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타코마 (PF-3)

USS Tacoma (PF-3)
USS Tacoma (PF-3) 120800303.jpg
1943년 12월 11일 샌프란시스코 앞바다USS 타코마(PF-3)
역사
미국
이름.타코마
동명인워싱턴 주 타코마 시
주문된타입 S2-S2-AQ1 선체로서 MCE 선체 1421[1]
빌더퍼머넌트 메탈스 리치몬드 조선소 4호, 캘리포니아 리치몬드
야드번호46[1]
누웠다1943년 3월 10일
재분류초계함 (PF), 1943년 4월 15일
개시.1943년 7월 7일
후원자A. R. 버거슨
위탁.1943년 11월 6일
폐지되었다1945년 8월 16일
신분증
  • 선체 기호: PG-111
  • 선체 기호: PF-3
  • 호출 부호: NXWC
  • ICS November.svgICS X-ray.svgICS Whiskey.svgICS Charlie.svg
운명.1945년 8월 16일 소련 해군에 편입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이름.EK-11[b]
획득한1945년 8월 16일
위탁.1945년 8월[a] 16일
폐지되었다1949년 10월 16일
운명.1949년 10월 16일 미국으로 돌아왔다
미국
이름.타코마
획득한1949년 10월 16일
재취득필1950년 12월 1일
폐지되었다1951년 10월
명예와
수상.
Bronze-service-star-3d.png 한국전 참전용 배틀스타 3개
운명.1951년 10월 9일 대한민국 해군으로 편입
대한민국.
이름.대동
동명인평안남도 대동군
획득한1951년 10월 9일
폐지되었다1973년 2월 28일
신분증선체 기호:F-63
운명.1973년 2월 28일 미국으로 돌아왔다
미국
이름.타코마
획득한1973년 2월 28일
스트릭1973년 4월 20일
운명.1973년 6월 1일 대한민국 해군에 기증됨
대한민국.
획득한1973년 6월 1일
운명.프리저브드
상황박물관선
일반적인 특징
종류 및 종류 타코마급 호위함
변위
  • 1,450톤 (경부하)
  • 2,415톤 (2,454t) (풀로드)
길이303피트(92.63m) 11인치
비임37 피트 6 인치 (11.43 m)
초안13피트 (8인치) (4.17m)
설치된 전원
추진력
속도20.3 kn (37.6 km/h, 23.4 mph)
보완하다190
무장

USS 타코마(PG-111/PF-3)타코마급 초계함선두함이다.워싱턴주 타코마에 명명된 미 해군의 세 번째 함정인 그녀는 1943년부터 1945년까지, 그리고 1949년부터 1951년까지 취역했다.그녀는 또한 소련 해군에서 EK-11로 복무했고 대한민국 해군에서 ROKS 대동으로 복무했다.

건설 및 시운전

1943년 3월 10일, 해사위원회(MARCOM)의 계약에 따라, 캘리포니아 리치몬드에 있는 퍼머넌트 메탈스 리치몬드 조선소 4번에서 경비함 PG-111로서 MC 선체 1421호를 건조했다.그녀는 1943년 4월 15일에 순찰함 PF-3로 재지정되었고, 타코마 5번으로 명명되었다.타코마는 1943년 7월 7일 발사되었고, A. R. 버거슨 여사의 후원으로 1943년 11월 6일 아드리안 F 중령과 함께 임관하였다.워너, USCG [3]지휘관입니다

서비스 이력

미국 해군,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 1945년

1943년 12월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셰이크다운 훈련을 마친 후, 타코마는 1944년 1월 훈련선으로서의 임무를 보고하였다.그녀는 1944년 6월 27일까지 순시선 선원들을 훈련시켰으며, 그 후 그녀는 해상 시험을 마치면 알래스카 해역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하지만, 그녀는 실패한 실험과 보일러실 화재에 시달렸고, 그 결과 1944년 10월 21일까지 알래스카 코디악에서 근무를 보고하지 않았다.이후 4개월 동안, 그녀는 알래스카 해안과 알류샨 열도 사이를 따라 보급선과 수송선을 호위하며 아투, 아닥, 네덜란드 항구 및 기타 작은 알래스카 [3]항구를 방문했다.

