일은 그 이후로 독일의 공식적인 국경일인 독일 통일의 날(Tag der deutschen Einheit)이었습니다. 이는 1953년 동독 봉기를 기념하는 6월 17일 서독에서 열린 이전의 국경일과 동독 국가의 건국을 기념하는 10월 7일 국경일을 대체했습니다.[38] 통일을 기념하기 전에 대안적인 선택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날일 수 있었습니다: 1989년 11월 9일은 1918년 독일 공화국 선포 기념일과 1923년 히틀러의 첫 번째 쿠데타 패배와 일치했습니다. 그러나 11월 9일은 1938년(크리스탈나이트) 나치가 주도한 유대인에 대한 첫 대규모 포그롬이 일어난 기념일이기도 해서 이 날은 국경일로 부적합하게 여겨졌습니다.[56][57]
국내반대
냉전시대 내내 그리고 1990년까지, 통일은 가능성이 없어 보였고 두 독일 국가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확립된, 바꿀 수 없는 사실로 여겨졌습니다.[58] 헬무트 콜은 1983년 서독 연방 선거에서 이 문제를 간단히 다루면서, 독일 국민 통합에 대한 자신의 신념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이전의 국민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80년대에 통일된 독일 국가에 대한 반대와 두 독일 국가 간의 지속적인 평화 공존을 지지하는 것은 서독의 좌파 정당들, 특히 SPD와 녹색당 사이에서 매우 흔한 일이었습니다. 독일의 분단은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여겨졌고, 또 다른 독일 국가의 출현은 서독 민주주의에도 위험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1981년 독일의 홍보 담당자 피터 벤더(Peter Bender )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두 세계 대전의 기원에서 독일이 수행한 역할을 고려할 때, 유럽은 주권 국가인 새로운 독일 제국을 원할 수 없고, 독일인들은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비스마르크가 언급한 것처럼 프로이센 정부 감사실보다 더 정확한 역사의 논리입니다."[58] 통일에 대한 의견은 매우 당파적일 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적 분열에 따라 양극화되었습니다. 35세 이하의 독일인들은 통일에 반대하는 반면, 나이가 많은 응답자들은 더 지지하는 반면, 저소득 독일인들은 통일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었고, 부유한 응답자들은 통일에 찬성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59] 결국 1990년 7월에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통일의 주된 동기는 민족주의보다는 경제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9][60]
1980년대 후반의 여론조사는 젊은 동독인들과 서독인들이 서로를 외국인으로 보고, 자신들을 하나의 국가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58]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윙클러는 "1989년 독일 기록보관소의 해당 데이터를 평가한 결과 젊은 세대의 상당수가 GDR을 더 이상 독일의 일부가 아닌 다른 사회 질서를 가진 외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58] Winkler는 통일이 대중의 의견의 산물이 아니라 "최고 수준의 위기 관리"였다고 주장합니다.[58] 통일 독일이 1989년 가을에 가시적인 현실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독일에 대한 지지는 낮아졌습니다.[59] 1989년 12월 슈피겔의 여론조사는 동독을 독립국가로 유지하는 것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나타냈습니다.[61] 그러나 SED 구성원은 응답자 중에서 과잉 대표되어 전체 인구의 13%를 차지했지만, 조사 대상자의 23%를 차지했습니다. 폰드는 1989년 11월 4일 동베를린에서 열린 학생 시위를 보도하면서 "사실상 서방 기자들이 인터뷰한 시위자들 중 누구도 연방 공화국과의 통일을 원한다고 말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61] 서독에서는 신속한 통일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국민들은 우려의 반응을 보였습니다.[59] 1990년 2월, 서독인의 3분의 2는 통일의 속도를 "너무 빠르다"고 생각했습니다. 1990년 4월 여론조사에 따르면 서독인들은 동독에서 서독으로 이주한 사람들을 환영하는 비율은 11%에 불과했습니다.[59]
1993년 4월 알렌스바흐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서독인의 22%와 동독인의 11%만이 자신을 하나의 국가라고 생각했습니다.[58] 돌로레스 L. 아우구스티누스 de]는 옛 분열이 지속되고 독일인들은 여전히 그들 자신을 두 개의 별개의 사람으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별개의 지역적 이익에 따라 행동했기 때문에 "벽이 무너진 후 행복한 시기에 동독인과 서독인이 느낀 일체감은 모두 너무 일시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관찰했습니다.[62] 이 페모네논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음에도 불구하고 동독인과 서독인 사이에 "심리적인 장벽"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하면서 마우어임 코프("머리 속의 벽")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동독의 정치체제에 대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동독인들의 역사와 정체성을 대변했다고 주장합니다. 통일은 반발을 일으켰고, 사유화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인 트뢰한단스탈트는 동양에서 대량 실업과 빈곤을 초래했다는 비난을 받았습니다.[62]
사회단체 및 인물
통일 반대론자들의 영향력 있는 부분은 소위 반독일주의자들이었습니다.[63] 좌파 학생에서 나온 반독일인들은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독일 민족주의에 강하게 반대하면서 통일된 독일 국가가 출현하면 파시즘(나치즘)의 귀환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들은 1980년대와 1990년대 독일의 사회적, 정치적 역동성을 1930년대와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보고, 새로운 반시온주의, 통일 정서, 범게르만주의의 재등장을 비난했습니다. 1989년 독일 통일에 대한 지지 때문에 SPD를 떠난 헤르만 L. 그렘리자(Hermann L. Gremliza)는 대부분의 주요 정당들의 통일에 대한 보편적인 지지에 반발하여 1933년 독일 국가를 부르면서 "사회민주당이 나치당에 가입했다"고 말했습니다. 히틀러의 외교 정책 선언 이후." 1990년 독일 통일에 반대하는 반 독일인들의 시위는 수천 명의 관심을 끌었습니다.[63]
스테판 브록만(Stephen Brockmann)에 따르면, 독일의 통일은 소수 민족들, 특히 동독의 소수 민족들에 의해 두려움과 반대를 받았습니다.[60] 그는 "GDR에서 1990년 내내 우파 폭력이 증가하고 있었고, 외국인 혐오증과 관련된 구타, 강간, 싸움의 빈번한 사례가 있었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통일 당일 밤 라이프치히에서 경찰 봉쇄로 이어졌습니다.[60] 폴란드와의 긴장은 높았고, 소르브인들과 같은 많은 내부 소수 민족들은 더 이상의 이주나 동화주의 정책을 두려워했습니다. 소르브인들은 GDR에서 법적 보호를 받았고, 동독에서 그들에게 부여된 권리가 궁극적으로 통일된 독일의 법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결국 1994년 통일 이후의 기본법 개혁에 소수민족 보호에 관한 조항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64] 정치인들은 새로운 다민족 사회의 수용을 요구하는 반면, 많은 사람들은 독일 국적에 대한 전통적인 인종 정의를 포기하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페미니스트 단체들은 또한 낙태법이 서독보다 동독에서 덜 제한적이었고, GDR이 법적 평등, 보육 및 재정 지원과 같은 여성 복지와 관련하여 이룬 진전이 "서구에서 덜 인상적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통일에 반대했습니다.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단일화에 대한 반발이 컸습니다. Christa Wolf와 Manfred Stolpe는 동독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첫 시간 동안 시민들의 계획, 교회 단체, 그리고 지식인들은 연방 공화국에 의한 GDR의 안슐루스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경고를 하기 시작했습니다."[60][62] 많은 동독의 반대자들과 개혁가들은 독립적이고 민주적인 사회주의 동독의 "제3의 길"을 지지했습니다.[60] 슈테판 헤임은 민주사회주의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GDR의 보존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동독인들에게 민주사회주의 사회를 지지하는 "자본주의적 합병"에 반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60] 두 나라의 작가들은 각각 동독이나 서독의 문화적 정체성이 파괴되는 것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프랑크 쉬르마허는 "연방공화국의 문학에 작별을 고하다"에서 두 나라의 문학이 양국의 의식과 독특한 정체성의 중심이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새롭게 발전된 문화가 다가오는 통일로 인해 지금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60]
199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귄터 그라스도 2차 세계대전의 비극적 기억을 이유로 들며 독일 통일에 격렬한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60] 그라스에 따르면, 국가 사회주의와 홀로코스트의 출현은 독일이 통일된 국가로서 존재할 권리를 박탈했다고 합니다. "역사적 책임은 아무리 불가피해 보이더라도 통일에 대한 반대를 결정합니다."[60] 그는 또한 "독일의 문화와 철학의 꽃이 피는 것은 성과가 있는 국가적 분열이 있을 때만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적 승리가 문화적 패배를 위협한다"고 주장했고,[60]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1871년 독일의 첫 번째 통일에 반대한 것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독일의 번영에 미친 영향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독립성을 잃고 지방 도시로 편입된다면 그들은 지금의 모습을 유지할 것인가요?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65] 그라스는 또한 통일을 "지금까지 모든 기쁨이 없었던 금전적인 페티시"라고 부르며, 필리스주의자이자 순수한 물질주의자라고 비난했습니다. 하이너 뮐러는 동독인들에게 "우리는 꿈이 없는 나라가 될 것이고, 우리의 기억과 과거, 그러므로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을 잃을 것입니다"라고 경고하면서 통일 과정에 대한 그라스의 비판을 지지했습니다.[60]
외국의 지지와 반대
독일군을 두 번이나 격파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이 돌아왔습니다!
— Margaret Thatcher, December 1989[66]
수십 년 동안 서독의 동맹국들은 통일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홀로코스트에서 "수백만 명의 유대인을 죽이기로 결정한" 나라가 "다시 시도할 것"이라고 추측한 이스라엘 총리 이츠하크 샤미르는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몇 안 되는 세계 지도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러나 통일이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자리잡으면서 나토와 유럽의 반발이 사석에 드러났습니다.[67]
1990년 1월 4개국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조사된 미국인과 프랑스인의 대다수가 통일을 지지하는 반면, 영국인과 폴란드인은 더 많이 나뉘었습니다: 폴란드인의 69%와 프랑스인과 영국인의 50%는 통일된 독일이 "유럽의 지배적인 국가"가 되는 것을 걱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조사 대상자들은 독일이 다시 영토를 확장하려는 시도, 나치즘의 부활, 독일 경제가 너무 강력해지는 것을 포함하여 몇 가지 우려 사항을 언급했습니다. 영국, 프랑스, 미국은 독일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으로 남아있는 것을 선호했지만, 폴란드인 대다수는 통일국가의 중립을 지지했습니다.[69]
핵심 동맹국은 미국이었습니다. 비록 일부 미국의 고위 관리들은 빠른 통일을 반대했지만, 국무 장관 James A. 베이커와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콜의 제안을 강력하고 결정적으로 지지했습니다.[70][71][d]
영국과 프랑스
마가렛 대처는 독일 통일에 대해 가장 열렬한 반대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전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는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에게 영국도, 서유럽도 독일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대처는 또한 고르바초프에게 "우리는 통일된 독일을 원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소련 지도자가 그것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습니다.[73] 비록 그녀는 동독의 민주주의를 환영했지만, 대처는 빠른 통일이 고르바초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걱정했고 통일된 독일의 균형추 역할을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오랫동안 동독에 남아있는 소련군을 선호했습니다.[67][74]
다른 사람들에게 "독일 문제"를 보여주기 위해 독일의 1937년 국경 지도를 핸드백에 들고 다녔던 대처는 독일의 "국가적 성격", 크기, 그리고 유럽의 중심 위치가 이 나라를 "유럽의 안정화 세력이라기보다는 불안정한 세력"으로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74] 1989년 12월, 그녀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이사회 정상회담에서 콜이 참석한 유럽 공동체 지도자들에게 경고했습니다. "우리는 독일을 두 번 이겼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이 돌아왔습니다!"[67][66] 대처는 1985년 독일의 자주적인 결정을 지지한다고 말했지만, [74]이제 독일의 동맹국들이 통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믿지 않았기 때문에 통일을 지지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67] 대처 총리는 통일을 위해 5년의 과도기를 선호했고, 그 기간 동안 두 독일은 별개의 국가로 남게 되었습니다. 비록 그녀의 반대를 점차 누그러뜨렸지만, 1990년 3월, 대처는 역사학자들과 외교관들을 체커스의 세미나에 불러 "독일인들은 얼마나 위험한가?"[74][66]를 물었고, 런던의 프랑스 대사는 대처가 그에게 "프랑스와 영국은 독일의 위협에 직면하여 오늘 함께 협력해야 한다"[75][76]고 말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사건의 속도는 1989년 10월 외교부가 통일이 "현재 현실적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린 프랑스를 놀라게 했습니다.[77] 보도에 따르면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의 한 대표는 고르바초프의 측근에게 "프랑스는 비록 독일의 통일이 결국 불가피하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결코 독일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73]고 말했습니다. 스트라스부르 정상회담에서 미테랑과 대처 총리는 독일의 역사적 국경의 유동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67] 1990년 1월 20일, 미테랑은 대처에게 통일된 독일은 "아돌프가 가졌던 것보다 더 많은 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75] 그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잃어버린 옛 독일 영토를 되찾고 헝가리,[66]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를 지배할 가능성이 있는 "나쁜" 독일인들이 다시 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74] 그러나 두 정상은 "아무도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지 않을 것"이라며 통일을 막을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67] Mitterrand는 대처 전에 통일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견해를 조정했습니다. 그녀와 달리, 그는 단일 통화와 다른 유럽 기관에 참여하는 것이 통일된 독일을 통제할 수 있기를 희망했습니다.[74] 그러나 미테랑은 대처가 독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어내기를 공개적으로 반대하기를 여전히 원했습니다.[66]
나머지 유럽
저는 독일을 너무 좋아해서 그 중 두 곳을 보는 것을 선호합니다.
— Giulio Andreotti, Prime Minister of Italy, quoting François Mauriac[78]
아일랜드의 Taoiseach의 Charles Haughey는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고, 그는 1990년 4월 더블린에서 유럽 경제 공동체의 회장직을 이용하여 EEC 회원국들의 두려움을 잠재우기 위해 임시 유럽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79][80][81] Haughey는 아일랜드와 독일의 유사점을 보고 "나는 우리가 분단되어 있는 나라에서 온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통일을 바라는 두 독일 국가의 어떤 소망에도 공감을 가질 것이라는 개인적인 견해를 표명했습니다"[82]라고 말했습니다. 이후 슈피겔은 당시 다른 유럽 지도자들의 통일에 대한 의견을 "얼음판"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이탈리아의 줄리오 안드레오티는 "범독일주의"의 부활을 경고했고 네덜란드의 루드 루버스는 독일의 자기 결정권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들은 독일 군국주의로의 회귀와 통일 국가의 경제력에 대한 영국과 프랑스의 우려를 공유했습니다. 통일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면 최소한 1995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훨씬 나중에 통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의견 일치였습니다.[67]
최종정산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자인 프랑스, 소련, 영국, 미국은 항공 여행과 베를린의 정치적 지위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습니다. 처음부터 소련은 독일을 NATO로부터 중립국으로 밀어내고 영토에서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일을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서독은 1989년 11월 21일 이 주제에 대한 외교 메시지를 장벽 붕괴 후 2주 만에 소련 지도부가 이미 통일을 예상했다는 의미로 잘못 해석했습니다. 이 믿음과 그의 경쟁자 겐셔가 먼저 행동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는 11월 28일 콜이 "독일과 유럽의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10가지 포인트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발표하도록 격려했습니다. 그의 연설은 서독 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지만, 그것은 그가 그 계획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던 다른 유럽 정부들 사이에서 우려를 일으켰습니다.[67][83]
미국인들은 독일의 팽창주의에 대한 유럽인들과 소련인들의 역사적 두려움을 공유하지 않았습니다. 콘돌리자 라이스는 나중에 다음과 같이 회상했습니다.[84]
미국과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독일이 오랜 민주적 전환을 겪었음을 인정했습니다. 좋은 친구였어요, 나토 회원국이었어요. 1945년에 존재했던 모든 문제는 그것들을 쉬게 하는 것이 완벽하게 합리적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우리에게는 독일이 통일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이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그랬습니까? 우리는 독일의 부활을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독일이 NATO에 잔류하는 것을 보장하기를 원했습니다. 1989년 12월, 조지 H. W. 부시 대통령 행정부는 통일 독일의 지속적인 NATO 가입을 통일을 지지하는 요건으로 만들었습니다. 콜은 동의했지만, 서독인의 20% 미만이 나토 내 잔류를 지지했습니다. 콜은 또한 중립국인 독일이 나토를 파괴하고, 미국과 캐나다가 유럽을 떠나고, 영국과 프랑스가 반독일 동맹을 맺게 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독일을 피하고 싶었습니다. 미국은 그렇지 않으면 나토의 비판자인 오스카 라퐁텐이 총리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해 콜의 정책에 대한 지지를 높였습니다.[67] 콜의 외교 정책 고문인 호르스트 텔치크는 나중에 소련이 요구했다면 독일은 "1,000억 독일 마르크"를 지불했을 것이라고 회상했습니다. 그러나 소련은 1990년 2월 고르바초프가 "독일인들이 어떤 길을 선택할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그렇게 큰 요구를 하지 않았습니다. 1990년 5월, 그는 부시 대통령을 만나 나토 회원국이라는 맥락에서 자신의 발언을 되풀이해 미국과 독일 모두를 놀라게 했습니다.[67] 이로써 콜 총리는 통일 독일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유럽연합(EC)에서 서독의 의석을 물려받으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국제동맹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주요 장애물을 제거했습니다.