소련 해군기 위해 Project훌라, 미국 해군 선박의 소비에트 연방 해군 콜드 베이, 알래스카,에서 소련의 기대 Japan,[4]타코마와의 전쟁에 입단 이전에 대한 비밀 프로그램에 전달을 위해 선택한 2월 23일 1945년에 남쪽과 광범위한 조사, 샌 프란시스코, California,에서 처음으로 만든 네덜란드의 항구는 출발했다.월소련으로의 이양을 준비하기 [3]위해 워싱턴 주 브레머튼에 도착했다.1945년 7월 10일, 그녀는 콜드 베이에 도착하여 새로운 소련 승무원들과 [3]친밀한 훈련을 시작했다.

소련 해군, 1945년-1949년

그녀의 소련의 승무원 훈련의 완성에 이어, 타코마 8월 16일 1945년, 콜드 베이에서 그리고 소비에트 연방에 무기 대여 법에 따라 곧바로 그녀의 언니 배들 소살리토(PF-4), 호퀴엄(PF-5), Columbia강에 면한(PF-6), 앨버커키(PF-7), 에버렛(PF-8)과 함께 전송해서 UKAEA가 있었다.소련 해군 immediately,[를]타코마에 Commissioned storozhevoi korabl("호위 함")로, 소련과 서비스에 EK-11[b]이름을 지정되었다.그녀는 곧, 페트로 파블롭스크 캄차츠키,는 소련에서, 옛 소련 극동 지역에 경비함으로 근무했다 콜드 베이 출발했다.[5]

1946년 2월, 미국에는 배들은 소련에게 세계 대전 중 사용을 위해 대여의 반환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5월 8일 1947년에, 미국 해군 차관 제임스 V국방 장관. 미국은 해군의 480 돌아온 소련으로 옮겼다는 585년 전투원 배, EK-11 그들 가운데 미국 국무부에 통보했다.이 배들의 복귀을 위한 협상지만, 1610월 1949년, 소련은 마침내는 미국 해군에 요코스카 일본의 EK-11 돌아왔다. 오래 끌었다.[6]

미 해군, 한국 전쟁, 1950-1951

그녀의 본래 이름에 Reverting, 타코마 위원회에서 요코스카에서 관리인 상황에서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하기 전까지 남아 있었다.그녀는 1950년 8월, 다시 위원회에 11950년 12월에, 요코스카에 활성화를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다음날 그녀는 요코스카에서 사가미 Wan과 도쿄 만에 철저한 수색 훈련의 15일 시작했다.18세에서 251950년 12월부터, 그녀는 요코스카에서, 바다 26일에 1950년 12월, 사세보, 일본행을 넣으세요post-shakedown 수리를 받았다.12월 28일 1950년, 타코마 한국의 동쪽 해안으로 향했다.[3]

다음 몇달 동안 타코마 국제 연합 Blockading과 호위 비행단과 함께 태스크 포스 1-72,95(TF).1월 30일 1951년에, 그녀는 상륙 양공의 폭격 단계에서 간송에 다음과 같은 날 오후, 그녀는 Kosong에 같은 일을 수행했다에 합류했다.그녀는 부산 2월 1일 1951년에 사세보 32월 1951년 향했다 내밀었다.2월 5일 1951년까지, 그녀는 다시 강릉에서 한국의 동부 연안으로부터 이틀간의 폭격은 거기 미션을 위한 것이었다.1951년 2월 7일과 8일, 그녀의 포병들은 1951년 2월 9일과 10일에 양양과 황포조준 훈련했다.황포를 치지 않을 때 타코마치쿠테 섬을 순찰했다.그녀는 1951년 2월 13일 사세보로 돌아와 1951년 2월 19일 북한 원산항으로 향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1951년 2월 22일 원산 앞바다에 도착하여 이후 4일간 110명의 대한민국 해병대원들이 1951년 2월 24일 신도에 상륙하는 데 성공했다.다음 날 원산채널을 통과해 사세보로 돌아왔다.1951년 2월 27일 사세보에 도착하여 1951년 3월 10일까지 사세보에 머물다가 요코스카로 향했고, 1951년 [3]4월 23일까지 수리를 제한했다.