겐셔는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NATO-바르샤바 조약 회의에서 패전국이 아닌 두 독일을 동등하게 대하고 6개국이 단독으로 협상하도록 4강을 설득했습니다.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등 NATO 강대국들은 동맹의 경계를 바꿀 수 있는 그런 구조에 반대했지만, 6개국은 1990년 3월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고르바초프의 5월 독일 나토 가입에 대한 합의 이후, 소련은 옛 동독 영토가 외국 나토군이나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독일을 평범한 나토 국가로 취급하기로 추가 합의했습니다. 그 대가로, 콜은 서독과 동독의 군대 규모를 줄이고, 대량살상무기를 포기하며, 전후 오데르-나이세 선을 독일의 동쪽 국경으로 받아들이기로 동의했습니다. 게다가, 독일은 소련에게 서독 국내총생산의 8일에 해당하는 약 550억 마르크를 선물과 차관으로 지불하기로 [67]합의했습니다. 독일의 통일을 반대하기 위해, 영국은 소련의 반대에 반하여 NATO가 구 동독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고 끝까지 주장했습니다. 대처는 나중에 통일에 대한 그녀의 반대가 "명백한 실패"였다고 썼습니다.[74]
독일의 주권과 연합군의 철수
1991년 3월 15일, 1990년 9월 12일 모스크바에서 당시 동서독이 한 쪽에 존재했던 두 독일 국가와 연합국(영국, 프랑스, 소련)이 체결한 독일에 대한 최종 해결 조약. 한편, 미국은 독일 연방 공화국(통일 후 독일로서)과 연합국 4개국의 비준을 받아 발효되었습니다. 이 조약의 발효(이 조약에 서명한 두 독일 국가와 네 개의 연합국 정부와 관련하여 "투 플러스 4 조약"이라고도 함)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협정으로 인해 독일의 주권과 ACC에 남아있던 제한에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미국이 개입한 후,[67] 영국과 프랑스는 1990년 9월 독일에 대한 최종 해결에 관한 조약을 비준했습니다. 이 조약은 1991년 3월 15일에 발효되었으며, 2+4 조약 제9조에 따라 모든 비준이 독일 정부에 기탁됨으로써 국제법의 목적을 위한 통일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조약을 비준한 마지막 당사국은 1991년 3월 15일에 비준서를 기탁한 소련이었습니다.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1991년 3월 4일에야 무거운 논쟁 끝에 조약 비준을 승인했습니다. 조약이 비준되기 이전에도 1990년 10월 3일 독일의 통일로부터 효력이 발생하고 2+4조약의 최종 비준이 있을 때까지 독일 내 모든 4자 연합기관의 운영이 중단되었고, 1990년 10월 1일 뉴욕에서 연합국 4개국 외무장관들이 서명한 선언문에 따르면 당시 독일 2개국 장관들이 이를 목격했으며, 이는 2+4 조약의 본문이 추가된 것입니다.[85] 그러나 소련은 조약이 발효되기 이틀 전인 1991년 3월 13일에야 마지막으로 그들의 점령권을 언급했습니다. 호네커는 소련 강경파에 의해 소련이 통제하는 스페렌베르크 비행장에서 모스크바로 군용기를 타고 독일을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독일 연방정부가 1시간 전에 이 사실을 통보받은 상황에서 말입니다.[86]
최종 타결에 관한 조약(독일 양국 간에만 체결된 통일 조약과 혼동되어서는 안 되는)에 따라 독일에 남아 있는 마지막 연합군은 1994년 12월 31일을 남은 연합군의 철수 시한으로 정한 조약 제4조에 따라 1994년에 떠났습니다. 1994년 6월 25일, 대규모의 러시아 지상군은 베를린에서 열린 제6기동차소총여단의 열병식과 함께 독일을 떠났습니다. 이 사건은 1994년 7월 12일에 미국 육군 베를린 사령부의 폐쇄로 이어졌는데, 이 사건은 빌 클린턴 대통령이 목격한 컬러 세리머니의 케이스로 특징지어졌습니다. 1994년 8월 31일 러시아군의 마지막 철수가 완료되었고, 베를린의 트렙토우 공원에서 옐친 러시아 대통령과 콜 독일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군사 기념식으로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87] 영국군, 미국군, 프랑스군의 대부분이 러시아군의 철수 전부터 독일을 떠났지만, 서방 연합군은 러시아군의 철수가 완료될 때까지 베를린에 주둔했고, 서방 연합군의 남은 부대의 철수를 기념하는 행사는 1994년 9월 8일에 마지막으로 열렸습니다.[88] 샤를로텐부르크 궁전 뜰에서 영국 총리 존 메이저, 미국 국무장관 워렌 크리스토퍼,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독일 총리 헬무트 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환송식에서 영국, 미국, 프랑스 점령군의 베를린 철수를 알렸습니다. 그리고 연합군의 독일 점령 종료.[87] 따라서 연합군의 주둔지 제거는 최종 마감일 몇 달 전에 이루어졌습니다.
제5조는 과거 GDR이 통제했던 영토에 핵무기를 배치하는 것과 독일인이 아닌 군인의 주둔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89]
폴란드 국경
1990년 11월 14일, 독일과 폴란드는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을 체결하여 독일의 동쪽 경계를 오데르-(루사티아-서방) 네이스선을 따라 영구적인 것으로 확정하였고, 따라서 실레시아, 동브란덴부르크, 포메라니아의 대부분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동프로이센 지방의 남부 지역(한때 피아스트폴란드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폴란드에 의해 "복구된 영토"라고 불림).[e] 그 다음 달, 1932년 이래 처음으로 독일 전체의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 헬무트 콜 총리의 연립 정부가 다수당이 되었습니다.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은 1991년 11월 26일 폴란드 의회와 12월 16일 독일 연방의회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1992년 1월 16일 비준서 교환과 함께 발효되었습니다. 독일과 폴란드의 국경 확인은 2+4조약에서 연합국 4개국이 독일에 요구했습니다. 이 조약은 이후 1992년 1월 16일 발효된 양국 간의 우호조약에 의해 보완되었고, 폴란드(대부분 상실레지아)에 남아있는 소수의 독일인들이 주재국 정부에 의해 더 나은 대우를 받게 되었습니다.
영향들
국제적 효과
통일은 독일을 다시 세계의 강대국으로 만들었습니다. 선택된 통일의 법률모델(독일연방공화국에 의한 독일민주공화국의 영토 편입, 그리고 현재 확대된 연방공화국의 법인격의 지속)은 확대된 독일 연방공화국이 UN, NATO, 유럽공동체 및 기타 국제기구에서 구서독의 자리를 계승한 것입니다. 또한 통일의 순간 이전에 구서독이 체결한 모든 조약의 당사국이기도 했습니다. 통일조약에 따라 개정된 연방공화국에서 시행되었던 기본법과 법령은 자동적으로 계속 시행되었으나 현재는 확장된 영토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동일한 대통령, 수상(총리), 연방 공화국 정부가 재임했지만, 그들의 관할권은 이제 새로 획득한 구 동독의 영토를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다른 나라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독일 헌법에 근본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전문과 제146조가 개정되어 제23조가 대체되었으나 삭제된 종전 제23조가 1990년 통일에 사용될 헌법 모델로 적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동독의 5개의 "뉴 렌더"가 가입하기 전에, 독일의 모든 지역이 통일될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기본법이 개정되어, 독일은 더 이상 독일의 옛 동부 영토를 포함하는 것을 더 이상 헌법적으로 개방된 것으로 간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폴란드와 러시아의 일부(구소련이 합병한 독일 영토는 러시아의 일부)였으며, 폴란드인과 러시아인이 각각 정착했습니다. 그 변화는 사실상 오데르-나이세 선을 독일의 영구적인 동쪽 국경으로 공식화했습니다. 이러한 기본법 개정안은 2+4조약 제1조 제4항에 의해 위임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국내효과
구 동독과 서독은 생활 방식, 부, 정치적 신념 등에서 큰 차이가 남아 있고, 따라서 지금도 동독과 서독을 구분해서 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것은 종종 "머리 속의 벽" (Mauer im Kopf)이라고 불립니다.[90] 오시스(동양인)는 인종차별적이고, 가난하며,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많이 [91]받는 반면, 웨시스(동양인)는 보통 속물적이고, 정직하지 않고, 부유하고, 이기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동독인들은 독일의 나머지 국가들로부터 현상유지와 문화적 소외에 대한 불만과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이 지금의 통일된 독일에서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서양은 동양이 할 말에 관심이 없어졌고, 이로 인해 동양에 대한 분노가 커져 분열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서구와 동양 모두 열린 마음의 대화를 지속하지 못했고, 제도적 경로 의존성의 효과를 파악하지 못해 양측이 느끼는 좌절감이 커졌습니다.[92]
통일 이후 동부 독일의 경제는 어려움을 겪었고, 여전히 많은 보조금이 서부에서 동부로 이전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동부 독일은 10퍼센트의 급격한 상승으로 서독의 5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서독 역시 여전히 국내총생산의 56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서양의 격차의 일부는 서구 노동조합이 "저임금 지대"를 막기 위해 고임금 조약을 요구한 데 있습니다. 이것은 많은 동양 출신의 독일인들이 시장에서 가격보다 비싸게 팔리게 만들었고, 실업률 증가뿐만 아니라 동부 독일의 사업체들의 침체를 더했습니다.[93] 구 동독 지역은 종종 미국 남북전쟁 이후 재건 기간 동안 낙후된 이탈리아 남부와 미국 남부에 비유되어[by whom?] 왔습니다. 최근 독일 동부지역의 경제가 회복되는 동안 동서양의 차이는 여전합니다.[94][95]
정치권과 학자들은 두 나라의 '내적 통일' 과정을 자주 요구하며 '내적 통일이냐, 아니면 계속되는 분리냐'는 질문을 던졌습니다.[96] 2009년 동독에서 성장한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독일 통합의 과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선언했습니다.[9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내부 통일"에 대한 질문은 1989년 이후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헌법적으로 독일 국민들에게 널리 논의되어 왔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구 동독 사회주의 국가당의 후계 정당이 독일 정치의 주요 세력이 되었습니다. 그것은 PDS로 개명되었고, 나중에 서방 좌파 정당인 WASG와 합병하여 좌파당(Die Linke)을 창당했습니다.
헌법적으로 서독의 기본법(Grundgesetz)은 통일을 위한 두 가지 경로를 제공했습니다. 첫 번째는 국민투표로 보호되는 새로운 전 독일 헌법의 시행이었습니다. 사실, 이것은 1949년 Grundgesetz의 원래 아이디어였습니다: 이것은 잠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헌법" 대신 "기본법"으로 명명되었습니다.[f] 두 번째 방법은 더 기술적인 방법이었습니다: 두 국가의 합병과 같이 내부적인 개편이 있을 경우 원래 서독 국가(분데슬렌더)를 위해 고안된 단락을 사용하여 동양에서 헌법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이 후자의 선택이 가장 실현 가능한 것으로 선택된 반면, 첫 번째 선택은 부분적으로 "내부 통일"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되었습니다.[99][100] 과거(Vergangenheitsbewältigung)를 수용하는 공개적인 표현은 동독 보안 장치의 파일을 수집하고 유지하는 소위 Birthler-Beörde라는 Stasi Records의 연방 집행위원의 존재입니다.[101]
통일 이후 옛 동독의 경제 재건을 위해서는 막대한 공적 자금이 필요했고, 이로 인해 일부 지역은 호황 지역으로 바뀌었지만, 전반적인 실업률은 여전히 옛 서독보다 높습니다.[102] 실업은 1990년 이후 빠르게 시작되는 탈산업화 과정의 일부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원인은 현재까지 정치적 갈등에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동독 경제의 관료주의와 효율성 부족이 강조되고 탈산업화는 웬드의 불가피한 결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동독의 많은 비평가들은 동독 기업들이 적응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지 않은 것은 민영화의 충격요법 방식이었고, 느린 전환과 같은 대안들이 가능했다고 지적합니다.[g]
그러나 통일은 구 동독 지역의 평균 생활 수준을 크게 상승시켰고, 2조 달러의 공공 지출이 동독으로 이전되면서 서구 지역은 침체되었습니다.[105] 1990년에서 1995년 사이에 동부의 총 임금은 서부의 35퍼센트에서 74퍼센트로 증가했고 연금은 40퍼센트에서 79퍼센트로 증가했습니다.[106] 실업률도 서부의 두 배에 달했습니다. 동서독의 옛 국경에 가까운 서독 도시들은 독일의 통일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다른 서독 도시들에 비해 시장 접근의[clarification needed] 불균형을 경험했습니다.[107]
통일 베를린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세계적으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지만, 지역 도시 환경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실, 1989년 11월 9일의 사건들은 40년 동안 서로를 무시했던 한 도시의 두 반쪽이었던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이 마침내 "서로 대립"하는 것을 보았습니다.[108] 분단 40년이 지나면 통일된 도시가 잘 들어서 주요 대도시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도시에 있었습니다.[109][54]
또 다른 중요한 우선순위는 베를린을 독일 정부의 소재지로 재건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수십 개의 외국 대사관을 위한 부지 재개발"을 포함한 정부의 필요에 부응하는 건물들이 필요했습니다.[52]
도시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것과 관련하여 베를린의 전통적인 풍경을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비판적 재건" 정책은 나치와 사회주의의 유산으로부터 도시의 정체성을 분리하려고 했지만, 일부 유적은 보존되었고, 장벽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국경선을 따라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었습니다.[52] 동베를린 중심부에서는 동독 국가의 모더니즘 유산이 점차 많이 제거되었습니다.[55] 베를린의 통일은 동베를린의 얼굴에서 사회주의적 유산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동쪽에서 정치적으로 동기부여된 거리 이름과 기념물들을 제거하는 것을 보았습니다.[54]
장벽이 무너진 직후 베를린은 건설 산업의 호황을 경험했습니다.[51] 재개발 사업은 베를린이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걸쳐 세계에서 가장 큰 건설 현장 중 하나가 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53]
장벽의 붕괴는 또한 경제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확연히 다른 정도의 경제적 기회를 다루는 두 독일 시스템이 갑자기 밀접하게 접촉했습니다.[110] 상업적인 목적을 위한 부지 개발에도 불구하고, 베를린은 뮌헨, 함부르크, 슈투트가르트, 뒤셀도르프와 같은 서독의 주요 중심지뿐만 아니라 국가의 재정 수도로 남아있는 프랑크푸르트와 경제적인 측면에서 경쟁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111][112] 계획 정책에 의해 지시된 집중적인 건축 활동은 "대부분의 행정부와 정부 기관이 본에서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공석으로" 사무 공간의 과도한 확장을 초래했습니다.[51][113]