1951년 4월 3일, 미국 해군 극동(NavFE) 조직은 재편성되었다.그 결과, 이전에는 별도의 미국 7함대와 NavFE 그룹으로 분할되었던 서비스 부대는 새로운 물류 그룹인 태스크포스 92로 통합되었다.1951년 4월 하순, 다코마가 요코스카 조선소에서 출항했을 때, 그녀는 새로운 직무 조직에 호위원으로 배치되어 미 해군에서의 남은 경력 동안 그 직책을 맡았다.그때부터 1951년 9월까지, 그녀는 일본과 한국의 항구를 오가는 보급선들과 한국 연안의 역들을 호위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유엔 군함을 보충했다.그녀는 또한 대잠수함 순찰을 수행했고 가끔 해안 [3]폭격에도 참여했다.

대한민국 해군, 1951년 ~ 1973년

1951년 10월 9일 미국은 타코마를 한국에 양도하였다.그녀는 1973년 2월 28일까지 대한민국 해군에서 대동(PF-63)으로 근무하다가 해직하여 1973년 4월 2일 해군 명단에서 이름을 올린 후 대한민국 해군에 박물관[3]훈련함으로 기증하였다.

어워드

미 해군은 타코마에게 한국 [3]전쟁 중 공로로 3개의 전투별수여했다.

메모들

  1. ^ a b 냉전시대에는 입수할 수 없었던 소련 시대의 기록을 입수하는 것을 포함한, 「프로젝트 훌라: 대일 전쟁에서의 소련-미국 비밀 협력」에 의하면, 프로젝트 훌라함은, 미 해군으로부터 이관하는 것과 동시에 소련 해군에 취역했다. 24페이지의 사진 캡션을 참조해 주세요.착륙선(LCI(L))과 27페이지에서 Coronado(PF-38)의 이송에 대한 정보를 시험해 보았는데, 러셀은 이것이 이송 과정을 대표한다고 말한다.소식통으로서 러셀은 해군성, 선박 데이터: 미국 해군 함정 제2권, 1949년 1월 1일, (NAVHIPS 250-012), 워싱턴 DC: 선박국, 1949; 그리고 베레즈노이, S. S. S., Flot SSR: 코리자: 대여를 인용한다.벨렌, 1994년
  2. ^ a b 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 Tacoma [3]III에 따르면 타코마는 소련에서 EK-12명명되었으며 NavSource Online은 다음과 같습니다. 호위함 사진보관소 타코마([2]PF3)는 이를 반복하고 있지만 냉전시대 소련 시절 기록을 열람할 수 없는 훌라호(Project Hula: Project Sembit-American Against Japan)[4]는 이 배의 소련 이름이 EK-11이었다고 보고하고 있다.소식통으로서 러셀은 해군성, 선박 데이터: 미국 해군 함정 제2권, 1949년 1월 1일, (NAVHIPS 250-012), 워싱턴 DC: 선박국, 1949; 그리고 베레즈노이, S. S. S., Flot SSR: 코리자: 대여를 인용한다.벨렌, 1994년

레퍼런스

  1. ^ a b 카이저 No.4 2014.
  2. ^ a b 네비게이션 소스
  3. ^ a b c d e f g h i j DANFS 2015.
  4. ^ a b 러셀 1997, 39페이지
  5. ^ 러셀 1997, 페이지 34, 35, 39
  6. ^ 러셀 1997, 37-38페이지, 39.

참고 문헌

  • "Tacoma III (PF-3)".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5 September 2015. Retrieved 7 February 2017.Public Domain 이 문서에는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이 소스로부터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Kaiser Permanente No. 4, Richmond CA". ShipbuildingHistory.com. 5 February 2014. Retrieved 7 February 2017.
  • "USS Tacoma (PF-3)". Navsource.org. Retrieved 7 February 2017.
  • Russell, Richard A. (1997). Project Hula: Secret Soviet-American Cooperation in the War Against Japan. Washington, D.C.: Naval Historical Center. ISBN 0-945274-35-1.

외부 링크