베를린은 거대한 탈산업화와 관련된 분열된 경제 구조조정으로 얼룩졌습니다.[111][112] 경제학자 올리버 마크 하트위치(Oliver Marc Hartwich)는 동양이 의심할 여지 없이 경제적으로 개선되었지만, "(당시 헬무트 총리가) 콜이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느린 속도"라고 주장했습니다.[114] 통일 이후에도 구 동독과 서독 간의 부와 소득 불평등은 수십 년간 지속되었습니다. 2014년 평균적으로 구서독 성인의 자산 가치는 94,000유로였습니다. 구서독 성인의 자산 가치는 40,000유로를 조금 넘었습니다.[115]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위에서 설명한 요인들은 동베를린과 동독으로부터의 대량 이주로 이어져 서구에서 큰 노동공급 충격을 낳았습니다.[110] 1989년에서 1992년 사이에만 총 87만 명이 동양에서 이주하면서 [116]교육 수준이 가장 낮은 노동자, 블루칼라 노동자, 남성 및 외국 국적 노동자의 고용 결과가 더 악화되었습니다.[110]
금세기 말, 상당한 투자와 계획에도 불구하고, 베를린이 "유럽의 글로벌 도시인 런던과 파리 사이의 자리"를 재탈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습니다. 이는 주로 독일의 금융 및 상업 수도가 행정 수도(베를린)가 아닌 다른 곳(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탈리아(밀란 대 로마), 스위스(취리히 대 베른), 캐나다(토론토 대 오타와), 호주(시드니 대 캔버라), 미국(뉴욕시 대 워싱턴 DC), 네덜란드(암스테르담 대 헤이그)와 유사하게, 두 가지 역할을 모두 합친 런던, 파리, 마드리드, 비엔나, 바르샤바 또는 모스크바.[54]
그러나 궁극적으로 베를린의 동서 간 격차는 베를린이 새로운 도시 정체성을 달성하도록 이끌었습니다. 버려진 공간을 거의 임대하지 않고 중간에 사용하는 주거지로 특징지어지는 동베를린의 여러 지역은 베를린의 급성장하는 창조적 활동의 중심지이자 기반이 되었습니다.[117] 클라우스 보웨라이트 베를린 시장에 따르면, "베를린이 제공하는 최고의 것, 그것의 독특한 창조성. 창의력은 베를린의 미래입니다."[117] 전반적으로 베를린 정부의 창의성 참여는 창의적인 생산보다는 마케팅과 홍보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118]
평가
통일비용
이후 동부 독일의 경제적 구조조정과 재건은 상당한 비용을 초래했고, 특히 서부 독일은 솔리다리테츠슈츨라프(Solidaritätszuchlag)의 형태로 많은 돈을 지불했습니다. 독일어: [졸리다 ʁ ˈ ɛː ͡ ͡s su ːla ːˌʃk], 연대할증). 게다가 서독 독일 마르크와 동독 마르크 간의 1:1이라는 매우 유리한 환율은 동독인들이 거의 가치가 없는 마르크를 서독 화폐로 교환하고 임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이것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서독 예산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119]동료 슈타인브뤼크는 2011년 인터뷰에서 "20년 동안 독일 통일에 2조 유로, 즉 1년에 평균 1,000억 유로의 비용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우리는 유럽의 통합을 위해 몇 년 동안 그것의 10분의 1을 지불할 용의가 있지 않은가?'라고 물어야 합니다.'"[120]
전망과 삶의 만족도
Pew Research Center가 실시한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서독보다 동독이 약간 더 많이 지지하면서, 서독과 동독에 거주하는 독일인의 89%가 통일이 독일에 좋다고 생각합니다.[121] 동독 주민의 83%는 시장경제로의 전환에 찬성하고 13%는 반대하며 나머지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습니다.[122] 동서양 모두 1991년 이후 삶의 만족도가 크게 증가하여 1991년 동독인의 15%가 삶의 만족도를 0~10 척도로 7~10 사이 어딘가에 두었고, 2019년에는 59%로 바뀌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서독인들의 경우, 이 변화는 52%에서 64%였습니다.[123]
또한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계 차원에서 부를 창출하는 데 유용했습니다. 서독에 거주하면서 동양과 사회적 관계를 맺은 사람들은 장벽 붕괴 후 6년 동안 평균 6퍼센트의 재산 증가를 경험했는데, 이는 같은 관계를 갖지 않은 가구의 두 배 이상이었습니다.[124] 동양과의 사회적 유대가 강한 지역에서 일하던 기업가들은 소득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증가했습니다. 이 집단의 소득은 통일 이후 6년 동안 평균 8.8퍼센트 증가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서양과 인연이 있는 동양인들은 통일 이후 6년 동안 각각 가구 소득이 양의 비율로 증가했습니다.[124] 같은 유대관계가 부족한 지역의 사람들은 같은 혜택을 보지 못했습니다. 좀 더 넓게 보면, 가정과 개인과 같은 방식으로, 상업 기업들도 통일 이후 몇 년 동안 이익이 증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동양에 투자한 서비스업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이 증가하는 형태의 이익이 가장 컸습니다. 통일은 이전에 국경의 제약을 받았던 사회적 인맥을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계소득과 상업적 이익의 증가를 통해 지역의 경제성장을 높이는 역할을 했습니다.[124]
비교
냉전으로 인해 두 주(1949–1990)로 분리된 나라는 독일뿐만이 아니었습니다. 한국(1945-현재), 중국(1949-현재), 예멘(1967-1990), 베트남(1954-1976)은 "서방-자본주의"와 "동방-공산주의" 세력의 점령으로 분리/분리되었습니다. 두 나라는 중국 내전 (1927-1949), 한국 전쟁 (1950-1953), 베트남 전쟁 (1955-1975)에서 각각 심각한 경제적 피해와 민간적 피해를 입혔던 분단으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겪었습니다.[citation needed] 그러나 독일의 분단은 또 다른 전쟁으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독일은 이 나라들 중에 폭력적인 충돌 없이 평화적인 통일을 이룬 유일한 나라입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은 베트남전쟁 이후 통일을 이루었으나 1976년 공산체제 하에서 예멘은 1990년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평화통일을 이루었으나 이후 내란으로 내전을 겪었습니다. 남북한은 물론 중국 본토와 대만도 여전히 높은 정치적 긴장과 거대한 (경제적), 사회적 격차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통일 가능성은 엄청난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125][126] 중국과 함께 대만 독립운동은 중국 통일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오늘날 동서독은 1945년(사실상)부터 1990년까지 독일 정부가 이들을 절대적으로 삭제하려고 하는 분리로 인해 여전히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처럼 경제와 사회 이념에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독일은 1949년에 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었지만, 지도에는 1957년 자를란트가 서독에 가입했을 때 2개의 독일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 ^ 독일을 언급하기 위해 포츠담 협정에 '독일 전체'라는 문장을 기록했습니다.
- ^ 게다가, 1965년 이전에는 IOC가 독일에 대해서만 올림픽 위원회를 인정했기 때문에, 자를란트, 독일 연방 공화국, 독일 민주 공화국의 별도의 올림픽 위원회는 IOC에 의해 인정되지 않았고, 독일은 1968년까지 동계 및 하계 올림픽에서 단일 팀으로 대표되었습니다.
- ^ 독일 역사학자 베르너 바이덴펠트는 부시 대통령이 콜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미국을 통일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동맹국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고 크리스티나 포어는 보도했습니다.[72]
- ^ 1945년 폴란드에 합병되어 그다 ń스크(단치히) 시와 인근 도시 및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는 국제연맹의 위임 영토는 서독이 1937년 국경에서 독일의 법적 지위를 따랐기 때문에 어떤 공식적인 측에서도 주장한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1938년 3월 13일 나치의 오스트리아 합병 이전.
- ^ 사실, 새로운 헌법 초안은 반체제 인사들과 동독 시민사회 대표들로 구성된 "원탁회의"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나중에 폐기되었고, 이 사실은 많은 동독 지식인들을 화나게 했습니다.[98]
- ^ 예를 들어,[103] 경제학자 Jörg Roesler. 역사학자 울리히 부쉬는 통화동맹이 너무 일찍 이루어졌다고 지적했습니다.[104]
참고문헌
- ^ a b c "EinigVtr – Vertrag zwisch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über die Herstellung der Einheit Deutschlands". www.gesetze-im-internet.de (in German). Retrieved 6 March 2022.
- ^ Brait, Andrea; Gehler, Michael (6 July 2014), "Grenzöffnung 1989 – Offene Grenzen?", Grenzöffnung 1989, Wien: Böhlau Verlag, pp. 9–44, doi:10.7767/boehlau.9783205793236.9, ISBN 978-3-205-79496-7, retrieved 6 March 2022
- ^ a b Sardemann, Gerhard (1 August 2010). "Die Welt aus den Angeln heben". TATuP: Zeitschrift für Technikfolgenabschätzung in Theorie und Praxis. 19 (2): 8–17. doi:10.14512/tatup.19.2.8. ISSN 2199-9201.
- ^ "DRA: Archivnachweise". 9 June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ly 2011. Retrieved 5 November 2009.
- ^ Pfeil, Ulrich (9 April 2020). "Die DDR als Zankapfel in Forschung und Politik". bpb.de (in German). Retrieved 14 December 2022.
- ^ Mühlbauer, Peter (29 January 2015). "War die deutsche Wiedervereinigung eine Annexion?". Telepolis (in German). Retrieved 14 December 2022.
- ^ Buchholz, Erich (2009). Totalliquidierung in zwei Akten : [juristische Annexion der DDR]. Berlin: Homilius. ISBN 978-3-89706-406-5. OCLC 427322273.
- ^ "Unification or annexation? – DW – 09/01/2010". dw.com. Retrieved 18 November 2022.
- ^ "Germany's reunification plunge". BBC News. 30 September 2010. Retrieved 18 November 2022.
- ^ "Reunification Controversy: Was East Germany Really 'Annexed?'". Der Spiegel. 31 August 2010. ISSN 2195-1349. Retrieved 18 November 2022.
- ^ "Duma May Slam East German 'Annexation'".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9 January 2015. Retrieved 18 November 2022.
- ^ "Ned Richardson-Little on Twitter". Twitter. Retrieved 13 December 2022.
- ^ "Russia's bizarre proposal to condemn West Germany's 1989 'annexation' of East Germany".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Retrieved 18 November 2022.
- ^ "Beitritt zur BRD: Vom Westen "überrannt"? MDR.DE". Mitteldeutscher Rundfunk (in German). Retrieved 13 December 2022.
- ^ "12 Germans who got played by Putin". POLITICO. 5 May 2022. Retrieved 6 June 2023.
- ^ Heller, Kevin Jon (2011). The Nuremberg Military Tribunals. OUP. p. 116.
- ^ Ziemke, Earl Frederick (1990). The US Army and the Occupation of Germany 1944–1946.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p. 114.
- ^ 토니아 코흐: Die Präambel macht den Unterschied. 주르 란데스베르파성 데 사를란데스 게쉬히테가 지휘하고 있습니다. 인: Deutschlandfunk, 2013년 1월 23일, Aufbau der Demokratie 및 Saar. 인: Landtag-Saar.de .
- ^ "The division of Germany". Centre Virtuel de la Connaissance sur l'Europe. The University of Luxembourg. Retrieved 31 July 2019.
- ^ J. Robert Wegs & Robert Ladrech (1996). 1945년 이후의 유럽: 간결한 역사. 뉴욕.
- ^ 한스 게오르크 레만, 크로니커 더 분데스레푸블리크 도이칠란트 1945/49 bis 1981, 뮌헨: 벡, 1981, (벡슈 슈바르츠 레이헤; Vol. 235), ISBN 3-406-06035-8, p. 18.
- ^ Government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1 October 1959). "Gesetz zur Änderung des Gesetzes über das Staatswappen und die Staatsflagge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documentArchiv.de (in German). Retrieved 24 February 2008.
- ^ Jessup, John E. (1998).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1945–1996.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p. 543. ISBN 978-0313281129.
- ^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3). Estonia, Latvia, Lithuania, and Poland. Britanncia Educational Publishing. p. 193. ISBN 978-1-61530-991-7.
- ^ Joseph A. Biesinger (2006). Germany: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Infobase Publishing. p. 615. ISBN 978-0-8160-7471-6.
- ^ "Basic Treaty 1972 Britannica".
- ^ Doder, Dusko (1990). Gorbachev : heretic in the Kremlin. Louise Branson. London: Macdonald. ISBN 0-356-19760-3. OCLC 22626554.
- ^ Brait, Andrea; Gehler, Michael (6 July 2014), "Grenzöffnung 1989 – Offene Grenzen?", Grenzöffnung 1989, Wien: Böhlau Verlag, pp. 9–44, doi:10.7767/boehlau.9783205793236.9, ISBN 978-3-205-79496-7, retrieved 6 March 2022
- ^ "TV Interview Tips". Nonprofit Communications Report. 17 (4): 7. 12 March 2019. doi:10.1002/npcr.31171. ISSN 1549-778X. S2CID 242693987.
- ^ "Division 19 officers August 1989 – August 1990". PsycEXTRA Dataset. 1990. doi:10.1037/e402342005-008. Retrieved 6 March 2022.
- ^ "Das Picknick The picnic", Bringing German to Life, Routledge, pp. 43–50, 27 November 2014, doi:10.4324/9781315756943-11, ISBN 978-1-315-75694-3, retrieved 6 March 2022
- ^ "Wissenschaft und Schwärmerei. Der Pfarrer Johann August Steinhofer und die Somnambule Anna Barbara Straub", Das Tor zur Seele, Brill Schöningh, pp. 158–190, 1 January 2014, doi:10.30965/9783657779352_006, ISBN 978-3657779352, retrieved 6 March 2022
- ^ Andreas, Rödder (1967). Deutschland einig Vaterland die Geschichte der Wiedervereinigung (in German). C.H.Beck. ISBN 978-3-406-56281-5. OCLC 317287167.
- ^ Schmemann, Serge (14 May 1989). "Despite New Stirrings, Dream of 'One Germany' Fade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6 March 2022.
- ^ "Helmut Kohl's Ten-Point Plan for German Unity (November 28, 1989)". germanhistorydocs.ghi-dc.org. Retrieved 5 March 2022.
- ^ "Vertrag über die Schaffung einer Währungs-, Wirtschafts- und Sozialunion zwische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und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Die Verfassungen in Deutsch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13. Retrieved 22 March 2013.
- ^ "German Unification Monetary union". Cepr.org. 1 July 19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1. Retrieved 19 October 2010.
- ^ a b c "Embassy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ondon – A short history of German reunification". London.diplo.de (in Ger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0. Retrieved 19 October 2010.
- ^ "Leben in der DDR". www.mdr.de (in German). Retrieved 6 March 2022.
- ^ "Volkskammer der DDR stimmt für Beitritt".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in German). BPD.de. Retrieved 6 March 2022.
- ^ a b c "Bundesarchiv – Digitalisierung und Onlinestellung des Bestandes DA 1 Volkskammer der DDR, Teil 10. Wahlperiode". www.bundesarchiv.de (in Ger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15. Retrieved 6 March 2022.
- ^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Sign German Reunification Treaty" (PDF). NBC Lear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October 2013. Retrieved 22 March 2013.
- ^ "Merkel to mark 20th anniversary of German reunification treaty". Deutschland.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3. Retrieved 22 March 2013.
- ^ Imse, Ann (4 March 1991). "Soviet Legislature Ratifies German Reunification Treaty". AP News Archive. Retrieved 22 March 2013.
- ^ "Opening of the Berlin Wall and Unification: German History". germanculture.com.ua. Retrieved 6 March 2022.
- ^ "Bundesgesetzblatt" (PDF). Bgbl.de. Retrieved 9 October 2016.
- ^ "Art 45 EinigVtr – Einzelnorm". www.gesetze-im-internet.de. Retrieved 5 March 2022.
- ^ "Germany Today – The German Unification Treaty". Europe-toda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08. Retrieved 19 October 2010.
- ^ Kommers, Donald P.; Miller, Russell A. (9 November 2012). The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Duke University Press. doi:10.1515/9780822395386. ISBN 978-0-8223-9538-6.
- ^ Sarotte, Mary Elise (2011), "The Wall Comes Down: A Punctuational Moment", In Uncertain Times, Cornell University Press, pp. 13–25, doi:10.7591/cornell/9780801449093.003.0001, ISBN 978-0-8014-4909-3, retrieved 19 October 2010
- ^ a b c Urban Renaissance. 6 June 2003. doi:10.1787/9789264101470-en. ISBN 978-9264101463.
- ^ a b c d Loeb, Carolyn (January 2006). "Planning reunification: the planning history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PDF). Planning Perspectives. 21: 67–87. doi:10.1080/02665430500397329. S2CID 108646113. Retrieved 14 May 2012.[영구적 데드링크]
- ^ a b c d e Schwedler, Hanns-Uve (2001). Urban Planning and Cultural Inclusion Lessons from Belfast and Berlin. Palgrave Macmillan. ISBN 978-0-333-79368-8.
- ^ a b c d e Tölle, A (2010). "Urban identity policies in Berlin: From critical reconstruction to reconstructing the Wall". Institute of Socio-Economic Geography and Spatial Management. 27 (5): 348–357. doi:10.1016/j.cities.2010.04.005.
- ^ a b Urban, F (2007). "Designing the past in East Berlin before and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Progress in Planning. 68: 1–55. doi:10.1016/j.progress.2007.07.001.
- ^ 코스미두, 엘레프테리아 라니아(2012). 유럽 내전 영화: 기억, 갈등 그리고 향수. 9-10쪽. ISBN 1136250646
- ^ Deutsche Welle (dw.de ) (9.11.2004) 칙살스태그더도이첸.
- ^ a b c d e f Winkler, Heinrich August (1994). "Rebuilding of a Nation: The Germans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Daedalus. 123 (1): 107–127. JSTOR 20027216.
- ^ a b c d e Kuechler, Manfred (1992). "The Road to German Unity: Mass Sentiment in East and West Germany".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Oxford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56 (1): 53–76. doi:10.1086/269295. JSTOR 2749221.
- ^ a b c d e f g h i j k l Brockmann, Stephen (1991). "Introduction: The Reunification Debate". New German Critique. Duke University Press. 52 (1): 3–30. doi:10.2307/488182. JSTOR 488182.
- ^ a b Pond, Elizabeth (1990). "A Wall Destroyed: The Dynamics of German Unification in the GDR". International Security. 15 (2): 35–66. doi:10.2307/2538865. JSTOR 2538865. S2CID 153877446.
- ^ a b c Augustine, Dolores L. (2004). "The Impact of Two Reunification-Era Debates on the East German Sense of Identity". German Studies Review.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German Studies Association. 27 (3): 563–578. doi:10.2307/4140983. JSTOR 4140983.
- ^ a b Erlanger, Simon (2009). "At Issue: "The Anti-Germans" – The Pro-Israel German Left". Jewish Political Studies Review.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21 (1/2): 95–106. JSTOR 25834827.
- ^ Foy, Todd; Thiele, Carmen (1996). "The Legal Status of the Sorbian Minority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n Minority and Group Rights. Brill. 4 (1): 41–77. doi:10.1163/15718119620907094. JSTOR 24674577.
- ^ Hans-Hermann Hoppe (1 February 2012). "The Politics of Johann Wolfgang Goethe". Mises Institute. Retrieved 17 May 2019.
- ^ a b c d e Volkery, Carsten (9 November 2009). "The Iron Lady's Views on German Reunification/'The Germans Are Back!'". Der Spiegel. Retrieved 5 October 2010.
- ^ a b c d e f g h i j k l Wiegrefe, Klaus (29 September 2010). "An Inside Look at the Reunification Negotiations". Der Spiegel. Retrieved 4 October 2010.
- ^ "Russia and German reunification: Opposing views on Mikhail Gorbachev's legacy". www.dw.com. Deutsche Welle. 2 October 2020. Retrieved 6 March 2022.
- ^ Skelton, George (26 January 1990). "The Times Poll : One Germany: U.S. Unfazed, Europeans Fret". Los Angeles Times. Retrieved 16 June 2012.
- ^ Watson, Geoffrey K.; Baker, James A. (1996). "The Politics of Diplomacy, Revolution: War and Peace, 1989–1992". International Journal. 51 (3): 214–216. doi:10.2307/40203129. ISSN 0020-7020. JSTOR 40203129.
- ^ Smith, Kathleen E. (1 October 2019). "William Taubman. Gorbachev: His Life and Times".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24 (4): 1419–1422. doi:10.1093/ahr/rhz834. ISSN 0002-8762.
- ^ Spohr, Kristina (2000). "German Unification: Between Official History, Academic Scholarship, and Political Memoirs". The Historical Journal. 43 (3): 869–888. doi:10.1017/S0018246X99001387. ISSN 0018-246X. JSTOR 3020982. S2CID 85525353.
- ^ a b Michael Binyon (11 September 2009). "Thatcher told Gorbachev Britain did not want German reunification". The Times. London. Retrieved 8 November 2009.
- ^ a b c d e f g Kundnani, Hans (28 October 2009). "Margaret Thatcher's German war". The Times. Retrieved 5 October 2010.
- ^ a b Anne-Laure, Mondesert (AFP) (31 October 2009). "London and Paris were shocked by German reunification". Calgary H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November 2009. Retrieved 9 November 2009.
- ^ Peter Allen (2 November 2009). "Margaret Thatcher was 'horrified' by the prospect of a reunited Germany".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22. Retrieved 9 November 2009.
- ^ Knight, Ben (8 November 2009). "Germany's neighbors try to redeem their 1989 negativity". Deutsche Welle. Retrieved 9 November 2009.
- ^ Folli, Stefano (7 May 2013). "The Incarnation of Politics Is Gone". Il Sole 24 O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October 2014. Retrieved 21 October 2014.
- ^ "Special Meeting of the European Council – Presidency Conclusions". European Commission. Dublin. 28 April 1990. Retrieved 5 March 2022.
- ^ "Special meeting of the European Council" (PDF). Dublin: The European Council. 28 April 1990.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 April 2012. Retrieved 5 March 2022.
- ^ Scally, Derek (29 April 2010). "Germany will 'never forget' Ireland's help". The Irish Times. Retrieved 5 March 2022.
- ^ "Find a Debate – Houses of the Oireachtas". www.oireachtas.ie. Houses of the Oireachtas. 3 March 2022. Retrieved 5 March 2022.
- ^ Kohl, Helmut (29 November 1989). "Helmut Kohl's Ten-Point Plan for German Unity". Translated by Jeremiah Riemer.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Retrieved 16 June 2012.
- ^ "I Preferred To See It as an Acquisition". Der Spiegel. 29 September 2010. Retrieved 7 October 2010.
- ^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PDF). 12 September 19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9 July 2017. Retrieved 16 December 2018.
- ^ "Soviets may return Honecker to West". Los Angeles Times. 26 August 1991.
- ^ a b "Resources for The 1990 reunification – Historical events in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1945–2014)". Cvce.eu. CVCE. Retrieved 9 October 2016.
- ^ Kinzer, Stephen (9 September 1994). "Allies' Departure Leaves Berlin Without Foreign Troops". NYTimes.com. Berlin, Germany. Retrieved 5 April 2017.
- ^ Pifer, Steven (30 November 2001). "Did NATO Promise Not to Enlarge? Gorbachev Says "No"". Brookings. Retrieved 5 March 2022.
- ^ "Breaking Down the Wall in the Head". Deutsche Welle. 3 October 2004. Retrieved 11 October 2009.
- ^ Cameron, Abadi (7 August 2009). "The Berlin fall". Foreign Poli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09. Retrieved 11 October 2009.
- ^ Schweiger, Christian (2019). "Deutschland einig Vaterland?: East-West Cleavages in Germany Thirty Years After Reunification". German Politics & Society. 37 (3): 18–31, 14p. doi:10.3167/gps.2019.370303. S2CID 218888433.
- ^ Peterson, Clarissa; Riley, Emmitt Y (2022). Racial Attitudes in America Today. New York: Routledge. doi:10.4324/9781003147473. ISBN 978-1-003-14747-3. S2CID 247068186.
- ^ "Underestimating East Germany". The Atlantic. 6 November 2009. Retrieved 25 October 2013.
- ^ Joffe, Josef (8 November 2009). "After the fall 20 years ago this week, the crumbling of the Berlin Wall began an empire's end". Anniston 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11. Retrieved 19 October 2010.
- ^ Staab, Andreas (1998). National Identity in Eastern Germany: Inner Unification Or Continued Separ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6177-0.
- ^ Solms-Laubach, Franz (20 May 2009). "Umfrage: Ost- und Westdeutsche entfernen sich voneinander". Die Welt (in German). Retrieved 19 October 2010.
- ^ Verhoeyen, Etienne (13 May 2005). "Jahrbuch für Forschungen zur Geschichte der Arbeiterbewegung". Brood & Rozen. 10 (2). doi:10.21825/br.v10i2.3145. ISSN 1370-7477. S2CID 184882749.
- ^ "Gastbeitrag: Nicht für die Ewigkeit – Staat und Recht – Politik". Faz.net (in Ger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0. Retrieved 19 October 2010.
- ^ "Horst Dreier Das Grundgesetz – eine Verfassung auf Abruf?". Das-parlament.de (in German). 27 April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ly 2011. Retrieved 19 October 2010.
- ^ DDR-Geschichte: 메르켈, 비러-베어데노흐랑게르히텐 탄생 Spiegel.de (2009년 1월 15일). 2010년 10월 19일 검색.
- ^ "Facts about Germany: Society". Tatsachen-ueber-deutschland.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February 2010. Retrieved 19 October 2010.
- ^ Verhoeyen, Etienne (13 May 2005). "Jahrbuch für Forschungen zur Geschichte der Arbeiterbewegung". Brood & Rozen. 10 (2): 34–46. doi:10.21825/br.v10i2.3145. ISSN 1370-7477. S2CID 184882749.
- ^ Verhoeyen, Etienne (13 May 2005). "Jahrbuch für Forschungen zur Geschichte der Arbeiterbewegung". Brood & Rozen. 10 (2): 5–24. doi:10.21825/br.v10i2.3145. ISSN 1370-7477. S2CID 184882749.
- ^ Sauga, Michael (6 September 2011). "Help for Poorer Neighbors: Designing a Transfer Union to Save the Euro". Der Spiegel. ISSN 2195-1349. Retrieved 5 March 2022.
- ^ Parkes, K. Stuart (1997). Understanding contemporary Germany. Taylor & Francis. p. 209. ISBN 0-415-14124-9.
- ^ Redding, Stephen J; Sturm, Daniel M (1 November 2008). "The Costs of Remoteness: Evidence from German Division and Reunific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98 (5): 1766–1797. doi:10.1257/aer.98.5.1766. ISSN 0002-8282. S2CID 59469739.
- ^ Grésillon, B (April 1999). "Berlin, cultural metropolis: Changes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Berlin since reunification". Ecumene. 6 (3): 284–294. doi:10.1191/096746099701556286.
- ^ Grésillon, B (April 1999). "Berlin, cultural metropolis: Changes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Berlin since reunification". Ecumene. 6 (3): 284. doi:10.1177/096746089900600303. S2CID 144040097.
- ^ a b c Frank, Douglas H. (2009). "The Effect of Migration on Natives' Employment Outcomes: Evidence from the Fall of the Berlin Wall". SSRN Electronic Journal. doi:10.2139/ssrn.1021951. ISSN 1556-5068. S2CID 18564127.
- ^ a b Krätke, S (2004). "City of talents? Berlin's regional economy, socio-spatial fabric and "worst practice" urban govern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8 (3): 511–529. doi:10.1111/j.0309-1317.2004.00533.x.
- ^ a b Häußermann, Hartmut; Kapphan, Andreas (31 December 2013), "Berlin: From Divided to Fragmented City?", The Berlin Reader, transcript Verlag, pp. 77–94, doi:10.14361/transcript.9783839424780.77, ISBN 978-3-8376-2448-9
- ^ Urban Renaissance. 6 June 2003. p. 20. doi:10.1787/9789264101470-en. ISBN 978-9264101463.
- ^ Kubicek, Paul (2011), "The Diminishing Relevance of Ostalgie 20 Years after Reunification", After the Berlin Wall, Palgrave Macmillan, doi:10.1057/9780230337756.0008, ISBN 978-0230337756, retrieved 5 March 2022
- ^ "Germany's wealth distribution most unequal in euro zone: study". Reuters. 26 Februar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23 September 2015.
- ^ Mellor, R.E.H. (April 1996). "Book Reviews: Eric Owen Smith 'The German Economy' Routledge, London, 1994, pp. 592, ISBN 0-415-06288-8".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3 (2): 185–186. doi:10.1177/096977649600300212. ISSN 0969-7764. S2CID 153436467.
- ^ a b Jakob, Doreen (December 2010). "Constructing the creative neighborhood: Hopes and limitations of creative city policies in Berlin". City, Culture and Society. 1 (4): 193–198. doi:10.1016/j.ccs.2011.01.005.
- ^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BPA)". Lexikon des gesamten Buchwesens Online. doi:10.1163/9789004337862_lgbo_com_161075. Retrieved 6 March 2022.
- ^ Judt, Tony (2005). Postwar : a history of Europe since 1945. New York: Penguin Press. p. 638. ISBN 978-1-59420-065-6. OCLC 61303516.
- ^ SPIEGEL, DER (12 September 2011). "Interview with Former German Finance Minister : 'Germans Will Have to Pay'". Der Spiegel. Retrieved 25 June 2021.
- ^ Wike, Richard; Poushter, Jacob; Silver, Laura; Devlin, Kat; Fetterolf, Janell; Castillo, Alexandra; Huang, Christine (9 October 2019). "Germans view unification positively but feel the East has been left behind". Pew Research Center Global Attitudes and Trends. Pew Research Center.
- ^ Wike, Richard; Poushter, Jacob; Silver, Laura; Devlin, Kat; Fetterolf, Janell; Castillo, Alexandra; Huang, Christine (9 October 2019). "Most in former Eastern Bloc approve of shift to multiparty and free market systems". Pew Research Center Global Attitudes and Trends. Pew Research Center.
- ^ Wike, Richard; Poushter, Jacob; Silver, Laura; Devlin, Kat; Fetterolf, Janell; Alex; Castillo, ra; Huang, Christine (15 October 2019). "European Public Opinion Three Decades After the Fall of Communism". Pew Research Center's Global Attitudes Project. Retrieved 5 March 2022.
- ^ a b c Burchardi, Konrad B; Hassan, Tarek A (1 August 2013). "The Economic Impact of Social Ties: Evidence from German Reunific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8 (3): 1219–1271. doi:10.1093/qje/qjt009. ISSN 0033-5533.
- ^ Bennett, Bruce W. (19 September 2013).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cite journal}}
: 저널 인용 요구사항journal=
(도와주세요) - ^ "The European dimension of German-Taiwanese relations – a critical assessment"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18.
더보기
- 블루마나우, 베른하르트, '냉전기와 이후의 독일 외교정책과 '독일문제: 변화와 연속성' 인: B Blumenau, J Hanhimäki & B Zanchetta (eds), 냉전 종식에 대한 새로운 관점: 예상치 못한 변화? Ch. 5. 런던: Routledge, 2018. ISBN 978-1138731349.
- 엥겔, 제프리 A. 세상이 새로워졌을 때: 조지 H. W. 부시와 냉전 종식 (2018) pp. 273–291.
- 마이어, 찰스 S., 해산: 공산주의의 위기와 동독 종말 (Princeton UP, 1997).
- 미참, 존. 운명과 힘: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의 미국 오디세이 (2015), pp. 397–408.
- 켐퍼, 루카스. "독일 통일에 대한 디아스포라와 미국의 논쟁." 대서양 횡단 연구 저널 15.1 (2017): 온라인[dead link] 41-60
- 스포, 크리스티나. "독일 통일: 공식적인 역사, 학문적인 학문과 정치적인 회고록 사이" 역사 저널 43#3 (2000), 869–888쪽, 온라인 페이지 876.
- 젤리코프, 필립과 콘돌리자 라이스, 독일 통일과 유럽의 변화: 주술에 관한 연구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발췌.
- 통일의 현장, 독일 통일에 관한 온라인 프로젝트, 하우스 데어 게쉬히테, 2022.
주출처
- 자라우슈, 콘라드 H., 볼커 그란소우, 에드. 통일 독일: 문서와 논쟁, 1944-1993 (1994), 영어 번역의 주요 출처
외부 링크
- CVCE(Centre of European Studies)의 통일조약(Berlin, 1990년 8월 31일) 웹사이트
- 헤슬러, 유베, "동독의 종말", dw-world.de , 2005년 8월 23일.
- 베르그, 슈테판, 슈테판 윈터, 안드레아 바서만 "독일의 동부 부담: "실패한 통일의 대가", 2005년 9월 5일, 슈피겔.
- 위그레프, 클라우스, "통일협상의 내면" 더 슈피겔, 2010년 9월 29일
- "불친절하고, 위험하기까지"? 마가렛 대처와 독일 통일, Academia.edu , 2016.
- Peter Krogh Digital Archives에서 본 통일의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